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산원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산원자는 1325년 충숙왕과 조국장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고려의 왕자이다. 용산에서 태어나 이름에 용산이 붙었으며, 17세에 원나라에서 사망했다. 충혜왕, 공민왕 등과 이복 형제이며, 어머니는 원나라 황족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1년 사망 - 우즈베크 칸
    우즈베크 칸은 킵차크 칸국의 칸으로서 이슬람교를 국교로 приняття하고 국가 체제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모스크바 공국을 지지하여 루스 제후들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사라이를 정치·경제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 1341년 사망 - 쩐 헌종
    쩐 헌종은 쩐 왕조의 황제이며, 1329년 11세의 나이로 즉위했으나 실권은 아버지 명종이 쥐고 있었고, 개우라는 연호를 사용하다가 23세에 사망했다.
  • 1325년 출생 - 프란체스코 란디니
    프란체스코 란디니는 14세기 이탈리아 트레첸토 양식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오르간 연주자, 가수, 시인, 악기 제작자로, 맹인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음악가로 칭송받았으며, '란디니 종지'라는 독특한 종지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고 그의 세속 발라타 작품은 스콰르찰루피 사본에 상당수 보존되어 14세기 이탈리아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1325년 출생 - 최무선
    최무선은 고려 후기에 태어나 화약과 화포 개발에 힘썼으며 왜구 격퇴에 기여했고,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포를 제작하고 진포 해전에서 활약했으며, 그의 업적은 아들에게 이어졌다.
  • 서울 용산구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용산구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용산원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용산원자
이름 (한글)용산원자
이름 (한자)龍山元子
이름 (로마자 표기)Yongsan Wonja
별칭원자
아버지충숙왕
어머니조국장공주
출생1325년
출생지한양 용산
사망1341년
사망지원나라
국적고려
왕위 계승
작위원자 (왕자)
재위 기간1325년–1341년
즉위1325년
이전왕정
이후왕기
섭정충숙왕
섭정 유형군주
가문
왕가왕씨
친척원 순종(외증조부) 외
기타
미상

2. 생애

용산원자는 1325년(충숙왕 12년) 음력 8월 15일 충숙왕조국장공주가 한양 용산에 행차하였다가 낳은 아들이다. 원자의 는 출생지인 용산을 따서 용산원자(龍山元子)라고 하였다[7][8].

어머니 조국장공주는 용산원자를 낳은 해 음력 10월 20일, 용산의 행궁에서 18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9]

용산원자 역시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어머니의 나라인 원나라에서 17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이후 용산원자의 시신은 고려로 운구되어 장례를 치렀으며[8],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용산원자의 성은 왕, 본관은 개성 왕씨이며, 이름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6] 충혜왕, 공민왕 등과 이복 형제간이다.[6] 어머니 조국장공주는 원나라 황족 출신으로, 원 순종의 아들인 위왕 에무게의 딸이다.[6] 조국장공주는 1324년(충숙왕 11년)에 충숙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였다.[6]

용산원자의 선조[5]
1용산원자
2충숙왕 왕도(王燾)
3보르지긴 금동(Borjigin Geumdong)
4충선왕 왕원(王源)
5야속진(Yasokjin)
6보르지긴 아무가(Borjigin Amuga)
7
8충렬왕 왕거(王昛)
9보르지긴 홀도로 게리미실(Borjigin Holdoro Gerimisil)
12보르지긴 다르마발라(Borjigin Darmabala)
13곽씨(Concubine Gwak)


2. 1. 가계

용산원자의 성은 왕, 본관은 개성 왕씨이며, 이름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6] 충혜왕, 공민왕 등과 이복 형제간이다.[6] 어머니 조국장공주는 원나라 황족 출신으로, 원 순종의 아들인 위왕 에무게의 딸이다.[6] 조국장공주는 1324년(충숙왕 11년)에 충숙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혼인하였다.[6]

2. 2. 출생과 사망

용산원자는 1325년(충숙왕 12년) 음력 8월 15일 충숙왕조국장공주가 한양 용산에 행차하였다가 낳은 아들이다. 원자의 는 출생지인 용산을 따서 용산원자(龍山元子)라고 하였다[7][8].

어머니 조국장공주는 용산원자를 낳은 해 음력 10월 20일, 용산의 행궁에서 18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9]

용산원자 역시 1341년(충혜왕 복위 2년) 어머니의 나라인 원나라에서 17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이후 용산원자의 시신은 고려로 운구되어 장례를 치렀으며[8],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3. 가족 관계


  • 부왕: 충숙왕 (忠肅王, 1294년~1339년, 재위:1313년~1330년, 1332년~1339년)
  • 모후: 조국장공주 (曹國長公主, 1308년~1325년)

아버지 충숙왕(1294년~1339년, 재위:1313년~1330년, 1332년~1339년)과 어머니 조국장공주(1308년~1325년) 사이에서 태어났다.[5]

충숙왕과 조국장공주의 아들이며, 충혜왕, 공민왕 등의 이복 형제였다.

3. 1. 부모

아버지 충숙왕(1294년~1339년, 재위:1313년~1330년, 1332년~1339년)과 어머니 조국장공주(1308년~1325년) 사이에서 태어났다.[5]

3. 2. 형제

충숙왕과 조국장공주의 아들이며, 충혜왕, 공민왕 등의 이복 형제였다.

4. 선조

용산원자의 선조는 다음과 같다.[5]

1234567891213
용산원자충숙왕 왕도보르지긴 금동/보르지긴 금동bo충선왕 왕원야속진/야속진bo보르지긴 아무가충렬왕 왕거보르지긴 홀도로 게리미실/보르지긴 홀도로 게리미실bo보르지긴 다르마발라/보르지긴 다르마발라bo곽씨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 문서 《고려사》권35〈세가〉권35 - 충숙왕 12년 10월 - 공주가 죽다
[3]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4] 웹사이트 정방길 https://m.terms.nave[...] Naver 2021-08-29
[5] 서적 이야기 고려 왕조 실록 https://books.google[...] Cheongmoksan 2008
[6] 문서 《고려사》권89〈열전〉권1 - 조국장공주
[7] 문서 《고려사》권35〈세가〉권35 - 충숙왕 12년 8월 - 왕과 공주가 한양 용산의 언덕에서 묵다
[8]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용산원자
[9] 문서 《고려사》권35〈세가〉권35 - 충숙왕 12년 10월 - 공주가 죽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