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웨일스 공녀 모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일스 공녀 모드는 1869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공주로, 에드워드 7세와 알렉산드라의 셋째 딸이다. 1896년 덴마크의 칼 왕자와 결혼하여 덴마크 공주가 되었으며, 1905년 노르웨이 국왕 호콘 7세가 된 남편과 함께 노르웨이 왕비가 되었다. 그녀는 노르웨이에서 왕비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자선 활동과 예술 후원에 힘썼다. 1938년 런던에서 사망했으며, 퀸 모드 랜드, 퀸 모드 산맥 등 여러 지명에 그녀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계 노르웨이인 - 올라프 5세
    올라프 5세는 1957년부터 1991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호콘 7세의 아들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르웨이 독립을 위해 헌신하고 스포츠에도 재능을 보였으며 국민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은 '국민의 국왕'이다.
  • 노르웨이의 왕비 - 마르그레테 1세
    마르그레테 1세는 14세기 말 칼마르 동맹을 성립시켜 스칸디나비아 3국을 통합한 덴마크 여왕이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섭정으로, 아들 올라프 2세 사후 에리크를 후계자로 삼아 3국의 왕으로 옹립하여 동맹을 통치하며 북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르웨이의 왕비 - 데지레 클라리
    프랑스 출신 데지레 클라리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약혼했으나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와 결혼하여 그의 스웨덴 국왕 즉위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왕비가 되었고, 그녀의 후손들은 현재 유럽 여러 왕실에 퍼져 있다.
웨일스 공녀 모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0년경 사진
칭호노르웨이 왕비
재위 기간1905년 11월 18일 – 1938년 11월 20일
대관식1906년 6월 22일
배우자호콘 7세 (1896년 7월 22일 결혼)
자녀올라프 5세
전체 이름모드 샬럿 메리 빅토리아
왕가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
아버지에드워드 7세
어머니알렉산드라 오브 덴마크
출생일1869년 11월 26일
출생 장소Marlborough House, 런던, 잉글랜드
사망일1938년 11월 20일
사망 장소Marylebone, London, 잉글랜드
매장일1938년 12월 8일
매장 장소Akershus Castle, Oslo, 노르웨이
서명
영어 이름
영어Maud of Wales
전체 영어 이름Maud Charlotte Mary Victoria
노르웨이어 이름
노르웨이어Maud av Storbritannia
전체 노르웨이어 이름Maud av Norge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앨리스 휴즈의 사진, 1895년경


모드는 1869년 11월 26일 런던 말보로 하우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당시 웨일스 공이었던 앨버트 에드워드(훗날 에드워드 7세)이고, 어머니는 웨일스 공녀 알렉산드라였다. 모드는 부모의 셋째 딸이자 다섯째 자녀였다. 1869년 12월 24일, 런던 주교 존 잭슨에게 "모드 샬롯 메리 빅토리아"(Maud Charlotte Mary Victoriaeng)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남자아이 같은 성격 때문에 왕족들 사이에서는 "해리"(Harryeng)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는 아버지 에드워드 7세의 친구이자 크림 전쟁에서의 공로로 유명했던 헨리 케펠 제독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었다.[1][2] 모드는 어린 시절 어머니 알렉산드라가 매년 고국 덴마크를 방문할 때 함께 갔으며, 어머니와 자매들과 노르웨이지중해로 크루즈 여행을 하기도 했다.

1885년에는 고모인 비아트리스 공주와 바텐베르크의 헨리 공자의 결혼식에서, 1893년에는 오빠 조지 5세와 메리 오브 테크의 결혼식에서 들러리를 섰다.[3][4]

1887년 8월 6일, 모드는 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언니 루이즈, 빅토리아와 함께 인도 제국 훈장을 받았다. 또한 빅토리아 앨버트 왕실 훈장(1등급)과 예루살렘 성 요한 기사단 훈장(Dame Grand Cross)도 받았다.

2. 1. 가족 관계

모드는 앨버트 에드워드 웨일스 공과 알렉산드라 웨일스 공녀의 셋째 딸이자 다섯째 자녀였다. 아버지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이었고, 어머니는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장녀였다. 형제자매로는 언니 루이즈, 빅토리아와 오빠 조지 등이 있었다.[4]

모드의 대부모는 다음과 같다:

  • 레오폴드 공자 (친삼촌)
  • 케임브리지 공작
  • 헤세카셀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공자
  • 테크 공 프란시스
  • 글라이헨 백작
  • 나사우 공작 부인
  • 스웨덴의 칼 15세
  • 라이닝겐의 마리 공주
  • 테크의 클로딘 공주
  • 러시아 차르 여제 (외숙모)
  • 덴마크의 루이즈 왕세자비
  • 이네버네스 공작 부인 (고조모)


1896년 6월 22일, 모드는 버킹엄 궁전 채플에서 사촌인 덴마크 왕자 칼과 결혼했다. 칼은 모드의 외삼촌인 덴마크 왕세자 프레데리크(후일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이었다. 신부의 아버지인 웨일스 공은 영국에 머무를 때 거처로 삼도록 샌드링엄 하우스를 모드에게 주었다. 이 저택에서 1903년 7월 모드와 칼의 외아들 알렉산더(후일 올라프 5세)가 태어났다.

3. 덴마크 공주 시절

모드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결혼했는데, 20대 후반이 되어서야 남편을 찾았다.[1] 그녀는 처음에 먼 친척인 테크의 프란시스 왕자와 결혼하고 싶어했다. 그는 메리의 남동생이었는데, 늘어나는 도박 빚으로 인해 비교적 가난했고 모드의 지위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녀의 접근을 무시했다.[2]

덴마크의 모드 공주, 1897년


1896년 7월 22일, 모드 공주는 첫 번째 사촌인 덴마크의 칼 왕자와 버킹엄 궁전의 개인 예배당에서 결혼했다. 칼 왕자는 모드의 어머니 알렉산드라 여왕의 맏오빠인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왕세자(훗날 프레데리크 8세)와 스웨덴의 루이즈 공주의 차남이었다. 신부의 아버지인 웨일스 공은 그녀가 영국에 머무를 때 거처로 삼도록 샌드링엄 영지에 있는 애플턴 하우스를 시골 별장으로 제공했다. 그곳에서 1903년 7월 2일, 부부의 외아들인 알렉산데르 왕자(훗날 노르웨이의 올라프 5세)가 태어났다.[5]

칼 왕자는 덴마크 왕립 해군 장교였고, 1905년까지 가족과 함께 주로 덴마크에서 살았다.

4. 노르웨이 왕비

1905년 7월, 노르웨이 의회(Storting)는 1세기 동안 이어져 온 스웨덴과의 동군 연합을 해소하고, 국민 투표를 거쳐 덴마크의 칼 왕자를 새로운 노르웨이 국왕으로 추대했다. 모드가 영국 왕실의 일원이라는 점은 칼 왕자가 노르웨이 국왕으로 선택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칼 왕자는 왕위를 수락하며 자신의 이름을 노르웨이식인 호콘 7세로, 아들 알렉산데르의 이름도 올라프로 바꾸었다. 1906년 6월 22일, 호콘 7세와 모드 왕비는 트론헤임의 니달로스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올리고 공식적으로 노르웨이 국왕 부부가 되었다.

4. 1. 왕비로서의 활동

모드 여왕은 새로운 나라와 왕비 배우자로서의 의무에 빠르게 적응했다. 궁정이 형성되었고, 마리 막달레나 루스타드가 그녀의 수석 시녀로 임명되었다. 모드는 궁정과 가족 내에서는 강력하고 지배적인 역할을 수행했지만, 대외적으로는 신중한 역할을 했다.[6]

노르웨이에서의 첫 몇 년 동안, 그녀와 남편은 노르웨이 민속 의상을 입고 스키와 같은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모습으로 사진을 찍어 대중들에게 노르웨이적인 인상을 심어주려 했다.[6] 그녀는 노출을 싫어했지만, 왕비로서의 역할을 매우 신중하게 수행했으며, 옷과 보석을 사용하여 위엄 있는 인상을 주었다. 그녀는 자선 사업, 특히 아동 및 동물 관련 사업을 지원했으며, 음악가와 예술가에게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그녀의 프로젝트 중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드로닝겐스 옐페코미테''(여왕 구호 위원회)가 있었다. 그녀는 급진적이라고 여겨졌던 미혼모를 위한 페미니스트 카티 앙케르 묄러의 집(1906)을 지원했고, 1921년 ''바르네테스 우트스틸링''(어린이 박람회)를 위해 가구를 디자인했으며, 자선 목적으로 사진을 판매했다.[6]

열렬한 승마 애호가였던 모드는 오슬로의 왕궁, 오슬로 마구간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드 여왕은 이 프로젝트의 많은 부분을 직접 감독했으며, 마구간이 확장될 때 런던의 로열 뮤스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7] 모드는 노르웨이에 도착한 후에도 영국을 진정한 고향으로 여겨 매년 방문했으며,[6] 주로 애플턴 하우스에 머물렀다.[8] 하지만 그녀는 노르웨이의 겨울 스포츠와 같은 일부 측면도 높이 평가했고, 아들 올라프를 노르웨이 사람으로 키우는 것을 지지했다. 그녀는 크로스컨트리 스키를 배웠고, 오슬로를 내려다보는 왕실 별장인 콩세테렌과 뷔그되이 왕실 영지의 여름 별장에 영국식 정원을 조성했다. 그녀는 대외적으로는 과묵하지만, 사적으로는 활기차고 익살스러운 취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6]

모드 여왕의 영국에서의 마지막 공식적인 등장은 1937년 5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린 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여왕의 대관식이었다.[8] 그녀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왕실 좌석에 시누이인 메리 여왕과 조카 메리, 프린세스 로열과 함께 앉아 공식 왕실 일원으로 참석했다.[9]

모드는 또한 유행을 선도하는 세련됨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녀의 우아한 옷장에서 수많은 품목을 전시하는 전시회가 2005년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에서 열렸고, 그 내용은 도록 ''스타일 앤 스플렌더: 노르웨이의 모드 여왕의 옷장 1896–1938''에 출판되었다.

5. 영국과의 관계

영국의 왕태자(웨일스 공) 에드워드 7세와 알렉산드라 오브 덴마크의 막내딸로 런던에서 태어났다. 1896년 6월 22일, 버킹엄 궁전 채플에서 사촌인 덴마크 왕자 칼(호콘 7세)과 결혼했다. 결혼 후 아버지 에드워드 왕태자는 모드에게 영국에 머물 때 거처로 삼도록 샌드링엄 하우스 내의 애플턴 하우스를 선물했다. 이곳에서 1903년 7월 모드와 칼의 외아들 알렉산더(올라프 5세)가 태어났다.

1905년 남편 칼이 노르웨이의 국왕 호콘 7세로 즉위하여 모드가 왕비가 된 후에도, 그녀는 고국 영국을 진정한 고향으로 여겼으며 매년 방문하여 애플턴 하우스에 머물렀다. 모드가 마지막으로 영국 대중 앞에 공식적으로 모습을 보인 것은 1937년 5월, 조카 조지 6세의 대관식 때였다. 그녀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메리 왕비 옆에 자리했다.

1938년 11월, 영국을 방문 중이던 모드는 런던에서 심장 수술을 받았으나 3일 후인 11월 20일 급사했다. 유해는 영국 군함에 실려 노르웨이로 돌아가 오슬로의 아케르스후스 요새 왕실 묘지에 안장되었다.

6. 죽음과 유산

모드는 1938년 10월 영국을 방문했다. 처음에는 샌드링엄에 머물렀으나, 이후 런던 웨스트 엔드에 있는 호텔로 옮겼다. 그곳에서 병이 나 런던 메릴본의 한 요양원으로 옮겨졌고, 1938년 11월 16일에 복부 수술을 받았다. 현대 정보에 따르면 당시 그녀는 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였다고 한다. 남편 호콘 7세 국왕은 소식을 듣고 즉시 노르웨이에서 런던으로 와 그녀의 곁을 지켰다.

수술은 성공적이었지만, 모드는 1938년 11월 20일 심부전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8] 그녀의 69번째 생일을 6일 앞둔 날이었으며, 어머니 알렉산드라 여왕의 13주기 기일이기도 했다. 당시 모드는 에드워드 7세 국왕과 알렉산드라 여왕 사이의 자녀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10][11] 노르웨이 신문들은 일요일 발행 금지 규정을 어기면서까지 그녀의 사망 소식을 국민들에게 알렸다.[12] 호콘 7세 국왕은 모드가 영국에 머물 때 사용하던 애플턴 하우스를 영국 왕실에 반환했다.[5]

모드의 시신은 영국 해군 홈 함대 제2전투 전대의 기함인 HMS 로열 오크에 실려 노르웨이로 돌아왔다.[13] 시신은 매장 전 오슬로의 작은 교회에 잠시 안치되었다가,[13] 오슬로의 아케르스후스 요새에 있는 왕실 묘소에 안장되었다.[8][14] 그녀의 유언장은 1939년 런던에서 봉인되었으며, 잉글랜드와 웨일스에 남긴 재산은 7941GBP (2022년 기준 약 36.239999999999995만파운드)로 평가되었다.[15]

6. 1. 유산

남극의 퀸 모드 랜드와 퀸 모드 산맥, 홍콩의 퀸 모드 중학교, 캐나다 누나부트 준주의 퀸 모드 만 ( 퀸 모드 만 철새 보호 구역 포함) 등 여러 지명이 모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로알 아문센의 요청으로 북극해 탐험 및 북동 항로 횡단을 위해 1916년 진수된 탐험선 ''모드''는 웨일스의 모드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 노르웨이 해군의 보급선 HNoMS ''Maud'' 역시 그녀의 이름을 따랐다. 달콤한 디저트인 퀸 모드 프로마주(Dronning Mauds pudding|드로닝 마우드 푸딩no)도 그녀의 이름을 딴 것이다.

7. 칭호, 경칭 및 문장

(내용 없음)

7. 1. 칭호 및 경칭


  • 1869년 11월 26일 – 1896년 7월 22일: ''웨일스 공녀 전하 모드 공주''
  • 1896년 7월 22일 – 1905년 11월 18일: ''덴마크의 찰스 공자비 전하''[17][18][19]
  • 1905년 11월 18일 – 1938년 11월 20일: ''노르웨이 여왕 폐하''

7. 2. 문장

결혼 후, 모드는 왕국의 문장을 개인 문장으로 사용할 수 있었으며, 작센의 방패에 다섯 개의 은색 차별장이 있는 방패 안의 작은 방패가 추가되었다. 바깥쪽 한 쌍과 가운데에는 붉은 심장이, 안쪽 한 쌍에는 붉은 십자가가 새겨졌다.[20] 1917년 왕실 칙령에 의해 방패 안의 작은 방패는 삭제되었다.

8. 가계

wikitext

'''웨일스 공녀 모드의 가계'''
조상이름
아버지에드워드 7세
어머니알렉산드라 공주
친할아버지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
친할머니빅토리아 여왕
외할아버지크리스티안 9세
외할머니헤센카셀의 루이제 공주
친증조할아버지에른스트 1세,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친증조할머니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루이제 공주
친증조할아버지에드워드 공작
친증조할머니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주
외증조할아버지프레데리크 빌헬름 공작
외증조할머니헤센카셀의 루이제 카롤린 공주
외증조할아버지헤센카셀의 빌헬름 공
외증조할머니샤를로테 공주


참조

[1] 서적 Hibbert
[2] 서적 King
[3] 웹사이트 Prince and Princess Henry of Battenberg with their bridesmaids and others on their wedding day http://www.npg.org.u[...] 2013-07-09
[4] 웹사이트 The Duke and Duchess of York and Bridesmaids http://www.npg.org.u[...] National Portrait Gallery, London
[5] 웹사이트 Appleton House http://www.kongehuse[...] The Norwegian Royal Household 2011-03-05
[6] 간행물 Maud – dronning https://snl.no/Maud_[...] 2024-07-09
[7] 웹사이트 The Queen Sonja Art Stable http://www.kongehuse[...] 2018-05-23
[8] 웹사이트 Statue of Queen Maud unveiled by HM King Harald http://www.norway.or[...] Norway 2013-07-09
[9] 뉴스 The Queen Mother in pictures https://www.telegrap[...] 2013-07-09
[10] 뉴스 Queen Maud Undergoes Operation http://nla.gov.au/nl[...] 1938-11-17
[11] 뉴스 Death of Queen http://nla.gov.au/nl[...] 1938-11-21
[12] 뉴스 Death of Queen Maud http://nla.gov.au/nl[...] 1938-11-22
[13] 뉴스 Norway's Queen Maud in euthanasia speculations http://theforeigner.[...] 2017-03-20
[14] 웹사이트 The secret journey of Queen Maud's coffin {{!}} norwegianhistory.no https://norwegianhis[...] 2019-02-07
[15] 웹사이트 £187m of Windsor family wealth hidden in secret royal wills https://www.theguard[...] 2022-07-18
[16] 웹사이트 Norwegian Navy train at Raleigh https://www.royalnav[...] royalnavy.mod.uk 2017-09-08
[17] 뉴스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1902-05-22
[18] 뉴스 The Glasgow Herald https://news.google.[...] 1896-07-27
[19] 뉴스 Princess Charles has a son https://www.newspape[...] 1903-07-03
[20] 웹사이트 Heraldica – British Royal Cadency http://www.heraldica[...]
[21] 문서 에드워드 7세가 웨일스 공이던 시절에 태어나서, 영국의 모드가 아닌 웨일스의 모드라 불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