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충호르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충 호르몬은 곤충의 발달과 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1956년 윌리엄스에 의해 처음 추출되었고, 1967년 롤러 등에 의해 활성이 확인되었다. 콜레스테롤 생합성과 유사한 경로를 통해 생합성되며, 곤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유충 호르몬은 곤충의 탈피, 유충 상태 유지, 변태 과정을 조절하며, 꿀벌의 계급 분화, 암컷 성 페로몬 생성, 난소 발달 등에도 관여한다. 유충 호르몬의 합성 유사체는 살충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유충 호르몬 에스테라제와 유충 호르몬 에폭시드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충호르몬 | |
---|---|
일반 정보 | |
CAS 등록번호 | 6792-60-5 1381-12-0 1381-13-1 22957-05-5 24269-05-6 |
화학식 | C18H30O3 |
분자량 | 294.44 g/mol |
개요 | |
유형 | 세스퀴테르펜 |
기능 | 곤충 호르몬 |
관련 화합물 | 페닐에틸 알코올 |
상세 정보 | |
역할 | 곤충의 변태 조절 성적 성숙 생식 행동 |
작용 기작 | 핵 내 수용체 결합을 통해 유전자 발현 조절 |
생성 위치 | 뇌의 신경분비세포 |
조절 기작 | 알라타체의 활성 조절 |
대사 |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불활성화 |
종류 | JH 0 JH I JH II JH III JH III bisepoxide |
특징 | 곤충의 유충 형태 유지 및 변태 억제 |
2. 역사
1956년 윌리엄스(Williams)는 세크로피아누에나방 수컷 성충의 복부에서 유충 호르몬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처음 추출하였으나, 당시에는 그 활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이후 1967년 롤러(Roller)와 그의 동료들이 세크로피아누에나방에서 300μg의 유충 호르몬을 정제하여 마침내 그 활성을 증명하였다.
유충 호르몬(JH)의 생합성 경로는 동물에서의 콜레스테롤 생합성 경로와 유사한 점이 많다.[51] 하지만 JH 생합성 과정, 특히 나비목 곤충에서 주로 발견되는 호모이소프레노이드(homoisoprenoid) JH의 생합성은 다른 곤충에서 발견되는 이소프레노이드(isoprenoid) 형태인 JH III, JH III 비스에폭사이드(bisepoxide), 메틸 파르네소에이트(methyl farnesoate) 등의 생합성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3. 생합성
콜레스테롤 생합성 경로와의 비교동물의 콜레스테롤 생합성은 모든 단계가 세포질에서 일어나며, 미토콘드리아에서 나온 구연산이 아세틸-CoA로 전환되면서 시작된다. 세 분자의 아세틸-CoA는 티올라아제와 HMG-CoA 합성효소에 의해 HMG-CoA로 전환되고, 이는 HMG-CoA 환원효소(콜레스테롤 생합성의 속도 조절 효소)에 의해 메발론산으로 환원된다.[31] 메발론산은 여러 단계를 거쳐 이소펜테닐 디포스페이트(IPP)가 되고, 이는 이성질화효소에 의해 디메틸알릴 디포스페이트(DMAPP)로 전환된다. 파르네실 디포스페이트 합성효소는 하나의 DMAPP와 두 개의 IPP를 이용하여 모든 이소프레노이드의 보편적 전구체인 파르네실 디포스페이트(FPP, C15)를 생성한다.
JH III 생합성 경로JH III의 생합성은 IPP 생산에서 FPP 생성까지는 콜레스테롤 생합성 경로와 동일한 것으로 보이지만,[32] 시트르산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수출이나 아세틸-CoA 형성에 대한 초기 단계 연구는 더 필요하다. 동물에서는 FPP 대부분이 콜레스테롤로 전환되는 반면, 곤충에서는 FPP가 디포스파타제에 의해 파르네솔로 전환된다. 파르네솔은 NAD+-의존성 파르네솔/파르네살 탈수소효소에 의해 파르네소산으로 산화된다.[40][42][43]
이후 단계는 곤충의 목(order)에 따라 다르다.[44]
호모이소프레노이드 JH 생합성 경로나비목 곤충에서 주로 발견되는 JH I, JH II 등 호모이소프레노이드 JH의 생합성은 JH III 경로와 차이가 있다. 이 경로는 박각시나방(*Manduca sexta*)에서 처음 연구되었으며, 이 곤충은 JH III와 호모이소프레노이드 JH를 모두 생성한다.[51][32]
호모이소프레노이드 JH 생합성에서는 아세틸-CoA 외에 프로피오닐-CoA가 탄소원으로 사용된다. 프로피온산은 *M. sexta*의 세포 유리 추출물에서 JH II 및 JH I 합성에 매우 효율적으로 통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33][34] 아세틸-CoA와 프로피오닐-CoA는 각각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르산(HMG)과 3-하이드록시-3-에틸글루타르산(호모-HMG)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36] 이들은 각각 메발론산과 호모메발론산으로 전환되며,[37] 생성된 메발론산과 호모메발론산은 척추동물 효소와 동일한 3S 광학 이성질체 구성을 갖는다.[38]
메발론산과 호모메발론산은 각각 IPP와 호모IPP(3-에틸-부테닐 디포스페이트)를 생성하고, 이들은 다시 각각 DMAPP와 호모DMAPP(3-에틸-3-메틸알릴 디포스페이트)로 이성질화된다.[39] 프레닐 전이효소는 IPP/호모IPP와 DMAPP/호모DMAPP를 조합하여 다양한 길이의 파르네실 디포스페이트 동족체를 만든다. 예를 들어, JH I과 4-메틸 JH I 생합성에는 두 개의 호모DMAPP 단위가 필요하고, JH II 생합성에는 하나의 호모DMAPP 단위가 필요하다.[39] 이후 과정은 JH III 경로와 유사하게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호모이소프레노이드 JH가 생성된다.
생합성 조절JH 생합성은 여러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알라토스타틴 C 펩타이드는 모기(*Aedes aegypti*)에서 시트르산의 미토콘드리아 외부 수송을 차단하여 JH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5] 이는 JH 생합성의 초기 단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일 수 있다.
4. 발달 조절
유충호르몬(JH)의 생성과 분비는 주로 알라타체에서 조절된다. 짧은 펩타이드인 알라토트로핀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결합하여 알라타체를 자극하고 유충호르몬 생산을 촉진한다.[9][10] 반대로 알라토스타틴은 유충호르몬 생산을 억제하며, 알라토스타틴 A,[11] 알라토스타틴 B,[12] 알라토스타틴 C[13]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14]
곤충의 혈림프 내 유충호르몬 농도는 유충호르몬 특이적 에스테라제와 유충호르몬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대사되어 비활성화되는 과정을 통해 이차적으로 조절된다.[15]
유충호르몬은 곤충의 유충 상태를 유지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탈피 과정에서 다음 단계의 형태는 체내 유충호르몬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곤충이 발달함에 따라 유충호르몬 농도는 점차 감소하며, 이로 인해 각 탈피마다 다음 유충기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절 메커니즘은 1960년대 V. B. 위글스워스가 수행한 ''로두니우스'' 연구를 통해 명확히 밝혀졌다. 그는 서로 다른 유충기 개체들의 혈액을 연결하여 호르몬 농도를 동일하게 맞추는 실험을 진행했다.
- 3령 유충의 알라타체를 제거하고 4령 유충과 연결했을 때, 두 개체 모두 4령 수준의 유충호르몬 농도를 가지게 되어 다음 탈피 시 5령 유충으로 발달했다.
- 반대로 4령 유충의 알라타체를 제거하고 3령 유충과 연결했을 때는 두 개체 모두 3령 수준의 낮은 호르몬 농도를 유지하게 되어, 3령 유충은 정상적으로 4령으로 탈피했지만 4령 유충은 더 이상 발달하지 못하고 4령 유충 상태를 유지했다.
일반적으로 유충 단계에서 알라타체를 제거하면 유충호르몬 부족으로 인해 다음 탈피 시 정상보다 작은 소형화된 성충이 된다. 반대로 마지막 유충기에 알라타체를 이식하여 유충호르몬 농도를 인위적으로 높이면, 정상적인 변태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추가적인 유충기(과잉 유충기)를 거치게 된다.
유충호르몬은 엑크디손과 함께 곤충의 성장과 변태를 조절하는 중심적인 호르몬이다.[46][47] 두 호르몬이 함께 존재하면 유충의 탈피와 성장을 촉진하지만, 유충호르몬 없이 엑크디손만 존재하면 번데기나 성충으로의 변태가 일어난다. 이처럼 유충호르몬은 변태 과정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생식선의 발달, 휴면, 사회성 곤충의 분업, 다양한 형태 형성 등 곤충의 여러 생리 현상 조절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꿀벌에서의 역할
유충호르몬(JH), 엑디손, 비텔로제닌 사이에는 복잡한 상호작용이 존재한다.[16] 꿀벌의 유충 단계에서 JH는 엑디손과 함께 탈피와 변태 과정을 조절한다. 유충 시기에 JH 농도가 충분하면 엑디손은 유충에서 유충으로의 탈피를 유도하지만, JH 농도가 낮아지면 엑디손은 번데기화를 촉진한다. JH가 완전히 없어지면 성충으로 변태하게 된다.[16] 특히 유충 단계에서 JH는 여왕벌과 일벌의 계급 분화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성충 꿀벌에서는 JH와 비텔로제닌의 농도가 일반적으로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17][18][19][20] 성충이 된 직후에는 비텔로제닌 농도가 높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감소한다. 반면, 일벌의 경우 JH 농도는 생애 초기 약 15일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채집 활동을 시작하기 직전에 최고조에 달한다.[21]
JH 농도 변화는 일벌의 역할 분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JH 농도가 낮은 초기(약 15일 이전)에는 주로 벌집 안에서 유충 돌보기, 벌집 짓기, 청소와 같은 내역 활동을 수행한다.[21] JH 농도가 최고조에 달하는 15일경에는 경비 활동을 맡게 되는데, 이 시기 일벌은 벌집을 지키고, 죽은 벌을 제거하며, 날갯짓으로 벌집 내부 온도를 조절한다.[22][23] 경비벌의 공격성은 혈중 JH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높은 JH 농도를 가지지만 난소는 상대적으로 덜 발달한 상태이다.[22][23] 이후 JH 농도가 다시 변화하면서 채집 활동으로 역할이 전환되는데, JH가 직접적으로 채집 행동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일벌이 채집벌로 발달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24]
성충 꿀벌에서 나타나는 JH와 비텔로제닌 사이의 독특한 반비례 관계는 여왕벌의 긴 수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26]
6. 나비목에서의 역할
많은 나비와 나방 종에서 유충호르몬(JH)은 암컷의 성 페로몬 생성 및 방출에 필수적이다. ''애기수염밤나방''(`Mythimna unipuncta`)과 ''검은애벌레''(`Agrotis ipsilon`)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JH를 분비하는 알라타체(corpus allata)를 제거하자 성 페로몬 방출이 완전히 중단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JH는 난소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27][28]
''검은애벌레''의 경우, JH는 수컷의 페로몬 반응에도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29] 교미 중에는 수컷에서 암컷 ''담배거세미나방''(`Heliothis virescens`)으로 JH가 전달되기도 한다.[30]
7. 유충 호르몬의 종류
분류군마다 유충 호르몬의 화학 구조는 약간 다르며,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유충 호르몬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등 많은 곤충에서는 JHIII가, 나비목에서는 JHI과 JHII가 유충 호르몬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래는 알려진 주요 유충 호르몬의 종류이다.
종류 | 화학명 (CAS) | 분자식 | 주요 발견 분류군 |
---|---|---|---|
파네솔 메틸 에스테르 | 메틸 (2E,6E)-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에노에이트 | C16H26O2 | |
유충 호르몬 0 (JH 0) | 메틸 (2E,6E)-10R,11S-(옥시라닐)-3,7-다이에틸-11-메틸-2,6-트리데카다이에노에이트 | C19H32O3 | 나비목 |
유충 호르몬 I (JH I) | 메틸 (2E,6E)-10R,11S-(옥시라닐)-7-에틸-3,11-다이메틸-2,6-트리데카다이에노에이트 | C18H30O3 | 나비목 |
유충 호르몬 II (JH II) | 메틸 (2E,6E)-10R,11S-(옥시라닐)-3,7,11-트리메틸-2,6-트리데카다이에노에이트 | C17H28O3 | 나비목 |
유충 호르몬 III (JH III) | 메틸 (2E,6E)-10R-(옥시라닐)-3,7,11-트리메틸-2,6-도데카다이에노에이트 | C16H26O3 | 대부분의 곤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등) |
유충 호르몬 JHB3 | 메틸 (2E,6E)-6S,7S,10R-(다이옥시라닐)-3,7,11-트리메틸-2-도데카에노에이트 | C16H26O4 | 파리목 |
8. 곤충 성장 조절제(살충제)로서의 이용
유충호르몬의 합성 유사체인 유충호르몬 모방체는 살충제로 사용되어 애벌레가 성충으로 발달하는 것을 막는다. 높은 수준의 유충호르몬 환경에서는 애벌레가 탈피는 하지만, 그 결과는 성충이 아닌 더 큰 애벌레일 뿐이다. 이로 인해 곤충의 생식 주기가 중단된다.
유충호르몬 자체는 합성 비용이 많이 들고 빛에 불안정하여 살충제로 직접 사용하기는 어렵다. 대신 메토프렌이나 피리프록시펜과 같은 유충 호르몬 합성 유사체(JHA/JHM)가 곤충 성장 조절제로 널리 사용된다. 이 물질들은 유충이 성충으로 변태하는 과정을 억제하여 곤충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방해한다.
특히 메토프렌은 독성이 매우 낮아(생쥐에서 LD50 35,000 mg/kg 이상),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식수 저수조의 모기 유충을 방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을 승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유충기가 길어지면서 오히려 농작물 등에 피해를 더 많이 주는 곤충도 있을 수 있으므로, 주로 위생 해충인 모기나 파리 방제에 활용된다.
9. 유충 호르몬의 분해
곤충의 혈림프에 있는 유충 호르몬(JH)의 활성은 주로 두 가지 효소에 의해 조절되고 파괴된다.[15] 이 효소들은 유충 호르몬 에스터라제 (JHE)와 유충 호르몬 에폭시드 가수분해 효소 (JHEH)이다. JHE와 JHEH는 모두 JH 신호 전달과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JH에 반응하는 조직은 이 효소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생성할 수 있다.
- 유충 호르몬 에스터라제 (JHE): JH 분자의 메틸 에스테르 부분을 절단하여 JH 산(JH acid)을 생성한다.
- 유충 호르몬 에폭시드 가수분해 효소 (JHEH): JH 분자의 에폭시드기(epoxide group)를 다이올(diol)로 전환한다.
이 두 가지 분해 과정 중 하나만 일어나도 유충 호르몬은 그 활성을 잃게 된다. 어떤 효소가 먼저 작용하는지는 곤충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나비목 곤충에서는 일반적으로 JHE에 의한 에스테르 절단이 JHEH에 의한 에폭시드 수화(epoxide hydration)보다 먼저 일어난다.
두 효소의 작용으로 생성된 최종 산물인 JH 다이올 산(JH diol acid)은 JH 다이올 키나제(JH diol kinase)라는 효소에 의해 추가로 처리되어 물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며, 이를 통해 몸 밖으로 쉽게 배설될 수 있게 된다.
10. 기타 기능
유충호르몬(JH)은 곤충의 성장과 변태 조절 외에도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한다.
성체 곤충의 생식 기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체 수컷의 부속선을 자극하여 선의 성장과 부속선 분비물의 생성을 촉진한다. 암컷에서는 난소의 난황형성 과정을 자극한다. 또한, 암수 모두의 생식 행동 조절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식 기능 외에도 생식선의 발달, 휴면, 사회성 곤충의 분업, 그리고 다양한 형태 형성 과정 등 여러 생명 현상의 제어에 영향을 미친다.[46][47]
최근 연구에서는 배 발생 과정 중 원시 생식 세포의 이동에도 유충호르몬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유충호르몬의 기능 중 변태 억제보다 진화적으로 더 오래된, 원초적인 기능일 가능성을 시사한다.[50]
참조
[1]
논문
Cellular and molecular actions of juvenile hormone I. General considerations and premetamorphic actions
[2]
논문
Cellular and Molecular Actions of Juvenile Hormone. II. Roles of Juvenile Hormone in Adult Insects
[3]
서적
Insect Hormo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논문
The Structure of the Juvenile Hormone
[5]
논문
Isolation, Structure, and Absolute Configuration of a New Natural Insect Juvenile Hormone from ''Manduca sexta''
[6]
논문
Juvenile Hormone Bisepoxide Biosynthesis in vitro by the Ring Gland of ''Drosophila melanogaster'': A putative juvenile Hormone in the higher Diptera
[7]
논문
Identification of a juvenile hormone-like compound in a crustacean
https://www.research[...]
[8]
논문
Juvenile Hormone Analogs in Conifers. II.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cis-4-[1′(R)-5′-Dimethyl-3′-oxohexyl]-cyclohexane-1-carboxylic Acid and (+)-4(R)-[1′(R)-5′-Dimethyl-3′-oxohexyl]-1-cyclohexene-1-carboxylic Acid from Douglas-fir Wood
1974-04
[9]
논문
Identification of an allatostatin from the tobacco hornworm ''Manduca sexta''
[10]
논문
Photoaffinity labeling of allatostatin receptor proteins in the corpora allata of the cockroach, ''Diploptera punctata''
[11]
논문
Primary structure of four allatostatins: Neuropeptide inhibitors of juvenile hormone biosynthesis
[12]
논문
Expression of the allatostatin gene in endocrine cells of the cockroach midgut
[13]
논문
Identification of an allatostatin from the tobacco hornworm ''Manduca sexta''
[14]
논문
Neuropeptide regulators of insect corpora allata
[15]
논문
Metabolism of the Juvenile Hormone Analogue Methyl Farnesoate 10,11-Epoxide in Two Insect Species
[16]
웹사이트
Insect hormones
http://users.rcn.com[...]
[17]
간행물
Curr Top Dev Biol 40:45–77
[18]
간행물
in Hormones, Brain, and Behavior, ed Pfaff D (Academic, New York) Vol 3, 195–236
[19]
간행물
J Apic Res 20:221–225
[20]
간행물
Neurobiol Learn Mem 63:181–191
[21]
논문
Juvenile hormone levels in honey bee (Apis mellifera L.) foragers: foraging experience and diurnal variation. ''Journal for Insect Physiology''. 47,1119 -1125
[22]
논문
Juvenile hormone and aggression in honey bees, ''Journal for Insect Physiology''. 47, 1243– 1247.
[23]
웹사이트
Juvenile Hormone
http://www.animalbeh[...]
[24]
논문
Juvenile hormone paces behavioral development in the adult worker honey bee. ''Hormones and Behavior''. 37, 1-14
[25]
논문
Corpora allata activity, a primer regulating element for caste juvenile hormone titer in honey bee larvae (''[[Apis mellifera carnica]]''), ''Journal of Insect Physiology''. 36, 189–194
[26]
논문
Vitellogenin, juvenile hormone, insulin signaling, and queen honey bee longevity
http://www.pnas.org/[...]
2007-04
[27]
논문
Involvement of Juvenile Hormone in the Regulation of Pheromone Release Activities in a Moth
[28]
논문
Juvenile Hormone Stimulates Pheromonotropic Brain Factor Release in the Femal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29]
논문
Hormonal Control of Pheromone Responsiveness in the Mal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30]
논문
Mating in Heliothis virescens: Transfer of Juvenile Hormone During Copulation by Male to Female and Stimulation of Biosynthesis of Endogenous Juvenile Hormone
1998
[31]
간행물
Regulation of HMG-CoA reductase in mammals and yeast. Prog. Lipid Res. 50, 403-410
[32]
논문
Isolation, Structure, and Absolute Configuration of a New Natural Insect Juvenile Hormone from ''Manduca sexta''
[33]
논문
Biosynthesis of Juvenile Hormone in the Cecropia Moth. Labelling Pattern from [1-14+C]-Propionate through Degradation to Single Carbon Atom Derivatives
[34]
논문
Biosynthesis of the Juvenile Hormones of ''Manduca sexta'': Labeling Pattern from Mevalonate, Propionate, and Acetate
[35]
논문
Biosynthesis of the homosesquiterpenoid juvenile hormone JH II [methyl (2E,6E,10Z)-10,11 -epoxy-3,7,11-trimethyltridecadienoate] from [5-3H]homomevalonate in Manduca sexta
http://xlink.rsc.org[...]
1975
[36]
논문
Juvenile hormone biosynthesis: identification of 3-hydroxy-3-ethylglutarate and 3-hydroxy-3-methylglutarate in cell-free extracts from Manduca sexta incubated with propionyl- and acetyl-CoA
http://xlink.rsc.org[...]
1978
[37]
논문
Juvenile hormone biosynthesis: homomevalonate and mevalonate synthesis by insect corpus allatum enzymes
http://xlink.rsc.org[...]
1978
[38]
논문
Absolute configuration of homomevalonate and 3-hydroxy-3-ethylglutaryl- and 3-hydroxy-3-methylglutaryl CoA, produced by cell-free extracts of insect corpora allata; cautionary note on prediction of absolute stereochemistry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ic elution order of diastereomeric derivatives
1979-11
[39]
간행물
Isomerization of isopentenyl pyrophosphate and homoisopentenyl pyrophosphate by ''Manduca sexta'' corpora cardiaca - corpora allata homogenates.
Elsevier, Amsterdam
1981
[40]
논문
Farnesol and farnesal dehydrogenase(s) in corpora allata of the Tobacco Hornworm moth, ''Manduca sexta''
[41]
논문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1, 7432-7434
[42]
논문
Substrate requirements for lepidopteran farnesol dehydrogenase
[43]
논문
NAD+-dependent farnesol dehydrogenase, a corpora allata enzyme involved in juvenile hormone synthesis
[44]
논문
Juvenile hormone synthesis: "esterify then epoxidize" or "epoxidize then esterify"? Insights from th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juvenile hormone acid methyltransferase
[45]
논문
Allatostatin-C reversibly blocks the transport of citrate out of the mitochondria and inhibits juvenile hormone synthesis in mosquitoes
2015-02
[46]
서적
多様性の内分泌学: ホルモンの統合的理解のために
丸善出版
2021-11-01
[47]
서적
脱皮と変態の生物学: 昆虫と甲殻類のホルモン作用の謎を追う
東海大学
2011-05-01
[48]
논문
特集「幼若ホルモン(jh)研究の最新トピックス」にあたって
https://www.jstage.j[...]
2016
[49]
논문
胚子期・若齢期における幼若ホルモンの機能
https://www.jstage.j[...]
2016
[50]
논문
Germ cell migration: Unexpected role of juvenile hormone before juvenile stages
https://linkinghub.e[...]
2024-02
[51]
논문
Isolation, Structure, and Absolute Configuration of a New Natural Insect Juvenile Hormone from ''Manduca sex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