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페터 에커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페터 에커만은 독일의 작가이자 문학 비평가로, 특히 『괴테와의 대화』(Gespräche mit Goethe)를 저술하여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한 후, 괴테와의 만남을 통해 그의 비서이자 조력자가 되었다. 에커만은 괴테의 유고 작품집 출판을 맡았으며, 프리드리히 빌헬름 리머와 함께 괴테 전집을 편집했다. 그의 대표작인 『괴테와의 대화』는 괴테의 사상과 예술 세계를 기록한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읽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침철석
침철석은 삼산화철 수산화물 광물로, 녹과 늪철광석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다른 철 함유 광물의 풍화 작용으로 형성되어 토양, 철광석, 오커 안료, 보석 등으로 사용된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위치한 대학교로, 1914년 개교하여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기반인 사회연구소가 위치해 있으며, 법학, 경제학, 철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재단형 대학이다. - 독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빌헬름 뮐러
빌헬름 뮐러는 독일의 시인이자 학자로, 슈베르트 가곡 《겨울 나그네》와 《아름다운 물레방앗간의 아가씨》의 시를 쓴 것으로 유명하며, 현실의 고뇌와 좌절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독특한 시각으로 독일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하며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나폴레옹 전쟁 참전 군인 - 루트비히 1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1세는 1786년에 태어나 1868년에 사망한 바이에른의 국왕으로서, 옥토버페스트의 기원이 된 결혼을 하고, 신고전주의 건축과 예술을 후원했으나, 1848년 혁명으로 퇴위했다. - 1792년 출생 - 퍼시 비시 셸리
퍼시 비시 셸리는 급진적인 신념과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낭만주의 시대의 영국 시인이자 작가로서, 《서풍의 노래》, 《프로메테우스의 해방》, 《오지맨디아스》 등의 작품을 통해 낭만주의적 열정과 자유, 이상을 노래하며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792년 출생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요한 페터 에커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요한 페터 에커만은 빈젠 (루에) 하르부르크, 신성 로마 제국에서 미천한 부모에게서 태어나 가난과 궁핍 속에서 자랐다.[1]
나폴레옹 전쟁에 지원병으로 종군한 후, 하노버 육군성에서 비서로 일했다. 1817년 25세의 나이로 하노버의 김나지움에 다녔고, 이후 괴팅겐 대학교에서 1년간 법학을 공부했으나 1822년에 중퇴했다.[1]
1823년, 괴테에게 "시에 대한 기고 논문" (''Beiträge zur Poesie'')의 초고를 보내 괴테의 신임을 얻었다. 이후 바이마르로 이주하여 가정교사로 생활하며, 바이마르 대공의 아들을 지도했다. 1830년 괴테의 아들 아우구스트와 이탈리아를 여행했으나, 아우구스트는 로마에서 사망했다.[2] 1838년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평의원 직함을 받고 대공비의 사서가 되었다. 1854년 12월 3일 바이마르에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요한 페터 에커만은 1792년 9월 21일 신성 로마 제국 하노버 선제후국 (현 니더작센 주) 빈젠 (루에)에서 가난한 행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1]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업을 이어간 그는 나폴레옹 전쟁 (1813~1814년)에 자원병으로 참전했다.[1] 제대 후 하노버 전쟁부에서 비서로 일하다가 1817년 25세의 나이로 하노버의 김나지움에 입학했다.[1] 1821년에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나, 1년 만에 중퇴했다.[1]2. 2. 괴테와의 만남과 바이마르 시절
1823년, 에커만은 괴테에게 《시에 대한 기고》(''Beiträge zur Poesie'')의 원고를 보낸 것을 계기로 괴테와 알게 되었다.[1] 그는 곧 바이마르로 가서 개인 교사로 생계를 유지하며, 수년 동안 대공의 아들을 가르쳤다. 1830년에는 괴테의 아들 아우구스트와 함께 이탈리아를 여행했지만,[2] 아우구스트는 로마에서 사망했다.[2]2. 3. 말년
1838년 에커만은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의 궁정 고문관 직함을 받고 대공비의 사서로 임명되었다.[1] 괴테의 유고를 정리하고 출판하는 데 헌신했던 그는 1854년 12월 3일 바이마르에서 생을 마감했다.3. 저작
에커만은 그의 저서인 『괴테와의 대화(Gespräche mit Goethe)』(1836–1848)로 주로 기억된다. 괴테는 에커만에게 그의 『유고 작품집』(Nachgelassene Schriften, 1832–1833) 출판을 맡겼으며, 프리드리히 빌헬름 리머와 함께 괴테 전집 40권(1839–1840)의 공동 편집인이었다.
『괴테와의 대화(Gespräche mit Goethe)』(1권 및 2권 1836년, 3권 1848년)는 거의 모든 유럽 언어로 번역되었다. 에커만은 『괴테와의 대화』 외에도 『시론집』(Beiträge zur Poesie, 1823)과 시집(Gedichte, 1838)을 출판했다.[1]
3. 1. 『괴테와의 대화』
에커만의 대표작인 『괴테와의 대화(Gespräche mit Goethe)』(1836-1848)는 1823년부터 1832년 괴테가 사망할 때까지 약 9년간의 대화를 꼼꼼하게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괴테의 문학, 철학,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심오한 견해를 담고 있으며, 괴테의 인간적인 면모와 19세기 독일 지성계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괴테와의 대화』는 출간 즉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마가렛 풀러 판(보스턴, 1839년), 존 옥스엔포드 판(런던, 1850년) 등 영어 번역판이 있다.한국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번역자 | 출판사 | 출판 연도 | 기타 |
---|---|---|---|
카메오 에이시로 | 슌요도 | 1922-27년 | |
카메오 에이시로 | 이와나미 문고 | 1927년, 1951년(완역판) | Amazon Kindle판(우에즈마 준이치로 편, 현행 가나 표기로 개정) |
진보 코타로 | 개조사 | 1937년 | 일본사 (전 3권, 1948년), 카도카와 문고 (상하, 1965년) |
오쿠츠 히코시게 | 쵸지야 서점 | 1948-49년 | "괴테 전집 제59·60권", 구 가와데 문고 (전 4권, 1954-56년) |
오노 슌이치, 키쿠치 에이이치, 쿠니마츠 코지, 타카하시 요시타카 외 | 하쿠스이샤 | 1962-70년 | 비더만 형제 편, 후반부에 수록 (전 5권) |
야마시타 하지메 | 이와나미 문고 | 1968-69년 (2001년 와이드판), 2012년 개정판 | 현행판, 전자책 있음 |
미즈키 시게루 | 후타바 신서 | 2015년 | 『게게게의 괴테』, 이후 전자책 판: 후타바 문고 |
바리에티 아트웍스 | 이스트 프레스 | 2010년 | 기획·그림 / 만화로 독파 |
3. 2. 기타 저작
에커만은 『괴테와의 대화(Gespräche mit Goethe)』(1836–1848) 외에도 『시에 대한 기고』(Beiträge zur Poesie, 1823)와 시집 『Gedichte』(1838)를 출판했다.[1] 프리드리히 빌헬름 리머와 함께 괴테 전집(1839-1840)을 편집하는 데 참여하기도 했다.[1]4. 한국과의 관계
에커만의 『괴테와의 대화』는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번역 출간되어 한국 독자들에게 괴테를 이해하는 중요한 창구가 되었다. 일본어 번역으로는 카메오 에이시로 역, 슌요도 판(1922-27년), 이와나미 문고 판(1927년, 완역판 1951년), 진보 코타로 역, 카도카와 문고 판(1965년), 야마시타 하지메 역, 이와나미 문고 판(1968-69년, 개정판 2012년) 등이 있다.
특히, 만화가 미즈키 시게루는 『괴테와의 대화』를 애독했으며, 전쟁터에 가져갈 정도였다고 한다. 그는 『게게게의 괴테』(후타바 신서, 2015년)라는 작품을 통해 에커만과 괴테의 만남을 그리기도 했다. 이를 통해 에커만이 한국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oethe's Theory of Colours, Part II: Physical Colours, Eastlake's Note L
https://web.archive.[...]
2017-03-23
[2]
서적
『もう一人のゲーテ アウグストの旅日記』に詳しい。エッカーマン自身の書簡・手記も収録
法政大学出版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