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188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세훈은 평양 대동법률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통합 교섭을 벌이며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25년 소련에 의해 축출되었으며, 해방 후에는 독립촉성중앙협의회에서 이승만을 지지하고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과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서 활동하다가 1959년 국제간첩죄로 숙청되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자주연맹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민족자주연맹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자 - 노회찬
노회찬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동운동과 사회 개혁에 헌신했으나, 드루킹 사건 연루 의혹으로 특검 수사 중 투신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자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김성수 (언론인)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김성수 (언론인)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원세훈 (1887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원세훈 |
한자 표기 | 元世勳 |
출생 | 1887년 |
사망 | 1959년 12월 25일 |
정치 활동 | |
주요 경력 | 제헌 국회의원 제2대 국회의원 |
기타 활동 |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상임위원 겸 집행위원 |
숙청 | 1959년 국제 간첩죄로 숙청 |
2. 학력
3. 생애
(오른쪽 맨 끝이 원세훈, 앞줄 가운데가 김규식, 오른쪽은 김붕준과 안재홍
원세훈은 평안남도 평양에 있는 대동법률전문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19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대한국민의회 대표로 선정되어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통합 교섭을 벌였으며,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25년 소련에서 추방된 후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에서 활동했고, 1946년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 1949년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상무위원 등을 역임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북한으로 납북되어 1959년 사망했다.
3. 1.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 (1919년 ~ 1945년)
1919년,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던 대한국민의회의 대표로 선정되어 상하이로 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통합 교섭을 벌였다.[10] 이후 독립운동에 참가하였다.1925년 소련은 카라한(Lev. M. Karakhan) 외상을 일본 외무상 방택겸길(芳澤謙吉)에게 보내 일본과 밀약을 맺고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을 축출, 체포할 것을 협약하여 소련공산당의 지시대로 움직이지 않는 김규식, 조완구 등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을 축출했는데, 원세훈도 이때 소련정부로부터 강제로 축출되었다.[11] 이후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역임하였다.
1945년 10월 23일 열린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개최 대회에서 이승만에 대한 지지를 표하였다. 김구가 모스크바 삼상회의에 반발, 강력한 반탁운동을 추진하자 12월 30일 결성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2]
3. 2. 해방 후 정치 활동 (1945년 ~ 1950년)
1945년 10월 23일 열린 독립촉성중앙협의회 개최 대회에서 이승만에 대한 지지를 표하였다.[10] 김구가 모스크바 3상회의에 반발, 강력한 반탁운동을 추진하자 12월 30일 결성된 신탁통치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2] 1945년말 기업인 김연수가 한민당 사무총장 나용균의 집에 임시로 머무르고 있었던 그를 찾아와 경성방직을 잠시 맡아줄 것을 부탁하였으나, 원세훈은 그가 준 정치자금을 받지 않았다.[13] 일본 군국주의의 때가 묻어서였다고 한다.[13]1946년 2월 14일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 28인의 한사람으로 선출되었다.[14]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을 지냈다. 민족자주연맹위원으로도 활동했다. 1949년 8월 20일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15]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3. 3. 납북과 사망 (1950년 ~ 1959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북한으로 납북되었다.[16]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상임위원 겸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59년 국제간첩죄로 숙청되었고, 같은 해 12월 25일 평양에서 병사한 것으로 전해진다.[16]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순위 | 당락 | 비고 |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국회의원 | 2대 | 민족자주연맹 | 45.05% | 11,608표 | 1위 | 당선 | 초선 |
참조
[1]
간행물
평양룡성구역 '재북인사들의 묘' 를 가다 -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민족21》
2004-05-01
[2]
웹사이트
납북 제헌ㆍ2대 국회의원 현황
http://www.hani.co.k[...]
2000-12-21
[3]
서적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
한길사
2004
[4]
서적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
[5]
서적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6]
서적
한국현대사의 비극
선인
2003
[7]
서적
대한민국 임시정부 30년사
국학자료원
2006
[8]
서적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역비한국학연구총서 13)
역사비평사
2008
[9]
간행물
평양룡성구역 '재북인사들의 묘'를 가다 -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http://www.minjog21.[...]
《민족21》
2004-05-01
[10]
서적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
한길사
2004
[11]
서적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
[12]
서적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13]
서적
한국현대사의 비극
선인
2003
[14]
서적
대한민국 임시정부 30년사
국학자료원
2006
[15]
서적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역비한국학연구총서 13)
역사비평사
2008
[16]
웹인용
납북 제헌ㆍ2대 국회의원 현황
http://www.hani.co.k[...]
2000-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