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상국민회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상국민회의는 1946년 2월 1일 명동성당에서 결성된 단체로, 미소공동위원회의 신탁통치 논의에 대한 반대 운동의 일환으로 결성되었다. 이승만과 김구를 공동 회장으로 추대하고, 최고정무위원회를 구성하여 과도정부 수립을 위한 미군정의 자문기관인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으로 개편되었다. 1947년 2월에는 민족통일총본부, 대한독립촉성국민회와 통합하여 국민의회로 개칭되었다.

2. 역사

1946년 2월 13일 이승만·김구는 비상국민회의로부터 최고정무위원 선임권을 위임받아 28인의 최고정무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구분구성원
대한민국 임시정부이승만, 김구, 김규식, 조소앙, 조완구, 김붕준
신한민족당권동진, 김여식(金麗植), 최익환(崔益煥)
한국민주당원세훈, 백남훈, 김도연, 백관수, 김준연
국민당안재홍, 박용희(朴容羲), 이의식(李義植)
조선인민당여운형, 백상규(白象圭), 황진남(黃鎭南)
개신교함태영
천주교장면
불교김법린
유교김창숙, 정인보
천도교오세창
여성계황현숙(黃賢淑), 김선(金善)

[5]

비상국민회의는 최고정무위원회와 상임위원회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최고정무위원회가 1946년 2월 14일 과도정부 수립을 위한 미군정의 자문기관인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으로 개편되었다. 이승만이 의장에, 김구·김규식이 부의장에 추대되었다.[8][7] 이 개편으로 비상국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유명무실해졌다.[4]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결성 당일, 조선인민당여운형, 개신교함태영, 유교김창숙·정인보, 조소앙은 결석하였다.[8] 같은 날 조선인민당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탈퇴 성명을 발표하였다.[9] 임시정부의 우익 편향화를 이유로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비상국민회의)에서 탈퇴했던 세력들은 신탁통치 찬성 진영,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반대 진영, 그리고 좌익 진영인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참여하였다.[10]

1947년 2월 17일 비상국민회의 제2차 전국대의원대회에서 민족통일총본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비상국민회의를 통합하고 국민의회로 개칭하였다.[11] 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해체되지 않고 독자적인 활동을 계속하였다.

2. 1. 배경

대한민국 임시정부1945년 7월 26일 포츠담 선언이 발표되자 조선이 즉각적인 자주독립을 할 수 있도록 해당 선언을 개정할 것을 연합국 측에 요구하였다. 1945년 12월 28일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3상회의) 결과 미소공동위원회를 통해 미·소·영·중 4개국에 의한 5년간의 신탁통치를 협의하게 되었고, 1946년 1월 16일 미소공동위원회(미소공위) 예비회담이 개최되자 각 정당과 사회단체는 서둘러 반탁진영과 찬탁진영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때 임시정부 측은 즉각적인 자주독립을 원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펼쳤다. 한편으로는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자주적인 과도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개별 또는 몇몇 정당들과 합작하려 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그 다음 단계로 비상정치회의주비회를 개최하여 전국의 정당과 사회단체를 소집하였다.

1946년 1월 20일 오전 9시 시내 죽첨정 요인숙소에서 제1차 비상정치회의주비회가 개최되었다.[1]

1946년 1월 21일 비상정치회의주비회는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합류시켜 비상국민회의주비회로 개칭하고 이승만·김구를 공동회장으로 추대하였다.[2]

1946년 1월 23일 임시정부 측 혁신계인 조선민족혁명당김약산·성주식, 조선민족해방동맹김성숙 등 3명은 '임시정부가 중립을 지키지 않고 반탁에 가담해 우익 편향화하고 있다'면서 비상국민회의주비회 탈퇴성명을 하였으며,[3] 임시정부장건상임시정부와의 결별을 선언하였다. 또한 공산진영 산하단체도 모두 참가를 거부해왔으므로 비상국민회의주비회는 우익진영만의 집결체가 되었다.[4]

1946년 1월 30일 안재홍, 조소앙, 조완구, 김성수, 유동열, 김병로, 백관수, 김관식, 이운, 유림, 이학송, 엄항섭, 조경한으로 비상국민회의 상임위원회가 구성되었다.[5]

1946년 2월 1일 한국 가톨릭교회의 상징인 명동성당에서 '''비상국민회의'''를 결성하였다.[6]

2. 2. 비상국민회의 결성 (1946년 2월)

1945년 12월 28일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3상회의) 결과 미소공동위원회를 통해 미·소·영·중 4개국에 의한 5년간의 신탁통치를 협의하게 되자, 1946년 1월 16일 미소공동위원회(미소공위) 예비회담이 개최되면서 각 정당과 사회단체는 서둘러 반탁진영과 찬탁진영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 때 임시정부 측은 즉각적인 자주독립을 원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펼쳤다. 한편으론 임정을 중심으로 한 자주적 과도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여 비상정치회의주비회를 개최하여 전국의 정당과 사회단체를 소집하였다.[1]

1946년 1월 20일 제1차 비상정치회의주비회가 개최되었다.[1] 1월 21일 비상정치회의주비회는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합류시켜 비상국민회의주비회로 개칭하고 이승만·김구를 공동회장으로 추대하였다.[2]

1월 23일 임시정부 측 혁신계인 조선민족혁명당김약산·성주식, 조선민족해방동맹김성숙 등 3명은 '임시정부가 중립을 지키지 않고 반탁에 가담해 우익 편향화하고 있다'면서 비상국민회의주비회 탈퇴성명을 하였으며,[3] 임시정부장건상임시정부와의 결별을 고하였다. 또한 공산진영 산하단체도 모두 참가를 거부해왔으므로 비상국민회의주비회는 우익진영만의 집결체가 되었다.[4]

1월 30일 안재홍, 조소앙, 조완구, 김성수, 유동열, 김병로, 백관수, 김관식, 이운, 유림, 이학송, 엄항섭, 조경한으로 비상국민회의 상임위원회가 구성되었다.[5]

1946년 2월 1일 한국 가톨릭교회의 상징인 명동성당에서 '''비상국민회의'''가 결성되었다.[6]

2월 13일 이승만·김구는 비상국민회의로부터 최고정무위원 선임권을 위임 받아 28인으로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비상국민회의는 최고정무위원회와 상임위원회로 구성되었는데, 이 중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회가 1946년 2월 14일 과도정부 수립을 위한 미군정의 자문기관인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으로 개편되었다. 이승만이 의장에, 김구·김규식이 부의장에 추대되었다.[8][7] 이러한 개편에 따라 비상국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유명무실해졌다.[4]

2. 3.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으로 개편 (1946년 2월)

1946년 2월 13일 이승만·김구는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 선임권을 위임받아 28인의 최고정무위원을 구성하였다.[5]

1946년 2월 14일,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회는 과도정부 수립을 위한 미군정의 자문기관인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으로 개편되었다. 이승만은 의장에, 김구·김규식은 부의장에 추대되었다.[8][7] 이 개편으로 비상국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유명무실해졌다.[4]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결성 당일, 조선인민당여운형, 개신교함태영, 유교김창숙·정인보, 조소앙은 결석하였다.[8] 같은 날 조선인민당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탈퇴 성명을 발표하였다.[9] 임시정부의 우익 편향화를 이유로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비상국민회의)에서 탈퇴했던 세력들은 신탁통치 찬성 진영,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반대 진영, 그리고 좌익 진영인 민주주의민족전선에 참여하였다.[10]

2. 4. 국민의회로 개칭 (1947년 2월)

1947년 2월 17일 비상국민회의 제2차 전국대의원대회에서 민족통일총본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비상국민회의를 통합하고 국민의회로 개칭하였다.[11] 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해체되지 않고 독자적인 활동을 계속하였다.

참조

[1] 웹인용 비상정치회의주비회 개최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웹인용 비상정치회의주비회, 독촉을 합류시켜 비상국민회의주비회로 개칭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웹인용 조선민족혁명당과 조선민족해방동맹, 비상국민회의주비회 탈퇴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4] 웹인용 비상국민회의(非常國民會議)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웹인용 비상국민회의, 상임위원회를 설치하고 최고정무위원을 전형 발표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웹인용 비상국민회의 개막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7] 웹인용 민주의원 의장 이승만, 부의장 김구 연설문, 하지 성명서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8] 웹인용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결성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9] 웹인용 인민당, 민주의원 탈퇴성명 발표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0] 웹인용 민전 집행부 선거, 집행위원 선거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1] 웹인용 비상국민회의 제2차 전국대의원대회 개최 http://db.history.go[...]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2] 문서 의회는 아니나 인적 구성 상 전후의 것과 유사한 과도기적인 단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