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연군은 조선 인조의 후손으로,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되어 남연군에 봉해졌다. 그는 관료 생활 중 의녀 강간 혐의, 건릉 훼손 불경죄 등으로 논란을 겪었으며, 청나라에 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넷째 아들인 흥선대원군을 김정희 문하에 보내는 등 학문에도 관심을 보였다. 1836년 사망 후 불천지위에 올랐으며, 묘소는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868년에는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하는 사건이 발생, 쇄국 정책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8년 출생 - 이규경
    이규경은 19세기 조선의 학자로서, 60권의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저술하고 실학 사상을 계승하며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초기 개화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88년 출생 - 아우구스테 폰 바이에른 왕녀
    바이에른 왕국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국왕의 장녀인 아우구스테 아말리아 폰 바이에른 왕녀는 외젠 드 보아르네와 결혼하여 로이히텐베르크 공작부인이 되었고, 자녀들의 혼사를 통해 가문의 번영을 이루었다.
  • 1836년 사망 - 정약용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실학 사상 집대성, 과학 기술 분야 업적, 500여 권의 저술을 통한 사회 개혁 주장 등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에 선정되었다.
  • 1836년 사망 - 윌리엄 고드윈
    윌리엄 고드윈은 영국의 정치 철학자, 소설가, 저널리스트로서 무정부주의와 공리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대표작 『정치적 정의에 관한 탐구』를 통해 근대 무정부주의 사상의 초석을 놓았고, 이성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며 정부와 강제적 권력을 비판했으며, 소설 『캘럽 윌리엄스』로 사회 제도와 권력의 부조리를 고발했고, 작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남편이자 메리 셸리의 아버지이다.
  • 가계도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가계도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남연군
기본 정보
이구 신도비
이구 신도비
이구 (李球)
초휘이채중 (李采重 또는 李寀重)
시백 (時伯)
시호충정 (忠正)
아명이채중 (李采重 또는 李寀重)
신분
작위정1품 군 (君)
종친 계급현록대부
씨족전주 이씨 연령군파
생애
출생1788년 8월 22일
사망1836년 3월 19일
사망 장소조선 한성부 (병사, 소갈증과 신장풍 합병증)
가족 관계
아버지이병원
어머니남양 홍씨
의붓아버지은신군
의붓어머니군부인 남양 홍씨
배우자군부인 여흥 민씨
자녀슬하 4남 1녀
아들흥녕군 이창응
흥완군 이정응
흥인군 이최응
흥선대원군 이하응
기타
묘소충청남도 예산군 가야산 보덕사

2. 생애

1788년 8월 22일 한성부에서 인평대군의 5대손 이병원과 연일 정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는 재혼하였다. 1815년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하면서 이름을 '구'로 바꾸고 남연군에 봉해졌다.[56] 그는 능창대군의 7대손이 된다.

그의 가계는 인평대군의 직계 후손이었으나, 삼복의 변에 연루되지 않아 왕족 신분은 유지했지만 왕족 예우는 끊어졌다. 생가 조부와 부친은 평민이었으나, 후에 추증되었다. 그는 봉서 심낙흥에게서 배웠다.

1815년 은신군의 양자로 지명되어 남연군 작위를 받고 소의대부 품계를 받았다.[2][3] 1816년 중의대부로 승진하고 현륭원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순조 16년 7월 이이희에게 탄핵당했다. 1816년 1월 17일 돈녕부 판사 이언식과의 회담에서 연령군파 가독이 되었고, 이름을 '구'로 개명하고 남연군에 봉해졌다. 1월 18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순조를 알현하고 영우원 수원관에 임관되었다.[4][5][6][7]

1816년 8월 6일 이이희가 남연군을 면관시켜야 한다고 상소했으나, 순조는 이를 부인했다.[8] 8월 8일 남연군이 석고대죄하자 순조는 면책했다.[9] 이이희는 윤리 위반과 영우원 참봉 인사 문제를 제기했다.

1817년 2월 2일 중의대부,[11][12] 1818년 1월 21일 승헌대부에 올랐다.[13][14]

1815년 수원관으로 차출되었으나, 용주사에서 술을 마시는 등 부적절한 행동을 하고 참봉 인사에 관여하여 1816년 이이희에게 탄핵당했다.[56] 순조는 친척이라는 이유로 무마시키고 이이희를 처벌했다.[59] 1817년 수원관 근무 공로로 상을 받고 승헌대부로 승진했다.

1819년 하인들의 재산 강탈과 문객들의 채권 가로채기로 형조의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으나, 순조는 가볍게 견책하고 직책을 박탈하는 선에서 종결지었다.[60] 1년 만에 복직, 1820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고 숭헌대부로 승진했다. 1820년 의녀 폭행으로 송상렴에게 탄핵받고 파직되었다가 서용되었다. 1821년 가덕대부가 되고 수릉관 등을 지냈다. 1822년 부친의 몽은을 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서기월일내용
1816년1월 17일남연군, 소의대부(종2품 하계)
1월 18일영우원수원관
1817년2월 2일중의대부(종2품 상계)
1818년1월 21일승헌대부(정2품 하계)
1820년8월 29일면관(강간죄)
10월 13일오위도총부도총관
12월 13일숭헌대부(정2품 상계)
1821년2월 3일가덕대부(종1품 하계)
4월 11일건릉수릉관
1822년5월 3일의덕대부(종1품 상계)
12월 15일사관(오위도총부 도총관)
12월 25일면관(건릉 수릉관)
1825년3월 1일흥록대부(정1품 하계)
1826년3월 15일의덕대부(강위)
1828년3월 21일오위도총부 도총관
4월 13일진하사・사은사 정사
1834년12월 13일종척 집사
1835년1월 4일현록대부(정1품 상계)
11월 24일면관(오위도총부 도총관)



김정희의 큰어머니와 그의 양어머니가 자매간이었던 인연으로, 그는 아들 흥선군 하응을 김정희에게 보내 글을 배우게 했다. 1821년 가덕대부로 승진했다. 효의왕후 사망 후 수릉관에 겸임되었다가 양어머니 상으로 면직되었다. 군부인 여흥 민씨와 결혼, 4남 1녀를 두었다.

건릉 수릉관 재직 중 1822년 의덕대부, 1825년 흥록대부로 승진했다. 1826년 선농단 초헌관, 1828년 청나라에 진하사 정사로 다녀왔다.[62] 1829년 영조, 진종, 정조어필 간행을 상주하여 성사시켰다.[63]

1828년 장남 흥녕군이 요절하고 1831년 부인 여흥 민씨가 사망했다. 1832년 종묘 춘향대제에 참석하고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었으며, 1834년 현록대부로 승진하였다. 1834년 순조 사망 후 헌종의 명으로 종척 집사로 빈전에 참여하였다.

안동 김씨 세도하에서 불우한 세월을 보냈고, 1822년부터 당뇨병신장병으로 14년간 앓다가 1836년 3월 19일 사망하였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1788년(정조 12) 8월 22일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남연군은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5대손인 진사 이병원(李秉源)과 통덕랑 정의환(鄭義煥)의 딸 연일 정씨의 둘째 아들이다. 그러나 어려서 어머니 연일 정씨를 잃고, 아버지 이병원은 광주 김씨 김진구(金鎭九)의 딸과 재혼하였다. 원래 이름은 채중(寀重)이었는데, 1815년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하면서 구(球)로 개명하였고 남연군에 봉해졌다.[56] 인평대군은 다시 자신의 삼촌 능창대군의 양자가 되었으므로, 본가 호적상으로는 능창대군 이전의 7대손이 된다.

그의 가계는 능창대군의 양자인 인평대군의 직계 후손으로, 인평대군의 아들이자 요절한 복녕군의 5대손이다.[57] 복녕군의 가문은 숙종 때의 삼복의 변에는 연루되지 않아 몰락하지 않고 왕족 신분을 유지했지만, 왕족으로서의 예우는 복녕군의 손자인 안흥군의 대에서 끊어졌다. 생가 할아버지 이진익과 생부 이병원은 평민 신분이었고, 이진익은 음서로 관직에 올라 참판을 지내고 증 의정부좌찬성추증되었다. 생부 이병원은 훗날 관직 없이 진사로 사망했지만, 특별히 증 의정부 영의정추증되었다.

초기에 그는 봉서 심낙흥(鳳西 沈樂興)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15년(순조 15) 아들 없이 죽은 은신군의 양자를 택정할 때 선발되어, 그해 12월 9일 순조의 명으로 은신군의 양자로 지명되어 남연군의 작위를 받고, 이름을 채중에서 구로 고쳤으며, 소의대부의 품계를 받았다. 1816년 중의대부로 승진하였고, 현륭원 참봉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그는 은신군의 양자가 되어 계동궁에 보내졌지만, 자신의 본가 근처에서 생활하였고 이는 순조 16년 7월 그의 다른 비행들과 함께 전 정언 이이희로부터 탄핵당하게 된다.

2. 2. 은신군 입양과 남연군 봉작

1816년 1월 17일 돈녕부 판사 이언식과 친척들의 회담에서 연령군파 가독이 되었고, 휘호를 "채중(寀重)"에서 "구(球)"로 개명하여 남연군에 봉작, 소의대부[2]에 서위[3]되었다. 1월 18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순조를 알현하고, 영우원 이전안 논의 후에[4][5][6], 영우원 수원관에 임관되었다[7].

8월 6일 이이희는 상소를 통해 남연군이 부적절한 인물이므로 면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순조는 이이희의 상소를 부인했다[8]. 8월 8일 남연군이 이이희의 상소에 대해 석고대죄를 하자, 순조는 면책했다[9]. 이이희의 상소에서는 윤리 위반 사안과 영우원 참봉 인사 사안이 이조예조 관할이므로 문제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이희의 상소 원문(原文중국어)은 다음과 같다.

1817년 2월 2일 중의대부[11]에 서위[12]되었다. 1818년 1월 21일 승헌대부[13]에 서위[14]되었다.

2. 3. 관료 생활과 논란

1815년 12월 20일 수원관(守園官)으로 차출되었다.[56] 그러나 수원관으로 있으면서도 제사 보다는 용주사에서 술을 마시거나 고기를 구워 먹었으며, 이조예조의 소속 관원도 아니면서 능참봉의 인사에 관여하였다. 이는 문제시되었지만 함구되다가 1816년 7월 13일 이이희(李履熙)로부터 탄핵을 당했다.

순조는 입양 형식이지만 자신의 가까운 친척이라는 이유로 일을 무마시키고 이이희의 자격을 박탈하였다. 7월 15일 남연군에게 사람을 보내 위로하였다.[59] 1816년 12월 17일 중의대부로 승진했다. 1817년 수원관 근무 공로로 12월 15일 안구마(鞍具馬)와 노비·전결(田結)을 상으로 받고, 12월 17일 승헌대부(承憲大夫)로 승진되었다.

그러나 남연군 집 하인들이 일반 백성의 재산을 빼앗았고, 남연군 집 문객인 장삼철(張三哲)·최치성(崔致聖)은 허위 문서를 만들어 타인의 채권을 가로채자 1819년 형조로부터 거듭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순조는 '나이 어리고 마음이 약해서 남의 꾐에 빠져 이와 같은 패려궂은 짓을 하였으니, 매우 놀랍다. 그 죄상을 논한다면 유방(流放)하여도 오히려 헐하다 하겠으나, 그 노모를 생각하여 우선 보류하라. 남연군(南延君) 구(球)에게 삭판의 율을 시행하여 허물을 뉘우치고 몸을 신칙하게 하며, 잡인과 접촉 못하게 하고 궁속을 단속하여 개과 천선을 도모(圖謀)하도록 하라.'며 가볍게 견책하고 직책을 박탈하는 선에서 사건을 종결지었다.[60] 그러나 1년 만에 그는 다시 복직되었다. 1820년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고 같은 해에 숭헌대부로 승진했다. 1820년 7월 21일 의녀를 잡아다가 종아리를 후려쳤다가 송상렴(宋祥濂)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가 7월 25일 서용의 명을 받았다. 1820년 9월 7일 도총관에 임명되었다가 9월 11일 개차되었지만 9월 18일에 도총관으로 복직되었다.

1821년 1월 1일 가덕대부가 되고 이후 수릉관, 재궁상면상자서사관(梓宮上面上字書寫官) 등을 지냈다. 1822년 3월 12일 가덕대부가 되었다. 그해 3월 22일 생부 이병원이 71세가 되었음을 들어 몽은(蒙恩, 노인에게 은전을 베푸는 것)을 상언하여 순조에게 청하였으나 거절당했다.

서기월일내용
1816년1월 17일남연군
소의대부(종2품 하계)
1월 18일영우원수원관
1817년2월 2일중의대부(종2품 상계)
1818년1월 21일승헌대부(정2품 하계)
1820년8월 29일면관(강간죄)
10월 13일오위도총부도총관
12월 13일숭헌대부(정2품 상계)
1821년2월 3일가덕대부(종1품 하계)
4월 11일건릉수릉관
1822년5월 3일의덕대부(종1품 상계)
12월 15일사관(오위도총부 도총관)
12월 25일면관(건릉 수릉관)
1825년3월 1일흥록대부(정1품 하계)
1826년3월 15일의덕대부(강위)
1828년3월 21일오위도총부 도총관
4월 13일진하사・사은사 정사
1834년12월 13일종척 집사
1835년1월 4일현록대부(정1품 상계)
11월 24일면관(오위도총부 도총관)


2. 4. 생애 후반과 사망

약간의 한학을 하던 그는 직접 네 아들을 가르쳤는데, 그중 넷째 아들의 재주가 비상함을 알아보았다. 은신군의 양자가 되면서 그는 화가이자 학자인 추사 김정희와는 이종사촌간이 되었는데, 김정희의 큰어머니이자 양어머니인 남양홍씨와 그의 양어머니이자 은신군의 부인 남양홍씨는 자매간이었다. 이 인연으로 그는 특별히 자신의 넷째 아들 흥선군 하응김정희 문하에 보내 글을 배우게 하였다.

1821년(순조 21) 가덕대부로 승진했다. 1821년 4월 10일효의왕후가 자경전(慈慶殿)에서 사망하자 남연군은 종척 집사(宗戚執事)로 차출되었고, 수릉관(守陵官)에 겸임되었다. 그러나 양어머니 남양홍씨의 상을 당하여 그해 11월 13일 수릉관에서 면직되었다. 후에 인현왕후의 백부 민정중[61]의 4대손 민경혁의 딸 군부인 여흥민씨와 결혼하여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대원군의 4남과 1녀를 두었다.

다시 정조의 묘 건릉 수릉관이 되었다가 건릉의 수릉관으로 재직하는 공로로 건릉 수릉관 재직 중인 1822년 의덕대부, 이후 수릉관 재직 공로로 1825년 1월 12일 흥록대부로 승진했다. 1826년 1월 선농단초헌관, 1828년(순조 28) 4월 청나라에 진하사가 파견되자 진하 정사(陳賀正使)로 부사(副使) 이규현(李奎鉉), 서장관(書狀官) 조기겸(趙基謙)을 대동하고 연경에 다녀왔다. 그해 8월 12일 청나라에서 귀국하여 청나라 황제의 친필을 순조에게 전달하였다.[62] 1829년 3월 영조, 진종, 정조어필 간행을 상주하여 성사시켰다.[63]

1828년(순조 28) 2월 1일 장남 흥녕군 이정응이 19세로 요절했고 1831년에는 부인 여흥민씨가 사망했다. 1832년(순조 32) 종묘, 영녕전 춘향대제(宗廟, 永寧殿春享大祭)에 인의인헌관으로 참석하고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되었고, 1833년 2월 22일 다시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재임명되었으며 1834년 현록대부로 승진하였다. 1834년 11월 13일 순조가 사망하자 왕세손 헌종의 명으로 종척 집사로 빈전에 참여하였다.

그는 안동 김씨 세도하에서 불우한 세월을 보내었는데 1822년부터는 소갈증신장풍으로 14년간 앓다가 1836년 3월 19일에 병사하였다.

3. 사후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사후'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는 이전 답변은 유효합니다.)

4. 가족 관계

존속
관계비고
친조부이진익증 영의정
친조모연일 정씨
양조부낙천군연령군의 양자
생부이병원진사, 영의정 추증
생모연일 정씨증 정경부인
양부은신군장조(사도세자)의 서자
양모남양 홍씨홍대현의 딸, 홍대용의 종질녀
비속
관계비고
부인여흥 민씨군부인, 민경혁의 딸, 민정중의 4대손
장남이창응흥녕군
차남이정응흥완군
손자이재원백부 흥녕군 이창응에게 출계
삼남이최응흥인군
손자이재긍
사남이하응헌의대원왕
손자흥친왕
손자고종
서손자이재선
장녀신억음서관찰사, 판서 역임, 증 판서 신명구(申命求)의 아들


참조

[1] 서적 대전회통
[2] 서적 대전회통
[3] 실록 순조실록 제18권 http://sillok.histor[...] 1815-12-19
[4] 문서 장조의 능묘
[5] 실록 순조실록 제18권 http://sillok.histor[...] 1815-12-20
[6]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15-12-20
[7] 실록 순조실록 제18권 http://sillok.histor[...] 1815-12-20
[8] 실록 순조실록 제19권 http://sillok.histor[...] 1816-07-13
[9] 실록 순조실록 제19권 http://sillok.histor[...] 1816-07-15
[10] 실록 순조실록 제19권 http://sillok.histor[...] 1816-07-13
[11] 서적 대전회통
[12]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16-12-17
[13] 서적 대전회통
[14] 실록 순조실록 제20권 http://sillok.histor[...] 1817-12-15
[15]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0-07-21
[16]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0-09-07
[17] 서적 대전회통
[18]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0-11-08
[19] 서적 대전회통
[20]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1-01-01
[21] 실록 순조실록 제23권 http://sillok.histor[...] 1821-03-09
[22] 서적 대전회통
[23]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2-03-12
[24] 실록 순조실록 제25권 http://sillok.histor[...] 1822-11-13
[25]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2-12-25
[26] 문서 거리
[27]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3-02-20
[28]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3-02-20
[29] 서적 대전회통
[30]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5-01-12
[31] 실록 순조실록 제27권 http://sillok.histor[...] 1825-06-11
[32]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6-02-07
[33]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8-02-02
[34] 간행물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 1828-02-29
[35] 실록 순조실록 제30권 http://sillok.histor[...] 1828-04-13
[36] 간행물 『承政院日記』(1828年戊子/道光8年) 旧暦4月13日(壬午) http://sjw.history.g[...] 1828-04-13
[37] 간행물 『承政院日記』(1828年戊子/道光8年) 旧暦8月12日(己卯) http://sjw.history.g[...] 1828-08-12
[38] 간행물 『承政院日記』(1828年戊子/道光8年) 旧暦9月8日(乙巳) http://sjw.history.g[...] 1828-09-08
[39] 간행물 『承政院日記』(1828年戊子/道光8年) 旧暦10月4日(庚午) http://sjw.history.g[...] 1828-10-04
[40] 간행물 『承政院日記』(1828年戊子/道光8年) 旧暦10月4日(庚午) http://sjw.history.g[...] 1828-10-04
[41] 간행물 『純祖実録』第30巻 29年(1829年己丑/道光9年) 旧暦3月6日(庚子)2項目 http://sillok.histor[...] 1829-03-06
[42] 간행물 『承政院日記』(1831年辛卯/道光11年) 旧暦7月2日(壬子) http://sjw.history.g[...] 1831-07-02
[43] 간행물 『純祖実録』第34巻 34年(1834年甲午/道光14年) 旧暦11月13日(甲戌)19項目 http://sillok.histor[...] 1834-11-13
[44] 문서 대전회통
[45] 간행물 『承政院日記』(1834年甲午/道光14年) 旧暦12月16日(丙午) http://sjw.history.g[...] 1834-12-16
[46] 간행물 『承政院日記』(1835年乙未/道光15年) 旧暦10月5日(丙午) http://sjw.history.g[...] 1835-10-05
[47] 간행물 『承政院日記』(1836年丙申/道光16年) 旧暦3月20日(癸卯) http://sjw.history.g[...] 1836-03-20
[48] 간행물 『承政院日記』(1836年丙申/道光16年) 旧暦12月24日(癸酉) http://sjw.history.g[...] 1836-12-24
[49] 문서 고종의 시조
[50] 간행물 『承政院日記』(1864年甲子/同治3年) 旧暦8月22日(甲寅) http://sjw.history.g[...] 1864-08-22
[51] 간행물 『承政院日記』(1865年乙丑/同治4年) 旧暦1月14日(庚戌) http://sjw.history.g[...] 1865-01-14
[52] 간행물 『純祖実録』第3巻 3年(1866年丙寅/同治5年) 旧暦2月18日(戊申)3項目 http://sillok.histor[...] 1866-02-18
[53] 간행물 『純祖実録』第3巻 3年(1866年丙寅/同治5年) 旧暦7月13日(己巳)2項目 http://sillok.histor[...] 1866-07-13
[54] 간행물 철종 4권, 3년(1852 임자 / 청 함풍(咸豊) 2년) 7월 10일(무오) 1번째기사, 부교리 김영수가 상소하여 환첩을 단속할 것·종친의 기거를 제한할 것 등을 청하다. 1852-07-10
[55] 문서 인조의 명에 의해 인평대군은 능창군의 양자가 되었으므로, 호적상 7대조는 능창군이며 1910년 한일합방 이후에 씌여진 이왕가 왕족의 호적기록에도 원종과 능창군부터 명시하였다.
[56] 뉴스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 남연군 검색 결과 http://sillok.histor[...] 2009-01-30
[57] 문서 호적상 정원군-능창대군-인평대군(양자)-복녕군-의원군-안흥군-이진익-이병원-남연군으로 이어진다.
[58] 간행물 순조 19권, 16년(1816 병자 / 청 가경(嘉慶) 21년) 7월 13일(경신) 1번째기사, 이이희가 상소하여 남연군 이구의 악행을 고하므로 그의 관직을 삭제하다 1816-07-13
[59] 간행물 순조 19권, 16년(1816 병자 / 청 가경(嘉慶) 21년) 7월 15일(임술) 2번째기사, 남연군이 대죄하고 있다고 하므로 체모를 손상할까 염려하여 대죄하지 말라고 하다. 1816-07-15
[60] 간행물 순조 22권, 19년(1819 기묘 / 청 가경(嘉慶) 24년) 12월 9일(정유) 1번째기사, 형조에서 남연군궁 하속의 간사한 짓을 조사한 것을 아뢰다 1819-12-09
[61] 문서 민유중의 형
[62] 간행물 순조 30권, 28년(1828 무자 / 청 도광(道光) 8년) 8월 12일(기묘) 1번째기사, 진하 정사 이구 등이 청 황제가 친신을 보낸 것에 감사를 표한 사실을 아뢰다 1828-08-12
[63] 간행물 순조 30권, 29년(1829 기축 / 청 도광(道光) 9년) 3월 6일(경자) 2번째기사, 남연군 이구가 영조·진종·정조 어필의 간행을 건의하다. 1829-03-06
[64] 서적 초기 한미관계의 재조명 역사비평사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