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변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완전변태는 곤충의 변태 과정 중 하나로, 유충이 번데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성충과 형태가 유사하게 성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에는 노린재목, 메뚜기목, 사마귀목, 바퀴목, 집게벌레목, 잠자리목, 대벌레목, 이목,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등이 있다. 수서곤충학에서는 불완전변태 곤충을 약충의 서식지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불완전변태 | |
---|---|
불완전변태 | |
특징 | 유충과 성충의 형태가 유사함 번데기 단계를 거치지 않음 |
발달 단계 | 알 유충 (약충) 성충 |
유충 | 성충과 비슷한 형태 날개가 없음 (또는 발달 중) 여러 번의 탈피를 거쳐 성장 |
성충 | 생식 능력을 갖춤 날개가 완전히 발달함 |
생태학적 중요성 | 식물과 동물에 다양한 영향 생태계의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 |
곤충목 예시 | 잠자리목 강도래목 매미목 바퀴목 사마귀목 흰개미목 메뚜기목 대벌레목 노린재목 |
관련 용어 | 완전변태 (Holometabolism) 무변태 (Ametabolism) |
불완전변태 예시 | 잠자리 메뚜기 매미 바퀴벌레 사마귀 |
불완전변태의 특징 |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성충과 비슷한 형태 유충은 탈피를 거듭하며 성장 유충은 번데기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성충이 됨 |
발달 단계 설명 | |
알 단계 | 암컷이 낳은 알에서 유충이 나옴 |
유충 단계 | 유충은 탈피를 통해 성장 유충은 성충과 비슷한 외형이지만 날개는 없음 |
성충 단계 | 유충의 마지막 탈피 후 날개를 가진 성충이 됨 생식 능력을 갖춤 |
2. 불완전변태 곤충의 목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은 유시류에 속하는 곤충 중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모든 목을 포함한다.
수서곤충학에서는 점진적 변태 또는 불완전변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약충이 성충과 같은 환경에서 서식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거무레곤충과의 노린재목 곤충이 이에 해당한다.
귀뚜라미붙이목, 돌좀목, 낫날개목(얼음벌레와 글래디에이터), 좀붙이목, 저작하목(이, 좀), 총채벌레목, 갈로아목 등이 불완전변태를 한다.
2. 1. 노린재목 (Hemiptera)
노린재목에는 노린재, 매미, 진딧물 등이 속한다.[1]2. 2. 메뚜기목 (Orthoptera)
메뚜기목은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를 포함한다.[1]2. 3. 사마귀목 (Mantodea)
사마귀목에는 사마귀가 속한다.2. 4. 바퀴목 (Blattodea)
바퀴목은 바퀴벌레와 흰개미를 포함한다.2. 5. 집게벌레목 (Dermaptera)
집게벌레목은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다.[1]2. 6. 잠자리목 (Odonata)
잠자리와 실잠자리가 잠자리목에 속한다.[1] 수서곤충학에서 반(불완전)변태 곤충은 약충(즉, 수서약충)이 수중 서식지를 차지하고 성충은 육상 서식지를 차지하는 곤충을 말하며, 잠자리목이 이에 해당한다.[1]2. 7. 대벌레목 (Phasmatodea)
대벌레목은 유시류에 속하는 불완전변태 곤충이다.2. 8. 이목 (Phthiraptera)
이목은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며, 이가 이에 속한다.[1]2. 9. 강도래목 (Plecoptera)
강도래목은(는) 유시류에 속하는 곤충으로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다. 수서곤충학에서 강도래목은 돌좀목으로 불리기도 하며, 수서약충 시기에는 수중에서, 성충 시기에는 육상에서 서식하는 반(불완전)변태 곤충으로 분류된다.[1]2. 10. 하루살이목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은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유충(수서약충)은 수중에서, 성충은 육상에서 서식한다. 수서곤충학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가진 곤충들을 반(불완전)변태 곤충으로 분류한다.[1]2. 11. 기타 불완전변태 곤충
목 | 주요 곤충 |
---|---|
노린재목 | 노린재, 매미, 진딧물 |
메뚜기목 | 메뚜기, 귀뚜라미, 여치 |
사마귀목 | 사마귀 |
바퀴목 | 바퀴벌레, 흰개미 |
집게벌레목 | 집게벌레 |
잠자리목 | 잠자리, 실잠자리 |
대벌레목 | 대벌레 |
이목 | 이 |
하루살이목 | 하루살이 |
강도래목 | 강도래 |
귀뚜라미붙이목 | 귀뚜라미붙이 |
돌좀목 | 돌좀 |
낫날개목 | 얼음벌레, 글래디에이터 |
좀붙이목 | 좀붙이 |
저작하목 | 이, 좀 |
총채벌레목 | 총채벌레 |
갈로아목 | 갈로아 |
수서곤충학에서는 점진적 변태 또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을 분류할 때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불완전변태(점진적 변태)는 약충이 성충과 같은 환경에서 서식하는 곤충을 말하며, 예를 들어 거무레곤충과의 노린재목 곤충이 있다. 반(불완전)변태 곤충은 약충(즉, 수서약충)이 수중 서식지를 차지하고 성충은 육상 서식지를 차지하는 곤충이다. 여기에는 돌좀목, 강도래목 및 잠자리목의 모든 종류가 포함된다. 수서곤충학자들은 성충이 수서 또는 반수서 서식지를 차지할지, 아니면 육상 서식지를 차지할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이러한 분류를 사용한다.
[1]
서적
Essential Entomology: An Order-by-Order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 수서곤충학에서의 용어
참조
[2]
웹사이트
Incomplete Metamorphosis Has Three Stages: Egg, Nymph, and Adult
https://askabiologis[...]
Arizona State University School of Life Sciences Ask A Biologist
2019-09-02
[3]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John Wiley & Sons, Ltd
2014
[4]
서적
Essential Entomology: An Order-by-Order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
웹사이트
Incomplete Metamorphosis Has Three Stages: Egg, Nymph, and Adult
https://askabiologis[...]
Arizona State University School of Life Sciences Ask A Biologist
2019-09-02
[6]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John Wiley & Sons, Ltd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