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작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작구는 서울특별시의 구로, 한강 남쪽에 위치하며 1980년 관악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주요 자연환경으로는 한강, 관악산, 삼성산이 있으며, 중앙대학교, 숭실대학교, 총신대학교 등 교육기관과 국립서울현충원, 사육신묘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15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2년 기준 약 41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교통의 요충지로 다양한 철도 노선이 지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 - 사육신공원
    사육신공원은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임을 당한 사육신들의 충절을 기리고자 조성된 공원이며, 사육신 묘, 의절사, 사육신역사관 등의 시설이 있다.
  • 서울 동작구 - 노량진수산시장
    노량진수산시장은 1927년 경성수산으로 시작하여 1971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수산물 도매 시장으로, 현대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수산물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이다.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동작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동작구의 전경
동작구의 모습
공식 명칭동작구 (銅雀區)
로마자 표기Dongjak-gu
한자 표기銅雀區
행정 구역 종류서울특별시의 자치구
위치서울특별시 남서쪽에 위치
면적16.35 km²
하위 행정 구역15개 행정동http://english.dongjak.go.kr/eng/main/contents.do?menuNo=1300059
우편 번호06900 – 07199
지역 번호+82-2-500, 800~
웹사이트동작구청 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총 인구 (2010년)397,317명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총 인구 (2022년 11월)381,704명https://jumin.mois.go.kr/index.jsp
세대수 (2022년)186,197세대https://jumin.mois.go.kr/index.jsp
남자 인구 (2023년)183,153명
여자 인구 (2023년)195,616명
정치 및 행정
구청장박일하 (국민의힘)
지방 의회동작구의회
국회의원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동작구 갑)
나경원 (국민의힘) (동작구 을)
행정동15개
법정동9개
상징
구의 나무소나무
구의 꽃국화
구의 새백로
기타 정보
설립
명칭 유래
좌우명
동작구 깃발
동작구 깃발
구청 소재지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 161

2. 역사

정선의 그림 동작진


백제 시대에는 율목군에 속했다. 조선 시대에는 수도가 서울이었기 때문에 북쪽의 한강을 중심으로 무역이 번성하였다. '동작'(銅雀)이라는 지명도 선착장과 관련이 깊다.

1973년 7월 1일 영등포구에서 관악구가 분구되었다.[12] 당시 개편안은 1980년대까지의 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여 100만이 넘는 구를 분구하는 방침에 따라 성북구영등포구가 각각 도봉구성북구, 영등포구관악구로 나뉜 것이다. 관악구영등포구의 동쪽 지역을 분할하여 현재의 동작구 전 지역과 봉천동·방배동·신림동을 포함한 지역이었다.

1980년 4월 1일 관악구에서 노량진동, 상도제1동, 상도동, 본동, 흑석동, 대방동, 신대방동 일원과 동작동 및 사당동 중 일부를 분리하여 동작구가 신설되었다.[13][14]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15] 2008년 2월 1일 상도5동이 상도1동에, 흑석1·2·3동이 흑석동으로 통합되었다.[16] 2008년 9월 1일 본동이 노량진1동에, 동작동이 사당2동에 통합되었다.[17]

2. 1. 동작구 신설 이전



백제 시대에는 율목군에 속했다. 조선 시대에는 수도가 서울이었기 때문에 북쪽의 한강을 중심으로 무역이 번성하였다. '동작'(銅雀)이라는 지명도 선착장과 관련이 깊다.

2. 2. 동작구 신설 이후

1980년 4월 1일 관악구에서 노량진동, 상도동, 본동, 흑석동, 대방동, 신대방동을 분할하여 동작구(銅雀區)가 신설되었다.[15]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15]

2008년 2월 1일 상도5동이 상도1동에, 흑석1·2·3동이 흑석동으로 통합되었다.[16] 2008년 9월 1일 본동이 노량진1동에, 동작동이 사당2동에 통합되었다.[17]

3. 지리

동작구는 서울특별시의 중남부에 위치하며, 한강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구릉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초구, 영등포구, 관악구, 용산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18]

동작구의 지리적 특징
하천
관악산, 삼성산한강



동작구와 인접한 자치구
동쪽서쪽남쪽북쪽
서초구영등포구, 금천구관악구용산구, 마포구


4. 행정 구역

동작구의 행정 구역은 9개의 법정동과 15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 201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면적은 16.35km2이며, 169,293세대, 416,268명이 거주하고 있다.[19] 2008년 2월 1일에는 상도5동이 상도1동에, 흑석1, 2, 3동이 흑석동으로 통합되었다.[16] 2008년 9월 1일에는 본동이 노량진1동에, 동작동이 사당2동에 통합되어[17] 현재는 15개의 행정동이 있다.

동작구 행정동별 인구 및 면적 현황[19]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노량진제1동鷺梁津第1洞1.5814,38335,008
노량진제2동鷺梁津第2洞0.657,58416,697
상도제1동上道第1洞1.5118,58843,787
상도제2동上道第2洞0.9711,03726,232
상도제3동上道第3洞0.6010,06424,985
상도제4동上道第4洞0.7511,95230,065
흑석동黑石洞1.6815,29936,533
사당제1동舍堂第1洞0.7911,09424,361
사당제2동舍堂第2洞2.7512,11530,050
사당제3동舍堂第3洞0.9210,40426,396
사당제4동舍堂第4洞0.386,35715,380
사당제5동舍堂第5洞0.576,30315,612
대방동大方洞1.5515,65040,795
신대방제1동新大方第1洞0.6210,07328,931
신대방제2동新大方第2洞1.038,39021,431
합계16.35169,293416,268




5. 인구

1980년 동작구의 인구는 392,719명이었다. 이후 1985년에는 405,779명으로 증가하였으나, 1990년에는 403,647명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1995년에는 422,267명으로 다시 증가하였으나, 2000년 400,351명, 2005년 407,644명, 2010년 390,197명으로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5년에는 407,894명이 되었다.

연도총인구
1980년392,719명
1985년405,779명
1990년403,647명
1995년422,267명
2000년400,351명
2005년407,644명
2010년390,197명
2015년407,894명


6. 문화

동작구는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역사적인 명소와 현대적인 시설이 공존하는 곳이다. 국립서울현충원사육신공원은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장소이며, 노량진 학원가와 노량진수산시장은 활기찬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국립현충원


사육신 역사관


노량진 수산시장


동작구의 주요 명소와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18]

구분내용
명소국립서울현충원, 사육신공원, 노량진 학원가, 노량진수산시장
문화재용양봉저정(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호), 사육신묘(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8호), 양녕대군이제묘역(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호), 창빈안씨묘역(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4호), 동래정씨임당공파묘역(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1호), 수죽정공신도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2호), 제곡정공신도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3호), 효간공이정영묘역(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4호), 조석견과완성군이귀정묘역(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7호), 부안군이석수묘역(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29호), 대방동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등록문화재 제13호)


6. 1. 명소



1955년 7월 15일 동작구 현충로 210 (동작동 214)에 설치된 국방부 소속의 국립 묘역이다.[18] 조경이 잘 정비되어 있다.

단종 복위에 힘쓰다 목숨을 잃은 사육신을 모신 곳이다.[18]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김문기가 안장되어 있다. 원래 이곳에는 박팽년, 성삼문, 유응부, 이개의 묘가 있었고, 하위지, 유성원, 김문기의 가묘를 새로 조성하였다.

  • '''노량진 학원가'''


1980년 이후 입시학원들이 이전해 오면서 형성되었다.[18] 최근에는 공무원, 경찰, 소방 등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포함하여 5만여 명이 모이는 대단위 상업지구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류 도소매 직판장이자 수산물 전문 도매시장이다.[18] 1927년 서울역 부근 의주로에서 '경성수산'으로 시작하여, 1971년 한국냉장이 현재 위치(동작구 노량진동)에 도매시장을 건설하였다. 2002년 수산업협동조합이 시장을 인수하여 현재에 이른다.

6. 2. 문화재

7. 교육 기관

동작구는 중앙대학교, 숭실대학교, 총신대학교 등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3개의 사립 대학과 함께 100여 개의 학원가가 밀집해 있는 교육의 요람으로 자리잡고 있다.[18] 특히, 노량진역 부근의 노량진동은 수능과 공무원 시험을 위한 사설 학원(학원)들로 유명하다.

'''대학교'''



'''고등학교'''

학교명
경문고등학교
동작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숭의여자고등학교
영등포고등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
영등포고등학교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

학교명
광성해맑음학교
서울삼성학교



'''평생교육'''


8. 교통

한강철교한강대교


이 지역에는 1900년 건립된 한강의 첫 교량인 한강철교1917년 건립된 한강의 첫 도로교량인 한강대교, 1899년 개통된 대한민국 첫 공식 철도 노선 경인선노량진역이 있다.

9. 자매 도시


  • Surrey|써리영어, 캐나다[6]
  • 平谷区|핑구 구중국어, 중국
  • 敦化|둔화중국어, 길림성, 중국
  • 田原市|다하라시일본어, 일본[5]
  • Баянзүрх дүүрэг|바얀주르흐 구mn, 몽골[6]

10. 역대 구청장

동작구청장 문서와 동작구청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strict – area https://web.archive.[...] Dongjak District 2015-01-06
[2] 웹사이트 Popul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Sex and Age / Alien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Sex http://kosis.kr/abro[...]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rean) 2010-06-02
[3] 웹사이트 동작구 (Dongjak District 銅雀區)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7
[4] 웹사이트 BERGEN COUNTY WELCOMES DELEGATES FROM DONGJAK-GU, CELEBRATES KOREAN AMERICAN DAY https://paramuspost.[...] 2024-02-12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s://web.archive.[...]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2015-11-21
[6]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dongjak.[...] Dongjak District 2019-10-24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8] 일반
[9]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웹사이트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 동작구 https://terms.naver.[...]
[12] 법률 대통령령 6548호
[13] 법률 대통령령 제9630호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1979-09-26
[14] 설명
[15] 법률 대통령령 제1244호 지방자치법시행령개정령 1988-05-07
[16] 법률 구조례 제835호 동주민센터 설치조례 2007-12-20
[17] 법률 구조례 제860호 동주민센터 설치조례 2008-07-30
[18] 간행물 동작이야기 동작구 2009-05
[19] 서적 제28회 동작통계연보 (2013) 동작구청 20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