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상총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상총대는 일본 육상자위대의 지휘 체계 정비를 위해 2018년 3월 27일 창설된 부대이다. 육상자위대의 직할 부대를 통괄하며, 방위대신으로부터 직접 지휘·감독을 받는다. 냉전 시기 5개 방면대 체제에서 방면대별 조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항공자위대 및 해상자위대와 유사하게 육상 부대의 통합 운용을 강화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2009년 육상총대 신설이 검토되었으나, 정권 교체로 보류되었다가 2012년 자민당 정권 출범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육상총대 사령부는 아사카 주둔지에 위치하며, 사령관, 참모장, 각 부서 및 직할 부대로 구성된다. 창설 이후, 동일본 대지진 발생 시 재해 파견을 수행했으며, 지휘 체계 문제 및 문민 통제 약화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자위대의 부대 및 편성 - 중앙즉응집단
    중앙즉응집단은 게릴라 및 테러 대응, 국제 활동을 목적으로 창설된 육상자위대 부대로,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특수작전군, 제101특수무기방호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활동하다 2018년 3월 26일 해체되었다.
  • 육상자위대의 부대 및 편성 - 쓰시마 경비대
    쓰시마 경비대는 쓰시마 방위와 경비를 주 임무로 하는 일본 육상자위대의 부대로, 1962년 창설된 쓰시마 파견대를 모체로 1980년 정식 창설되었으며 유사시 증원 부대 지휘를 상정하여 대령급 지휘관이 배치되고 지역 사회와 협력한다.
  • 아사카시 - 아사카역 (사이타마현)
    아사카역은 일본 사이타마현 아사카시에 위치한 도부 철도 도조 본선의 역으로,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및 후쿠토신선과 연결되어 급행, 준급행, 각역정차 열차가 정차하며, 1914년 개업 후 1932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 2023년 급행 정차역이 되었고, 주변에는 아사카시청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아사카시 - 시키역 (사이타마현)
    시키역은 사이타마현 시키시와 니자시에 위치한 도부 철도 도조 본선의 역으로, 1914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현재 2면 4선의 지상 교상역으로 운영되며, 이케부쿠로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 2018년 설립 - BMO 스타디움
    BMO 스타디움은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2만 2천 석 규모의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로스앤젤레스 FC와 앤젤 시티 FC의 홈구장이며, 2028년 하계 올림픽 경기 개최 예정이고,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열린다.
  • 2018년 설립 - 자카르타 국제 벨로드롬
    자카르타 국제 벨로드롬은 2018년 아시안 게임을 위해 건설된 UCI 규격의 250m 트랙 경기장으로, 사이클 경기뿐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 경기, 콘서트, 전시회 등 다목적 시설로 활용되며 동남아시아 사이클 중심지 역할을 한다.
육상총대
기본 정보
육상총대 휘장
명칭육상총대
원어 명칭(리쿠죠 소타이)
영어 명칭Ground Component Command (GCC)
창설일2018년 3월 27일
소속육상자위대
병과해당 없음 (고위 사령부)
종류고위 사령부
역할작전 부대 총괄 지휘통제
규모총군
명령 체계육상막료감부
소재지도쿄도 네리마구
편성지아사카
통칭호해당 없음
애칭해당 없음
표어해당 없음
상급 부대방위대신 직할
담당 지역일본 전국
주요 전력해당 없음
지휘관
주요 지휘관해당 없음
기타
웹사이트해당 없음

2. 역사


  • 2018년(헤이세이 30년) 3월 27일: 아사카 주둔지에서 육상총대가 신편되었다.
  • 2019년(레이와 원년) 10월 13일: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태풍 19호) 발생에 따라 재해 파견에 출동하였다. (창설 후 첫 재해 파견)[20]
  • 2022년(레이와 4년) 3월 17일: 아사카 주둔지에 전자작전대를 신편하였다.[21][22][23][24]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발전 (경찰예비대, 보안대)

이전부터 항공자위대항공총대를 총괄하는 항공총대사령관이 전국의 운용 부대를, 해상자위대자위함대를 총괄하는 자위함대사령관이 전국의 기동 운용 부대를 일원적으로 운용해 왔다(항공자위대의 항공방면대는 모두 항공총대의 예하에 속하는 반면, 해상자위대의 지방대는 자위함대에 속하지 않고 지방총감이 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항공자위대와 해상자위대는 유사시 방위대신이 통합막료장을 통해 1명의 사령관에게 명령을 내리면 전국적인 부대 전개가 가능했다. 한편, 육상자위대에서는 최상급 부대인 북부, 도호쿠, 동부, 중부, 서부 각 방면대가 병립하고 있었기 때문에 방위대신은 각 방면대를 총괄하는 5명의 방면총감에게 개별적으로 명령을 내려야 했다. 이 때문에 방면대별로 조정할 필요가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이전부터 있었다.[6][7]

과거 경찰예비대에는 전국의 부대를 가지고 편성된 '경찰예비대총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방면대는 설치되지 않았고, 총대총감이 전국의 제1부터 제4의 관구대(사단에 상당) 등을 지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경찰예비대의 부대의 편성 및 조직에 관한 규정).

2. 2. 5개 방면대 체제

이전부터 항공자위대항공총대를 총괄하는 항공총대사령관이 전국의 운용 부대를, 해상자위대자위함대를 총괄하는 자위함대사령관이 전국의 기동 운용 부대를 일원적으로 운용해 왔다(항공자위대의 항공방면대는 모두 항공총대의 예하에 속하는 반면, 해상자위대의 지방대는 자위함대에 속하지 않고 지방총감이 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항공자위대와 해상자위대는 유사시 방위대신이 통합막료장을 통해 1명의 사령관에게 명령을 내리면 전국적인 부대 전개가 가능했다. 한편, 육상자위대에서는 최상급 부대인 북부방면대, 도호쿠방면대, 동부방면대, 중부방면대, 서부방면대가 병립하고 있었기 때문에 방위대신은 각 방면대를 총괄하는 5명의 방면총감에게 개별적으로 명령을 내려야 했다.[6][7] 이 때문에 방면대별로 조정할 필요가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이전부터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위성은 육자대의 부대를 일원적으로 운용하는 육상총대와 이를 총괄하는 육상총대사령관의 설치를 검토하기 시작했고, 2004년(헤이세이 16년)의 「방위계획의 대강」(16대강)에서도 육상총대 신설 검토가 이루어졌지만, 당시에는 보류되었다.

참고로, 과거의 경찰예비대에는 전국의 부대를 가지고 편성된 「경찰예비대총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방면대는 설치되지 않았고, 총대총감이 전국의 제1부터 제4의 관구대(사단에 상당) 등을 지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경찰예비대의 부대의 편성 및 조직에 관한 규정).

  • 육상총대 설치 전 방위대신으로부터의 지휘 계통


방위대신
운용조정통합막료감부
자위함대
항공총대
북부방면대
도호쿠방면대
동부방면대
중부방면대
서부방면대


2. 3. 육상총대 창설 논의 (민주당 정권)

2009년 민주당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은 방위계획대강에서 육상총대 신설을 다시 검토하였다.[6][7] 여러 지역에 걸친 작전 기획, 조정, 부대 운용을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제45회 중의원의원총선거 결과 자유민주당 정권이 붕괴되고 민주당 정권이 출범하면서 이 개정안은 보류되었다.

당시 공개된 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육상총대를 신설하고 동부방면대를 폐지하며, 예하 제1사단을 "수도방위집단"으로 개편하여 육상총대 직할로 둘 예정이었다.[8] 이는 국가 중추에서 테러 및 게릴라 공격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제12여단동북방면대 예하로 이관하고, 중앙즉응집단을 육상총대 예하로 하여 국내외 기동성을 높이는 방침이었다.[8]

이러한 개편은 방면대 설치 이후 50년 만의 대개혁이 될 수 있었다. 당초에는 모든 방면대를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무력공격사태 등에 대한 국민보호법에 근거한 대응 조정은 방면대가 담당하고 있어 작전 부대인 사단이나 여단이 이를 대체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일본 국토가 남북으로 길어 지역별 작전을 담당하는 방면대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동부방면대 외에는 존속시키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육상총대와 수도방위집단의 장에 육장이 임명되면서 중간 직책 증가로 인한 지휘 체계 혼란, 장관 감축에 반대하는 방위성 제복조와 예산 삭감을 주장하는 재무성 간의 의견 대립 등 여러 과제가 있었다.[9] 또한, "최고사령부" 창설이 태평양 전쟁에서 폭주한 참모본부(구 육군)를 연상시킨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육상총대는 자위대 통합 운용에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었다.[9]

2. 4. 육상총대 창설 (자민당, 제2차 아베 내각)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정권을 탈환하고 제2차 아베 내각이 발족했다. 아베 총리는 2013년(헤세이 25년) 1월 25일 각의에서 이전 민주당 정권 하에서 제정된 방위대강령 및 중기방위계획을 폐지했다.[12]

2013년(헤세이 25년) 5월 16일, 자민당은 새로운 방위계획대강에 관한 제언에 육상총대 신설을 포함시켰다.[13][14] 같은 해 12월 17일, 중기방위력정비계획(헤세이 26년도~헤세이 30년도)에서 "일부 방면총감부의 기능을 재검토하여 육상총대를 신편한다. 그때, 중앙즉응집단을 폐지하고, 그 예하 부대를 육상총대에 편입한다."라고 결정했다.[15]

2015년(헤세이 27년) 5월 15일, 제3차 아베 내각은 2017년(헤세이 29년도)을 목표로 수백 명 규모의 사령부를 아사카 주둔지에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자마 주둔지는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용지 확보가 어려워 후보에서 제외되었다.[16][17]

2017년(헤세이 29년) 5월 26일, 육상총대 창설 등을 포함한 개정 자위대법이 성립되었다. 2018년(헤세이 30년) 3월 27일, 중앙즉응집단이 폐지되고 육상총대가 설치되었다.[18][19]

2. 5. 창설 이후


  • 2018년(헤이세이 30년) 3월 27일: 아사카 주둔지에서 육상총대가 신편되었다.
  • 2019년(레이와 원년) 10월 13일: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태풍 19호) 발생에 따라 재해 파견 출동하였다.(창설 후 첫 재해 파견)[20]
  • 2022년(레이와 4년) 3월 17일: 아사카 주둔지에 전자작전대를 신편하였다.[21][22][23][24]

3. 조직

육상총대는 육상자위대 내 지휘 체계 정비를 위해 설립된 조직이다. 육상총대 사령관은 방위대신의 직접 지휘·감독을 받으며, 필요한 경우 각 방면대 전부 또는 일부를 지휘할 수 있다.[3] 통합막료감부, 해상자위대 자위함대 사령부, 항공자위대 항공총대 사령부, 미군 등과의 평시 운용 조정도 주요 임무이다.[2]

육상총대 사령관의 방면대 지휘권 발동 조건은 훈령으로 발표되어 있다.[4] 자위대의 행동에 관해 복수의 방면대 또는 육상총대 직할 부대와 방면대가 동시에 행동할 필요가 있을 때, 방위대신 명령(일반적인 재해파견 시에는 육상총대 사령관 판단)에 따라 지휘권이 발동된다.[4][5] 즉응 체제·비상 근무 체제 지정, 주둔지 경비, 정보 수집 활동 지휘도 육상총대 사령관 권한에 포함된다.[4][5]

육상총대는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등 기동 운용 부대와 시스템통신단, 국제활동교육대 등 전문 부대도 직할 부대로 두고 있다.

3. 1. 육상총대

육상총대는 육상자위대 내 지휘 체계 정비를 위해 설립된 조직이다. 육상총대 사령관은 방위대신의 직접 지휘·감독을 받으며, 필요한 경우 각 방면대 전부 또는 일부를 지휘할 수 있다.[3] 통합막료감부, 해상자위대 자위함대 사령부, 항공자위대 항공총대 사령부, 미군 등과의 평시 운용 조정도 주요 임무이다.[2]

육상총대 사령관의 방면대 지휘권 발동 조건은 훈령으로 발표되어 있다.[4] 자위대의 행동에 관해 복수의 방면대 또는 육상총대 직할 부대와 방면대가 동시에 행동할 필요가 있을 때, 방위대신 명령(일반적인 재해파견 시에는 육상총대 사령관 판단)에 따라 지휘권이 발동된다.[4][5] 즉응 체제·비상 근무 체제 지정, 주둔지 경비, 정보 수집 활동 지휘도 육상총대 사령관 권한에 포함된다.[4][5]

육상총대는 제1공정단, 제1헬리콥터단 등 기동 운용 부대와 시스템통신단, 국제활동교육대 등 전문 부대도 직할 부대로 두고 있다.

3. 1. 1. 육상총대 사령부


  • 사령관: 육장[25]
  • 참모장: 육장[26]
  • 참사관[27]
  • 총무부 (부장은 1등육좌(일))
  • 총무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인사과 (과장은 1등육좌(삼))
  • 회계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정보부 (부장은 육군소장(이)[28])
  • 정보 제1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정보 제2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운용부 (부장은 육군소장(이))
  • 방위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운용과 (과장은 1등육좌(삼))
  • 국제협력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시스템통신과 (과장은 1등육좌(삼))
  • 후방운용부 (부장은 1등육좌(일))
  • 후방운용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장비과 (과장은 1등육좌(삼))
  • 일미공동부 - 자마 주둔지
  • 보도관 (1등육좌(이))
  • 의무관 (1등육좌(이))
  • 감찰관 (1등육좌(이))
  • 법무관 (1등육좌(이))

3. 1. 2. 육상총대 직할 부대

3. 2. 방면대

육상자위대의 지역별 방위를 담당하는 5개 방면대는 다음과 같다. 각 방면대 예하에는 사단, 여단, 단 등이 편성되어 있다.[1]

방면대주둔지
북부방면대삿포로 주둔지
동북방면대센다이 주둔지
동부방면대아사카 주둔지
중부방면대이타미 주둔지
서부방면대겐군 주둔지


3. 3. 기타 부대

육상총대 직할 부대는 다음과 같다.

  • 교육훈련연구본부
  • 보급통제본부
  • 중앙수송대

4. 주요 간부

(중앙정보대장 겸임)육장보후카쿠사 타카노부(深草貴信)2024년 12월 20일자위대 오사카 지역협력본부장운용부장육장보나시키 신고(梨木信吾)2023년 12월 22일수륙기동단장 겸 아이우라 주둔지 사령관후방운용부장1등육좌오오바 아키히코(大場昭彦)2023년 3월 13일통합막료감부 최고후방보급관 부속 후방보급관일미공동부장육장보효고 고(兵庫剛)2024년 12월 20일제10사단 부사단장 겸 모리야마 주둔지 사령관감찰관1등육좌하마오카 키요타카(濵岡清隆)2024년 3월 4일육상자위대 항공학교 가스미가우라 분교장법무관1등육좌가토 타카유키(加藤貴之)2024년 3월 4일제3고사특과군장보도관1등육좌요토 코히코(與藤公彦)2024년 3월 21일제10특과연대장 겸 토요카와 주둔지 사령관의무관1등육좌이와모토 신이치로(岩本慎一郎)2023년 9월 1일서부방면총감부 의무관 겸 자위대 구마모토 병원 근무



'''역대 육상총대 사령관'''

육상총대 사령관 문서를 참조.

역대 육상총대 사령부 참모장
(육장·지정직 1호)
성명재직기간출신교·기수전직후임
1후지타 히로카즈(藤田浩和)2018년 3월 27일 - 2019년 4월 1일방위대 28기육상자위대 고사학교장 겸 시모시즈 주둔지 사령관퇴직
2하라다 토모소(原田智総)2019년 4월 1일 - 2019년 12월 19일방위대 31기제15여단장방위대학교 간사
3코와세 하지메(小和瀬一)2019년 12월 20일 - 2020년 12월 21일생도 24기·도쿄이과대학[31]제14여단장퇴직
4우시지마 키즈쿠(牛嶋築)2020년 12월 22일 - 2023년 3월 29일방위대 33기동북방면총감부 참모장 겸 센다이 주둔지 사령관육상자위대 보급통제본부장 겸 주조 주둔지 사령관
5우에다 카즈키(上田和幹)2023년 3월 30일 - 2024년 3월 27일방위대 35기육상막료감부 장비계획부장육상막료부장
6사카이 카즈오(堺一夫)2024년 3월 28일 -방위대 36기동부방면총감부 참모장 겸 아사카 주둔지 사령관


5. 비판 및 논란

문야 스케시게(文谷数重)는 육상총대 창설로 인해 지휘관·막료 직책만 많아지고, 전면 전력과 병참이 약해질 수 있으며, 사단 유지로 인해 옥상옥 구조가 되었다고 비판한다.[33] 또한 육상총대 사령부 창설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3]

2015년 3월 10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미야자와 히로유키(宮澤博行)는 육상총대 창설이 제복군의 독주와 문민통제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과거 육군이 독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육상자위대를 5개의 방면대로 나누어 독주를 막았는데, 육상총대를 창설하는 것이 과연 괜찮은가 하는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나카타니 겐(中谷元)은 육상총대의 필요성을 설명했지만, 이러한 비판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34]

문민통제 위반과 관련하여, 동일본대지진 당시 히바코 요시후미(火箱芳文) 육상막료장이 방위대신의 명령 없이 독자적으로 초동 명령을 내린 사례가 거론된다. 지진 발생 30분 만에 내려진 이 명령은 키타자와 토시미(北澤俊美) 방위대신의 대규모 지진 재해 파견 명령보다 앞섰다.[35] 그러나 이 초동 조치로 자위대는 1만 9천 명이 인명 구조에 참여, 1만 9,286명의 구조 실적을 기록하여 한신대지진 당시의 구조 실적을 크게 넘어섰다. 1997년 이후 여론은 자위대의 존재 목적 1위를 "재해 업무"로 인식하게 되었다.[36]

5. 1. 지휘 체계 문제

군사 평론가 문야 스케시게(文谷数重)는 육상총대 창설로 인해 지휘관·막료 직책만 많아지고, 전면 전력과 병참이 약해질 수 있다고 비판한다.[33] 사단 유지로 인해 옥상옥 구조가 되었다는 지적도 나온다.[33]

5. 2. 문민통제 문제

문야 스케시게(文谷数重)는 육상총대 사령부 창설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3]

2015년 3월 10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미야자와 히로유키(宮澤博行)는 육상총대 창설이 제복군의 독주와 문민통제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소개했다. 이는 과거 육군이 독주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육상자위대를 5개의 방면대로 나누어 놓은 것이 독주를 막는 역할을 하는데, 육상총대를 창설하는 것이 과연 괜찮은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었다. 나카타니 겐(中谷元)은 육상총대의 필요성을 설명했지만, 이러한 비판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34]

문민통제 위반 지적과 관련하여, 동일본대지진 당시 히바코 요시후미(火箱芳文) 육상막료장이 방위대신의 명령 없이 독자적으로 초동 명령을 내린 사례가 거론된다. 지진 발생 30분 만에 내려진 이 명령은 키타자와 토시미(北澤俊美) 방위대신의 대규모 지진 재해 파견 명령보다 앞선 것으로, 문민통제 원칙을 흔들 수 있는 문제였다.[35] 그러나 이 초동 조치로 자위대는 1만 9천 명이 인명 구조에 참여했고, 1만 9,286명의 구조 실적을 기록하여 한신대지진 당시의 구조 실적을 크게 넘어섰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1997년 이후 여론은 자위대의 존재 목적 1위를 "재해 업무"로 인식하게 되었다.[36]

참조

[1] 웹사이트 Medium Term Defense Program (FY2014-FY2018) https://www.mod.go.j[...] 防衛省 2018-04-05
[2] 웹사이트 陸上総隊ホームページ 陸上総隊の概要 https://sec.mod.go.j[...] 陸上総隊 2023-09-07
[3] 법률 自衛隊法第10条2
[4] 웹사이트 陸上自衛隊の部隊の一体的運用の円滑な実施に関する訓令(平成30年3月26日 陸上自衛隊訓令第8号) http://www.clearing.[...] 防衛省 2020-11-17
[5] 학술지 陸上自衛隊の戦い方が変わる! メジャーコマンド『陸上総隊』誕生 株式会社 ジャパン・ミリタリー・レビュー
[6] 뉴스 陸上総隊か方面隊か…陸自の新編成は折衷型に http://sankei.jp.msn[...] 2009-07-29
[7] 뉴스 大丈夫?陸自トップ、実は部隊の指揮権なし http://president.jp/[...] 2012-12-17
[8] 뉴스 対テロで首都防衛集団 陸自が50年ぶり大改編案 http://sankei.jp.msn[...] 2009-07-29
[9] 웹사이트 陸自、発足来の組織改編案 最高司令部『総隊』を新設 http://www.tokyo-np.[...] 2009-07-30
[10] 웹사이트 防衛省、陸上総隊司令部創設へ 方面隊との調整機能強化 http://www.47news.jp[...] 2010-11-28
[11] 뉴스 陸自は「災害派遣隊」を目指すのか http://sankei.jp.msn[...] 2012-04-01
[12] 뉴스 防衛費1000億円上積み、現行大綱、中期防は凍結 http://sankei.jp.msn[...] 2013-01-04
[13] 뉴스 陸上総隊新設を=自民、大綱提言に明記へ http://jp.wsj.com/ar[...] 2013-05-17
[14] 뉴스 陸自の命令一元化、「陸上総隊」を検討 方面隊は維持、複雑化も 防衛省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3-06-22
[15] 웹사이트 「平成26年度以降に係る防衛計画の大綱について」及び「中期防衛力整備計画(平成26年度~平成30年度)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防衛省HP
[16] 뉴스 「陸上総隊」司令部を朝霞駐屯地に設置へ http://www3.nhk.or.j[...] 2015-05-15
[17] 뉴스 陸上総隊司令部、朝霞駐屯地に新設へ 離島攻撃に対応 http://www.asahi.com[...] 2015-05-15
[18] 뉴스 統一司令部「陸上総隊」創設などを盛り込む https://mainichi.jp/[...] 2017-05-26
[19] 법률 防衛省設置法等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施行期日を定める政令 https://warp.da.ndl.[...]
[20] 웹사이트 令和元年台風19号に係る災害派遣 https://www.mod.go.j[...] 防衛省・自衛隊 2022-01-13
[21] 문서 電子戦部隊の新編について http://www.shiokawa-[...] 防衛省 2021-09
[22] 웹사이트 対中ロ、「電子戦」強化急ぐ 陸自、1年で7拠点に新部隊―九州・沖縄と北海道重視 https://web.archive.[...] 2021-01-24
[23] 웹사이트 陸上幕僚長より皆さまへ(令和4年3月17日) https://www.mod.go.j[...] 陸上幕僚監部 2022-03-18
[24] 웹사이트 電子作戦隊新編行事について https://www.mod.go.j[...] 陸上幕僚監部 2022-06-29
[25] 법률 平成30年2月9日 政令第33号 自衛隊法施行令等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 新旧表 https://warp.da.ndl.[...]
[26] 법률 平成30年2月9日 政令第33号 自衛隊法施行令等の一部を改正する政令 https://www.mod.go.j[...]
[27] 법률 陸上総隊司令部、方面総監部、師団司令部及び旅団司令部組織規則 (昭和34年総理府令第62号)
[28] 문서 部長は中央情報隊長が兼任
[29] 웹사이트 陸上総隊の編成 https://www.mod.go.j[...] 陸上自衛隊 陸上総隊 2018-03-29
[30] 웹사이트 中央特殊武器防護隊 沿革 https://www.mod.go.j[...] 陸上自衛隊 中央特殊武器防護隊 2018-03-29
[31] 문서 68期幹候・防大31期相当
[32] 문서 仮に方面隊を残すのなら、師団司令部の機能を吸収し、既存の師団を旅団に改編するという施策が必要という。
[33] 뉴스 「陸上総隊司令部」を新設するだけでは問題だ https://toyokeizai.n[...] 2015-05-18
[34] 회의록 衆議院予算委員会第一分科会会議録第一号 https://kokkai.ndl.g[...] 2015-03-10
[35] 서적 即動必遂東日本大震災陸上幕僚長の全記録 マネジメント社 2015-03-05
[36] 논문 自衛隊の災害派遣活動における組織的学習 https://doi.org/10.1[...] 同志社大学政策学部・総合政策科学研究科政策学会 2016-03-10
[37] 뉴스 "日, 2018년도까지 육상자위대 사령부 설치"<日신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