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완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완구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정치인이다. 188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내무주사직을 사임하고 대한협회 활동을 시작했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동지사를 결성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의정원 의원, 내무부 차장, 내무부장 등을 역임했다. 광복 후에는 한국독립당 비서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신탁통치 반대 운동과 좌우합작위원회 활동에도 참여했다. 1948년 남북협상에 참여하였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1954년 사망했다.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풍양 조씨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풍양 조씨 - 조남풍
    조남풍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1야전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특수전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베트남 전쟁 참전, 공수특전부대 육성, 한국형 기갑무기 개발 등에 기여하고, 예편 후에는 동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국제 외교 및 안보 분야에서 활동했다.
  •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조완구
기본 정보
조만식 선생의 흉상
조만식 선생의 흉상
출생1883년 2월 1일 (음력 1882년 12월 24일)
사망1950년 10월 (추정)
본관배천 조씨
고당(古堂)
정치 경력
주요 이력조선물산장려회 발기인, 이사, 회장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당 당수
학력
최종 학력메이지 대학 법학부 졸업
종교
종교개신교
가족 관계
배우자김정애
자녀4남 1녀
관련 인물
관련 인물김구
이승만
김일성
오윤선
현준욱
장준하
백범 김구 선생 기념사업회

2. 생애

1919년 4월 임시의정원에서. 맨뒷줄 오른쪽


조완구는 1881년 한성부에서 태어나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관직을 사직하고 대한협회에서 구국 운동을 펼쳤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에는 해외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의정원 의원, 내무부 차장, 노동국 총판 등을 역임하며 임시정부의 주요 직책을 맡았다. 1925년 소련에서 추방된 후에도 중국에서 항일운동을 계속하였고, 1935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내무부장에 선출되었다. 1940년에는 한국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고 통수부 내무부장을 역임했으며, 1944년에는 임시정부 재무부장을 맡았다.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요인 귀국기념 사진.


1945년 해방 후 귀국하여 한국독립당 비서부장으로 활동하며 신탁통치 반대 운동에 참여했고,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 좌우합작위원회 위원 등 다양한 직책을 맡으며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1947년 반탁독립투쟁회 지도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48년 남북협상에도 참여했다. 김구 사망 후에는 한국독립당 위원장으로 추대되었으나, 당의 쇠퇴와 함께 정치적 활동이 줄어들었다. 1950년 한국전쟁 때 납북되어 1954년 사망하였고,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구국 운동 (1881년 ~ 1910년)

1881년 한성부 북부 양덕방(陽德坊) 계생동계(지금의 종로구 계동)에서 태어났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내무주사 직을 사직하였고, 이후 대한협회(大韓協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간도(間島) 용정(龍井)을 거쳐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동지사(同志社)를 결성하고 활동하였다.

2. 2. 해외 망명과 임시정부 활동 (1910년 ~ 1945년)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조완구는 간도(間島) 용정(龍井)을 거쳐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동지사(同志社)를 결성하고 활동하였다.[2]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하였고, 1921년에는 임시정부 내무부 차장을 맡았다. 1924년에는 소련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하였으며, 같은 해 임시정부 내무부 노동국 총판(勞動局總辦)을 역임하였다.

임정 요인들(뒷쪽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차이석, 김구, 조성환, 송병조
조완구, 이동녕, 이시영


1925년, 소련은 일본과 밀약을 맺고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을 축출, 체포하기 시작했다. 이때 조완구는 소련 정부로부터 다른 한인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강제로 축출되었다.[2]

1935년, 조완구는 광복전선 결성 당시 중국 난징(南京) 등지에서 전단과 표어 등을 살포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3]내무부장에 선출되었다.[4] 1936년에는 김구, 이시영과 함께 한국국민당 결성에 참여하였다.

1940년, 조완구는 다시 한번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내무부장에 선출되었고, 김구 등과 함께 한국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였다. 광복군 창설식에서 조완구는 한국독립당 대표로 참석하여 '군인의 사명의 중요성과 군사작전상 성공할 수 있는 신념을 강조'하는 축사를 발표하였다. 같은 해, 한국 광복군 통수부 내무부장을 역임하였고, 1944년에는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재무부장을 맡았다.

2. 3. 해방 이후 정치 활동과 납북 (1945년 ~ 1954년)

1945년 귀국하여 한국독립당 비서부장에 선임되었다.[5] 같은 해 오후 1시 경성방직으로부터 정치헌금 700만을 받았다. 경성방직은 건국대업에 써달라며 임시정부에 이 헌금을 제공했다.[5] 1946년에는 신탁통치 반대 운동에 참여하였다.

1946년 비상국민회의(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비상정치회의 주비회 통합체)에서 최고정무위원(총 28명)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 비상국민회의 재무위원회 위원장과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민주의원) 의원에도 선출되었다. 좌우합작위원회 위원,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으로도 활동했다.

1947년 경교장에서 열린 반탁독립투쟁회 결성에 참여하고 지도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남북협상에 참여하였다.

김구 사망 후 한독당 당위원장으로 추대되었지만, 한독당김구와 같이 사멸의 길로 들어섰다.[6] 조완구는 별다른 정치적 활동 없이 한미호텔 59호실에 칩거하며 병마와 싸우는 외로운 말년을 보냈다.[6]

1950년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으며, 1954년에 사망하였다.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3. 가계


  • 고조부: 조득영
  • 고조모: 연안 이씨 이문원(李文源)의 딸, 증 정경부인 이씨
  • 증조부: 조병현
  • 증조모: 대구 서씨 서정보(徐鼎輔)의 딸, 정경부인 서씨
  • 조부: 조봉하(趙鳳夏)
  • 조모: 완산 이씨 이회연(李晦淵)의 딸, 정부인 이씨
  • 부: 조동필(趙東弼)
  • 모: 안동 김씨 김인근(金寅根)의 딸, 정부인 김씨
  • 형: 조영구(趙寧九)
  • 제: 조종구(趙宗九)
  • 처: 풍산 홍씨 홍승목의 딸 홍정식(洪貞植, 1882년 - 1945년 2월)[7]
  • 아들: 조남규(趙南圭, 1898년생, 요절)
  • 장녀: 남편 풍천 임씨 임천상(任天相)
  • 차녀: 조규은(趙圭恩, 1911년 ~ 2004년 9월), 남편 경주 김씨 김봉식(金鳳植)

참조

[1] 뉴스 죽음의 歲月 (35)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62-05-09
[2] 서적 대한민국의 기원 일조각 2006
[3] 서적 선월 범우사 2007
[4] 서적 선월 범우사 2007
[5] 간행물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1993
[6] 서적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 인물과사상사 2004
[7] 뉴스 망명지사들 가족방문기(3) 苦難의 路程 終焉, 過去 33년 一口難說, 趙琬九씨 가족 風霜 http://db.history.go[...] 자유신문 1945-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