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요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요자』는 전국 시대의 병법서로, 저자 울요의 정체와 저술 시기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울요를 주나라 강태공에 비견될 정도로 높이 평가했지만, 명나라 이후 위서 논란이 있었으며, 1972년 은작산 한나라 무덤에서 사본이 발견되어 전국 시대 또는 진나라 시대에 저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손자병법, 오자병법, 맹자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자국의 이익을 위한 군사 행동을 비판하면서도 대의명분이 있는 싸움은 옹호한다. 상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군인의 규율을 강조하는 등 문민적 접근과 군사적 접근을 모두 옹호하며, 2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경칠서 - 손자병법
《손자병법》은 손무가 저술한 고대 중국의 군사 전략서로, 저자와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죽간손자병법 발견으로 손무 저술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으며, 13편으로 구성되어 전쟁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현대에도 전략적 원리를 제시하며 동서양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경칠서 - 사마법
사마법은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군사 사상을 담은 병법서로, 정의로운 전쟁을 옹호하고 군사와 문민의 역할 구분을 강조하며 후대 병법과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4세기 책 -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을 비판하고, 다양한 정치 체제를 분석하여, 중산층을 강화한 혼합정을 이상적인 헌법으로 제시하며 국가 번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기원전 4세기 책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 울요자 | |
|---|---|
| 개요 | |
![]() | |
| 제목 | 위료자 |
| 저자 | 위료 |
| 시대 | 전국시대 |
| 분야 | 군사 |
| 언어 | 고대 중국어 |
| 구성 | |
| 권수 | 5권 |
| 장수 | 24장 |
| 역사적 중요성 | |
| 중요성 | 무경칠서 중 하나 |
| 현대적 영향 | |
| 영향 | 현대 군사 전략에 영향 |
2. 역사와 저자
손자병법, 오자병법과 함께 옛날부터 평가가 높은 병법서였지만, 한편으로는 방효유(方孝儒)가 엄혹가폭(嚴酷苛暴)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저자인 울요의 정체와 생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고, 울요자가 전해지고 있는 판본의 경위가 판명되지 않아 명나라 이후에는 위서라는 주장이 있었다. 청나라의 요제항(姚際恒)은 울요자를 위서라고 판정했고, 요제항의 판단이 통설이 되었다.[3]
1972년 산둥성 임기현 은작산(銀雀山)의 전한 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병법서 뭉치에서 울요자의 사본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울요자는 전국시대부터 늦어도 진나라(秦) 시대에 걸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동시에,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병법서들 중에서 울요자와 동일한 내용의 문장이 발견됨에 따라, 후대에 문장이 첨가된 부분도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 울요자는 서문에서부터 울요(尉繚)가 집필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울요가 어떤 인물인지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아 여러 가지 설이 있어 판별하기 어렵다.[7]
일반적으로 울요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들이 제시되고 있다.[8]
- 제나라 사람으로 귀곡자의 문인이었다는 설.
- 위나라 사람으로 혜왕을 섬겼다는 설 (『울료자』 본문에 혜왕과 울료자의 대화가 등장한다).
- 위나라 사람으로 상앙의 학문을 배우고 진왕 정을 섬겨 대진 포위망을 깨는 계책을 상신했지만, 왕의 잔인함을 우려하여 떠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왕의 간청으로 그대로 진나라의 장군이 되었다는 설 (『사기』의 설).
이 중에서 내용이 구체적이고 상앙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일치하는 것은 세 번째 설이다. 그러나 이 설을 채택할 경우, 울요는 위의 혜왕보다 100년이나 늦은 사람이 되어 문장과 모순이 발생한다. 이러한 모순에 대해, 위의 혜왕과의 대화로 시작하는 『맹자』의 스타일을 모방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또한, 문장 속 전투 형태가 전국 시대 중기의 양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두 번째 설을 지지하는 의견도 있다. 두 번째 설과 세 번째 설을 동일 인물로 간주하는 것은 무리지만, 어떤 혈연 관계 등을 상정하는 견해도 있는 등, 울요의 실상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3. 내용과 사상
울요자는 이전의 병법서인 손자병법, 오자병법 외에도 맹자, 한비자, 상군서 등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있어, 후세 사람들이 위서라고 주장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반대로, 울요자가 그전의 선인들의 학설을 통합하여 더 나은 군사, 정치 이론을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냐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울요의 유파를 이어받은 문인이 내용을 덧붙였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5]
자국의 이익을 위해 군사 행동을 하는 것을 비판하면서도, 대의명분이 있는 싸움이라면 먼저 공격하는 것도 어쩔 수 없다고 보았다.
또한, 정치가 제대로 되고 백성들의 생활이 안정되지 않으면, 백성들을 군대에 동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또한, 상업의 역할을 비교적 높게 평가하여, 농업을 주로 하면서도 상업과 균형 있게 발전하는 것이 사람들의 교류를 통해 정보를 모으는 것으로 이어진다고 평가한다. 한편, 군인에게는 군사의 질을 높이고 효율적인 전투를 하기 위해 철저한 규율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4. 구성
尉繚子|울요자중국어는 전체 2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
각 권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 권 | 제목 |
|---|---|
| 1 | 천관 |
| 2 | 병담 (죽간본에 있음) |
| 3 | 제담 |
| 4 | 전위 |
| 5 | 공권 (죽간본에 있음) |
| 6 | 수권 (죽간본에 있음) |
| 7 | 십이릉 |
| 8 | 무의 |
| 9 | 장리 (죽간본에 있음) |
| 10 | 원관 (죽간본에 있음) |
| 11 | 치본 |
| 12 | 전권 |
| 13 | 중형령 |
| 14 | 오제령 |
| 15 | 분새령 |
| 16 | 속오령 |
| 17 | 경졸령 |
| 18 | 륵졸령 |
| 19 | 장령 |
| 20 | 종군령 |
| 21 | 병교상 |
| 22 | 병교하 |
| 23 | 병령상 (「수법등 12편」에 있음) |
| 24 | 병령하 (「수법등 12편」에 있음) |
참조
[1]
서적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2]
서적
Warfare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3]
문서
Zi
[4]
문서
Sawyer (1993) pp. 229–232
[5]
문서
Sawyer (1993) pp. 232–238
[6]
간행물
劉殿爵編「兵書四種(孫子、尉繚子、呉子、司馬法)逐字索引」
https://cir.nii.ac.j[...]
商務印書館
[7]
문서
歴史書によって29巻説と31巻説に分かれる上に現存は24巻構成である
[8]
문서
仮に「守法等12篇」あるいは「守法守令等13編」と呼ば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