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쩐 헌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 헌종은 쩐 왕조의 황제이다. 1319년에 명종과 영자원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1328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329년 명종이 상왕으로 물러나면서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했으나, 실권은 상왕이었던 아버지 명종이 쥐고 있었다. 헌종은 개우라는 연호를 사용했으며, 23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1년 사망 - 우즈베크 칸
    우즈베크 칸은 킵차크 칸국의 칸으로서 이슬람교를 국교로 приняття하고 국가 체제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모스크바 공국을 지지하여 루스 제후들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사라이를 정치·경제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 1341년 사망 - 용산원자
    고려 충숙왕과 원나라 황족 조국장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 용산원자는 1325년 용산에서 태어났으나 17세에 요절하였고 충혜왕, 공민왕 등과 이복 형제 관계이다.
  • 1319년 출생 - 장 2세 (프랑스)
    장 2세는 백년 전쟁 중 잉글랜드군에 포로로 잡혔으며, 브레티니 조약에 따른 몸값 지불을 거부하고 런던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국왕이다.
  • 1319년 출생 - 베르나보 비스콘티
    베르나보 비스콘티는 14세기 밀라노의 영주로, 폭압적인 정치와 잦은 전쟁으로 악명 높았으며 조카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에 의해 폐위되어 암살당했다.
  • 쩐 왕조의 황제 - 쩐 유종
    쩐 유종은 쩐 왕조의 제7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초기에는 섭정을 받았으나 친정 이후 사치와 향락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후사 없이 사망하여 왕조 계승에 혼란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쩐 왕조의 황제 - 쩐 예종 (9대)
    쩐 예종은 쩐 왕조의 제9대 황제로, 양일례를 폐위시키고 즉위하여 쩐 왕조 질서 회복을 시도했으나, 잦은 외침과 신하들의 배반, 호꾸이리의 득세로 쇠퇴를 가속화시키고 태상황으로 실권을 장악하며 쩐 왕조 멸망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쩐 헌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쩐 헌종 동상
쩐 헌종 동상
쩐브엉(Trần Vượng/陳旺)
다른 이름쩐녓푸(Trần Nhật Phụ/陳日㷆)
묘호헌종(Hiến Tông/憲宗)
시호없음
능호창안릉(Xương-an Tomb)
종교불교
출생과 사망
출생일1319년 5월 17일
출생지탕롱, 대월
사망일1341년 6월 11일
사망지대월
가족 관계
부친쩐 명종
모친황비 안뜨(Imperial Consort Anh Tư)
배우자황비 히엔찐(Imperial Consort Hiển Trinh)
자녀자녀 없음
재위 정보
왕조쩐 왕조
재위 기간1329년 – 1341년
즉위년도(음력)다이카인(大慶) 원년 음력 2월 15일 (1329년 3월 15일)
퇴위년도(음력)카이흐우(開佑) 13년 음력 6월 11일 (1341년 7월 24일)
연호카이흐우 (開祐, 1329–1341)
존호체원어극예성지효황제(Thể Nguyên Ngự Cực Duệ Thánh Chí Hiếu Hoàng Đế/體元御極睿聖至孝皇帝)
전임자쩐 명종
후임자쩐 유종
기타 정보
묘호 (사후)헌종(Hiến Tông)

2. 생애

1319년 6월 5일, 명종과 영자원비(英姿元妃) 사이에서 태어났다.[1] 1328년 동궁태자(東宮太子)로 봉해졌으며, 이듬해 1329년 2월 7일(3월 7일)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같은 해 2월 15일(3월 15일) 아버지 명종이 헌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으나, 실권은 태상황인 아버지 명종이 쥐고 있었다.

헌종은 쩐 왕조의 제5대 황제 쩐 명종의 장남이었으며, 헌종(쩐 브엉)의 출생은 조정에서 치열한 다툼을 일으켰다. 한쪽은 쩐 브엉을 명종의 후계자로 지지했고, 다른 쪽은 황태자는 반드시 왕비의 아들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다툼은 왕비의 아버지이자 저명한 장군이었던 쩐 꿕 쩐이 사망하면서 끝이 났다.

1341년 6월 11일(7월 24일), 23세(만 22세)의 나이로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하여, 재위 기간 동안 뚜렷한 업적은 거의 없다. 뒤를 이어 어린 동생인 황자 쩐하오가 제위에 올랐다.

2. 1. 어린 시절과 즉위

1319년 6월 5일, 명종과 영자원비(英姿元妃) 사이에서 태어났다.[1] 1328년 동궁태자(東宮太子)로 봉해졌으며, 이듬해 1329년 2월 7일(3월 7일)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같은 해 2월 15일(3월 15일) 아버지 명종이 헌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으나, 실권은 태상황인 아버지 명종이 쥐고 있었다.[3][5] 즉위 당시 헌종의 나이는 11세였다.

헌종은 쩐 왕조의 제5대 황제 쩐 명종의 장남으로, 당시 헌종(쩐 브엉)의 출생은 조정에서 두 세력 간의 치열한 다툼을 촉발시켰다. 한쪽은 쩐 브엉을 명종의 후계자로 지지했고, 다른 쪽은 황태자는 반드시 왕비의 아들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다툼은 왕비의 아버지이자 저명한 장군이었던 쩐 꿕 쩐이 사망하면서 끝이 났다.[2][3][4]

1341년 6월 11일(7월 24일), 23세(만 22세)의 나이로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하여, 재위 기간 동안 뚜렷한 업적은 거의 없다. 헌종의 뒤를 이어 어린 동생인 황자 쩐하오가 제위에 올랐다.

2. 2. 재위 기간

1328년 명종에 의해 동궁태자로 봉해졌으며, 이듬해 2월 7일(3월 7일)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329년 2월 15일(3월 15일), 아버지 명종이 헌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으나, 실권은 태상황인 아버지 명종이 쥐고 있었다.[1]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헌종은 총명하고 의로움으로 널리 알려졌다. 황제와 상왕이 함께 통치하던 시기 동안, 대월 사람들은 쩐 왕조 역사상 마지막으로 진정한 번영과 평화를 누리는 시기를 목격할 수 있었다.[1] 헌종은 유능한 조정의 지원을 받아 성공적인 통치를 이어갔지만, 쩐 녓유엣(1330),[1] 쩐 칵쭝(1330),[6] 도안 르 하이(라오스와의 전쟁에서 사망, 1335)[7] 및 쩐 칸즈(1339) 등 많은 중요하고 경험 많은 문관들의 사망과 같은 쇠퇴의 조짐에 직면해야 했다.[9]

아인종의 전례를 이어받아, 명종과 헌종은 원나라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참파의 증가하는 적대 행위에 대처하기 위해 남부와 서부 국경을 강화했다. 그러나 쩐 왕조 초기의 군사적 활동과는 대조적으로, 헌종 통치 기간 동안의 원정은 종종 실패를 경험했다. 1335년, 명종이 직접 지휘한 라오스 군에 대한 원정[8]은 패배했고 쩐 왕실은 전투 중에 익사한 도안 르 하이를 잃었다.[7]

헌종은 1341년 6월 11일(7월 24일) 향년 23세(만 세)의 나이로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하면서, 볼 만한 치적은 거의 없다.[1] 뒤를 이어서 어린 동생인 황자 쩐하오가 제위에 올랐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헌종은 개우(Khai Hựu, 開 佑, 번영)라는 단 하나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그의 전임자들과 달리 황제는 시호가 없었다.[1] 그의 타고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재위 기간 동안 헌종의 업적은 아버지인 상왕이 여전히 실권을 쥐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게 귀속시키기 어렵다.[9]

2. 3. 죽음

1341년 6월 11일(7월 24일) 헌종은 향년 23세(만 22세)의 나이로 아버지 명종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이로 인해 헌종은 볼 만한 치적이 거의 없다. 뒤를 이어서는 어린 동생인 황자 쩐하오가 제위에 올랐다.[1]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헌종은 총명하고 의로움으로 널리 알려졌다. 황제와 상왕(아버지 명종)이 함께 통치하던 시기 동안, 대월의 사람들은 쩐 왕조 역사상 마지막으로 진정한 번영과 평화를 누리는 시기를 목격할 수 있었다.[1] 헌종은 유능한 조정의 지원을 받아 성공적인 통치를 이어갔지만, 쩐 녓유엣(1330),[1] 쩐 칵쭝(1330),[6] 도안 르 하이(라오스와의 전쟁에서 사망, 1335)[7] 및 쩐 칸즈(1339) 등 많은 중요하고 경험 많은 문관들의 사망과 같은 쇠퇴의 조짐에 직면해야 했다.[9]

헌종은 음력 1341년 6월 2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후계자를 남기지 않았다. 따라서 명종은 그의 열 번째 아들인 쩐 하오를 즉위 시켰다.[9]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헌종은 개우(Khai Hựu, 開 佑, 번영)라는 단 하나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그의 전임자들과 달리 시호가 없었다.[1] 그의 타고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재위 기간 동안 헌종의 업적은 아버지인 상왕이 여전히 실권을 쥐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게 귀속시키기 어렵다.[9]

3. 평가

헌종의 재위 시 존호는 '''체원어극예성지효황제'''(體元御極睿聖至孝皇帝)이다. 묘호는 헌종(憲宗)이며, 능호는 '''안릉'''(安陵)이다.

4. 연호

헌종1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1329년1330년1331년1332년1333년1334년1335년1336년1337년1338년
간지기사경오신미임신계유갑술을해병자정축무인
연호개우 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헌종11년12년13년
서력1339년1340년1341년
간지기묘경진신사
연호11년12년13년



헌종은 재위 기간 동안 개우(開 佑, 번영)라는 단 하나의 연호를 사용하였다.[1]

5. 가족 관계

헌종은 쩐 다이 니엔의 후예 툭 공의 딸인 혜찐 황후(Đế Hiển Trinh)를 부인으로 두었다.[2]

5. 1. 부모


  • 부친 : 명종
  • 모친 : 명자황태비 여씨

5. 2. 후비

宸妃중국어 진씨(Trần Thị)는 쩐 헌종의 후궁으로, 혜숙왕(惠肅王)의 장녀이자 의성황후(儀聖皇后)의 언니였다. 혼인 전 호칭은 현정공주(顯貞公主)였다.[1] 쩐 헌종은 1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그녀는 쩐 다이 니엔의 후예 툭 공의 딸인 혜찐 황후(Đế Hiển Trinh)였다.[2]

6. 기년

헌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1329년1330년1331년1332년1333년1334년1335년1336년1337년1338년
간지기사경오신미임신계유갑술을해병자정축무인
연호개우 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헌종11년12년13년
서력1339년1340년1341년
간지기묘경진신사
연호11년12년13년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