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해각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해각서(MoU)는 조약의 일종으로, 국가 간 또는 기관, 기업 간의 합의를 문서화하는 데 사용된다. 조약과 달리 국회의 승인과 같은 복잡한 절차 없이 체결될 수 있으며, 법적 구속력이나 벌칙 규정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주로 공식 계약 체결 전 의견 조율을 위해 사용되며, 기존 조약을 수정하고 적용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국제 관계, 기후 변화, 지방 정부 간 협력 등에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정 - 실적주의
    실적주의는 객관적인 실적을 기준으로 공무원을 임용하는 제도로, 공정한 기회 제공, 전문성 및 정치적 중립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경직된 조직 문화, 실질적 형평성 문제, 능력 평가의 한계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행정 - 광역지방자치단체장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은 대한민국에서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단체장이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민선으로 선출되고 있다.
  • 법률 문서 - 리스
    리스는 자산 소유자가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계약으로, 자금조달 성격의 금융리스와 임대차 성격의 운영리스로 구분되며, 리스료는 자산가액, 제세공과금, 자금조달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되고, 비용 평준화, 세금 혜택, 유동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회계 처리 및 세제 혜택은 국가별로 다르며, 국제회계기준(IFRS) 16호와 미국 일반회계기준(US GAAP) ASC 842는 단기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를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로 인식하도록 규정한다.
  • 법률 문서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7월 4일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채택된 미국 독립선언은 영국으로부터 13개 식민지가 독립된 주권 국가임을 선언하고, 토머스 제퍼슨이 초안을 작성하여 존 로크의 자연권 사상에 기초,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천명하며 정부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국민의 저항권(혁명권)을 명시한 문서이다.
양해각서
개요
정의 및 목적
사용
구속력
문서 형식
내용
다른 문서와의 비교

2. 국제법상 양해각서

국제법에서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eng, MoU)는 주로 여러 국가의 행정기관 간 합의를 체결할 때 사용되는 문서 형식을 말한다. 이는 국제공법상 넓은 의미의 조약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6], 실제 체결 절차나 법적 구속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조약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인 조약과 달리, 양해각서의 체결에는 국회승인 (비준)과 같은 복잡한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21] 이 때문에 행정기관 간의 제도 운영 등에 관한 합의는 양해각서의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해각서는 통상적으로 합의 위반 시 벌칙 조항을 두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제 관계에서 양해각서는 국제연합 조약집에 등록되어야 하는 조약의 일종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6], 실제로는 국제연합 법무국이 '비밀 외교'를 방지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밀로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법적으로 '양해각서'라는 명칭 자체가 해당 문서가 국제법상 구속력이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속력 여부는 당사자들의 의도, 서명자의 지위, 사용된 문구 등을 통해 판단해야 한다.[7]

외교 용어로서 '각서'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국가 간 합의를 나타내는 '합의 각서'는 조약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20], 조약 협상 과정에서 비공식적 합의를 담는 '이해 각서' 역시 조약의 일종으로 분류되지만[22], 체결 절차와 법적 구속력에서 일반 조약과 차이가 있다.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회의 비준을 거치지 않은 각서가 국가 전체를 구속하는 공식적인 조약으로 인정받기는 어렵지만, 각서를 작성한 정부나 담당 기관 사이에서는 법적 구속력이 인정될 수 있다.

2. 1. 법적 구속력

양해각서(MOU)는 행정기관 등 조직 간의 합의 사항을 기록한 문서로, 일반적으로 조약이나 계약서와 달리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는다.[17] 이는 국가 간, 국가기관 사이, 일반기관 사이, 일반기업 사이 등 다양한 주체 간에 작성될 수 있다.

국가 행정기관 간에 체결되는 양해각서는 국제공법상 넓은 의미의 조약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6], 실제로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조약 체결에 필요한 국회비준과 같은 복잡한 절차가 필수적이지 않으며, 이 때문에 행정기관 간 제도 운용 등에 관한 합의는 양해각서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통상적으로 합의 위반 시 벌칙 규정을 두지 않는다.

국제 관계에서 양해각서라는 명칭 자체가 국제법상 구속력 유무를 결정하지는 않는다. 특정 양해각서가 법적 구속력을 갖는 조약인지 판단하려면 당사자들의 의도, 서명자의 지위(예: 외교부 장관 대 환경부 장관), 문서의 구체적인 문구 등을 신중하게 분석해야 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1994년 "카타르 대 바레인" 사건 판결[7]에서 이러한 판단 기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 바 있다. 비록 국제연합 조약집에 등록되어야 하는 대상이지만[6], 때로는 '비밀 외교'를 피하려는 국제연합 법무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밀로 유지되기도 한다.

기업 간에 작성되는 양해각서는 주로 정식 계약 체결 전에 쌍방의 의견을 미리 조율하고 확인하는 상징적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역시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위반 시 도덕적 책임을 지게 될 수 있다. 기업 공시에서도 의무 사항은 아니다.

민간 부문에서도 대학이나 연구기관의 국제 교류, 공동 연구, M&A 과정 등에서 양해각서가 활용된다.[18] 이 경우 법적 구속력은 다양하며, 구속력이 없을 때는 그 내용을 명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9]

'각서'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를 가지는데, 정보 전달이나 일방적 의사 통고를 위한 문서일 수도 있고, 국가 간 합의 문서(합의 각서)로서 조약의 성격을 가질 수도 있다.[20] 외교적으로는 의사록 전달, 일방적 의사 통고(통고 각서), 조약 협상 시 비공식적 합의(이해 각서)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22] 이러한 국제공법상의 이해 각서 역시 조약의 일종으로 분류되지만, 체결 절차와 법적 구속력에서 차이가 있다.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회의 비준을 거치지 않은 각서가 국가 전체를 구속하는 공식적인 조약으로 인정받기는 어렵지만, 각서를 작성한 정부나 담당 기관 사이에서는 법적 구속력이 인정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입법부국회의 승인을 거치지 않은 이해 각서는 직접적인 법령으로서의 지위를 갖지 못한다. 그러나 이해 각서에서 합의된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관련 법률이나 정령(일본의 법규명령)이 개정된다면, 간접적으로 법적 규범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2. 2. 조약과의 차이점

양해각서는 국제공법상 넓은 의미의 조약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6], 체결 절차나 법적 구속력에 있어서 일반적인 조약과 실질적인 차이가 있다.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체결 절차이다. 일반적인 조약은 국회비준이나 승인과 같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양해각서는 이러한 절차가 필수적이지 않다.[21] 이 때문에 여러 국가의 행정기관 간 제도 운용 등에 관한 합의는 양해각서의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법적 구속력 측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양해각서는 통상적으로 조약과 같은 강력한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으며, 합의를 위반했을 경우에 대한 벌칙 등을 규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21] 그러나 '양해각서'라는 명칭 자체가 반드시 법적 구속력이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정 양해각서가 국제법상 구속력 있는 문서(즉, 조약)인지 판단하려면 당사자들의 의도, 서명자의 지위(예: 외교부 장관 대 환경부 장관), 문서의 문구 등을 신중하게 분석해야 한다.[7] 국제사법재판소는 1994년 "카타르 대 바레인" 사건 판결에서 문서의 법적 지위 판단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7] 또한, 기존 조약을 수정하거나 적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해각서는 사실상 조약의 지위를 가질 수도 있다.[8] 비록 국가 간의 공식적인 조약으로 취급되지 않더라도, 각서를 작성한 정부(내각·대통령府 등) 간 또는 담당 당사자 간의 법적 구속력은 일반적으로 인정된다.

국제 관계에서 양해각서는 국제연합 조약집에 등록되어야 하는 조약의 일종으로 간주되지만[6], 실제로는 국제연합 법무국의 '비밀 외교' 방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밀로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UN에 등록되지 않은 양해각서는 UN 기관 앞에서 집행될 수 없으며, 국제법상 의무를 생성하지 않았다고 간주될 수 있다.[8]

정식 조약보다 양해각서가 선호되는 이유 중 하나는, 국제법상 의무 발생을 회피할 수 있어 입법부의 승인 없이 발효될 수 있다는 점이다.[8] 다만, 비준에 관한 결정은 당사국의 국내법과 합의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2. 3. 장점 및 활용

양해각서(MOU)는 정식 조약이나 계약서에 비해 절차가 간소하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국가 행정기관 간 합의 시, 조약 체결에 필요한 국회승인 (비준)과 같은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한 합의 도출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여러 국가 행정기관 간 제도 운영 등에 관한 합의는 양해각서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정식 조약과 비교했을 때, 양해각서는 국제법상 의무 발생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입법부 승인 없이 발효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8] 이러한 특징 때문에 기존 조약을 수정하거나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자주 활용되며, 이 경우 사실상 조약과 유사한 지위를 갖기도 한다.[8]

양해각서는 국가 간 관계뿐 아니라 다양한 주체와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 국가 및 공공기관: 국가 간, 행정기관 간 정책 협력, 제도 운영 등
  • 기업: 정식 계약 전 의견 조율, M&A 과정에서의 중간 합의 사항 확인 등[18]
  • 학술 및 연구기관: 대학, 연구소 간 국제 교류 및 공동 연구 추진[18]
  • 국제 관계: 광범위한 의미의 조약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국제연합 조약집 등록 대상이 되기도 한다.[6] 다만, 실제 법적 구속력 유무는 당사자의 의도, 서명자의 지위, 구체적인 문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7] 국제사법재판소는 "카타르 대 바레인" 사건 판결[7]에서 이러한 판단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 다자간 협력: 드물지만 초국가적 항공 협정과 같이 여러 국가가 참여하는 합의에도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양해각서는 합의 위반 시 벌칙 조항을 명시하지 않으며,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많다.[17][19] 그러나 기업 간 양해각서를 위반하면 도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으며, 국가 간 합의의 경우 외교적 신뢰나 당국 간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공개로 유지되어 국제연합에 등록되지 않은 양해각서는 국제연합 기구 앞에서 효력을 주장하기 어렵다.

3. 다양한 분야에서의 양해각서

양해각서(MOU)가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여러 국가의 행정기관 간 계약을 체결할 때이다. 이러한 국제공법상 양해각서는 조약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체결 절차나 법적 구속력 측면에서는 실질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 양해각서 체결에는 일반적인 조약 체결 시 필요한 국회승인(비준)과 같은 복잡한 절차가 필수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여러 국가 행정기관 간의 제도 운영 등에 관한 합의는 양해각서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양해각서는 통상적으로 합의를 위반했을 경우에 대한 벌칙 등을 규정하지 않는다.[17]

포괄적인 의미의 양해각서는 국가 대 국가뿐 아니라 국가기관 사이, 일반기관 사이, 일반기업 사이 등 다양한 주체 간에 여러 형태의 문서로 작성될 수 있다. 기업 간에 작성되는 양해각서는 주로 정식 계약서를 체결하기 전에 서로의 의견을 미리 조율하고 확인하는 상징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법적 구속력은 없으며, 기업 공시에서도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위반 시 도덕적 책임을 지게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대학이나 연구기관 간 국제 교류나 공동 연구 시, 또는 M&A 과정에서 최종 계약 체결 전 합의된 사항(매수 가격, 일정 등)을 확인하기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한다.[18] 법적 구속력의 유무는 경우에 따라 다르며, 구속력이 없을 경우 문서에 그 내용을 명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9]

구체적인 활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미국 법무부의 여성폭력방지국(OVW, Office on Violence Against Women)과 다른 부처 간 협약을 위한 양해각서 템플릿[12]
  •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도시 빈민의 토지와 주택 개선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풀뿌리 조직이 개발한 양해각서[13]
  • 방글라데시에서 비정부기구(NGO)와 정부가 국가결핵관리프로그램(National Tuberculosis Control Programme) 관련 업무를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양해각서[14]
  • 짐바브웨 하라레에서 도시 당국과 NGO가 빈민가를 공동으로 기록하고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양해각서[15]


한편, 외교 용어로서의 '각서'는 정보 전달이나 일방적인 의사 통고를 위한 공식 문서, 또는 국가 간에 절차 없이 합의하고 대표자가 서명하여 교환하는 문서를 의미하기도 한다. 후자는 '합의 각서'라고도 불리며 조약의 성격을 가질 수 있다.[20] 외교 협상 내용을 기록하여 상대에게 전달하는 각서, 자국의 주장을 통고하는 '통고 각서', 조약 협상 시 논제를 제한하기 위한 '이해 각서'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22]

군주제 시대에는 군주나 대리인의 서명만으로도 각서가 외교적 구속력을 가졌으나,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공식적인 조약이 되려면 일반적으로 의회의 비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회 승인을 거치지 않은 양해각서는 그 자체로 법령과 같은 직접적인 법적 효력을 갖지는 않는다. 다만, 양해각서에 합의된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관련 법률이나 시행령 등이 개정될 경우 간접적으로 법적 규범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합의 불이행 시 외교적 또는 당사자 간 신뢰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양해각서의 사례

양해각서(MOU)는 국가 행정기관 사이의 합의[17]뿐만 아니라, 일반 기관이나 기업 사이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국제 관계에서는 조약과 유사한 성격을 띠기도 하지만[6], 국회 승인 같은 복잡한 절차 없이 행정기관 간의 제도 운영 등에 관한 합의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7]

민간 부문에서도 양해각서는 활발하게 사용된다. 대학이나 연구기관 간의 국제 교류 및 공동 연구, M&A 과정에서 최종 계약 전 합의 사항 확인[18], 기업 간 사업 제휴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체결된다.

이처럼 양해각서는 국제적인 외교 관계부터 국내 기관 간 협력, 민간 기업의 사업 활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문서 형식이다. 일반적으로 정식 계약서와 달리 법적 구속력은 약하거나 없는 경우가 많지만[17][19], 합의 내용을 위반할 경우 도덕적 책임이나 당사자 간 신뢰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인 사례들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분야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4. 1. 국제 관계

양해각서(MoU)는 여러 국가의 행정기관 간 계약을 체결할 때 자주 사용되는 형식이다. 이는 국제공법상 넓은 의미의 조약에 속하지만[6], 체결 절차나 법적 구속력 면에서는 일반적인 조약과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조약 체결에는 국회의 승인과 같은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지만, 양해각서는 이러한 절차가 필수적이지 않다. 따라서 국가 행정기관 간의 제도 운영 등에 관한 합의는 양해각서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합의를 위반했을 경우에 대한 벌칙 조항을 두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국제 관계에서 양해각서는 국제연합 조약집에 등록되어야 하지만[6], 국제연합 법무국이 '비밀 외교' 방지를 위해 등록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기밀로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양해각서라는 명칭 자체가 해당 문서가 국제법상 구속력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법적 구속력은 당사자들의 의도, 서명자의 지위(예: 외교부 장관 대 환경부 장관), 사용된 문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판단해야 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1994년 "카타르 대 바레인" 사건 판결[7]에서 이러한 판단 기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 바 있다.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공식적인 조약이 성립하려면 국회의 비준이 필요하므로,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은 양해각서는 그 자체로 공식적인 조약으로 취급되기는 어렵다. 다만, 각서를 작성한 정부나 담당 기관 사이에서는 일반적으로 법적 구속력이 인정될 수 있으며, 합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외교적 또는 당사 기관 간의 신뢰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제 관계에서 체결된 양해각서의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관련 국가/기관내용비고
1972년미국 - 소련반탄도탄 미사일 조약 관련 양해각서[9]리처드 닉슨과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서명
1973년미국 - 쿠바항공기 및 선박 납치 방지 양해각서양국에서 납치를 범죄화
-케이맨 제도 - 쿠바쿠바 난민 처리 관련 협정[10]송환 또는 계속 항해 선택권 부여
1994년미국 - 북한핵 문제 관련 제네바 합의
1996년이라크 - UN석유 대 식량 프로그램 참여 양해각서
2005년인도네시아 정부 - GAM아체 평화 프로세스 협정
-영국 - 요르단, 리비아, 레바논테러 용의자 인도 관련 협정법적 구속력 부재 및 고문 증거 사용 금지 관련 논란 (아부 카타다 사례)
2008년중화인민공화국, 싱가포르, 뉴질랜드노동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각국 자유 무역 협정과 병행 체결
2015년Under2 연합기후 변화 완화 목표 설정 양해각서10억 명 이상 주민 거주 지역 참여
2019년미시간주 천연자원부 - 사기노 칩피와 부족사닐락 석상 역사 주립 공원 공동 관리 양해각서[11]미시간 주 최초의 주-부족 공동 관리 협정


4. 2. 기타

양해각서(MOU)라는 용어는 민간 부문에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각국의 대학이나 연구기관 간 국제 교류나 공동 연구 시, 또는 M&A 과정에서 당사자들이 최종 계약 체결 전에 합의된 사항(매수 가격, 일정 등)을 확인하기 위해 MOU를 체결하는 경우가 있다.[18] 이러한 민간 MOU의 법적 구속력 유무는 다양하며, 구속력이 없을 경우 이를 명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9]

국제 개발 분야에서도 MOU가 활용된다.

  •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도시 빈민의 토지와 주택 개선을 위해 풀뿌리 조직이 MOU를 개발했다.[13]
  • 방글라데시에서는 비정부 기구(NGO)와 정부가 국가 결핵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업무를 정하기 위해 MOU를 사용한다.[14]
  • 짐바브웨 하라레에서는 도시 당국과 NGO가 빈민가를 공동으로 문서화하고 개선하기 위해 MOU를 활용한다.[15]


미국 법률에서는 미국 법무부 산하 여성폭력방지국(OVW, Office on Violence Against Women)이 부처 간 협약을 위해 사용하는 표준 MOU 템플릿이 있다.[12]

일반적으로 ‘각서’는 정보 전달이나 일방적인 의사 통고를 위한 공식 문서, 또는 국가 간 간략한 합의 문서를 의미하며, 후자는 합의 각서라고도 불리며 조약의 성격을 가질 수도 있다.[20] 외교 용어로서의 각서는 외교 협상 내용을 기록하여 전달하는 간략한 문서 형식이지만, 자국의 입장을 통고하는 ‘통고 각서’나, 조약 협상 시 논점 제한 등을 위한 비공식적 합의 문서인 ‘이해 각서’도 있다.[22]

국제공법상 이해 각서는 조약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체결 절차와 법적 구속력 면에서 차이가 크다. 과거 군주제 시대와 달리 현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공식 조약 체결에 국회의 비준이 필요하므로, 각서가 공식 조약으로 인정받으려면 의회의 승인이 필요할 수 있다. 다만, 각서를 작성한 정부 기관 간의 법적 구속력은 일반적으로 인정된다. 이해 각서는 국회 승인 같은 복잡한 절차가 필요 없어 행정 기관 간 제도 운영 합의 등에 자주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MOU는 합의 위반 시 벌칙 규정을 두지 않는다. 국내법상 효력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서의 내용에 따라 외교적 또는 당국 간 신의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

일본의 경우, 입법 기관인 국회의 승인을 거치지 않은 이해 각서는 직접적인 법령 지위를 갖지 않는다. 하지만 합의 사항 이행을 위해 법률이나 정령이 개정되면 간접적으로 법적 규범으로 기능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Eu and Cyprus: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Full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20-06-05
[2] 웹사이트 What is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 MOU?, https://www.investop[...] 2019-02-12
[3] 웹사이트 Contract or Memorandum of Understanding – The differences and uses you should know, https://houston.scor[...] Service Corps of Retired Executives 2017-03-02
[4] 웹사이트 Memorandum that is effective, concise, and clear https://www.wiki.mer[...] 2020-06-05
[5] 서적 Business Policy and Strategic Management,2e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2020-06-05
[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http://treaties.un.o[...] treaties.un.org 2013-12-31
[7] 웹사이트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Qatar v. Bahrain)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13-10-13
[8] 학술지 Lack of Understanding on Memorandum of Understanding http://www.jstor.org[...] 2020-06-05
[9] 웹사이트 ABM Treaty: Memorandum of Understanding http://www.acq.osd.m[...]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Acquisition, Technology, and Logistics 2013-09-30
[10] 웹사이트 Memorandum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Cayman Islands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uba http://www.immigrati[...] 2020-06-05
[11] 뉴스 Saginaw Chippewa And State Of Michigan To Begin Co-management Of The Sanilac Petroglyphs Historic State Park https://nativenewson[...] 2020-05-04
[12] 웹사이트 Sampl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https://www.justice.[...]
[13] Thesis Quiet conflict : social movements, institutional change, and upgrading informal settlements in South Africa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3
[14] 학술지 Engagement with Non-State Service Providers in Fragile States: Reconciling State-Building and Service Delivery http://pure-oai.bham[...] 2019-12-11
[15] 학술지 Making spaces for co-production: collaborative action for settlement upgrading in Harare, Zimbabwe 2018-08-06
[16] 웹사이트 了解覚書 https://kotobank.jp/[...]
[17] 웹사이트 エム‐オー‐ユー【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https://kotobank.jp/[...]
[18] 웹사이트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https://www.antelope[...]
[19] 웹사이트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https://www.concord-[...]
[20] 웹사이트 覚え書 memorandum https://kotobank.jp/[...]
[21] 웹사이트 覚書(外交用語) https://kotobank.jp/[...]
[22] 웹사이트 覚書(外交用語)からの引用ここま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