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주 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센터는 기술 연구, 발사체 부품 생산, 발사체 발사, 궤도 조정 및 통제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시설이다.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우주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센터는 발사 시설, 연구 시설, 운용 관제 시설, 시험 시설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한민국에는 나로우주센터와 공군본부 우주센터가 있으며, 미국, 일본, 프랑스, 러시아, 중국, 이탈리아, 인도 등 여러 국가에서도 우주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센터 - 케네디 우주 센터
    케네디 우주 센터는 플로리다주 메릿 섬에 위치한 NASA의 주요 발사 시설이자 우주 기지로서, 아폴로 계획부터 아르테미스 계획까지 미국의 주요 우주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방문자 콤플렉스를 통해 일반인에게도 공개된 관광 명소이다.
  • 우주 센터 - 모하비 공항 및 우주항
    모하비 공항 및 우주항은 캘리포니아주 모하비에 위치한 공항이자 우주항으로, 해병대 훈련 기지로 사용된 후 민간 운영으로 전환되어 항공기 시험, 우주 산업 개발, 항공기 정비 및 보관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특히 민간 우주 개발의 중심지이자 "비행기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 센터

2. 활동

우주 센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다.

3. 나라별 우주센터

다음은 세계 각 나라별 우주센터의 목록이다.


  • '''알제리'''
  • 알제리 우주국
  • '''브라질'''
  • 알칸타라 우주 센터
  • 바헤이라 두 인페르노 발사 센터
  • 우주 작전 센터
  • '''벨기에'''
  • 리에주 우주 센터
  • 유로 우주 센터
  • '''캐나다'''
  • 존 H. 채프먼 우주 센터 (캐나다 우주국 본부)
  • 텔러스 과학관, 에드먼턴
  • '''독일'''
  • 유럽 우주 작전 센터
  • 독일 우주 작전 센터
  • 허블 유럽 우주국 정보 센터
  • 유럽 우주 비행사 센터
  • '''네덜란드'''
  • 유럽 우주 연구 및 기술 센터(European Space Research and Technology Centre)
  • '''노르웨이'''
  • 안되야 우주센터
  • 노르웨이 우주 센터
  • '''필리핀'''
  • 마부하이사트 수빅 우주 센터
  • 마부하이사트 삼보앙가 우주 센터[1]
  • '''파키스탄'''
  • 소나미아니 우주 기지
  • 위성 지상국(SUPARCO)
  • Tilla Satellite Launch Centre|틸라 위성 발사 센터영어 (펀자브주 제룸 지구): 발사 기지 시설
  • '''아랍에미리트'''
  • 모하메드 빈 라시드 우주 센터(Mohammed bin Rashid Space Centre)[2]
  • '''영국'''
  • 국립 우주 센터
  • 서리 우주 센터
  • 하웰 과학 및 혁신 캠퍼스
  • 조드렐 뱅크 천문대
  • '''스웨덴'''
  • 에스레인지 우주 센터
  • '''인도'''
  • Space Applications Centre|우주 응용 센터영어 (구자라트 주 아흐메다바드): 연구 시설
  • Vikram Sarabhai Space Centre|비크람 사라바이 우주 센터영어 (케랄라 주 티루바난타푸람): 연구 시설
  • '''이탈리아'''
  • 블로글리오 우주 센터(케냐 앞바다): 옛 발사 기지
  • '''카자흐스탄'''
  • Главны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космический центр имени Г. С. Титова|티토프 주 시험 및 우주 시스템 통제 센터ru (모스크바주 크라스노즈나멘스크): 운영 통제 시설
  • '''러시아'''
  • Babakin Space Centre|바바킨 우주 센터영어 (모스크바주 힘키): 연구 시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우주센터로는 나로우주센터가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해 있으며, 발사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공군본부 우주센터도 있다.

3. 2. 미국

케네디 우주 센터

  • 케네디 우주센터(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발사 기지 시설
  •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메릴랜드주 그린벨트): 연구 시설
  • 존슨 우주 센터(텍사스주 휴스턴): 운용 관제·우주 비행사 훈련 시설
  • 존 C. 스테니스 우주 센터(미시시피주 핸콕 군): 시험 시설
  • 마셜 우주 비행 센터(앨라배마주 헌츠빌): 연구 시설

3. 3. 일본

일본의 우주 센터는 다음과 같다.

위치시설 종류명칭
나가노현 사쿠시통신 시설우스다 우주 공간 관측소
가고시마현 기모쓰키군 기모쓰키정발사 시설우치노우라 우주 공간 관측소
미야기현 가쿠다시연구 시설가쿠다 우주 센터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발사 시설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도쿄도 조후시연구·시험 시설조후 항공 우주 센터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운용 관제·비행사 훈련 시설쓰쿠바 우주 센터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3. 4. 프랑스

기아나 우주 센터는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에 있는 발사 시설이다. 툴루즈 우주 센터는 오트가론주 툴루즈에 있는 연구 시설이며, 칸 만델리유 우주 센터는 알프마리팀주 칸 및 망들리에라나풀에 있는 제조 시설이다.

기아나 우주 센터

3. 5. 러시아

러시아는 다음과 같은 우주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이름위치설명
플레세츠크
카푸스틴야르
스바보드니
보스토치니
비행제어센터통제 업무만 담당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카자흐스탄 공화국 크즐오르다 주 튜라탐발사 기지 시설. 과거 구 소련에 의해 건설됨. 현재 러시아 연방이 임대하여 사용 중.
바바킨 우주 센터모스크바 주 힘키연구 시설
티토프 주 시험 및 우주 시스템 통제 센터모스크바 주 크라스노즈나멘스크운영 통제 시설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3. 6. 중국

3. 7. 이탈리아

루이지 브로글리오 우주센터 (케냐 위치)

살토 디 퀴라 발사장

브로글리오 우주 센터 (케냐 앞바다, 옛 발사 기지)

3. 8. 인도

인도는 다음과 같은 우주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위치시설명비고
구자라트 주 아흐메다바드Space Applications Centre영어연구 시설
안드라프라데시 주 스리하리코타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발사 기지
케랄라 주 티루바난타푸람Vikram Sarabhai Space Centre영어연구 시설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

3. 9. 그 외 국가


  • 에스란지 우주센터
  • 우메라 우주센터
  • 포트 처칠 발사장
  • 알칸타라 우주센터
  • 팔마힘 공군기지
  • 셈난 우주센터
  • 손미아니 우주센터
  • 알제리 우주국
  • 바헤이라 두 인페르노 발사 센터
  • 우주 작전 센터
  • 리에주 우주 센터
  • 유로 우주 센터
  • 존 H. 채프먼 우주 센터
  • 텔러스 과학관, 에드먼턴
  • 유럽 우주 작전 센터
  • 독일 우주 작전 센터
  • 허블 유럽 우주국 정보 센터
  • 유럽 우주 비행사 센터
  • 유럽 우주 연구 및 기술 센터
  • 안되야 우주센터
  • 노르웨이 우주 센터
  • 마부하이사트 수빅 우주 센터
  • 마부하이사트 삼보앙가 우주 센터[1]
  • 소나미아니 우주 기지
  • 위성 지상국(SUPARCO)
  • 모하메드 빈 라시드 우주 센터[2]
  • 국립 우주 센터
  • 서리 우주 센터
  • 하웰 과학 및 혁신 캠퍼스
  • 조드렐 뱅크 천문대
  • 유럽 우주 기술 연구 센터
  • John H. Chapman Space Centre|존 H. 채프먼 우주 센터영어

유럽 우주 운영 센터

  • 유럽 우주 운영 센터
  • 유럽 우주 비행사 센터
  • 허블 유럽 우주국 정보 센터
  • 안도야 우주 센터
  • Sonmiani|손미아니영어
  • Tilla Satellite Launch Centre|틸라 위성 발사 센터영어
  • Liège Space Center|리에주 우주 센터영어

참조

[1] 웹사이트 Mabuhay Satellite Corporation http://www.mabuhaysa[...] 2010-04-03
[2] 간행물 Mohammed bin Rashid Space Centre https://en.wikipedia[...] 2024-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