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크 지역 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크 지역 교통(YRT)은 2001년 설립된 요크 지역의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버스, 수요 응답형 교통(On-Request), 보조교통(Mobility On-Request) 서비스를 제공한다. YRT는 2001년, 여러 대중교통 기관의 통합으로 출범했으며, 현재는 시내버스, 비바(Viva) BRT, 급행 버스, 통학 버스 등을 운영한다. 요금은 단일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프레스토 카드, 신용/직불 카드, 현금 등으로 결제할 수 있다. YRT는 요크 지방자치구 의회의 지휘를 받으며, 버스 운행은 민간 업체에 위탁한다. 안전을 위해 CCTV, 검표원, 전임경찰 제도를 운영하며, 미래 계획으로 노선 개편, 요금 및 서비스 통합, 급행 노선 신설 등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크 지역 교통 - 비바 (간선 급행 버스)
    비바는 여러 도시에서 운영되는 간선 급행 버스 시스템으로, 교통 체증 완화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현재 광역 토론토 지역에서 래피드웨이 시스템을 통해 운행 속도를 향상시키고 친환경 버스 도입 및 네트워크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요크 지역 교통 - 리치먼드힐 센터 터미널
    리치먼드힐 센터 터미널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리치먼드힐에 위치한 주요 교통 허브로, GO 트랜싯과 요크 지역 교통 버스 노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미래에는 지하철역과 통합될 예정이다.
  • 온타리오주의 교통 - 프레스토 카드
    프레스토 카드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대중교통에서 사용되는 전자 요금 지불 시스템으로, 1998년 개발을 시작하여 여러 기술적 문제와 비판을 받았지만, 모바일 앱 출시 및 구글/애플 월렛 연동을 통해 사용 편의성을 개선했다.
  • 온타리오주의 교통 - 런던 국제공항
    1929년 개항한 런던 국제공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에 위치하며, 2차 대전 중 공군 기지로 사용되었고, 활주로 확장과 터미널 개축을 거쳐 현재는 국내외 항공 노선과 연례 에어쇼가 열리는 공항이다.
  • 캐나다의 교통 - 토론토
    토론토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위치한 다문화 도시이자 경제 중심지로, "물 속에 나무가 서 있는 곳"을 의미하는 모호크어에서 유래했으며, 급속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북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 캐나다의 교통 - 토론토의 시내버스
    토론토의 시내버스는 1849년 윌리엄스 오토버스 버스 노선으로 시작되어 현재 토론토 교통국에서 6가지 유형의 다양한 버스 노선과 디젤, 하이브리드 전기, 전기 버스 등 다양한 차량을 운영하며, 2040년까지 배출가스 없는 버스 차량으로 전환을 목표하고 버스 우선 차로를 설치하여 운행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요크 지역 교통
일반 정보
요크 지역 교통 로고
요크 지역 교통 로고
슬로건요크, 연결되다.
설립일2001년
본사 위치온타리오주 리치먼드힐, 50 High Tech Road
운행 지역요크 지방자치구 (일부 노선은 토론토와 브램턴으로 운행)
서비스 유형버스 운송, 간선 급행 버스
협력 기관토론토 교통 공사
브램턴 교통
노선 수YRT 116개, 비바 6개, TTC 외주 5개
정류장 수4,324개
터미널 수8개
차량 보유대수YRT 버스 406대
비바 간선 급행 버스 123대
모빌리티 플러스 차량 97대
일일 승객 수71,200명 (2024년 1분기)
연간 승객 수21,523,800명 (2023년)
연료 종류디젤
웹사이트yrt.ca
운영
운영자운영 참고
총괄 관리자앤-마리 캐럴
추가 정보
파이오니아 빌리지 역의 YRT 버스
리치먼드힐 센터 터미널을 지나고 있는 YRT 1번 버스

2. 역사

2001년 요크 지역 교통(YRT)이 출범하기 전까지 요크 지역(1971년 이전의 요크 카운티)의 대중교통은 여러 운송 사업자들이 담당했다. 도시화된 지역에서는 경계를 넘나드는 운행도 이루어졌다. 경계 간 운행은 대부분 GO 트랜짓이 담당하거나, 현재 토론토 교통국(TTC)과 계약을 맺고 토론토 북부로 운행하는 노선들이었다. 이 노선들 중 일부는 YRT 노선으로 대체되거나 취소되었다. 그레이 코치는 중거리 통근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

1970년대 이전에는 여러 민간 및 공공 대중교통 사업자들이 요크 지역 지역 사회 주변에 지역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했다.[7][3] 이러한 서비스는 이후 지방 자치 단체에서 관리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대체되었으며, 이전 사업자들이 새로운 시스템을 계속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1970년대 요크 지역의 각 지자체들은 대중교통 시스템을 갖추기 시작했다. 각 지자체별 설립 년도는 아래와 같다.

지자체설립 년도
마컴 교통1973년
리치몬드힐 교통1960년
본 교통1973년
뉴마켓 교통1970년대 초반
오로라 교통1973년


2. 1. 초기 역사 (18세기 후반 ~ 1970년대)

요크 지역의 대중교통 역사는 1788년 영국 왕당파들이 어퍼캐나다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33] 존 그레이브스 심코 부총독은 영 스트리트 건설을 지시하여, 토론토와 온타리오주 북부를 연결하는 기반을 마련했다.[35][36] 19세기 중반에는 역마차와 철도가 운행되었고, 19세기 말에는 노면전차와 같은 도시간 철도가 등장했다.[38][39]

1920년대 토론토 교통국(TTC)은 메트로폴리탄 철도를 인수하여 레이크심코선 열차를 운행했다.[41] 그러나 승객 수 저조로 우드브리지선은 1926년 운행을 중단했고, 이후 버스가 이 지역의 대중교통을 담당했다.[42][43] 1948년, TTC는 리치먼드힐까지 노스영 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다.[4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요크 카운티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TTC는 요크 카운티 타운십들과 계약을 맺고 대중교통을 운행했다.[47] 1954년 토론토 통합시가 발족하면서 TTC는 통합시 내 모든 대중교통을 담당하게 되었고, 스틸즈 애비뉴 북쪽 지역은 계약을 통해 계속 운행했다.[50][47]

1960년대 온타리오주 정부는 토론토 통합시 및 지역교통연구를 통해 도시 팽창 관리 방안을 조사했고, 그 결과 1967년 GO 트랜싯이 설립되었다.[53][54] 1971년 요크 지방자치구가 설립되면서 요크 지역의 광역자치단체가 되었다.[55]

GO 트랜싯은 1970년대 토론토시 내외 출퇴근자들의 광역 대중교통을 책임졌고, 1977년 노스영 버스를 TTC로부터 이관받았다.[57] 1978년에는 리치먼드힐선 통근열차를 개통했고, 1982년에는 배리선스토우빌선 열차 운행을 맡았다.[58][59]

1970년대부터 요크 지역의 지자체들은 독자적인 시내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뉴마켓과 오로라는 1948년부터 버스 회사를 운영했고, 1970년대 초반 준공영 형태로 전환했다.[60][61] 본, 마컴, 리치먼드힐도 1970년대에 각각 본 교통, 마컴 교통, 리치먼드힐 교통을 설립했다.[47]

1998년 8월 30일, 오로라 교통은 서비스를 재편하여 리치먼드 힐 교통 노선으로 통합되었다. 1999년 9월 4일, 오로라 교통은 운행을 종료하고 뉴마켓 교통으로 이관되었다.

2. 2. 요크 지역 교통 (YRT) 설립과 발전 (2001년 ~ 현재)

1973년 마컴 시를 대신하여 설립된 마컴 교통은 1984년 이후 트래블웨이스와 밀러 트랜짓 리미티드가 운영했다.[3] 1960년에 설립된 리치몬드힐 교통은 리치몬드힐 지역에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처음에는 Trailways of Canada Limited가, 1976년부터 Travelways가, 1980년대에는 Laidlaw가 운영했다. 본 교통은 1973년부터 YRT로 통합될 때까지 운영되었다.[9] 1970년대 초반에는 뉴마켓 교통이, 1973년에는 오로라 교통이 운행을 시작했다.[3]

1998년 8월 30일, 오로라 교통은 서비스를 재편하여 리치먼드 힐 교통에서 제공하는 마을 남부 지역을 운행하는 단일 노선으로 만들었다. 동시에 뉴마켓 교통 77/11 노선이 Bayview Avenue로 남쪽으로 연장되어 Bayview 쇼핑 센터에서 오로라 교통의 유일한 노선과 연결되었다. 오로라 교통은 1999년 9월 4일에 운행을 종료했으며, 이때 마을의 대중교통 서비스는 뉴마켓 교통으로 이전되었다.

급증하는 도시화로 인해 개별 시립 대중교통 기관의 운영이 비효율적으로 되자, 2001년 1월 1일 요크 지역 정부는 4개의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을 합병하여 요크 지역 교통(YRT)을 설립하였다.[3] 2005년에는 비바(Viva)가 개통되었다.

2006년 중반, YRT 로고는 Viva 로고와 더 유사하도록 수정되었고, 연말까지 대부분의 YRT 차량 및 버스 정류장 표지판은 새로운 색상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4분기 평일 평균 버스 이용객은 약 64,800명, 장애인 이동 지원 서비스인 MobilityPlus 이용객은 1,200명이었다.[2] 2016년 YRT 이용객은 2,280만 명으로 2015년 대비 1.4% 증가했다.[1]

3. 체계

요크 지역의 대중교통 서비스는 계약에 따라 민간 운영업체가 제공하며, 4개의 부서로 나뉜다.[12]

부서명관할 지역운영 업체계약 기간
버스 급행 시스템 (BRT) 부서비바 래피드 트랜짓 버스 노선TOK 교통2015년 ~ 현재
노스 디비전뉴마켓, 오로라, 킹 타운쉽, 이스트 귈림버리, 조지나TOK 교통2021년 4월 30일까지[12]
동남부 부서마컴, 리치먼드힐, 화이트처치-스토우빌밀러 트랜짓2023년 10월까지[12]
(이름 미상)(정보 없음)트랜스데브 캐나다2021년 8월 1일까지[12]



BRT 부서는 비바 래피드 트랜짓 버스 노선 6개를 운영하며, 196대의 버스 차고를 사용한다.[13]

3. 1. 시내버스

본, 리치먼드힐, 마컴은 별도의 시내버스 기관을 설립했지만, 토론토로 향하는 남북축 도로의 버스는 여전히 토론토 교통국(TTC)에 맡겼다. 이는 시내버스와 TTC 버스 간의 불편한 환승보다는 TTC 버스로 한 번에 토론토 지하철역까지 이어지는 것이 승객들에게 더 편리했기 때문이다. 1980년대에 TTC는 요크 지역으로 버스 노선을 연장했다. 예를 들어, 1980년 2월 18일 105번 윌슨하이츠 버스가 글렌쉴즈로,[63] 10월 14일에는 17번 버치마운트 버스가 데니슨으로,[64] 11월 22일에는 7번 배서스트 버스가 아놀드 애비뉴로 연장되었다.[65]

요크 지역에서 운행하는 TTC 버스는 버스 운영에 따른 적자를 해당 지역 지자체에서 보전해줬기 때문에 해당 지자체의 버스 노선이나 다름없었다.[47] 요금은 해당 지역 시내버스와 동일했고, 환승도 가능했다.[47] 토론토로 향하는 승객들은 승차할 때 시내버스 요금과 TTC 요금을 같이 지불했고, 돌아올 때는 하차할 때 시내버스 요금을 지불하고 앞문으로 내렸다.[47]

TTC가 토론토 지하철을 북쪽으로 연장하면서, 요크 지역에서 운행하는 일부 버스 노선은 2호선 블루어-댄포스 대신 토론토 북부 지하철역에 종착했다. 예를 들어, 41번 킬 버스의 요크 지역 구간은 107번 킬 노스 버스로 대체되어 킬역 대신 윌슨역에 종착했고,[73] 7번 배서스트 버스 또한 160번 배서스트 노스 버스로 대체되어 윌슨역에 종착했다.[74]

이후 요크 지역의 대중교통 기관이 TTC 계약 노선을 일부 맡기도 했다. 2010년 5월 7일, 25D번 돈밀스 버스가 운행을 중단하고 돈밀스역으로 운행하는 요크 지역 교통(YRT)의 90B번 버스로 대체되었다.[66]

1990년대 후반, 요크 지역 전체를 담당하는 하나의 대중교통 기관을 만들자는 목소리가 높아졌다.[47] 1990년 4월, 본 교통과 브램턴 교통이 핀치역에서 영, 센터, 7번 도로를 따라 브램턴까지 운행하는 77번 7번 도로 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고, 두 기관 버스로 무료 환승이 가능했다.[77] 1999년 8월 30일, 뉴마켓 교통이 오로라 교통을 통합했고,[60] 본, 리치먼드힐, 마컴 교통은 각 기관의 환승 표를 인정해주면서 요크 지역 남부는 사실상 하나의 대중교통 기관으로 통합되었다.[60]

2001년 2월 1일, 마컴, 뉴마켓, 리치먼드힐, 본 교통은 요크 지역 교통(YRT)으로 통합되었다.[60] 2003년, YRT는 핀치역에서 리치먼드힐까지 운행하는 99번 영 사우스 버스와 리치먼드힐에서 뉴마켓까지 운행하는 영 노스 버스를 운영하기 시작했다.[78] GO 트랜싯의 베이뷰 버스는 YRT의 91번 베이뷰 버스로 대체되었다. 뉴마켓 'B' 버스는 요크 지역이 영 스트리트에 비바라는 BRT 체계를 운행하면서 운행 빈도가 줄어들다가 2010년에 YRT에 완전히 흡수되었다.[56]

상위 지자체가 대중교통을 맡게 되면서 지자체 간 버스 운행이 수월해졌고, 버스 운행이 없던 지역에도 버스가 다니기 시작했다.[47] 기관 통합은 쉽지 않았지만, 2012년 2월 4일 TOK 교통과 새로 계약하면서 파업 문제가 해결되었다.[81]

요크 지역의 도로 혼잡이 심해지면서, 영 스트리트와 고속도로 7을 따라 비바라는 버스 급행 대중교통 시스템이 2005년 9월에 시작되었다. 비바는 고급 노바 버스(NovaBus) 및 반 훌(Van Hool) 버스 특별 차량을 사용한다.

일부 TTC 버스 노선은 요크 지역에서 YRT를 대신하여 운행하며, 승객들은 요크 지역에서 TTC 버스를 타고 토론토 시내에서 내리거나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2019년 8월 26일부터 승객들은 Presto 카드를 사용하여 YRT와 TTC 요금을 모두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23]

일부 YRT 노선은 토론토로 진입하지만, 토론토 시 규정으로 인해 승객은 토론토행 YRT 노선에 타거나 토론토에서 내릴 수 없다.

2017년 12월 17일, 1호선의 서쪽 연장선이 요크 지역까지 개통되면서 YRT는 TTC가 운영하던 4개의 노선을 볼에서 인수했다. 요금 통합 정책에 따라, 카드 결제 이용객은 2시간 이내에 토론토 내 YRT 및 TTC 지하철 또는 TTC 버스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YRT와 브램턴 교통의 협정에 따라, 50번 고속도로 동쪽에서 Züm Queen에 탑승하는 승객은 브램턴에서 하차하려는 경우에도 YRT 요금이 부과된다.

3. 2. 수요응답형 교통 (On-Request)

온 리퀘스트는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정해진 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대신 앱이나 홈페이지, 전화로 예약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승합차를 통해 이동하는 수요 응답형 교통 수단이다.[87] 교통약자들을 위한 모빌리티 온 리퀘스트와 달리 온 리퀘스트는 사전에 등록할 필요 없이 누구나 예약할 수 있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 승객은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2시 45분까지 요크 지역 내 출발지에서 5km 이내의 목적지까지 이용할 수 있다.[88] 온 리퀘스트는 YRT 일반 버스와 요금이 같다.[89]

3. 3. 보조교통 (Mobility On-Request)

모빌리티 온 리퀘스트(Mobility On-Request)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일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힘든 노약자, 장애인, 기타 교통약자를 위해 출발지에서 목적지 앞까지 데려다주는 보조교통으로, 다른 승객들과 합승해서 사전에 예약한 목적지까지 이동한다.[90] MOR을 이용하려면 사전에 등록해야 하며, 이용 자격이 있는 교통약자 승객은 모빌리티 온 리퀘스트 홈페이지나 전화번호를 통해 보조교통편을 요청할 수 있다.[91][92] 보조교통을 이용하는 데 동승자가 필요한 경우 동반 1인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YRT에서 무료로 발급하는 동반자 카드가 필요하다.[93]

4. 요금

요크 지역 교통(YRT)은 단일요금제로 운영되며, 하나의 요금으로 비바(VIVA), 일반 및 급행 시내버스, 수요응답형 온 리퀘스트 차량, 교통약자를 위한 모빌리티 온 리퀘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대중교통 요금은 현금 (캐나다 달러), 신용 및 직불카드, 프레스토 카드, YRT 페이 또는 트랜싯 앱 등 다양한 수단으로 결제할 수 있다.[94] GO 트랜싯을 포함한 광역 토론토 지역의 다른 교통기관과 무료로 환승할 수 있다.[94]

2024년 7월 1일 기준 YRT 요금은 다음과 같다.[16]

2024년 7월 1일 기준 YRT 요금
지불 수단어른청소년노인아동
프레스토 카드, YRT 페이, 트랜싯 앱4CAD3.1캐나다 달러2.45CAD
현금, 신용카드, 직불카드4.4캐나다 달러
GO 트랜싯 환승무료



요크 지역 교통은 2024년 1월부터 1개월권을 폐지하였다. 대신 월초부터 일회권 요금을 어른은 40회, 청소년은 39회, 노인과 아동은 28회를 프레스토 카드로 지불한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더이상 요금이 차감되지 않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95]

요크 지역 교통의 현금 요금은 캐나다 달러로 4.4캐나다 달러이고, 투입구에 정확한 액수의 동전을 집어넣어야 하고, 이보다 많은 액수를 넣었을 경우 거스름돈을 주지 않는다. 요크 지역 내 YRT, TTC, 브램턴 교통 등 다른 버스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버스 기사로부터 환승 표를 받을 수 있고, 스틸즈 애비뉴 남쪽으로는 토론토 교통국 요금이 필요하다.[96]

프레스토 카드는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은 물론 오타와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쓸 수 있는 교통카드이다. 프레스토 카드는 프레스토 카드 홈페이지나 프레스토 앱을 통해 주문할 수 있으며, 쇼퍼스 드러그 마트 지점이나 YRT 요금을 판매하는 대리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97] 프레스토 카드는 4CAD에 구매할 수 있고, 쇼퍼스나 대리점에서 구매하는 경우 최소 0.05CAD, 프레스토 카드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주문하는 경우 최소 10CAD부터 충전할 수 있다.[97] 카드 요금을 아동, 청소년, 노인으로 맞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쇼퍼스나 YRT 대리점에 직접 방문해야 하며, 해당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YRT 직원이 본인의 나이를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을 요구할 수 있다.[97]

구글 월렛이나 애플 지갑 등 전자지갑을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에서 이용하는 경우 프레스토 카드를 들고 다니는 대신 전자지갑에 프레스토 카드를 추가하여 결제할 수 있다.[98] 잔액 충전은 전자지갑 내 또는 프레스토 카드 앱을 통해서도 가능하며, 프레스토 카드와 같이 홈페이지, 쇼퍼스 드러그 마트 및 YRT 요금 대리점에서도 가능하다.[98]

비자, 마스터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교통카드와 대부분의 인터랙 직불카드는 물론 간편 결제 앱에 추가된 신용 및 직불카드를 통해 YRT 요금을 지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현금과 동일한 금액이 차감된다. 일반 버스나 온 리퀘스트, 모빌리티 온 리퀘스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승차할 때 차량 내부의 프레스토 단말기에 태그하여 결제할 수 있으며, 비바 버스의 경우에는 비바스테이션 정류장에 비치된 단말기에 태그하면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99]

요크 지역 교통은 iOS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길찾기 앱인 트랜싯(Transit) 앱에서 어른, 청소년, 아동, 노인용 일회권 티켓을 구매할 수 있도록 협연하고 있다. 요금은 프레스토 카드로 지불했을 때와 동일하며, 일회권을 구매한 뒤 활성화(Activate) 버튼을 눌러 타이머를 작동시켜야 버스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 앱을 통해 YRT의 다른 버스나 요크 지역 내 TTC 버스로 갈아탈 수 있지만, 스틸즈 애비뉴 남쪽으로 TTC 지하철과 버스는 물론, GO 트랜싯으로 무료 환승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무료로 환승하려면 프레스토 카드, 신용, 직불카드 및 전자지갑을 이용해야 한다.[100]

YRT 페이(YRT Pay)는 요크 지역 교통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요금 지불 앱으로, 트랜싯과 마찬가지로 iOS와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요금은 프레스토 카드로 지불했을 때와 동일하며, 일회권을 구매한 뒤 버스에 타기 직전에 활성화하여 타이머를 작동시켜야 버스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트랜싯 앱과 마찬가지로 이 앱을 통해 YRT의 다른 버스나 요크 지역 내 TTC 버스로 갈아탈 수 있지만, 토론토시 내의 TTC 노선과 GO 트랜싯으로 환승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무료로 환승하려면 프레스토 카드, 신용, 직불카드 및 전자지갑을 이용해야 한다.[101]

요크 지역에서 YRT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은 현금, 프레스토, 신용카드, 직불카드, 간편 결제 및 YRT 페이 또는 트랜싯 앱 내 모바일 티켓을 통해 YRT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프레스토, 신용카드, 직불카드, 간편 결제를 통해 YRT 요금을 지불한 경우 요금을 지불한 지 두 시간 내에 TTC, 브램턴 교통, GO 트랜싯으로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으며, GO 트랜싯으로 환승 시에는 GO 트랜싯 요금에서 YRT 요금의 차액이 차감된다.[102]

요크 지역에서 YRT, 브램턴 교통, TTC 버스를 현금으로 승차하는 경우 다음 버스로 갈아타기 위해 환승 표가 필요하다. 프레스토, 신용카드, 직불카드, 간편 결제는 첫 승차 태그에서 2시간 내에 다른 교통편에서 승차 태그를 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환승 처리된다. YRT 페이나 트랜싯 앱을 통해 환승하는 경우에는 2시간 타이머 이내에 다음 버스로 갈아타는 한 해당 티켓을 보여주면 환승으로 처리된다.[102]

YRT 승차 후 다음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때[102]
지불 수단YRT 버스TTC 버스 (요크 지역 이내)TTC 버스 및 지하철 (토론토시)브램턴 버스GO 트랜싯
현금
예
환승 표 제시 후 무료 환승
환승 표 제시 후 무료 환승
아니오
TTC 요금 별도 부과
환승 표 제시 후 무료 환승-- GO 트랜싯 요금 별도 부과
프레스토 카드 및 전자지갑--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환승 시 GO 트랜싯 요금과 YRT 요금의 차액만 지불
신용카드, 직불카드, 간편결제--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환승 시 GO 트랜싯 요금과 YRT 요금의 차액만 지불
YRT 페이 및 트랜싯 앱--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TTC 요금 별도 부과-- 2시간 내 무료 환승-- GO 트랜싯 요금 별도 부과



다음 교통 수단에서 YRT로 환승할 때[102]
지불 수단YRT 버스TTC 버스 (요크 지역 이내)TTC 버스 및 지하철 (토론토시)브램턴 버스GO 트랜싯
현금 요금 지불 시 발급받은 환승 표로 무료 환승 YRT 요금 지불 후 받는 3구역 환승 표 제시로 무료 환승-- YRT 요금 부과-- 환승 표 제시 후 무료 환승-- YRT 요금 별도 부과
프레스토 카드 및 전자지갑--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환승 시 GO 트랜싯 요금과 YRT 요금의 차액만 지불
신용카드, 직불카드, 간편결제--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환승 시 GO 트랜싯 요금과 YRT 요금의 차액만 지불
YRT 페이 및 트랜싯 앱-- 2시간 내 무료 환승-- 2시간 내 무료 환승N/A브램턴: 이용 불가
요크 지역 내 501번 버스: 이용 불가
요크 지역 내 일반 버스: -- 2시간 내 무료 환승
N/A
TTC 프레스토 티켓N/AN/A-- YRT 요금 별도 부과N/AN/A



요크 지방자치구는 요크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 중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해 1회 승차 요금을 50%씩 경감해주는 대중교통보조제도(Transit Assistance Program, TAP)를 실시하고 있다. 이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성인은 비상여행을 위한 캐나다-우크라이나 간 상호승인(CUAET)을 통해 요크 지역으로 이주한 우크라이나 국적자, 조지나섬 원주민 보호 구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캐나다에서 난민 자격을 인정받아 요크 지역에서 거주하는 자, 온타리오주에서 실업수당이나 장애수당을 통해 대중교통 할인을 받고 있지 않은 자, 또는 캐나다 통계청이 정하는 최저소득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저소득자이다.[103]

대중교통보조제도에 가입하고자 하는 자는 요크 지방자치구의 민원실 번호인 1-877-464-9675, 내선 번호 75581로 평일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직접 전화해야 한다. 전화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캐나다 국세청으로부터 소득 신고 후 발급받는 2023년 소득산정명세서(NOA), 캐나다 국세청에서 발행하는 캐나다아동수당(CCB) 영수증, 요크 지역 거주를 증명할 수 있는 공과금 영수증이나 운전면허증이 필요하고, 우크라이나인은 CUAET 서류만 필요하며, 조지나섬 원주민은 조지나섬 밴드(원주민보호구역 기관)에서 발행한 편지, 난민의 경우에는 캐나다 이민국에서 발행한 난민 자격 서류가 필요하다. 한국어나 다른 언어로 통역이 필요한 경우 직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대중교통 할인이 적용되는 프레스토 카드는 집 주소로 배송되며, 매년 민원실에 전화해 갱신해야 하고, 필요에 따라 소득산정명세서와 보유하고 있는 프레스토 카드 번호 17자리가 필요하다.[103]

5. 차량

YRT의 모든 일반 및 간선급행 버스 차량에는 다음 정거장을 알려주는 안내방송과 CCTV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버스 앞에는 자전거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차 내부는 에어컨이 가동되며 휠체어 승객도 이용할 수 있는 저상버스이다.[104]

현재 운행 중인 버스 중 가장 오래된 버스는 2005-2006년에 반호르에서 도입한 36인승 디젤 버스인 A330 기종으로, 기존에 비바 차량으로 쓰이던 버스를 일반 버스로 개조한 것이다.[104] 2005-2010년에 뉴플라이어에서 도입한 38인승 디젤 버스인 D40LF도 YRT에서 가장 오래된 기종 중 하나이다. 2011년, 뉴플라이어는 D40LF의 차세대 기종인 D40LFR을 출시했지만, 후미등과 후방을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다.[104] 뉴플라이어는 이후 D40LFR을 단종시키고 차세대 디젤 기종인 XD40을 선보여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차례로 도입하였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전기버스 기종인 XE40도 일부 도입하였다.[104] YRT는 2029년까지 전기버스를 순차적으로 도입해 버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계획이다.[105]

YRT가 노바버스를 도입하기 시작한 것은 2013년에 굴절버스인 LFS 알틱이 도입되면서부터이며,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56인승 버스로 비바 노선에 투입되고 있다. 이 기종은 2016년, 2019년, 2023년에 추가로 도입되었다.[104] YRT는 노바버스에서 일반 버스도 주문했는데, 38인승 LFS 기종은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전기버스인 LFSe 기종은 2020년에 시범 도입되었다.[104]

장애인, 노약자 및 교통약자를 위한 보조교통 차량은 두 종류이다. 하나는 쉐보레와 뉴플라이어 계열의 ARBOC에서 제작한 길이 약 8.23m의 프리덤 차량으로 2018년부터 2020년 사이에 순차적으로 도입되었고, 다른 하나는 과 크리에이티브 캐리지에서 제작한 CS-2 기종이다.[104]

2015년 노바버스 LFS #1502, 224B 우드바인 노선 운행 중


요크 지역 교통(YRT)은 123대의 비바(Viva) 버스 급행 수송 차량, 406대의 YRT 버스, 97대의 모빌리티 플러스(Mobility Plus)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초기 차량은 이전 요크 지역 운송업체의 버스로 구성되었지만, 이후 YRT가 구매한 차량으로 확장되었다.

YRT의 첫 번째 차량 도색(2001–2006)은 흰색 바탕에 파란색과 금색 줄무늬를 사용했다. 기관 초창기에는 많은 버스들이 이전 운영업체의 2000년 이전 도색을 유지했으며, 버스 전면과 측면에 "YRT"가 칠해져 있었다. 이 도색은 2007년에 흰색과 여러 톤의 파란색으로 변경되었다. 비바(Viva) 차량만 전체가 파란색이지만, 오리온 I YRT(Orion I YRT) #2028은 도색 시연을 위해 전체가 파란색으로 칠해졌다.[25] 두 번째 색상 테마로 전환되는 동안 일부 버스는 이전 "YRT" 표식이 남아 있는 채로 전체가 흰색이었다.

6. 거버넌스

요크 지방자치구 의회는 요크 지역의 하위 지자체인 마컴, , 리치먼드힐, 뉴마켓, 오로라, 이스트귈림버리, 조지나, 킹, 휘트처치스토우빌의 시장과 광역의원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의장은 22인의 의원 중 한 명을 호선해서 선정한다. 요크 지방자치구 의회는 요크 지역의 대중교통의 주요 방향과 정책, 예산 등을 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106] 요크 지역은 5년에 한 번씩 교통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앞으로 30년 동안 지역에 필요한 교통 기반시설의 건설 및 유지 보수 계획을 수립한다.[107]

요크 지역 교통의 일반 버스와 보조교통 운행 및 유지 보수는 지역별로 버스 업체에 위탁하며 대중교통 운행에 필요한 보조금을 지원해주는 준공영제를 채택하고 있다. 현재 마컴, 리치먼드힐, 본 일부 지역의 시내버스와 비바 노선 전체는 밀러 교통(Miller Transit)이 맡고 있고, 본과 킹, 뉴마켓, 오로라, 이스트귈림버리, 조지나 지역은 TOK 교통(TOK Transit)이 맡고 있다. 모빌리티 온 리퀘스트 보조교통은 세 업체에서 운영하는데, 휠체어 접근 교통(Wheelchair Accessible Transportation, WAT), 이동교통전문가(Mobility Transportation Specialist, MTS), 돌봄보조교통(Care Accessible Transportation)에서 운행하고 있다.[108]

이 외에도 요크 지방자치구에는 요크지역도시교통공사(York Region Rapid Transit Corporation, YRRTC)이라는 공기업이 있는데, 이 기관은 요크 지역의 비바와 같은 간선급행버스체계 뿐만 아니라 토론토 지하철 연장과 같은 도시철도 연장 사업을 논의하는 지역 산하 공기업이 있으며, 한 달에 한 번씩 이사회 회의가 열리며, 이사회 임원은 지방자치구 의회 위원들로 이루어져 있다.[109]

2024년 요크 지방자치구의 대중교통 예산은 총 3.06억달러로, 이 중에서 2.127억달러는 지방자치구에서 부과하는 세금과 대중교통 이용 요금을 통해 충당되고, 나머지 9330만달러는 주 정부나 연방 정부, 또는 다른 수입원을 통해 충당하고 있다. 대중교통 운행 비용은 2023년 2.895억달러에서 2026년 3.378억달러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이고, 지자체에서 부담하는 금액은 2023년 2.1590000000000003억달러에서 2024년 2.127억달러로 줄어들었다가 2026년에는 2.355억달러로 늘게 된다. 또한 대중교통 인프라 건설 및 주요 시설 유지 보수를 위한 주요 사업 예산도 10개년 주요사업계획에서 13.671억달러가 투입되는데, 이 중에서 2024년에는 6540.000000000001만달러가 투입된다. 10개년 예산에는 토론토 지하철 1호선 북부 연장 예산도 포함되어 있다.

2014년 12월 기준, 요크 지역 교통(YRT)의 임원진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의장웨인 에머슨 (요크 지역 의장)
부의장 (지역 의원)데이브 배로우
운영 임원
교통 서비스 담당관다니엘 코스토풀로스
총괄 매니저(GM)앤마리 캐롤
요크 지역 급행 교통 공사 부사장메리 프랜시스 터너


  • 앤마리 캐롤은 2014년 12월에 총괄 매니저(GM)가 되었으며, 2014년 초부터 2014년 12월까지 임시 GM을 역임했다.
  • 리차드 J. 리어리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GM을 역임했으며, 매사추세츠 베이 교통국 최고 운영 책임자였으며, YRT의 초대 수장인 도널드 고든(2001–2009)을 대체했다. 그는 2014년 초에 토론토 교통국으로 떠났다.

7. 안전 장치

YRT를 이용할 때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몇 가지 안전 장치와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YRT 고객센터 업무 시간 이내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고객센터 전화번호인 1-866-668-3978영어에 전화해 4번을 눌러 상담원과 연결할 수 있으며, 상담원은 신고 내용을 YRT 전임경찰에게 전달해준다. 고객센터 영업 시간은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이고,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에는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이다. 고객센터 영업 시간 외에는 캐나다의 응급 전화번호인 911에 전화하여 긴급상황을 알리면 필요에 따라 경찰, 소방,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한다.[110]

YRT 버스와 요크 지역 내에서 운행하는 TTC 버스에서는 오후 9시 이후에 버스를 이용할 경우 두 버스 정류장 사이에 원하는 지점에 정차할 수 있다. 두 정류장 사이에 정차를 원하는 승객은 버스 운전사에게 최소 한 정거장 이전에 요청해야 하며, 버스 운전사는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정차해줄 수 있고, 이 경우 안전을 위해 앞문으로 하차해야 한다. 이 제도는 버스전용차로를 따라 지정된 정류장에서만 정차하는 비바 버스는 해당되지 않는다.[110]

YRT의 모든 차량과 시설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으며, CCTV 영상은 따로 보관되지 않지만 경찰이나 YRT 직원이 사건 수사용으로 요청할 수 있다. CCTV 영상 자료는 전임경찰이 집행부장 지시 하에 획득할 수 있다.[110]

토론토 교통국과 마찬가지로 요크 지역 교통에도 대중교통 요금 지불을 확인하고 차량 내부와 YRT 시설 내 안전을 위해 검표원(Fare Media Inspector)과 전임경찰(Special Constable)이 있다. 검표원은 승객들이 YRT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궁금한 질문에 대답하고, 정당한 요금을 지불했는지 확인하고, YRT 시설을 순회하며, YRT 시설 내에서 모든 요크 지역 조례를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나 법원 출두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전임경찰 또한 검표원과 같은 권한을 가지지만, 요크 지역의 조례 뿐만 아니라 캐나다 형법과 YRT 시설 내에 적용되는 관련 연방 법을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111]

YRT 내에 적용되는 조례에 따르면, YRT 차량에 무임승차, 부정승차, 위조된 수단으로 승차하거나, 위험한 물건을 가지고 승차하거나, 전단지를 돌리거나, 쓰레기통이 아닌 곳에 오물을 투척하거나, YRT 기물을 파손하거나, 소란을 피우거나, 차량 및 시설 내에서 노상방뇨, 흡연, 음주를 하는 경우 125CAD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또한 YRT 차량 및 시설 내에서 옷이나 신발을 신지 않는 경우, 스케이트보드나 롤러스케이트 등을 타는 경우, 좌석에 발을 올리는 경우, 버스전용차로에서 차량을 운전하거나 도로를 막는 경우에도 125CAD가 부과된다.[112]

요금 검사원과 특별 경비대원은 승객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 그리고 비바 버스에서 사용되는 요금 지불 증명 시스템의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전체 YRT 대중교통 시스템을 순찰한다. 이들은 비바 버스에 무작위로 탑승하여 티켓, 환승권 및 Presto 카드의 적절한 사용을 확인한다. 하나의 요금을 지불하고 탑승할 수 있는 시간 제한이 있으며, 유효한 요금이 없는 승객 (차량 탑승 중 2시간 여행 시간 제한이 만료된 경우 포함)에게는 경고, 벌금 또는 형사 고발이 적용된다.

2006년, 요크 지역 교통(YRT)은 YRT (비바 및 모빌리티 플러스) 버스에 150대의 카메라 설치를 시작했다. 2008년 말까지, 시스템 차량에 210대의 카메라가 더 추가될 예정이었다.[26] CCTV 카메라는 또한 리치먼드힐에 있는 일부 비바 정류장에도 설치되어 있다.

8. 미래 계획

요크 지방자치구는 요크 지역의 교통총계획을 토대로 2021-2025년 YRT 5개년 사업계획을 수립하여 요크 지역의 미래 대중교통 계획을 세웠으며, 사업 계획에 포함된 7개의 항목은 다음과 같다.[113]

항목설명
노선 개편YRT는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인구 밀도의 지역을 운행하고 있는 만큼 노선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개편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기존의 구불구불한 노선보다는 일직선으로 원하는 목적지까지 더 빠르게 갈 수 있는 노선을 지향하면서 버스 노선도를 새로 짤 예정이다.
배차 간격 개선요크 지역 교통은 우선 주요 간선 노선을 주 6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최대 15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것을 목표로 이 주요 노선들을 빈번한 교통망(Frequent Transit Network)으로 지정하였고, 이 간선 노선의 배차를 점차적으로 늘리고 있다.
요금 및 서비스 통합요크 지역과 인근 지자체에서는 연간 100만 회가 넘는 대중교통 환승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 중 대부분은 요크 지역과 토론토를 오가는 편이다. 현재 YRT는 TTC와 협의하여 기존에 따로 내야 했던 요금을 단일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23년 2월 26일부터 프레스토,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로 요금을 결제하는 승객들은 YRT와 TTC 간의 무료 환승을 할 수 있고 요금도 출발 지점에서 한 번만 내면 된다.[114]
급행 노선 신설 및 개선YRT는 현재 6개의 급행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주로 주거 지역과 산업단지, 대중교통 환승센터 등을 고속도로와 버스전용차로를 통해 빠르게 잇는 노선이다. YRT는 기존 노선 외에도 클라인버그 / 나파밸리 급행, 27번 / 50번 도로 급행, 제인 급행, 마운트조이 급행, 메이플 노스 급행, 벨로어 급행 등 여섯 개의 급행 노선을 신설할 계획이다.
모빌리티 온 리퀘스트MOR은 요크 지역 내 인구밀도가 적은 곳에 대중교통을 보다 수월하게 운행할 수 있는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으로, 지역에 따라 특정 정류장 사이를 운행하거나, 아니면 원하는 주소까지 운행하는 서비스이다.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운행 비용은 버스를 운행하는 것보다 적게 들어갈 수 있지만 일인당 운행 비용은 버스보다 더 들어갈 수 있는 관계로 적절한 곳에 적시에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GO 트랜싯과의 연계 개선메트로링스는 기존에 운행하고 있는 GO 트랜싯의 배리, 스토우빌, 리치먼드힐선 선로를 개량하여 더 많은 열차를 운행하는 GO 확장(GO Expansion)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GO 트랜싯과 YRT 간의 환승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YRT는 GO 트랜싯의 통근열차 역과 버스 터미널로 연계되는 버스를 더욱 자주 운행한다는 계획이다.
도시철도 및 BRT 연장요크 지역은 앞으로 토론토 지하철 1호선 영-유니버시티의 영 스트리트 북부 연장을 앞두고 있고, 407번 고속도로를 따라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운행하는 방안도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Fast Facts https://www.yrt.ca/e[...] 2018-04-07
[2] 웹사이트 2016 Transit System Performance Update http://www.york.ca/w[...] 2018-04-07
[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PUBLIC TRANSIT IN YORK REGION https://transit.toro[...] 2024-06-30
[4] 웹사이트 Public Transportation: History of Yonge Street: Richmond Hill Public Library Digital Collections https://history.rhpl[...]
[5] 웹사이트 59 NORTH YONGE (1948-1977) https://transit.toro[...] 2024-06-30
[6] 웹사이트 GO Transit on Yonge 'C' and Bayview - Greater Toronto Area https://cptdb.ca/top[...] 2024-06-30
[7] 웹사이트 Transit History of Ontario Communities (S-Z) http://home.cc.umani[...] 2016-02-03
[8] 웹사이트 All-Time List of Canadian Transit Systems Ontario Communities (S – Z) https://home.cc.uman[...] University of Manitoba 2016-12-07
[9] 문서 Transit History...Vaughan http://home.cc.umani[...]
[10] 웹사이트 93 WOODBRIDGE (1925-1975) https://transit.toro[...] 2024-06-30
[11] 웹사이트 Toronto Suburban railway Company Time Table (1918) https://transittoron[...] 2024-06-30
[12] 웹사이트 Award of York Region Transit West-North Division Operations and Maintenance Contract https://yorkpublishi[...] 2020-10-31
[13] 웹사이트 Transit Operations and Maintenance Contracts http://www.vivanext.[...] York Region Transit 2020-10-31
[14] 뉴스 About Miller Transit – Miller Transit https://millertransi[...] 2018-03-31
[15] 웹사이트 Fare Capping Program https://www.yrt.ca/e[...] 2024-01-04
[16] 웹사이트 Fare Chart https://www.yrt.ca/e[...] 2024-07-01
[17] 웹사이트 PRESTO launching in York Region July 18 http://www.yrt.ca/ne[...] 2011-07-16
[18] 웹사이트 'Fare Policies – Fare Media Policies Transfers' https://www.yrt.ca/e[...] 2018-11-21
[19] 웹사이트 Transfers with TTC (One Fare Program) https://www.yrt.ca/e[...] 2024-05-14
[20] 웹사이트 Fare changes coming July 1 https://www.yrt.ca//[...] 2017-05-24
[21] 웹사이트 GO Transit's Local Transit Partners https://www.gotransi[...] 2024-01-04
[22] 웹사이트 Ride to GO https://www.yrt.ca/e[...] 2021-11-05
[23] 웹사이트 Beginning August 26, Pay with Presto on TTC in York Region https://www.yrt.ca/e[...] YRT 2019-08-09
[24] 웹사이트 A Subway to York University and Beyond: North of Finch http://transit.toron[...]
[25] 웹사이트 York Region Transit (YRT) – Includes former Markham Transit, Vaughan Transit, Richmond Hill Transit and Newmarket Transit http://meltingpot.fo[...]
[26] 문서 MyTransit Fall 2008
[27] 웹사이트 York Region bus drivers to strike Monday, GO bus strike averted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11-10-23
[28] 웹사이트 2 months of free YRT bus service offered after strike https://toronto.city[...] City News 2012-01-31
[29] 웹사이트 CUTA http://www.cutaactu.[...] 2016-02-03
[30] 웹사이트 York looks south for new transit boss http://www.thelibera[...] Metroland Media Group 2010-02-04
[31] 웹인용 Transit Ridership Report First Quarter 2024 https://www.apta.com[...] American Public Transportation Association 2024-07-06
[32] 웹인용 Transit Ridership Report Fourth Quarter 2023 https://www.apta.com[...] American Public Transportation Association 2024-07-06
[33] 웹인용 The Toronto Purchase Treaty, No. 13 (1805) https://mncfn.ca/the[...] 2024-07-20
[34] 학위논문 "'Toronto has no history!': Indigeneity, Settler Colonialism and Historical Memory in Canada's Largest City" https://tspace.libra[...] 토론토 대학교 2024-07-20
[35] 웹인용 Yonge Street - Governor Simcoe's Military Road https://www.thecanad[...] 2024-07-20
[36] 웹인용 History of King's Highway 11 https://www.thekings[...] 2024-07-20
[37] 웹인용 The Changing Shape of Ontario: The Evolution of the District and County System 1788-1899 https://www.archives[...] 2024-07-20
[38] 뉴스 Steamship, stagecoach traffic around Lake Simcoe always fierce, rarely comfortable (6 photos) https://www.barrieto[...] Barrie Today 2024-07-20
[39] 웹인용 A History of Interurban Service on Yonge Street https://transittoron[...] 2024-07-20
[40] 서적 York Township: An Historical Summary 1850-1954 Municipal Corporation of the Township of York, Board of Education of the Township of York 1954
[41] 웹인용 A Brief History of the TTC's Ex-Radial Cars https://transittoron[...] 2024-07-20
[42] 웹인용 Mapping Toronto's street railways in the TTC era (1921-2016) https://seanmarshall[...] 2024-07-20
[43] 웹인용 93 Woodbridge (1925-1975) https://transittoron[...] 2024-07-20
[44] 웹인용 59 North Yonge (1948-1977) https://transittoron[...] 2024-07-20
[45] 웹인용 The End of Yonge Street https://spacing.ca/t[...] 2024-07-20
[46] 웹인용 Post World War II Regional Municipal Governments https://www.archives[...] 2024-07-20
[47] 웹인용 A Brief History of Public Transit in York Region https://transittoron[...] 2024-07-20
[48] 웹인용 Roseland Bus Lines http://www.trainweb.[...] 2024-07-20
[49] 웹인용 Gray Coach Lines https://www.toronto.[...] 2024-07-20
[50] 웹인용 Canada's First Subway - Canada's First Subway Opens! https://www.toronto.[...] 2024-07-20
[51] 웹인용 41 Keele https://transittoron[...] 2024-07-20
[52] 웹인용 24 Victoria Park https://transittoron[...] 2024-07-20
[53] 웹인용 The Great Provincial Planning Endeavour https://neptis.org/p[...] 2024-07-20
[54] 서적 GO Transit: Government of Ontario Transit; a new approach to urban transportation 1968-04
[55] 뉴스 Regional Reform Timeline: How time has changed York Region https://www.yorkregi[...] Aurora Banner 2024-07-20
[56] 웹인용 50 Years of GO Transit Bus Operations https://transittoron[...] 2024-07-20
[57] 웹인용 59 North Yonge (1948-1977) https://transittoron[...] 2024-07-20
[58] 웹인용 GO Transit's Richmond Hill Line https://transittoron[...] 2024-07-20
[59] 웹인용 GO Transit's Barrie Line https://transittoron[...] 2024-07-20
[60] 웹인용 All-Time List of Canadian Transit Systems: Ontario Communities (S-Z) https://home.cc.uman[...] 2024-07-20
[61] 뉴스 Remembering a time when Newmarket's bus drivers knew your name https://www.newmarke[...] Newmarket Today 2024-07-20
[62] 웹인용 Eye on the prize: The real possibility of new transit revenue https://www.pembina.[...] 2024-07-20
[63] 웹인용 105 Wilson Heights (1978-2000) https://transittoron[...] 2024-07-20
[64] 웹인용 17 Birchmount https://transittoron[...] 2024-07-20
[65] 웹인용 7 Bathurst https://transittoron[...] 2024-07-20
[66] 웹인용 25 Don Mills https://transittoron[...] 2024-07-20
[67] 웹인용 129 McCowan North https://transittoron[...] 2024-07-20
[68] 웹인용 43 Kennedy https://transittoron[...] 2024-07-20
[69] 웹인용 35 Jane https://transittoron[...] 2024-07-20
[70] 웹인용 68 Warden https://transittoron[...] 2024-07-20
[71] 웹인용 96 Wilson https://transittoron[...] 2024-07-20
[72] 웹인용 128 Brimley North (1985-1999) https://transittoron[...] 2024-07-20
[73] 웹인용 107 Keele North (1978-2017) https://transittoron[...] 2024-07-20
[74] 웹인용 160 Bathurst North https://transittoron[...] 2024-07-20
[75] 웹인용 224 Victoria Park North (2002-2016) https://transittoron[...] 2024-07-20
[76] 웹인용 268 Warden North (2002-2004) https://transittoron[...] 2024-07-20
[77] 웹인용 York Region Transit route 77 'Highway 7' https://cptdb.ca/wik[...] 2024-07-20
[78] 웹인용 97 Yonge https://transittoron[...] 2024-07-20
[79] 웹인용 York Region's VIVA Network https://transittoron[...] 2024-07-20
[80] 뉴스 YRT bus drivers accept new contract offer, ending strike https://toronto.city[...] CityNews 2024-07-20
[81] 뉴스 York Region cancels contract with striking transit company https://toronto.ctvn[...] CTV News 2024-07-20
[82] 웹인용 Viva routes https://www.yrt.ca/e[...] 2024-07-21
[83] 웹인용 Viva System Map https://www.yrt.ca/e[...] 2024-07-21
[84] 웹인용 Service Schedules https://www.yrt.ca/e[...] 2024-07-21
[85] 웹인용 Express Routes https://www.yrt.ca/e[...] 2024-07-21
[86] 웹인용 School Routes https://www.yrt.ca/e[...] 2024-07-21
[87] 웹인용 On-Request https://www.yrt.ca/e[...] 2024-07-21
[88] 웹인용 65+ Service https://www.yrt.ca/e[...] 2024-07-21
[89] 웹인용 Newmarket-Aurora-Oak Ridges https://www.yrt.ca/e[...] 2024-07-21
[90] 웹인용 Mobility On-Request https://www.yrt.ca/e[...] 2024-07-21
[91] 웹인용 Registration and Eligibility https://www.yrt.ca/e[...] 2024-07-21
[92] 웹인용 Booking Your Trip https://www.yrt.ca/e[...] 2024-07-21
[93] 웹인용 Support Person Assistance Card https://www.yrt.ca/e[...] 2024-07-21
[94] 웹인용 Fare Chart https://www.yrt.ca/e[...] 2024-07-21
[95] 웹인용 Fare Capping Program https://www.yrt.ca/e[...] 2024-07-21
[96] 웹인용 Paying your fare https://www.yrt.ca/e[...] 2024-07-21
[97] 웹인용 PRESTO https://www.yrt.ca/e[...] 2024-07-21
[98] 웹인용 PRESTO Mobile Wallet https://www.yrt.ca/e[...] 2024-07-21
[99] 웹인용 Credit and Debit (PRESTO Contactless) https://www.yrt.ca/e[...] 2024-07-21
[100] 웹인용 Transit App https://www.yrt.ca/e[...] 2024-07-21
[101] 웹인용 YRT Pay App https://www.yrt.ca/e[...] 2024-07-21
[102] 웹인용 Proof of Payment and Transfers https://www.yrt.ca/e[...] 2024-07-21
[103] 웹인용 TAP: Transit Assistance Program https://www.yrt.ca/e[...] 2024-08-06
[104] 웹인용 York Region Transit https://cptdb.ca/wik[...] 2024-07-21
[105] 웹인용 Electric Bus https://www.yrt.ca/e[...] 2024-07-26
[106] 웹인용 Council https://www.york.ca/[...] 요크 지방자치구 2024-07-26
[107] 웹인용 Transportation Master Plan https://www.york.ca/[...] 요크 지방자치구 2024-07-26
[108] 웹인용 Careers https://yrt.ca/en/ab[...] 요크 지역 교통 2024-07-26
[109] 웹인용 Governance https://www.vivanext[...] 요크지역도시철도공사 2024-07-26
[110] 웹인용 Safety and Security https://www.yrt.ca/e[...] 요크 지역 교통 2024-08-06
[111] 웹인용 Transit Enforcement and Security https://www.yrt.ca/e[...] 요크 지역 교통 2024-08-06
[112] 웹인용 The Regional Municipality of York Bylaw No. 2017-7 https://www.yrt.ca/e[...] 요크 지방자치구 2024-08-06
[113] 웹인용 Moving to 2025: YRT 2021-2025 Business Plan https://online.flipp[...] 요크 지역 교통 2024-08-10
[114] 웹인용 Ontario's One Fare Program https://www.ttc.ca/r[...] 토론토 교통국 2024-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