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흥 예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흥 예씨는 고려 인종 때 문하찬성사를 지낸 예낙전을 시조로 하고, 경상북도 의흥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예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여러 인물을 배출했으며, 특히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예몽진, 독립운동가 예준기, 예응복 등이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의흥 예씨는 검교군기감공파, 종부령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1명, 사마시 5명을 배출했다. 2015년에는 12,814명이 의흥 예씨 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의흥 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표기 | 의흥 예씨 |
한자 표기 | 義興 芮氏 |
국가 | 한국 |
지역 | 군위군 |
창시자 | 예낙전(芮樂全) |
인물 정보 | |
저명한 인물 | 예사문, 예승석, 예충년, 예몽진, 예인상, 예귀주, 예준기, 예응복, 예춘호, 예용해 |
통계 정보 | |
2015년 인구 | 12,814명 |
2. 기원
시조는 고려 인종(재위 1122년~1146년) 때 문하찬성사를 지낸 예낙전('''芮樂全''')이며, 단일본이다. 예낙전은 부계군(缶溪君)에 봉해졌고, 유허지인 의흥(義興)을 본관(本貫)으로 하였다.[5]
예성(芮姓)의 시조는 고려 문하찬성사 낙전(樂全)공으로, 예부시랑과 보문각 학사를 지내고 경상북도 군위군에 통합된 옛 의흥군(義興郡)을 식읍으로 하는 부계군(缶溪君)에 봉해졌다. 예성은 그 유허지인 의흥을 본관으로 삼으며 주요 세거지는 청도, 수원, 상주, 밀양 등지에 있다.
의흥은 대구광역시 군위군에 있는 옛 의흥군 일대이다. 고려 초에 의흥군(義興郡)이 되어 1018년(현종 9)에 안동부(安東府)에 속하게 하였고, 1390년(공양왕 2)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부계현(缶溪縣)을 병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의흥현이 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따르면 부계(缶溪)의 토성(土姓)으로 예(芮)·홍(洪)·유(兪)·김(金)·전(錢) 5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6]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의흥군으로 승격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의흥군이 군위군에 편입되면서 의흥면, 부계면 등으로 나뉘었다. 현재 시조공 묘소가 있는 위치는 군위군 부계면 가호리이다.
의흥 예씨는 5세 예원석(元碩)을 파조로 하는 검교군기감공파(檢校軍器監公派), 예원립(元立)을 파조로 하는 종부령공파(宗簿令公派) 등이 있다. 11세손에서 분파된 파는 다음과 같다.
의흥 예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1명, 사마시 5명을 배출하였다.[7]
1985년에는 의흥 예씨 5,091명, 부계 예씨 4,395명으로 총 9,486명이 있었다.[1] 2000년에는 의흥 예씨 9,268명, 부계 예씨 234명으로 총 9,502명이 있었다.[2] 2015년에는 의흥 예씨 12,802명, 부계 예씨 12명으로 총 12,814명이었다.[3]
[1]
간행물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www2.lib.yama[...]
Yamagata University
2012
예낙전의 선대가 기자의 학사로 중국에서 넘어왔다고 하나, 확실하게 고증(考證)되지는 않는다.
3. 역사
7세 사문(思文)공은 고려 창왕 때 양천현감을 지냈고, 조선 성종 대에 가정대부 병조참판 겸 의금부동지사에 추증되었다.
8세 승석(承錫)공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대사간으로 국정의 전면개혁을 상소하였으며 강원도, 전라도 관찰사와 공조참판, 한성부우윤으로 선정을 하였다.
9세 충년(忠年)공은 경주부윤으로 성덕대왕신종을 거두어 경주성 남문루에 안치하였다.
14세 몽진(夢辰)공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운문산에서 7년간 항전하였고, 15세 인상(仁祥)공은 선조를 호위한 공으로 서훈을 받았으며, 16세 귀주(歸周)공의 효행은 가문을 빛냈다.
근현대에 이르러 24세 준기(俊基)공과 응복(應福)공은 항일 독립운동으로 건국훈장을 받았다. 24세 춘호(春浩)공은 국회 상공위원장을 지낸 3선 의원으로, 삼선개헌과 유신체제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으로 어둠 속 등불의 역할을 하였다. 26세 용해(庸海)공은 인간문화재를 창안한 언론인으로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기여하였다.
예성(芮姓)은 청빈낙도의 삶과 올곧은 선비정신으로 정의로운 길을 걸어왔다.[1]
4. 본관
5. 분파
파명 파조(派祖) 홍주파 예경상(景祥) 수원파 예경세(景世) 영산파 예경희(景禧) 면천파 예경번(景蕃) 상주파 예지(智) 청도파 예극양(克讓) 율정파 예처양(處讓)
6. 항렬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〇신(新) 〇문(文) 〇영(英) 시(時)〇 동(東)〇 대(大)〇 〇기(基) 종(鍾)〇 〇〇수해(洙海) 상병(相秉)〇〇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〇〇렬희(烈熙) 규재(圭載)〇〇 〇〇호용(鎬鎔) 영한(永漢)〇〇 〇〇주식(柱植) 훈희(熏熺)〇〇 〇〇배곤(培坤) 은진(銀鎭)〇〇 〇〇호순(浩淳) 주영(柱榮)〇〇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47세 〇〇환현(煥炫) 성증(城增)〇〇 〇〇석탁(錫鐸) 태영(泰泳)〇〇 〇〇걸백(杰柏) 경동(炅烔)〇〇 〇〇균준(均埈) 옥련(鈺鍊)〇〇 〇〇홍원(洪源) 근정(根楨)〇〇 48세 49세 〇〇휘욱(煇煜) 동견(垌堅)〇〇
7. 인물
이름 한자 생몰년 비고 예사문 芮思文 1368-1444 양천(현 김포) 현감[1] 예승석 芮承錫 1406-1476 1447년(세종 29년) 식년 문과 급제, 헌납, 이조참의, 대사간, 공조참판, 전라도관찰사 역임. 《세조실록》, 《예종실록》 편찬 참여[1] 예충년 芮忠年 1470-1537 조선 성종 때 성균관대사성, 경주부윤[1] 예몽진 芮夢辰 1560-1592 한성부 우윤[1] 예인상 芮仁祥 1562-1623 선무원종공신 훈련원판관[1] 예귀주 芮歸周 1639-1708 증사헌부지평, 모초재실기[1] 예조학 芮祖學 1830-1874 조선 후기 효자, 저서 『경암선생문집(敬庵先生文集)』[1] 예관수 芮琯壽 1923-1976 전 3군합동헌병대장, 군사학대사전[1] 예광해 芮光海 1944- 전 대구총진회 회장, 대종회 회장(2018~2024)[1] 예길촌 芮吉村 1940- 전 영남대 교수, 전 대구종친회 회장[1] 예병순 芮秉珣 1944- 전 한국갱생보호회 사무국장, 청도향교전교(2016~2018)[1] 예용해 芮庸海 1929-1995 전 한국일보 논설위원, 인간문화재[1] 예응복 芮應福 1890-1924 독립유공자[1] 예재길 芮載吉 1954- 서울대 수의학박사, 전 올택바이오코리아 대표이사, 현 대종회 회장(2024~)[1] 예재두 芮載斗 1949- 전 대종회 회장(2008~2018)[1] 예정수 芮正洙 1945-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1] 예종석 芮宗錫 1872-1955 일제강점기 대정실업친목회 회장[1] 예종석 芮鍾碩 1953-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아름다운재단 이사장, 부: 예춘호[1] 예종숙 芮鍾淑 1935- 시인, 예종숙 시집[1] 예종호 芮鐘皥 1933- 전 한전 전자계산소장, 정축보 편집위원장[1] 예준기 芮俊基 1902-1942 독립유공자[1] 예창근 芮昌根 1954- 제11대 경기도 행정2부지사[1] 예춘호 芮春浩 1927-2019 대한민국 제6대·7대·10대 국회의원, 상공위원장, 초대 대종회 회장(1994~2004)[1] 예학성 芮學聖 1934- 전 남광예학성의원 원장, 전 대종회 회장(2004~2008)[1] 예학해 芮學海 1920-1994 전 동일직물(주) 대표, 전 대구화수회장[1]
8. 과거 급제자
종류 이름 연도 왕 비고 문과 예영달 1353년 고려 공민왕 2년 계사방 문과 예성질 1809년 고종 28년 식년시 문과 예승석 1447년 세종 29년 식년시 무과 예석만 1642년 현종 11년 별시 무과 예덕겸 1760년 정조 8년 정시 무과 예득선 1637년 인조 15년 별시 무과 예인상 1594년 선조 27년 별시 무과 예용주 1646년 인조 24년 식년시 생원시 예재문 1739년 영조 44년 식년시 진사시 예난수 진사시 예난종 1507년 중종 2년 증광시 진사시 예대열 1768년 현종 1년 증광시 진사시 예주명 1786년 현종 15년 식년시
9. 집성촌 및 재실
이름 위치 비고 동림재(東林齋) 경북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낙전 시조공 묘소(가호리) 몽산재(夢山齋) 충남 당진군 순성면 성북리 사문, 승석, 충년, 란종/란수/란정 묘소 각산재(角山齋) 경북 청도군 이서면 각계리 극양 묘소 람휘당(覽輝堂)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1리 봉강재(鳳岡齋)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2리 율강서원(栗崗書院) 경북 청도군 풍각면 율정리 오사재(五思齋)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1리 황강재(黃岡齋) 경북 청도군 매전면 내동 愼謙(진겸) 모초재(慕初齋) 경북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회룡촌 貴周(귀주) 지양재(芝陽齋) 경북 청도군 매전면 지전리 德興(덕흥) 이필재(二必齋) 경남 밀양시 청도면 구기리 秀五(수오) 경사재(景四齋) 경북 청도군 매전면 온막리 원전 용산재(龍山齋) 경북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 회룡촌 영모재(永慕齋) 경북 청도군 이서면 칠엽리 춘장재(春莊齋) 경북 청도군 매전면 내동 일간재(一幹齋)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2리 時鶴(시학) 효자각(孝子閣)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2리 祖學(조학) 학음재(鶴陰齋) 경북 청도군 각남면 칠성리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사창3리 동지골 의흥예씨 대종회관(구.대전초등학교)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리 539번지 [https://www.google.co.kr/maps/place/의흥예씨+대종회관/@35.6561853,128.6330047,17z/data=!3m1!4b1!4m5!3m4!1s0x3565ffec7acbabbb:0x50d3af6bb8d5c226!8m2!3d35.656181!4d128.6351934?hl=ko&authuser=0]
10. 인구
연도 의흥 예씨 부계 예씨 합계 1985년 5,091명 4,395명 9,486명 2000년 9,268명 234명 9,502명 2015년 12,802명 12명 12,814명
참조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의흥예씨 義興芮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3
[4]
논문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s://yamagata.rep[...]
山形大学歴史・地理・人類学研究会
2012-03
[5]
뉴스
성씨의 고향<116>의흥 예씨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6-15
[6]
문서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안동 대도호부 의흥현
http://sillok.histor[...]
[7]
문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150_490_02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