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량 (동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량은 서진 시대에 태어나 수려한 외모와 명성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동진 시대에는 명문 귀족 출신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사마예를 섬기며 요직을 거쳤고, 동진 성제 시기에는 중서령을 역임하며 왕도와 함께 어린 황제를 보좌했다. 엄격한 법치주의를 추구하며 권력 강화를 꾀했으나, 소준의 난을 겪으며 실각했다. 이후 북방 방어에 힘쓰다 안서장군으로 강등되었고, 34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40년 사망 -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누스 2세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장남으로, 로마 황제가 되어 제국을 나누어 통치했으나 동생과의 전쟁에서 전사 후 기억 말살형에 처해졌다.
  • 동진의 중서령 - 왕헌지
    왕헌지는 동진 시대의 서예가로 아버지 왕희지와 함께 '이왕'으로 불리며 이름을 떨쳤고, 자신만의 독특한 서풍과 일필서에 능했으며 후대 서예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동진의 중서령 - 사안
    사안은 동진 시대의 정치가이자 군사 전략가로서, 비수 전투에서 승리하며 동진의 실권을 장악하고 북벌을 추진했으나, 사마도자의 방해로 좌절된 인물이다.
유량 (동진)
기본 정보
유량의 초상화
유량의 초상화
이름유량
로마자 표기Yu Liang
원규 (元規)
시호문정 (文靖)
작위남창현후 (南昌縣侯)
생몰년289년 ~ 340년
출생지영천군 위씨현
사망지건강
묘소건강 석두성 서쪽
가문
성씨유씨 (庾氏)
본관영천 위씨 (潁川 魏氏)
부친유명
형제유익
유협
유곤
유빙
유조
자녀유역
유이
유연지
유회
유민녀
유원규
관직
주요 경력산기상시
건위장군
도독강주제군사
강주자사
정서대장군
도독예양옹량진사주제군사
예주자사
중서감
태위
녹상서사
대장군
시중
중서감

2. 생애

성제의 외척으로서 권세가 왕도를 능가했고, 왕도의 관대한 융화 정책과는 대조적으로 황제 권력 강화를 위해 엄격한 법치주의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이러한 엄격한 정치는 조정의 반감을 샀다. 명제 사후 중신들에게 포상 및 승진이 있을 때, 도간과 조약이 제외되자 유량의 소행이라 여기고 원한을 품었다. 변흔 등 조정 안팎의 반대에도 불구, 왕돈의 난 평정에 공이 있던 소준의 군사력을 약화시키려 건강으로 소환하려다 실패, 327년 소준이 조약과 연합하여 반란(소준의 난)을 일으켜 건강이 점령되고 성제가 유폐되는 사태를 초래했다.

328년 유익 등과 석두성을 탈출, 온교에게 도망쳤다. 온교의 권유로 무창의 도간에게 구원을 요청, 아들 도첨이 소준에게 살해된 것을 명분으로 협력하여 329년 반란을 평정했다.

소준의 난 평정 후, 책임을 지고 중서령을 사임, 동생 유빙을 후임으로 임명하고, 정무는 왕도에게 위임, 자신은 평서장군·예주 자사로 무호에 주둔하며 북방 방어에 전념했다. 334년, 도간 사후 정서장군·형주자사가 되어 서부 군단을 계승했다. 북부 군단의 치감에게 왕도를 몰아내자고 제안했으나, 치감이 반대하여 실행하지 않았다.

339년 후조 석륵 사망 후, 중원 및 촉 회복을 위해 양양으로 주둔지를 옮겼으나, 주성이 후조에 함락되어 좌절되었다. 유량은 책임을 지고 안서장군으로 강등을 상주했다. 같은 해 왕도 사망 후, 사도·양주 자사·녹상서사로 소환 조서를 받았으나 사양하고, 340년 사망했다. 사후 태위 추증, 시호는 문강공이다.

2. 1. 초기 생애와 경력

서진 시대에 명문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부터 수려한 외모와 위엄 있는 풍채를 갖추었으며, 청담의 명수로 이름을 떨쳤다. 당시 사람들은 그를 하후현이나 진군에 비유했다. 팔왕의 난영가의 난으로 중원이 전란에 휩싸이자 아버지 유심을 따라 회계로 피난했다.

낭야왕 사마예(후의 동진 원제)가 진동장군으로서 건강으로 부임하자, 유량을 불러들여 매우 마음에 들어했고, 그의 여동생 유문군(명목황후)을 아들 사마소 (후의 명제)와 결혼시켰다. 사마예가 황제에 즉위하여 진(동진)을 재건하자, 급사중, 황문시랑, 산기상시 등을 역임했으며, 왕돈의 추천으로 중령군에 임명되었다.

영창 원년(322년), 명제가 즉위하자, 황태자 시절부터 친했던 유량을 중서감으로 임명하려 했지만, 유량은 표문을 올려 이를 굳게 사양했다. 이때의 문장은 『문심조룡』에서 명문으로 높이 평가되었으며, 『문선』에도 "중서'''령'''을 사양하는 표" [4]로 수록되어 있다.

태녕 3년(325년), 명제가 임종할 때, 동진 건국의 중신인 사도 왕도와 함께 유조를 받아 중서령으로서 조카 성제를 보좌하게 되었다.

2. 2. 명제 시대

서진 시대 명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젊었을 때부터 수려한 외모와 위엄 있는 풍채, 청담의 명수로 유명세를 떨쳤다. 팔왕의 난영가의 난으로 중원이 전란에 휩싸이자, 가족들과 함께 회계로 이주하였다.

이후 낭야왕(琅邪王) 사마예가 진동장군(鎭東將軍)에 오른 뒤 건강으로 부임하면서 유량의 여동생 유문군(庾文君)을 아들 사마소에게 시집보냈다. 사마예가 황제가 된 이후 유량은 급사중(給事中)·황문시랑(黃門侍郞)·산기상시(散騎常侍)를 역임한 뒤 왕돈(王敦)의 추천으로 중령군(中領軍)이 되었다. 322년 사마소가 즉위하자 유량을 중서감(中書監)에 임명하려고 하였으나, 유량은 표를 올려 이를 고사하였다.[4]

325년 사마소가 세상을 떠나자 왕도(王導)와 함께 유언을 받들어 사마연을 보좌했으며, 중서령(中書令)에 올랐다. 하지만 사마소 사후 공신들의 논공행상 당시 조약(祖約)의 원한을 샀으며, 왕돈의 반란을 평정한 공을 세운 소준(蘇峻)을 제거하기 위해 건강으로 부르려다 계획이 발각되어 소준은 조약과 연합하여 소준의 난을 일으켰다. 유량은 반란군에게 패배해 동생 유익(庾翼) 등과 함께 석두성에서 탈출해 평남장군(平南將軍)·강주자사(江州刺史)인 온교(溫嶠)를 의지했으며, 온교의 조언으로 무창(武昌)에서 주둔하던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형주자사 도간(陶侃)에게 구원을 요청하였다. 도간은 아들 도첨(陶瞻)이 소준에게 살해당한 것을 명분으로 유량과 협력하였으며, 소준이 거주하는 석두성을 공격해 329년 반란이 평정되었다.

2. 3. 성제 시대와 소준의 난

사마연이 즉위하자 왕도와 함께 유언을 받들어 사마연을 보좌했으며, 중서령(中書令)에 올랐다. 하지만 사마소의 사후 공신들의 논공행상 당시 조약의 원한을 사게 되었으며, 왕돈의 반란을 평정한 공을 세운 소준을 제거하기 위해 건강으로 부르려다 계획이 발각되어 소준은 조약과 연합한 뒤 소준의 난을 일으켰다.[4] 유량은 반란군에게 패배해 동생 유익 등과 함께 석두성(石頭城)에서 탈출해 평남장군(平南將軍)·강주자사(江州刺史)인 온교(溫嶠)를 의지했으며, 온교의 조언으로 무창(武昌)에서 주둔하던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형주자사 도간(陶侃)에게 구원을 요청하였다. 도간은 아들 도첨(陶瞻)이 소준에게 살해당한 것을 명분으로 유량과 협력하였으며, 소준이 거주하는 석두성을 공격해 329년 반란이 평정되었다.[4]

325년 태자 연이 즉위하면서(성제) 관료들이 함께 책임을 맡았지만, 유태후가 섭정이 되면서 유량이 사실상 행정부에서 가장 강력한 관리가 되었다. 그는 명제 통치 기간 동안 재상이었던 왕도의 관대한 정책에서 벗어나 법과 규정을 더욱 엄격하게 적용했는데, 이는 왕도의 관대함에 익숙해진 관료들의 반감을 샀다. 더욱이 그는 도간조약 장군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게 되었는데, 이들은 명제의 유언에서 발표된 훈장과 승진 명단에 언급되지 않았고, 유량이 그들의 이름을 유언에서 지웠다고 믿었으며, 많은 범죄자들을 자신의 군대에 합류시킨 소준에 대해서도 불안감을 느꼈다.

327년, 소준의 야심에 불안감을 느낀 유량은 그의 군사 지휘권을 박탈하려 했고, 그렇게 하기 위해 그를 농부로 승진시켰다. 소준은 거부하고 조약과 동맹을 맺고 반란을 일으켰다. 유량은 처음에는 소준을 쉽게 물리칠 수 있다고 믿고, 온교의 강주(江州, 현대 장시성) 군대를 포함한 지방 관료들의 지원을 거절했지만, 대신 소준은 328년 초 수도 건강(민제의 이름에 대한 기휘 때문에 건업에서 이름이 변경됨)으로 빠르게 쳐들어가 성제와 유태후를 붙잡아 유량을 온교에게 도망가도록 강요했다.

유량과 온교는 소준에 대한 반격을 위해 재빨리 군대를 준비했다. 그들은 도간을 초청했고, 도간은 처음에는 유량에 대한 잔여 분노 때문에 거절했지만, 결국 받아들였다. 그러나 도간의 군대가 도착하려 할 때, 도간이 유량을 죽일 것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유량은 그 소문을 듣고 도간을 맞이하여 엎드려 자신의 과오에 대해 사과하기로 결정했다. 도간의 분노는 가라앉았고, 그들은 힘을 합쳐 328년 말 전투에서 소준을 죽이고 329년 초 그의 잔당을 격파했다.

2. 4. 소준의 난 이후

소준의 난이 평정된 후, 유량은 난이 일어난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중서령 직을 사임했으며, 후임으로 자신의 동생 유빙을 추천했다. 조정의 정무는 왕도에게 위임하고, 자신은 평서장군·예주자사를 맡아 무호에 주둔하며 북방 방어에 힘썼다.[3] 334년, 도간이 사망하자 그의 후임으로 정서대장군·형주자사가 되어 서부 군단을 지휘하게 되었다.[3] 그는 북부 군단을 이끌던 치감에게 편지를 보내 왕도를 조정에서 몰아내자고 제안했으나, 치감이 반대하여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서부 군단을 계승한 후에는 2대 군벌의 영수로서 영향력을 행사했고, 중앙에서 중서령을 맡은 유빙과 함께 유씨 일문의 권세를 다시 떨치게 되었다.

339년, 후조석륵이 사망하자, 유량은 양양으로 주둔지를 옮겨 북벌을 계획했다. 그러나 북벌의 거점이었던 주성(邾城)이 후조의 석호에게 함락되면서 계획은 무산되었고, 유량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스스로 안서장군으로 강등해 줄 것을 요청했다.[3] 같은 해 왕도가 사망하자 조정에서는 유량을 사도·양주자사·녹상서사(錄尙書事)로 임명하여 수도로 불러들이려 했으나, 유량은 이를 사양하였다.[3]

340년, 유량은 세상을 떠났고, 태위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강공(文康公)이다.[3] 그가 지휘하던 서부 군단은 동생 유익이 물려받았고, 345년 유익이 사망한 후에는 환온이 이를 계승하였다.

2. 5. 유량 사후

소준의 난이 평정된 후, 유량은 난이 일어난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중서령 직에서 사임했으며, 후임으로 자신의 동생인 유빙을 추천했다. 스스로는 평서장군(平西將軍)·예주자사를 맡아 蕪湖|무호중국어(안후이성)에 주둔하며 북방 방어에 힘썼다.[3] 334년 도간이 사망하자 그의 후임으로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형주자사가 되어 서부군단(西府軍團)을 지휘하게 되었다.[3]

강력한 군사력을 손에 넣은 유량은, 이전 도간과 마찬가지로 북부군단(北府軍團)을 이끌던 치감에게 편지를 보내 조정에서 왕도를 몰아내려 했으나, 치감이 반대하여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당시 후조석륵이 사망하자, 중원과 촉을 회복할 기회로 여겨 양양으로 진을 옮길 것을 상주했다. 그러나 339년, 북벌의 거점이 되는 주성이 후조의 석호에게 함락되면서 북벌 계획은 좌절되었고, 유량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스스로 안서장군(安西將軍)으로 강등시켰다.[3]

같은 해, 왕도가 사망하자 조정에서는 유량을 사도·양주자사·녹상서사(錄尙書事)로 임명하여 수도로 불러들이려 하였으나, 유량은 이를 사양하였다. 이듬해인 340년 음력 설 첫날에 사망하였으며, 태위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강공(文康公)이다.[3]

그가 이끌던 서부군단은 동생인 유익이 물려받았으며, 345년 유익이 사망한 후에는 환온이 이를 계승하였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유윤서중랑장, 도독 의성·여강·역양·안풍 4군 제군사
형제유빙동진의 장군, 차기장군
형제유조동진의 장군, 참피언장군, 임천군 태수
형제유익동진의 장군, 도독 정토 제군사, 정서장군, 영남만교위
자매유씨하충의 아내
아들유회소준의 난 때 사망
조카유희오나라 내사
조카유화동진의 관료, 단양윤, 중령군


4. 평가

유량에 대한 평가는 진서 권73 열전 제43을 참조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Book of Jin Jin Shu
[2] 서적 Zhizhi Tongjian Zizhi Tongjian 340-02-14
[3] 서적 Zizhi Tongjian Zizhi Tongjian
[4] 문서 「令」は「監」の誤り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