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4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 (4상)은 불교 용어로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각각 다르게 정의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이(異) 또는 노(老)를 온(蘊)이 익게 하는 성질로 보며, 세친의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법을 쇠퇴하게 하는 성질로 정의한다. 대승불교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노(老)를 행(行)이 변하여 달라지는 성질, 즉 변이성 또는 상속변이성으로 정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불상응행법 - 도리
도리는 불교 용어로서 관대도리, 작용도리, 증성도리, 법이도리의 네 가지를 포함하며, 각기 현상의 발생, 결과의 성립, 깨달음의 도리, 우주의 법칙을 의미한다. - 심불상응행법 - 이생성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이 (4상) |
---|
2. 부파불교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들은 세 단계의 발전 단계를 거친 것으로 보인다. 주요 논서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
- 1단계:
- *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
- * 《아비달마법온족론(阿毘達磨法蘊足論)》
- 2단계:
- *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設足論)》
- * 《아비달마식신족론(阿毘達磨識身足論)》
- * 《아비달마계신족론(阿毘達磨界身足論)》
- *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 *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
- 3단계:
- * 《아비담심론(阿毘曇心論)》
- *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 *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 *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아래는 이 논서들의 발전 순서에 의거하여 이(異) 또는 노(老)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논사 세우의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르면,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는 갖가지 온(蘊)이 익게 하는 성질을 말한다.
노(老)란 무엇인가? 모든 온으로 하여금 익게 하는 것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사 세친은 자신의 저서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이(異)''' 또는 '''노(老)'''를, 갖가지 법을 능히 쇠퇴하게 하는 성질(能衰)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스타비라 상가바드라/स्थविर सण्घभदण्त्रsa가 저술한 《아비달마순정리론(아비다르마니야야누사라샤스트라/अभिधर्मन्यायानुसारशास्त्रsa)》에 따르면,
- '''늙음'''(자라/जराsa)은 중동분(衆同分)과 유정의 행에서 상속변이(相續變異)하는 성질이다.
2. 1. 설일체유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들은 세 단계의 발전 단계를 거친 것으로 보인다. 주요 논서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 1단계:
- *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
- * 《아비달마법온족론(阿毘達磨法蘊足論)》
- 2단계
- *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設足論)》
- * 《아비달마식신족론(阿毘達磨識身足論)》
- * 《아비달마계신족론(阿毘達磨界身足論)》
- *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 *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
- 3단계
- * 《아비담심론(阿毘曇心論)》
- *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 *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 * 《아비달마장현종론(阿毘達磨藏顯宗論)》
아래는 이 논서들의 발전 순서에 의거하여 이(異) 또는 노(老)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논사 세우의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르면,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는 갖가지 온(蘊)이 익게 하는 성질을 말한다.
노(老)란 무엇인가? 모든 온으로 하여금 익게 하는 것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사 세친은 자신의 저서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이(異)''' 또는 '''노(老)'''를, 갖가지 법을 능히 쇠퇴하게 하는 성질(能衰)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상가(相伽) 존자가 저술한 《아비달마순정리론》에서는 늙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스타비라 상가바드라/स्थविर सण्घभदण्त्रsa가 저술한 《아비달마순정리론(아비다르마니야야누사라샤스트라/अभिधर्मन्यायानुसारशास्त्रsa)》에 따르면,
- '''늙음'''(자라/जराsa)은 중동분(衆同分)과 유정의 행에서 상속변이(相續變異)하는 성질이다.
2. 1. 1. 아비달마품류족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사 세우의 《아비달마품류족론》에 따르면,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는 갖가지 온(蘊)이 익게 하는 성질을 말한다.노(老)란 무엇인가? 모든 온으로 하여금 익게 하는 것이다.
2. 1. 2. 아비달마구사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사 세친은 자신의 저서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이(異)''' 또는 '''노(老)'''를, 갖가지 법을 능히 쇠퇴하게 하는 성질(能衰)이라고 정의하고 있다.{{인용문|1=諸相者何。頌曰。
相謂諸有爲 生住異滅性
論曰。由此四種是有為相法。若有此應是有為。與此相違是無為法。此於諸法能起名生。能安名住。能衰名異。能壞名滅。性是體義。
|2=《구사론》 제5권. p. 27a.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7a12 한문본]}}
{{인용문|1=온갖 상(相)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상(相)이란 말하자면 온갖 유위가
생(生)
논하여 말하겠다. 이러한 네 가지 종류가 바로 유위의 상(相)이니, 법으로서 만약 이러한 상을 갖은 것이라면 응당 마땅히 유위라고 해야 할 것이며, 이와 상위되는 것이라면 바로 무위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 가운데] 제법을 능히 일어나게 하는 것을 '생(生, jāti)'이라 이름하고, 능히 안주하게 하는 것을 '주(住, sthiti)'라고 이름하며, 능히 쇠퇴하게 하는 것을 '이(異, anyathātva)'라고 이름하고, 능히 허물어지게 하는 것을 '멸(滅, anityatā)'이라고 이름한다. 그리고 [본송에서 말한] '성질'이란 바로 체(體)의 뜻이다.
|2=《구사론》 제5권. p. 240.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240 한글본]}}
2. 1. 3. 아비달마순정리론
상가(相伽) 존자가 저술한 《아비달마순정리론》에서는 늙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스타비라 상가바드라/स्थविर सण्घभदण्त्रsa가 저술한 《아비달마순정리론(아비다르마니야야누사라샤스트라/अभिधर्मन्यायानुसारशास्त्रsa)》에 따르면,
- '''늙음'''(자라/जराsa)은 중동분(衆同分)과 유정의 행에서 상속변이(相續變異)하는 성질이다.
3. 대승불교
인도불교의 유식학의 역사는 크게 3기로 나뉘는데, 제1기는 미륵(彌勒)과 무착(無着)의 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世親)의 유식학이고, 제3기는 호법(護法)과 안혜(安慧) 등의 10대 논사의 유식학이다. 제1기와 제2기를 합쳐서 초기유식학이라고도 부른다. 초기 유식학의 주요 논서는 《유가사지론》, 《섭대승론》, 《현양성교론》,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이다. 조직유식학의 대표적인 논서는 《대승백법명문론》, 《유식삼십론송》이다. 발달유식기의 대표적인 저술은 《유식삼십론송》을 주석한 《성유식론》이다.
아래는 각 논서에서 나타나는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에 대한 정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논사 무착의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는 갖가지 행(行: 유위법, 특히 유정의 행온)이 전후(前後)로 변하여 달라지는 성질[前後變異性], 즉 '''변이성'''(變異性) 또는 '''상속변이성'''(相續變異性)을 말한다.노자。위제행전후변이성。/老者。謂諸行前後變異性。중국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논사인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노(老: 늙어감)는 중동분(衆同分: 서로 비슷한 유정들)의 갖가지 행(유위법, 특히 유정의 행온)이 상속하면서 변하고 달라지는 것[相續變異] 즉 '''상속변이'''(相續變異)를 가립(假立: 실체가 아닌 것을 실체로 삼는 것)하여 칭한 것이다.:제1권.:제1권.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외계의 색 등에도 유위4상(有爲四相) 또는 유위상(有爲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동분에 대해서만 노 등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정이 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상을 건립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이것은 외적인 색 등의 유위상은 형성되고 괴멸되는 것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는 데 비해, 내적인 행의 유위상은 태어나고 늙는 것 등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제2권.:제2권.
유식유가행파의 논사인 세친의 《대승오온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이(異) 또는 노(老)는 중동분(衆同分: 서로 비슷한 유정들)의 갖가지 유위법[行]이 상속하면서 변하고 달라지는 것[相續變異] 또는 상속하면서 변하고 무너지는 것[相續變壞]을 별도의 자성[性]으로 삼은 것이다.늙음/老중국어란 곧 이러한 모든 지어감이 서로 계속하여 변하고 달라짐으로 그 성품이 되는 것이다. 저 모든 행위가 상속하여 변하고 깨어지는 것을 성질로 한다.
- 대승백법명문론·해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과 그 주석서에서는 늙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念念不住遷變。
> 찰나마다 머무르지 않고 변천하는 것.
《성유식론》은 호법을 비롯한 10대 논사들이 저술한 논서로, 여기서 늙음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3. 1. 유식유가행파
인도불교의 유식학의 역사는 크게 3기로 나뉘는데, 제1기는 미륵(彌勒)과 무착(無着)의 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世親)의 유식학이고, 제3기는 호법(護法)과 안혜(安慧) 등의 10대 논사의 유식학이다. 제1기와 제2기를 합쳐서 초기유식학이라고도 부른다. 초기 유식학의 주요 논서는 《유가사지론》, 《섭대승론》, 《현양성교론》,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이다. 조직유식학의 대표적인 논서는 《대승백법명문론》, 《유식삼십론송》이다. 발달유식기의 대표적인 저술은 《유식삼십론송》을 주석한 《성유식론》이다.아래는 각 논서에서 나타나는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에 대한 정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논사 무착의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는 갖가지 행(行: 유위법, 특히 유정의 행온)이 전후(前後)로 변하여 달라지는 성질[前後變異性], 즉 '''변이성'''(變異性) 또는 '''상속변이성'''(相續變異性)을 말한다.노자。위제행전후변이성。/老者。謂諸行前後變異性。중국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논사인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노(老: 늙어감)는 중동분(衆同分: 서로 비슷한 유정들)의 갖가지 행(유위법, 특히 유정의 행온)이 상속하면서 변하고 달라지는 것[相續變異] 즉 '''상속변이'''(相續變異)를 가립(假立: 실체가 아닌 것을 실체로 삼는 것)하여 칭한 것이다.:제1권.:제1권.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외계의 색 등에도 유위4상(有爲四相) 또는 유위상(有爲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동분에 대해서만 노 등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정이 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상을 건립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이것은 외적인 색 등의 유위상은 형성되고 괴멸되는 것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는 데 비해, 내적인 행의 유위상은 태어나고 늙는 것 등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제2권.:제2권.
유식유가행파의 논사인 세친의 《대승오온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이(異) 또는 노(老)는 중동분(衆同分: 서로 비슷한 유정들)의 갖가지 유위법[行]이 상속하면서 변하고 달라지는 것[相續變異] 또는 상속하면서 변하고 무너지는 것[相續變壞]을 별도의 자성[性]으로 삼은 것이다.늙음/老중국어란 곧 이러한 모든 지어감이 서로 계속하여 변하고 달라짐으로 그 성품이 되는 것이다. 저 모든 행위가 상속하여 변하고 깨어지는 것을 성질로 한다.
- 대승백법명문론·해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과 그 주석서에서는 늙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念念不住遷變。
> 찰나마다 머무르지 않고 변천하는 것.
《성유식론》은 호법을 비롯한 10대 논사들이 저술한 논서로, 여기서 늙음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3. 1. 1. 현양성교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논사 무착의 《현양성교론》에 따르면, 이(異: 달라짐) 또는 노(老: 늙어감)는 갖가지 행(行: 유위법, 특히 유정의 행온)이 전후(前後)로 변하여 달라지는 성질[前後變異性], 즉 '''변이성'''(變異性) 또는 '''상속변이성'''(相續變異性)을 말한다.노자。위제행전후변이성。/老者。謂諸行前後變異性。중국어"生者。謂諸行自相發起性。老者。謂諸行前後變異性。住者。謂諸行生時相續不斷性。無常者。謂諸行自相生後滅壞性。""생(生)186)이란 모든 유위법[行]의 자상이 일어나는 성품을 말한다.
노(老)187)는 모든 행이 전후(前後)로 변하여 달라지는 성품을 말한다.
주(住)188)는 모든 행이 생기(生起)할 때 상속하여 단멸되지 않는 성품을 말한다.
무상(無常)189)은 모든 행의 자상이 생기한 후에 소멸하고 파괴되는 성품을 말한다.
186) 생(生, jāti)은 생기(生起)의 뜻으로서, 유위법으로 하여금 미래에서 현재로 옮기게 하는 세력을 가리킨다.
187) 노(老, jarā)는 색심(色心)의 제법(諸法)이 상속(相續) 변이(變異)하는 것을 말한다.
188) 주(住, vivartasthāyin)는 안주(安住)의 뜻이다. 아직 변괴(變壞)가 시작되지 않은 단계이다.
189) 무상(無常, anitya)은 색(色) 심(心)의 모든 현상이 한 순간에도 생멸 변화해서 상주하는 모습이 없는 것을 말한다."
3. 1. 2.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논사인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 따르면, 노(老: 늙어감)는 중동분(衆同分: 서로 비슷한 유정들)의 갖가지 행(유위법, 특히 유정의 행온)이 상속하면서 변하고 달라지는 것[相續變異] 즉 '''상속변이'''(相續變異)를 가립(假立: 실체가 아닌 것을 실체로 삼는 것)하여 칭한 것이다.:제1권.:제1권.《대승아비달마잡집론》의 해설에 따르면, 외계의 색 등에도 유위4상(有爲四相) 또는 유위상(有爲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동분에 대해서만 노 등을 거론하는 이유는 유정이 상속하는 것에서 유위상을 건립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이것은 외적인 색 등의 유위상은 형성되고 괴멸되는 것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는 데 비해, 내적인 행의 유위상은 태어나고 늙는 것 등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 보이기 때문이다.:제2권.:제2권.
3. 1. 3. 대승오온론·광오온론
유식유가행파의 논사인 세친의 《대승오온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이(異) 또는 노(老)는 중동분(衆同分: 서로 비슷한 유정들)의 갖가지 유위법[行]이 상속하면서 변하고 달라지는 것[相續變異] 또는 상속하면서 변하고 무너지는 것[相續變壞]을 별도의 자성[性]으로 삼은 것이다.늙음/老중국어란 곧 이러한 모든 지어감이 서로 계속하여 변하고 달라짐으로 그 성품이 되는 것이다. 저 모든 행위가 상속하여 변하고 깨어지는 것을 성질로 한다.3. 1. 4. 대승백법명문론·해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과 그 주석서에서는 늙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念念不住遷變。
> 찰나마다 머무르지 않고 변천하는 것.
3. 1. 5. 성유식론
《성유식론》은 호법을 비롯한 10대 논사들이 저술한 논서로, 여기서 늙음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