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포병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포병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포병 장교, 부사관, 병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다. 1948년 포병 교육을 담당하는 훈련소로 시작하여, 1949년 육군 야전포병단으로 창설되었고, 6.25 전쟁 중 진해와 광주 상무대로 이전했다. 전쟁 당시 열세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후 포병 전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무기 체계를 도입했다. 현재는 교육여단, 전투발전부 등과 함께 화력센터, 부사관 교육센터를 운영하며, 포병 병과의 임무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포병학교는 '화력의 시작점'을 모토로, '우레'를 구호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병과 장교와 부사관을 양성하고 교육하는 기관으로, 1949년 창설되어 현재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하며, 초급 보병 장교 양성을 주 임무로 한다.
  • 1949년 설립 - 법원행정처
    법원행정처는 대한민국 법원의 사법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사법 제도 연구를 통해 사법부의 효율성과 투명성 향상을 추구하지만,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으로 논란이 있었다.
  • 1949년 설립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방 관련 군정 및 군령, 기타 군사 사무를 관장하며, 대통령의 명을 받아 합동참모의장과 각 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육군포병학교
육군포병학교 정보
육군포병학교 휘장
원어 이름陸軍砲兵學敎
활동 기간1949년 10월 15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육군
병과포병
종류군사학교
역할포병장병 육성
규모사단급
명령 체계육군교육사령부
본부전라남도 장성군 상무대
표어알아야 한다
참전6.25 전쟁
지휘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박진희 (3사 29기)
지휘관 명칭학교장
영어 이름
영어 이름ROK Field Artillery School

2. 역사

대한민국 포병의 역사는 1948년 미군으로부터 중화기 교육을 인수하면서 시작되었다. 용산과 진해에서 포병 교육이 실시되었고, 1948년 10월 25일 영등포에서 육군 야전포병단이 창설되며 이날은 포병의 날로 제정되었다.[1] 1949년 10월 15일, 신응균 대령을 초대 교장으로 하여 용산에서 육군포병학교가 창설되었다.[1]

6.25 전쟁 당시 한국군 포병은 북한에 비해 전력이 매우 부족했다.[2]

국가무기체계문수사거리
대한민국한국어M3 105밀리 곡사포88문 (91문 중 3문 고장)6525m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122밀리 곡사포172문11710m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76.2밀리 평,곡사포380문13090m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76.2밀리 자주포176문11260m



열세에도 불구하고 육군 포병은 전쟁 초기 주요 전투에서 적의 진출을 지연시키고 낙동강 전선을 지키는데 기여했다. 전쟁 중 포병학교 교관 김풍익 소령은 적 전차와 교전 중 전사하였다.[3]

전쟁 이후, 대한민국 포병은 지속적으로 전력을 강화했다. 1970년대 M110 8인치 자주곡사포, M107 자주평사포, 어네스트 존을 도입하고,[4] 1970년대 후반 KH178 105mm 견인곡사포와 KH179 155mm 견인곡사포를 자체 개발, 1981년 130mm 다련장 로켓(구룡)을 전력화했다.[4] 1985년부터 K55 자주포를 주력 화포로 운용,[4] 1990년대 이후 K-9 자주포 개발 및 대구경 다련장(MLRS)을 도입했다.[4] AN/TPQ-36, AN/TPQ-37 표적탐지레이다와 같은 대포병 감시 레이다도 도입하였다.[4]

2. 1. 창설과 초기 발전

1948년 6월 27일, 대한민국은 미군으로부터 중화기 교육을 인수하기 위해 제1, 2, 3 훈련소를 설치하였다. 이 중 제2훈련소(서울 용산)와 제3훈련소(경남 진해)에서 포병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후 두 훈련소에서 포병 장교 육성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었고, 1948년 10월 25일 서울 영등포에서 잠정적으로 육군 야전포병단이 창설되어 포병 병과 창설을 준비하였다. 이날을 기념하여 10월 25일은 '포병의 날'로 제정되었다.[1]

1948년 12월 15일, 국군조직법 제3장 12조에 따라 포병과(砲兵科)가 육군의 정식 병과로 승인되었다. 1949년 10월 15일, 신응균 대령을 초대 교장으로 하여 용산에서 야전포병단으로 육군포병학교가 창설되었다. 6.25 전쟁으로 해체된 후, 1950년 9월 경남 진해에서 재창설되었고, 1951년 11월에는 광주 상무대로 이전하였다.[1]

2. 2. 6.25 전쟁과 포병의 역할

6.25 전쟁 당시 한국군 포병은 북한에 비해 1:8.8로 절대적으로 열세였다.[2]

국가무기체계문수사거리
대한민국한국어M3 105밀리 곡사포88문 (91문 중 3문 고장)6525m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122밀리 곡사포172문11710m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76.2밀리 평,곡사포380문13090m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76.2밀리 자주포176문11260m



전쟁 발발 시 육군 포병은 7개 대대로 전방 4개 사단에 각 1개 대대가 예속되어 있었다. 옹진지구의 제17연대에는 제7포병대대가 지원되었으며, 2포병대대는 용산에 위치한 포병학교의 교도대대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육군 포병은 열세에도 불구하고 개전 초기의 옹진지구 전투, 축석령지구 전투, 화천-소양강 북안지역 전투에서 적의 진출을 지연시켰으며, 낙동강지구 전투에서는 낙동강 전선을 지키는데 큰 기여를 했다. 전선이 교착된 이후에는 저격능선 전투, 피의 고지 전투, 백마고지 전투에서 화력지원을 실시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포병학교에서는 교관들을 비상 소집하여 최소한의 인원을 남기고 20여 명을 관측 장교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정부 방면으로 이동시켰다. 그리고 교육생들은 전방 포병부대로 탄약을 수송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특히, 축석령 지구 전투에서 포병학교 교관들은 악조건에서 관측 장교로 임무를 수행하면서 전사하였고, 교도대대장이었던 김풍익 소령은 적 전차가 포진지 10m 전방까지 접근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직접 조준 사격하여 포를 파괴시키고, 적 전차 사격에 의해 전사하였다.[3]

2. 3. 6.25 전쟁 이후 포병 전력 강화

1970년대에는 미국으로부터 M110 8인치 자주곡사포, M107 자주평사포, 어네스트 존을 도입하여 포병 전력을 강화했다.[4] 1970년대 후반에는 KH178 105mm 견인곡사포와 KH179 155mm 견인곡사포 개발을 성공시켰으며, 1981년에는 자체 개발한 130mm 다련장 로켓(구룡)을 전력화했다.[4] 1985년부터는 미국과 한국에서 공동 생산한 KM109A2(K55)를 야전에 배치하여 한국군 포병의 주력 화포로 운용하였다.[4] 1990년대 이후에는 K-9 자주포를 개발하였으며 대구경 다련장(MLRS)을 도입하여 전력화했다.[4] 또 대포병 감시 레이다인 AN/TPQ-36, AN/TPQ-37 표적탐지레이다를 도입하였다.[4]

3. 포병학교

포병학교는 포병 장교, 부사관, 병사 양성을 위한 교육 기관이다. 해병대 포병을 비롯해 연간 6,000여 명의 포병 장병을 교육하고 있으며, 2013년 3월 현재까지 50만여 명에 달하는 포병을 배출했다.

3. 1. 임무 및 교육 과정

포병학교는 포병 장교, 부사관, 병사를 육성한다. 해병대 포병을 비롯해 연간 6,000여 명의 포병 장병을 교육하고 있으며, 2013년 3월 현재까지 50만여 명에 달하는 포병을 배출했다. 포병학교는 다음과 같은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고등군사반(OAC): 포대장, 사단급 이하 제대 참모 장교 직무 수행 능력을 구비한다.
  • 초등군사반(OBC): 관측 장교, 전포대장, 대대급 참모 장교 전투 임무 수행 능력을 구비한다.
  • 사격지휘 장교 및 부사관반: 포술 전문가를 육성한다.
  • 부사관반: 포대 행정 보급관, 사격 통제관, 정비 반장, 포반장 등의 임무 수행 능력 구비를 위한 교육을 진행한다.
  • 특기병 교육: 자주포 정비 및 조종 능력 구비를 목표로 한다.
  • 예비역 장교 및 부사관 보수교육: 예비역 장교 및 부사관을 대상으로 보수교육을 실시한다.

3. 2. 조직 및 편성

2012년 12월 1일부로 육군포병학교는 조직이 개편되어 현재 교육여단(전술교육단, 포술1교육단, 포술2교육단), 전투발전부, 행정부, 평가실, 정훈공보실로 편성, 운영되고 있다.[1]

3. 3. 화력센터

화력센터는 2012년 3월 22일 포병학교 내에 개관되었다. 미래전 양상과 무기체계 발전 추세에 따라 화력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효과적 화력 운용을 위한 중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화력센터는 화력학술세미나 개최, “How to fight" 아이디어, 교리 및 전투발전 요구제안 경연대회 개최, 미래 보병사단 화력지원 능력 검증 전투실험, 미210화력여단, 국방과학연구소(ADD) 등의 유관기관과의 MOU 체결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7]

3. 4. 부사관 교육센터

2013년 1월 28일에 창설되었다. 부사관 교육센터는 육군포병학교에 입교하는 모든 부사관을 전담하여 교육하는 기관으로, 육군에 있는 병과학교 중 처음으로 창설되었다. 센터장을 비롯해 모든 교관이 부사관으로 구성된다.[8]

4. 포병 병과

포병은 보병이나 기갑 부대의 작전을 지원하고, 전투 부대가 승리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역할을 주 임무로 하는 육군 병과이다.[5] 대한민국 육군에는 직할 유도탄사령부와 육군교육사령부 예하 포병학교가 편성되어 있다. 1야전군 예하 11야전포병단, 2군단 예하 2포병여단, 3군단 예하 3포병여단, 9군단 예하 12포병단, 3야전군 예하 수도군단 수도포병여단, 1군단 예하 1포병여단, 5군단 예하 5포병여단, 6군단 예하 6포병여단, 7군단 예하 7포병여단이 있다.[6]

4. 1. 임무

포병은 보병이나 기갑 부대의 작전을 지원하고, 전투 부대가 승리를 획득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역할을 주 임무로 하는 육군 병과이다.[5]

4. 2. 편성과 조직

대한민국 육군 직할 유도탄사령부와 육군교육사령부 예하 포병학교가 있다. 1야전군 예하에는 11야전포병단이 있으며, 2군단 예하 2포병여단, 3군단 예하 3포병여단, 9군단 예하 12포병단이 있다. 3야전군 예하 수도군단 수도포병여단, 1군단 예하 1포병여단, 5군단 예하 5포병여단(1야전포병단, 5야전포병단, 8동원포병단), 6군단 예하 6포병여단, 7군단 예하 7포병여단이 편성되어 있다.[6]

5. 무기 체계

육군포병학교에서 교육하는 주요 무기 체계는 다음과 같다.


  • K-55 자주포, K-9 자주포 등의 곡사포
  • 대구경 다련장로켓(MLRS / ATACMS), 현무 등의 미사일
  • 대포병탐지레이다(AN/TPQ-36․37), K10 탄약보급장갑차 등의 기타 장비

5. 1. 곡사포

대한민국 육군 포병의 주요 장비는 K-55 자주포, K-9 자주포 등의 곡사포이다.[9] 포병학교는 K-9 등의 무기체계를 포병장병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5. 2. 미사일

대한민국 육군 포병의 주요 미사일로는 대구경 다련장로켓(MLRS / ATACMS)과 현무가 있다.[9]

5. 3. 기타 장비

대포병탐지레이다(AN/TPQ-36․37)는 적 포병 화력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며, K10 탄약보급장갑차는 포병 부대의 탄약 보급을 담당하는 장갑차이다.[9]

6. 상징

포병 병과와 포병학교를 상징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포병병과 마크: 1971년 정복 개정과 함께 현재의 마크를 사용한다. 두 개의 포신을 교차시킨 형태로, 조선시대의 포인 비천뢰와 장군전을 의미한다.[10]
  • 포병학교 마크: 외부 백색은 단결, 적색은 충성심과 포병화력, 청색 바탕은 평화를, 내부 모형은 화포의 원형, 하단부의 '알아야 한다'는 학교훈을 나타낸다.
  • 군가: 野戰砲兵隊歌중국어는 1950년 6월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작사자 이용전은 문산지구전투(6월 26일)에서, 작곡자 노재린은 서울지구 전투(6월 28일)에서 각각 전사하였다.[1] 砲兵學校歌중국어는 2006년 김진항 작사, 박봉수 작곡으로 만들어졌다.[2]
  • 모토: "화력의 시작점(Fires starts, here!)"으로, 포병학교의 교육 내용이 포병 전술의 지침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이다.[11]
  • 구호: "우레(Uleh!)"는 이순신 장군이 난중일기에서 명량 해전 당시 지자총통, 현자총통 등 각 총통의 빠름과 강력한 폭발력을 묘사할 때 사용한 단어이다. 오정일 포병학교장이 학교 구호로 제정했으며, '격려와 배려, 칭찬'의 선진 병영 문화 정착을 위한 다짐을 담았다. 영어 'Uleh'는 Understand(이해), Love(사랑), Eager(갈망), Happy(행복)의 약자로, "서로 이해하고, 사랑하면서, 하나의 목표를 갈망하면 모두가 행복해진다"라는 미래 선진 병영 문화 창조의 의지를 담고 있다.[12]

6. 1. 포병병과 마크

포병병과 마크는 1947년부터 1971년까지 미군의 병과 휘장을 모방해 사용하다가 1971년 정복 개정과 함께 현재의 병과 마크를 사용하고 있다. 두 개의 포신을 교차시킨 형태로 포열 받침 및 앞장 덮개를 통해 포병임을 표시했다. 교차된 두 개의 포신은 조선시대의 포인 비천뢰를, 가운데는 장군전을 의미한다.[10]

6. 2. 포병학교 마크

포병학교 마크의 외부 백색은 단결을, 적색은 충성심과 포병화력을, 청색 바탕은 평화를, 내부 모형은 화포의 원형을, 하단부의 '알아야 한다'는 학교훈을 나타낸다.

6. 3. 군가

野戰砲兵隊歌중국어는 1950년 6월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작사자 이용전은 6월 26일 문산지구전투에서, 작곡자 노재린은 6월 28일 서울지구 전투에서 각각 전사하였다.[1]

砲兵學校歌중국어는 2006년 김진항 작사, 박봉수 작곡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졌다.[2]

'''砲兵學校歌중국어'''[2]



거친 구름 개이고 새날이 왔다


우리는 국군의 길 영예의 포병


구르는 바퀴마다 다짐이 되어


내 조국 지키는데 목숨 아끼랴


우리는 포병이다 알아야 한다


뭉쳐서 가꿔보자 포병의 전당



6. 4. 모토 및 구호

포병학교의 모토는 "화력의 시작점(Fires starts, here!)"이다. 이는 육군의 모든 포병 장병이 포병학교를 통해 배출되고, 포병학교의 교육 내용이 포병 전술의 지침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1]

포병학교의 구호는 "우레(Uleh!)"다. 위키백과에서는 '우레'를 번개에 의해 1만도 이상 가열된 공기가 폭발하면서 나는 울림, 소리, 방전 현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군에서 이러한 '우레'의 폭발력과 가장 어울리는 특성을 가진 무기 체계는 포병의 대포이다. '우레'는 오랜 역사 속에서 포병을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순신 장군은 명량 해전을 기록한 난중일기에서 "나는 노를 바삐 저어 앞으로 돌진해 지자총통, 현자총통 등 각 총통을 쏘아대어 마치 나가는 게 바람 같기도 하고 우레 같기도 하다"면서 그 빠름과 강력한 폭발력을 우레로 묘사했다. 이러한 특징과 역사를 바탕으로 오정일 포병학교장(소장)이 학교의 구호로 제정했다. 여기에 더해 '우레'에는 '격려와 배려, 칭찬'의 선진 병영 문화 정착을 위한 다짐을 담았다. 영어로 'Uleh'는 Understand(이해), Love(사랑), Eager(갈망), Happy(행복)의 약자로, "서로 이해하고, 사랑하면서, 하나의 목표를 갈망하면 모두가 행복해진다"라는 미래 선진 병영 문화 창조의 의지를 담고 있다.[12]

참조

[1] 서적 포병과 6․25전쟁 육군본부 2006
[2] 서적 포병전사 연구 21세기 군사연구소 2012
[3] 서적 포병과 6․25전쟁 육군본부 2006
[4] 서적 포병무기 변천사 육군인쇄창 2011
[5]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terms.naver.[...]
[6] 문서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조직 및 편성 목록
[7] 뉴스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2-03-28
[8] 뉴스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3-01-29
[9] 웹사이트 http://www.army.mil.[...] 2012-09-10
[10] 웹사이트 http://www.army.mil.[...]
[11] 뉴스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3-01-14
[12] 뉴스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3-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