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75년은 청나라 건륭 40년, 일본 안영 4년, 조선 영조 51년에 해당하며, 을미년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교황 비오 6세의 즉위, 렉싱턴 전투 발발, 미국 독립 전쟁 시작 등이 있다. 또한 제임스 쿡의 사우스조지아 점령, 벙커 힐 전투, 1775년 퀘벡 전투 등이 일어났다. 이 해에는 루이 16세의 대관식이 거행되었으며, 투손이 건설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물리학자 앙드레마리 앙페르, 철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화가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등이 태어났고, 예멜리안 푸가체프, 조반니 바티스타 삼마르티니, 윌리엄 스몰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5년 - 미국 독립 전쟁
미국 독립 전쟁은 1775년부터 1783년까지 13개의 영국 식민지가 대영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벌인 전쟁으로,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과 보스턴 차 사건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유럽 열강의 지원과 주요 전투에서의 승리를 통해 1783년 파리 조약으로 독립을 인정받았으며, 미국의 탄생과 세계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1775년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연도 | 1775년 |
예술과 과학 | |
고고학 | 고고학 |
건축 | 건축 |
미술 | 미술 |
문학 | 문학 |
시 | 시 |
음악 | 음악 |
과학 | 과학 |
국가별 정보 |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
캐나다 | 캐나다 |
중국 | 중국 |
덴마크 | 덴마크 |
잉글랜드 | 잉글랜드 |
프랑스 | 프랑스 |
그레이트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
그리스 | 그리스 |
아일랜드 | 아일랜드 |
일본 | 일본 |
멕시코 | 멕시코 |
노르웨이 | 노르웨이 |
포르투갈 | 포르투갈 |
러시아 | 러시아 |
스코틀랜드 | 스코틀랜드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스페인 | 스페인 |
스웨덴 | 스웨덴 |
태국 | 태국 |
미국 | 미국 |
지도자 목록 | |
국가 지도자 | 국가 지도자 |
식민지 총독 | 식민지 총독 |
종교 지도자 | 종교 지도자 |
출생 및 사망 | |
출생 | 출생 |
사망 | 사망 |
설립 및 해체 | |
설립 | 설립 |
해체 | 해체 |
작품 | |
작품 | 작품 |
2. 연호
- 청(淸) 건륭(乾隆) 40년
- 일본(日本) 안에이(안영/安永일본어) 4년
- 후 레 왕조(後黎朝) 까인흥(景興) 36년
- 간지 : 을미
- 일본
- * 안영 4년
- * 황기 2435년
- 중국
- * 청 : 건륭 40년
- 조선
- * 이씨조선 : 영조 51년
- * 단기 4108년
- 베트남
- * 후려조 : 경흥 36년
- 불멸기원 : 2317년 - 2318년
- 이슬람력 : 1188년 - 1189년
- 유대력 : 5535년 - 5536년
- 율리우스력 : 1774년 12월 21일 - 1775년 12월 20일
3. 기년
4. 사건
2월 15일 - 교황 비오 6세가 250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했다.
4월 19일 - 렉싱턴 전투가 발발했다.
10월 16일 - 영국이 메인주 포틀랜드를 불태웠다.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 1783년).
- * 5월 10일 - 제2차 대륙 회의 개최.
1월 –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오스만 제국에 부코비나를 할양하도록 강요했다.
1월 14일 – 란나 왕국의 치앙마이를 시암이 정복했다. (1774~1775년 시암의 란나 정복)
1월 17일 – 제임스 쿡의 두 번째 항해: 제임스 쿡 선장이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위해 사우스조지아를 점령했다.
2월 9일 – 미국 독립 전쟁: 그레이트브리튼 의회가 매사추세츠 만 주가 반란을 일으켰다고 선언했다.
2월 26일 – 영국 동인도 회사의 발람반간 섬에 있는 상관이 모로 해적에 의해 파괴되었다.[1]
3월 6일 – 인도의 마라타 연합의 페슈와인 라구나트라오가 수라트 조약에 서명하여 살세테와 바세인 지역과 수라트와 바루치 지구의 일부 수익을 영국 동인도 회사에 할양하고 군사 지원을 받는다. 이는 제1차 영마 전쟁으로 이어지며, 1782년의 살바이 조약으로 끝난다.
3월 23일 – 미국 독립 전쟁: 버지니아 제2차 버지니아 협약 대표였던 패트릭 헨리가 세인트 존스 교회에서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 연설을 했다.
4월 18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프 워렌 박사의 지시를 받은 폴 리비어와 윌리엄 도스가 보스턴에서 렉싱턴으로 기행한다.
4월 19일 – 미국 독립 전쟁 – 렉싱턴 콩코드 전투:[3] 영국과 미국 식민지 사이의 적대 행위가 유혈 사태로 폭발하여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된다.
5월 10일 - 미국 독립 전쟁:
- * 제2차 대륙 의회가 소집되어 존 핸콕을 의장으로 선출하고, 조지 워싱턴을 사령관으로 하는 대륙군을 창설하며, 식민지가 자체 헌법을 채택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 * 에단 올린과 베네딕트 아놀드가 버몬트의 그린 마운틴 보이스를 이끌고 티콘데로가 요새를 점령한다.
5월 17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캐나다와의 무역을 금지한다.
6월 11일
- * 루이 16세의 대관식이 랭스에서 거행된다. 프랑스 혁명 이전 구체제의 마지막 대관식
- * 미국 독립 전쟁 – 마키아스 전투: 미국 독립 전쟁의 첫 번째 해전에서 애국군이 스쿠너선 ''HMS 마가레타''를 점령한다.
6월 12일 – 미국 독립 전쟁:
- * 영국군이 무기를 내려놓는 모든 식민지 주민들에게 사면을 제안한다.
- * 메인주 마키아스 시민들이 영국 선박을 점령한 행동은 미국 상선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이다.
6월 14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조지 워싱턴을 대륙군 사령관으로 임명한다.
6월 16일 – 대륙군의 최고 기술자 직책이 신설된다.
6월 17일 – 미국 독립 전쟁: 벙커 힐 전투가 벌어진다.
6월 19일 – 대륙 의회가 사령관 직책을 신설한다.

7월 3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 워싱턴이 케임브리지에서 1만 7천 명의 대륙군 사령관을 맡다.
7월 5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올리브 가지 청원서를 보내다.
7월 6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무장 항쟁의 원인과 필요성에 대한 선언을 발표하다.
7월 30일 – 제임스 쿡의 두 번째 항해: 레졸루션(Resolution)(1771)호가 잉글랜드 남부 해안에 정박하다. 제임스 쿡 선장이 최초의 동쪽 방향 일주 항해를 마침.
8월 18일 – 투손(Tucson)이 건설됨.
8월 21일 – 미국 독립 전쟁 – 생장 요새 공방전: 미국 반군이 1775년 캐나다 침공을 개시하다.
8월 23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 3세 왕이 반란 선포를 발표하다.
8월 29일 – 9월 12일 – 1775년 뉴펀들랜드 허리케인으로 대부분 어부와 선원 4,170명이 사망하다.
9월 25일 – 미국 독립 전쟁: 롱포앵 전투: 이선 알렌 소령 지휘하의 13개 식민지(13개 식민지) 혁명군이 몬트리올을 공격하다 패배한다.
10월 13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대륙 해군(이후 미국 해군) 설립을 명령하다.
10월 26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 3세가 의회(의회)에 미국 식민지가 반란을 일으켰으며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고 발표하다.
11월 7일 – 미국 독립 전쟁: 존 머레이, 던모어 제4대 백작이 던모어 선언에 서명하여 계엄령(계엄령)을 선포하고 애국자(미국 독립 전쟁 당시 애국자)들의 노예(미국의 노예 제도) 중에서 주인에게서 도망쳐 로열리스트(미국 독립 전쟁 당시 로열리스트) 부대에 합류하는 자들에게 자유를 제공하다.
11월 10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대륙 해병대(대륙 해병대) 창설 결의안을 통과시키다(해병대는 1783년 4월 전쟁이 끝날 때 해산되었지만 1798년 7월 11일에 미국 해병대(미국 해병대)로 재편성됨).
11월 13일 – 미국 독립 전쟁: 몬트리올 전투: 리처드 몽고메리 준장(미국 준장) 지휘하의 미국군이 퀘벡주 몬트리올을 점령하다.
12월 5일 – 미국 독립 전쟁: 헨리 녹스가 티콘데로가 요새에서 노획한 포병을 가지고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로 여정(귀중한 포병의 수송)을 시작하다.
12월 31일 – 미국 독립 전쟁: 1775년 퀘벡 전투: 영국군이 퀘벡에서 대륙군(대륙군) 장군 리처드 몽고메리와 베네딕트 아놀드의 공격을 격퇴하고, 몽고메리가 사망하다.
제1차 마라타 전쟁 발발( ~ 1782년).
프랑스 선교사 피뇨, 코친차이나 상륙.
4. 1. 국제 관계
1775년에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사건이 발생했다.- 2월 15일 - 교황 비오 6세가 250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했다.
- 4월 19일 - 렉싱턴 전투가 발발했다.
- 10월 16일 - 영국이 메인주 포틀랜드를 불태웠다.
-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 1783년).
- * 5월 10일 - 제2차 대륙 회의 개최.
- 1월 –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오스만 제국에 부코비나를 할양하도록 강요했다.
- 1월 14일 – 란나 왕국의 치앙마이를 시암이 정복했다. (1774~1775년 시암의 란나 정복)
- 1월 17일 – 제임스 쿡의 두 번째 항해: 제임스 쿡 선장이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위해 사우스조지아를 점령했다.
- 2월 9일 – 미국 독립 전쟁: 그레이트브리튼 의회가 매사추세츠 만 주가 반란을 일으켰다고 선언했다.
- 2월 26일 – 영국 동인도 회사의 발람반간 섬에 있는 상관이 모로 해적에 의해 파괴되었다.[1]
- 3월 6일 – 인도의 마라타 연합의 페슈와인 라구나트라오가 수라트 조약에 서명하여 살세테와 바세인 지역과 수라트와 바루치 지구의 일부 수익을 영국 동인도 회사에 할양하고 군사 지원을 받는다. 이는 제1차 영마 전쟁으로 이어지며, 1782년의 살바이 조약으로 끝난다.
- 3월 23일 – 미국 독립 전쟁: 버지니아 제2차 버지니아 협약 대표였던 패트릭 헨리가 세인트 존스 교회에서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 연설을 했다.
- 4월 18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프 워렌 박사의 지시를 받은 폴 리비어와 윌리엄 도스가 보스턴에서 렉싱턴으로 기행한다.
- 4월 19일 – 미국 독립 전쟁 – 렉싱턴 콩코드 전투:[3] 영국과 미국 식민지 사이의 적대 행위가 유혈 사태로 폭발하여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된다.
- 5월 10일 - 미국 독립 전쟁:
- * 제2차 대륙 의회가 소집되어 존 핸콕을 의장으로 선출하고, 조지 워싱턴을 사령관으로 하는 대륙군을 창설하며, 식민지가 자체 헌법을 채택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 * 에단 올린과 베네딕트 아놀드가 버몬트의 그린 마운틴 보이스를 이끌고 티콘데로가 요새를 점령한다.
- 5월 17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캐나다와의 무역을 금지한다.
- 6월 11일
- * 루이 16세의 대관식이 랭스에서 거행된다. 프랑스 혁명 이전 구체제의 마지막 대관식
- * 미국 독립 전쟁 – 마키아스 전투: 미국 독립 전쟁의 첫 번째 해전에서 애국군이 스쿠너선 ''HMS 마가레타''를 점령한다.
- 6월 12일 – 미국 독립 전쟁:
- * 영국군이 무기를 내려놓는 모든 식민지 주민들에게 사면을 제안한다.
- * 메인주 마키아스 시민들이 영국 선박을 점령한 행동은 미국 상선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이다.
- 6월 14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조지 워싱턴을 대륙군 사령관으로 임명한다.
- 6월 16일 – 대륙군의 최고 기술자 직책이 신설된다.
- 6월 17일 – 미국 독립 전쟁: 벙커 힐 전투가 벌어진다.
- 6월 19일 – 대륙 의회가 사령관 직책을 신설한다.
- 7월 3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 워싱턴이 케임브리지에서 1만 7천 명의 대륙군 사령관을 맡다.
- 7월 5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올리브 가지 청원서를 보내다.
- 7월 6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무장 항쟁의 원인과 필요성에 대한 선언을 발표하다.
- 7월 30일 – 제임스 쿡의 두 번째 항해: 레졸루션(Resolution)(1771)호가 잉글랜드 남부 해안에 정박하다. 제임스 쿡 선장이 최초의 동쪽 방향 일주 항해를 마침.
- 8월 18일 – 투손(Tucson)이 건설됨.
- 8월 21일 – 미국 독립 전쟁 – 생장 요새 공방전: 미국 반군이 1775년 캐나다 침공을 개시하다.
- 8월 23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 3세 왕이 반란 선포를 발표하다.
- 8월 29일 – 9월 12일 – 1775년 뉴펀들랜드 허리케인으로 대부분 어부와 선원 4,170명이 사망하다.
- 9월 25일 – 미국 독립 전쟁: 롱포앵 전투: 이선 알렌 소령 지휘하의 13개 식민지(13개 식민지) 혁명군이 몬트리올을 공격하다 패배한다.
- 10월 13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대륙 해군(이후 미국 해군) 설립을 명령하다.
- 10월 26일 – 미국 독립 전쟁: 조지 3세가 의회(의회)에 미국 식민지가 반란을 일으켰으며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고 발표하다.
- 11월 7일 – 미국 독립 전쟁: 존 머레이, 던모어 제4대 백작이 던모어 선언에 서명하여 계엄령(계엄령)을 선포하고 애국자(미국 독립 전쟁 당시 애국자)들의 노예(미국의 노예 제도) 중에서 주인에게서 도망쳐 로열리스트(미국 독립 전쟁 당시 로열리스트) 부대에 합류하는 자들에게 자유를 제공하다.
- 11월 10일 – 미국 독립 전쟁: 대륙 의회가 대륙 해병대(대륙 해병대) 창설 결의안을 통과시키다(해병대는 1783년 4월 전쟁이 끝날 때 해산되었지만 1798년 7월 11일에 미국 해병대(미국 해병대)로 재편성됨).
- 11월 13일 – 미국 독립 전쟁: 몬트리올 전투: 리처드 몽고메리 준장(미국 준장) 지휘하의 미국군이 퀘벡주 몬트리올을 점령하다.
- 12월 5일 – 미국 독립 전쟁: 헨리 녹스가 티콘데로가 요새에서 노획한 포병을 가지고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로 여정(귀중한 포병의 수송)을 시작하다.
- 12월 31일 – 미국 독립 전쟁: 1775년 퀘벡 전투: 영국군이 퀘벡에서 대륙군(대륙군) 장군 리처드 몽고메리와 베네딕트 아놀드의 공격을 격퇴하고, 몽고메리가 사망하다.
- 제1차 마라타 전쟁 발발( ~ 1782년).
- 프랑스 선교사 피뇨, 코친차이나 상륙.
4. 2. 조선
영조 51년, 정조 즉위년이다. 조선에서는 특별한 사건이나 자연재해가 기록되지 않았다.4. 3. 기타 지역
- 2월 15일 - 교황 비오 6세가 250대 로마 교황으로 취임했다.
- 3월 6일 - 인도의 마라타 연합의 페슈와인 라구나트라오가 봄베이에서 영국 총독 워런 헤이스팅스와 수라트 조약을 체결하여 살세테와 바세인 지역, 수라트와 바루치 지구 일부 수익을 영국 동인도 회사에 할양하고 군사 지원을 받았다. 이는 영국과 마라타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영마 전쟁으로 이어졌으며, 1782년의 살바이 조약으로 끝났다.[1]
- 3월 17일 -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가 해방된 농노들이 다시 농노제로 돌아가는 것을 금지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2]
- 4월 19일 - 렉싱턴 콩코드 전투 발발.[3]
- 6월 11일 - 루이 16세의 대관식이 랭스에서 거행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전 구체제의 마지막 대관식이었다.
- 8월 18일 - 투손(Tucson)이 건설되었다.
- 11월 17일 - 쿠오피오시는 스웨덴의 구스타프 3세에 의해 설립되었다.[8]
-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진행 중이다.
- * 제임스 와트(James Watt)의 1769년 증기기관 특허가 의회법(Act of Parliament)에 의해 1800년 6월까지 연장되고, 최초의 증기기관들이 건설된다.[4][5]
- * 존 윌킨슨(John Wilkinson)이 새로운 종류의 보링 머신을 발명하고 특허를 받는다.
- 예카테리나 2세(Catherine the Great)가 러시아 제국의 여러 주를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주와 지역으로 나누는 주 관리 법령을 공포한다.[2]
- 프랑스 선교사 피뇨가 코친차이나에 상륙했다.
5. 탄생
1775년은 조선 영조 51년에 해당한다.
; 국제
1775년에 태어난 여러 유명 인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1월 20일 - 프랑스의 물리학자 앙드레마리 앙페르.[6]
- 1월 27일 -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
- 2월 10일 - 영국의 수필가 찰스 램.
- 4월 23일 - 영국의 화가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 7월 24일 - 프랑스의 범죄자이자 범죄학자 외젠 프랑수아 비도크.
- 11월 14일 - 독일의 법학자 파울 요한 안젤름 폰 포이어바흐 기사.
- 12월 16일 - 영국의 소설가 제인 오스틴.[7]
5. 1. 조선
1775년(영조 51년) 조선에서는 특별한 사건이 기록되지 않았다.5. 2. 국제
1775년에 태어난 여러 유명 인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프랑스의 물리학자 앙드레마리 앙페르가 1월 20일에 태어났다.[6] 1월 27일에는 독일의 철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이 태어났다. 2월 10일에는 영국의 수필가 찰스 램이, 4월 23일에는 영국의 화가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가 태어났다. 7월 24일에는 프랑스의 범죄자이자 범죄학자인 외젠 프랑수아 비도크가 태어났다. 12월 16일에는 영국의 소설가 제인 오스틴이 태어났다.[7]6. 사망
1775년에 사망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1월 1일 - 아흐마드 샤 바하두르(Ahmad Shah Bahadur), 13대 무굴 제국 황제 (출생: 1725년)
- 1월 8일 - 존 바스커빌(John Baskerville), 영국의 인쇄업자 (출생: 1706년)

- 1월 11일 - 프리트비 나라얀 샤(Prithvi Narayan Shah), 인도 아대륙 고르카 왕국의 마지막 통치자 (출생: 1723년)
- 1월 15일 - 조반니 바티스타 삼마르티니(Giovanni Battista Sammartini), 이탈리아 작곡가 (출생: 1700년)
- 1월 26일 - 슈자우드다울라(Shuja-ud-Daula), 인도 아우드의 수베다르 나와브 (출생: 1732년)
- 2월 10일 - 클로드 푸토(Claude Pouteau), 프랑스 외과의사이자 발명가 (출생: 1724년)

- 2월 25일 - 윌리엄 스몰(William Small),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자연철학 교수 (출생: 1734년)


- 4월 24일 - 얀 카스파르 필립스(Jan Caspar Philips), 네덜란드 북부 출신의 판화가 (출생: 1690년)

- 4월 27일 - 피터 뵈러(Peter Boehler), 모라비아 선교사 (출생: 1712년)

- 5월 5일 - 벤자민 다스(Benjamin Dass), 노르웨이 교사이자 서적 수집가 (출생: 1706년)




- 7월 21일 - 시몬 체코비치(Szymon Czechowicz), 폴란드 바로크 시대의 저명한 화가 (출생: 1689년)

- 8월 21일 - 자히르 알 우마르(Zahir al-Umar), 팔레스타인 북부의 아랍 통치자 (출생: 1689년)

- 8월 25일 - 펠리페 데 카스트로(Felipe de Castro), 스페인 조각가 (출생: 1711년)

- 9월 17일 - 존 파커(John Parker (captain)), 미국 식민지 농부, 대장장이이자 군인 (출생: 1729년)

- 9월 24일 - 폴릭세니아 다니엘(Polixénia Daniel), 헝가리 귀족이자 작가 (출생: 1720년)


- 10월 10일 - 루이 니콜라스 빅토르 드 펠릭스 도리에르(Louis Nicolas Victor de Félix d'Ollières), 프랑스의 원수 (출생: 1711년)
- 10월 18일 -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크루시우스(Christian August Crusius), 독일의 철학자이자 신학자 (출생: 1715년)


- 10월 29일 - 가브리엘 프랑수아 베넬(Gabriel François Venel), 프랑스의 화학자 (출생: 1723년)
- 11월 6일 - 기욤 드 바렘 드 샤토포르(Guillaume de Barrême de Châteaufort), 프랑스 화가 (출생: 1719년)
- 12월 3일 - 조반니 비안키(Giovanni Bianchi (physician)), 이탈리아 의사 겸 동물학자 (출생: 1693년)

- 12월 15일 - 마리 앙젤리크 멤미 르블랑(Marie-Angélique Memmie Le Blanc), 프랑스 야생아 (출생: 1712년)

6. 1. 조선
10월 10일 -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 루이 니콜라 빅토르 드 펠릭스 드 오리에르가 사망했다.6. 2. 국제
1775년에 사망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1월 1일 - 아흐마드 샤 바하두르(Ahmad Shah Bahadur), 13대 무굴 제국 황제 (출생: 1725년)
- 1월 10일 - 예멜리안 푸가체프(Yemelyan Pugachev), 러시아 농민 봉기 지도자 (출생: 1742년)
- 1월 11일 - 프리트비 나라얀 샤(Prithvi Narayan Shah), 인도 아대륙 고르카 왕국의 마지막 통치자 (출생: 1723년)
- 1월 15일 - 조반니 바티스타 삼마르티니(Giovanni Battista Sammartini), 이탈리아 작곡가 (출생: 1700년)
- 1월 26일 - 도밍고 데 보네체아(Domingo de Bonechea), 스페인 탐험가 (출생: 1713년)
- 2월 9일 - 혜경공주(Princess Hejing), 청나라 만주 공주 (출생: 1756년)
- 2월 28일 - 효의순황후(Empress Xiaoyichun), 청나라 황후 (출생: 1727년)
- 3월 3일 - 리처드 던쏜(Richard Dunthorne), 영국 천문학자 (출생 1711년)
- 3월 5일 - 피에르-로랑 뷔이레트 드 벨로이(Pierre-Laurent Buirette de Belloy), 프랑스 배우이자 극작가 (출생 1727년)
- 4월 4일 - 르네 샤를 드 모푸(René Charles de Maupeou), 프랑스의 정치가 (출생: 1688년)
- 5월 10일 - 그레이트브리튼의 캐롤라인 매틸다(Caroline Matilda of Great Britain), 덴마크와 노르웨이 왕비 (1766–1772) (출생: 1751년)
- 6월 5일 - 조반니 가에타노 보타리(Giovanni Gaetano Bottari), 이탈리아 학자이자 비평가 (출생 1689년)
- 6월 11일 - 에질디오 두니(Egidio Duni), 이탈리아 작곡가 (출생 1708년)
- 6월 17일
- * 존 피트케언(John Pitcairn),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 해병대 장교 (출생 1722년)
- * 조셉 워렌(Joseph Warren), 미국 의사 (출생 1741년)
- 6월 27일 - 이그나츠 귄터(Ignaz Günther), 독일 조각가이자 목각 조각가 (출생 1725년)
- 7월 21일 - 시몬 체코비치(Szymon Czechowicz), 폴란드 바로크 시대의 저명한 화가 (출생: 1689년)
- 8월 13일 - 미하우 프리데릭 차르토리스키(Michał Fryderyk Czartoryski), 폴란드 귀족 (출생 1696년)
- 8월 21일 - 자히르 알 우마르(Zahir al-Umar), 팔레스타인 북부의 아랍 통치자 (출생 1689년)
- 9월 13일 - 기욤 마제아(Guillaume Mazeas), 프랑스 물리학자 (출생: 1720년)
- 9월 16일 - 앨런 배서스트 배서스트 제1백작(Allen Bathurst, 1st Earl Bathurst), 영국 국왕의 사무차관 (출생: 1684년)
- 10월 2일 - 후쿠다 치요니(福田千代尼), 일본의 하이쿠 시인이자 불교 비구니 (출생: 1703년)
- 10월 10일 - 루이 니콜라스 빅토르 드 펠릭스 도리에르(Louis Nicolas Victor de Félix d'Ollières), 프랑스의 원수 (출생: 1711년)
- 10월 18일 - 십자가의 바오로(Paul of the Cross), 이탈리아의 신비주의자 (출생: 1694년)
- 10월 21일 - 프랑수아 위베르 드루아(François-Hubert Drouais), 프랑스의 화가 (출생: 1727년)
- 10월 22일 - 페턴 랜돌프(Peyton Randolph), 버지니아 식민지의 농장주이자 공직자 (출생: 1721년)
- 11월 3일 - 후안 호세 페레스 에르난데스(Juan José Pérez Hernández), 스페인 탐험가 (출생: 1725년)
- 11월 21일 - 존 힐(John Hill), 영국 작가이자 식물학자 (출생: 1716년)
- 11월 24일 - 로렌초 리치(Lorenzo Ricci), 예수회 총장 (출생: 1703년)
- 12월 15일 - 타라카노바 공주(Princess Tarakanova), 러시아 황위 계승자 (출생: 1753년)
- 12월 31일 - 리처드 몽고메리(Richard Montgomery), 미국 장군 (전사) (출생: 1738년)
참조
[1]
서적
The Sulu Zone, 1768-1898: The Dynamics of External Trade, Slavery, and Ethnicity in the Transformation of a Southeast Asian Maritime State
NUS Press
[2]
학술지
Catherine II and the Serfs: A Reconsideration of Some Problems
1974-01-00
[3]
백과사전
Battles of Lexington and Concord
http://www.britannic[...]
[4]
학술지
Invention and Innovation in the Watt-Boulton Steam-Engine Venture
[5]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the Steam Engine: The Life of James Watt. Part 4: The Steam Engine Gains Popularity
https://archive.toda[...]
2011-02-25
[6]
서적
Famous names in engineering
Butterworths
[7]
서적
Jane Austen the Woman: Some Biographical Insights
St. Martin's Griffin
[8]
웹사이트
クオピオ:ヒストリア
https://www.kuopio.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