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용 (188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문용은 1882년 흥친왕 이재면과 풍산 홍씨의 아들로 태어난 대한제국의 황족이다. 고종황제의 조카이자 흥선대원군의 손자이며, 1895년 종척 집사로 관직에 올라 시강원 시종관을 지냈다. 1901년 20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1907년 순종황제의 명으로 증 종2품 가선대부 장례원 부경에 추증되었다. 1908년 경기도 고양군에 안장되었다가 여러 차례 이장되었으며, 2005년 화장되어 흥선대원군 묘소에 봉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1년 사망 - 쇼타이왕
쇼타이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마지막 국왕이자 류큐번의 번왕으로, 일본 제국에 의해 강제 퇴위당한 후 후작 작위를 받았으며, 류큐 왕국의 격동적인 멸망 시기를 겪었다. - 1901년 사망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운현궁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운현궁 - 고종 (대한제국)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이며,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거쳐 친정을 시작하여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열강의 각축 속에서 국권을 잃고 강제 퇴위당했다. - 대한제국의 황족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제국의 황족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 이문용 (1882년) | |
|---|---|
| 기본 정보 | |
![]() | |
| 본관 | 전주 이씨 |
| 자 | 성오(聖五) |
| 호 | 간재(艮齋) |
| 다른 이름 | 창희(昌熙) |
| 직업 | 유학자 독립운동가 정치인 |
| 생애 | |
| 출생 | 1882년 10월 28일 |
| 사망 | 1952년 1월 11일 (69세) |
| 정치 활동 | |
| 소속 정당 | 한국민주당 |
| 국회의원 | 제헌 국회의원 |
| 학력 | |
| 최종 학력 | 성균관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정부인 남평 문씨 |
| 자녀 | 4남 3녀 |
| 기타 정보 |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
| 서훈 | 건국훈장 독립장 (1990년) |
2. 생애
이문용은 1882년(고종 19) 한성 안국방 운현궁에서 흥친왕 이재면과 부인 풍산 홍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은 영선군 이준용이며, 이복 여동생이 한 명 있었다. 아버지 흥친왕과 형 이준용은 고종의 잠재적 경쟁자로 여겨져 고종에게 견제받았으며, 왕족임에도 작위를 받지 못했다.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 시해 후, 음서로 관직에 올라 장사랑이 되었다. 1897년(광무 1) 대한제국 수립 후 왕후 빈전에 참여한 공로로 여러 차례 상을 받았다. 종사랑으로 승진, 시강원 시종관이 되었으나 1898년(광무 2) 사직했다. 흥선대원군 사망 후 형 이준용을 대신해 빈소를 지켰다.
1907년(융희 1) 순종의 명으로 종2품 가선대부 장례원 부경에 추증되었다. 1917년 면례에 대한 일금 300JPY을 하사받았다.
1908년(융희 2) 사망하여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공덕리 율목부락 야산에 안장되었다가 여러 차례 이장되었다. 2005년 운현궁가 묘역 화장 때 함께 화장되어 흥선대원군 묘소 우측 납골당에 봉안되었고, 묘비는 기증되었다.
아들이 있었지만 서자인데다 일찍 사망하여, 6촌 동생 참판 이달용의 아들 이해명을 양자로 들였다.
2. 1. 생애 초반과 가계

이문용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문용(們鎔)이다. 장조의 서2남 은신군의 현손이며, 남연군의 증손이고, 흥선대원군의 손자이자 고종의 조카이다. 아버지는 흥친왕이며, 어머니는 통덕랑(通德郞) 풍산인(豊山人) 홍병주의 딸로 풍산 홍씨(豊山 洪氏)이다.
부인은 교관(敎官) 김병일의 딸로 정부인 김씨(貞夫人 金氏)이다. 슬하에 일남 일녀를 두었다.
1882년(고종 19) 한성 안국방 운현궁에서 흥친왕과 정부인 풍산 홍씨의 2남으로 탄생하였다. 위로는 형 영선군 이준용과 서녀인 이복 여동생이 1명 있었다. 완은군은 그의 서숙부였다. 그의 부친 흥친왕 재면은 고종의 친형이었으나 아버지 흥친왕과 형 이준용은 한때 고종의 대안자로 지목되었으므로 고종은 그들을 경계하였으며, 왕족임에도 왕족에게 부여되는 작위를 받지는 못하였다.
1874년 11월 섭정직에서 축출당한 할아버지 흥선대원군은 흥친왕이나 완은군보다 자신과 성격, 기질이 통하는 호탕한 이준용을 더욱 총애했는데, 이준용은 그의 친형이었다. 한편 그의 유년시절에 대한 행적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
2. 2. 관료 생활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가 살해된 뒤 10월 15일 종척 집사(宗戚執事)로 임명되었다. 음서로 관직에 올라 장사랑이 되었다.그 뒤 1897년(광무 1) 대한제국 수립 후 8월 21일 왕후의 빈전에 향관(享官)의 한 사람으로 참여한 공로로 아마(兒馬) 1필을 상으로 받았고, 9월 19일 빈전(殯殿)의 별전(別奠)에 친행할 때 참여하여 아마 1필을 받았다. 11월 6일 인산 때 종척 집사로 봉무하여 아마 1필을 받았고, 11월 17일 부알례 때 참여로 아마 1필을 받았으며, 12월 12일 경효전 연제 때 참여로 아마 1필을 받았다.
종사랑으로 승진, 시강원시종관(侍講院侍從官)이 되었다. 그러나 1898년(광무 2) 1월 18일 시강원 시종관에서 의원면직하였다. 1월 21일 아마 1필을 받았고, 3월 22일 전작례 때 참여로 아마 1필을 받았으며, 8월 20일 아마 1필을 받았다. 흥선대원군의 내외가 연이어 사망하자 형 이준용을 대신하여 빈전을 지켰다.
1907년(융희 1) 9월 12일 순종황제의 명으로 특별히 증직으로 증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 장례원 부경(掌禮院副卿)에 추증(追贈)하였다.
1917년 4월 18일 면례(緬禮)에 대한 일금 300JPY을 특별히 하사받았다.
2. 3. 사후
1908년(융희 2) 4월 9일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공덕리 율목부락 야산, 당시 흥선대원군의 묘소 오른쪽 언덕에 안장되었고, 아버지 흥친왕이 친히 제문을 썼다. 처음에는 아소당 근처인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정문동(旌門洞)에 안장되었다. 1917년 양주군 화도면 창현리로 이장되었다. 1948년 경기도 남양주군 화도면 창현리의 선산 묘역으로 이장되었다가, 2005년 운현궁가 묘역을 화장할 때 화장되어 흥선대원군 묘소(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산 22-2) 우측 납골당에 봉안되고 그의 묘비는 기증되었다.비석은 김윤식이 찬하고, 글씨는 윤용구가 썼으며, 김성근이 비문을 새겼다. 비석은 1919년 5월 세워졌다.
아들이 있었지만 서자인데다가 일찍 죽었으므로, 결국 6촌 동생 참판 이달용(李達鎔)의 아들들 중 이해명을 양자로 입양하였다.
3.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비고 |
|---|---|---|
| 증조부 | 남연군(1788년 - 1836년) | |
| 증조모 | 군부인 여흥 민씨(? - 1834년) | |
| 조부 | 흥선헌의대원왕(1820년 - 1898년) | |
| 조모 | 여흥순목왕비 민씨(1818년 - 1898년) | |
| 숙부 | 고종 황제(1852년 ~ 1919년) | |
| 숙모 | 명성황후 | |
| 고모 | 전주 이씨 | 조경호(趙慶鎬)와 결혼 |
| 이복 숙부 | 완은군 이재선(? - 1881년) | |
| 아버지 |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1845년 - 1912년) | |
| 어머니(생모) | 풍산 홍씨(豊山 洪氏, 1844년 - 1887년 12월) | 홍병주(洪秉周)의 딸 |
| 동복형 |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 1917년) | ![]() |
| 동복 누이 | 군수(郡守) 김인규(金仁圭)에게 출가 | |
| 동복 누이 | 비서승(秘書丞) 김두한(金斗漢)에게 출가 | |
| 어머니(계모) | 여주 이씨(驪州 李氏, 1883년 - 1978년) | 이인구(李麟九)의 딸 |
| (아버지의) 후실 | ||
| 이복 누이 | 주사(主事) 김규정(金奎定)에게 출가 | |
| 부인 | 정부인 안동 김씨(貞夫人 金氏, 1879년 8월 18일 ~ ?) | 김병일(金炳日)의 딸 |
| 딸 | 양일(良一, ? - ?) | 순태산(淳泰山)에게 출가 |
| 사위 | 순태산(淳泰山) | |
| 외손녀 | 순혜숙(淳惠淑) | |
| 외손녀 | 순예숙(淳禮淑) | |
| 외손자 | 순일환(淳日煥) | |
| 외손자 | 순동환(淳東煥) | |
| 외손자 | 순승환(淳昇煥) | |
| 외손자 | 순용환(淳鎔煥) | |
| 외손자 | 순길환(淳吉煥) | |
| 아들 | 이름 미상 | 요절 |
| 양자 | 이해명(李海明) | 6촌 동생 이달용의 아들 |
4. 기타
부인 김씨와의 사이에서 일남 이녀를 두었으나 막내딸인 양일(良一)의 가계에 대해서만 알려져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