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미하일로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미하일로비치는 1357년에 태어나 1425년에 사망한 트베리 대공국의 대공이었다. 그는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의 아들로, 1366년 후계 공자로 책봉되었으며, 1398년부터 아버지의 대리청정을 수행했다. 1399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트베리 공국의 대리 집정제후를 거쳐 이듬해 대공으로 즉위했다. 그는 카신 분령을 둘러싼 분쟁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군주 - 바실리 3세
바실리 3세는 이반 3세의 아들로서 영토 확장 정책을 펼쳐 프스코프 공화국 등을 병합하고 스몰렌스크를 점령했으며, 차르 칭호와 이중두상 독수리를 채택하고 후계자를 얻기 위해 재혼 후 이반 4세를 낳았으며, 승천 교회를 건립하고 농양으로 사망하기 전 수도승이 되었다. - 러시아의 군주 - 류리크
류리크는 9세기경 노브고로드 루스를 건국한 인물로, 슬라브족의 요청으로 바랑인 부족을 이끌고 노브고로드를 다스렸으며, 그의 후손들은 류리크 왕조를 이루어 키예프 루스와 러시아 차르국을 통치했다는 《원초 연대기》의 기록이 전해진다. - 1357년 출생 - 권진
권진은 안동 권씨 권희정의 아들이자 독수와라는 호를 가진 인물로, 김황과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두었다. - 1357년 출생 - 정종 (조선)
정종은 조선의 2대 임금으로, 제1차 왕자의 난 후 즉위하여 개성 천도와 집현전 설치 등 내정 안정에 힘썼으며, 제2차 왕자의 난 후 이방원에게 양위하고 상왕으로 여생을 보냈다. - 15세기 러시아 사람 - 바실리 3세
바실리 3세는 이반 3세의 아들로서 영토 확장 정책을 펼쳐 프스코프 공화국 등을 병합하고 스몰렌스크를 점령했으며, 차르 칭호와 이중두상 독수리를 채택하고 후계자를 얻기 위해 재혼 후 이반 4세를 낳았으며, 승천 교회를 건립하고 농양으로 사망하기 전 수도승이 되었다. - 15세기 러시아 사람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이반 미하일로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사람 이름 | 이반 미하일로비치 |
원래 이름 | И́ван Миха́йлович |
가문 및 작위 | 트베리 대공 |
![]() | |
재위 기간 | 1399년 - 1425년 |
출생일 | 1357년 |
사망일 | 1425년 |
가문 | 류리크 가 |
아버지 |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
어머니 | 에프도키야 콘스탄티노브나 |
결혼 정보 | |
배우자 1 | 마리야 케스타이티 |
배우자 2 | 에프도키야 드미트리예브나 |
자녀 | 알렉산드르 이반 유리 |
기타 정보 | |
칭호 | 공자 (후계공자), 대리 집정제후, 대공 |
재위 시작일 | 1400년 1월 3일 |
재위 종료일 | 1425년 5월 22일 |
사망 장소 | 트베리 공국 트베리 |
전임자 |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
후임자 | 알렉산드르 2세 |
출생지 | 트베리 공국 블라디미르 행궁 |
2. 생애
1399년 8월 26일 아버지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가 사망하자, 다음 날인 8월 27일에 트베리 공국의 대리 집정제후로 취임하였다. 이듬해 1400년 1월 3일 트베리 공국 대공 보위에 정식 즉위하였다.
아버지의 사망 후, 트베리 대공위를 상속받았으나, 트베리 대공국 전체가 아닌 일부 도시들은 그의 형제들에게 분령으로 주어졌다. 이반이 상속받은 곳은 트베리, 노브고로드, 르제프, 줍초프 등이었다. 형제들이 상속받은 분령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이반의 생애 목표 중 하나였다.
이후 카신 분령을 둘러싼 분쟁을 벌였으며, 1412년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동맹 조약을 체결하고, 1422년 비타우타스에게 대 독일 기사단 지원군을 보내는 등 외교 관계를 맺었다. 모스크바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1425년 트베리에서 흑사병으로 향년 68세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1357년 미클린에서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의 아들로 태어났다. 1366년 아버지에 의해 후계공자로 책봉되었다. 1371년에는 아버지의 빚 10,000 루블 때문에 울루스에 인질로 보내졌다가, 1372년 모스크바 대공 드미트리 돈스코이에게 사들여져 모스크바에 머물렀다. 아버지의 빚이 청산될 때까지 대주교 알렉시 슬하에 있었다. 1373년 빚 청산 후 아버지에게 돌아갔다. 1390년 "전 루스" 대주교 키프리안을 만났다. 1397년 아버지의 사신으로 리투아니아 대공 비타우타스에게 파견되었다. 1398년 3월부터 아버지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의 대리청정을 전담하였다.2. 2. 트베리 대공 즉위
1399년 8월 26일 아버지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가 사망하자, 다음 날인 8월 27일에 트베리 공국의 대리 집정제후로 취임하였다. 이듬해 1400년 1월 3일 트베리 공국 대공 보위에 정식 즉위하였다.아버지의 사망 후, 트베리 대공위를 상속받았으나, 트베리 대공국 전체가 아닌 일부 도시들은 그의 형제들에게 분령으로 주어졌다. 이반이 상속받은 곳은 트베리, 노브고로드, 르제프, 줍초프, 라지로프, 보브리니, 오포카, 베르차진이었다. 형제들이 상속받은 분령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이반 공의 생애 목표 중 하나였다.
2. 3. 카신 분령을 둘러싼 분쟁
1400년, 이반은 칸 샤디베크의 승인을 받아 동생인 카신 공 바실리로부터 영토를 빼앗았지만, 항의를 받고 이를 반환하였다. 1401년에는 사촌이자 홀름 분령 공 이반과 화해하고, 그의 유언에 따라 1402년에는 카신 분령을 사실상 영유하였다. 1403년에는 카신 시에서 바실리 공을 내쫓았다. 1404년에는 그를 사로잡아 족쇄에 채웠다. 1405년에는 바실리 공과 화해했지만 곧 결렬되었다.1406년, 이반은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1세와 함께 리투아니아의 비타우타스 대공에게 갔다. 1407년에는 홀름 공 유리와 함께 칸국에서 새로운 칸 블라트 칸에게 재판을 받았지만 석방되었다. 칸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이반은 유리에게 카신을 양도하지 않았다. 그 후 카신 공 바실리와 화해하였다.
1408년 에디게이가 모스크바를 포위했을 때, 원조할 의무가 있었음에도 이반은 모스크바에 원군을 보내지 않았다. 같은 해, 이반이 카신 공의 지원을 받은 조카 이반과 다투었고, 조카 이반은 모스크바로 도망갔다. 그 후 또다시 카신 공 바실리와 화해하였다.
2. 4. 외교 관계
1412년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동맹 조약을 체결했다. 1413년 칸 케림 베르크에게서 귀환했다. 1422년 비타우타스에게 대 독일 기사단 지원군을 보냈다. 모스크바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아들을 모스크바 귀족 프세볼로시스키의 딸과 결혼시켰다.2. 5. 사망
1425년 트베리에서 흑사병으로 향년 68세로 사망하였다. 그의 사후, 트베리 대공위는 장남 알렉산드르가 상속했지만, 그도 흑사병으로 곧 사망하였다. 이어서 알렉산드르의 장남 유리가 대공위에 오르지만, 그 역시 며칠 후에 흑사병으로 사망하였다. 결국 알렉산드르의 차남 보리스가 트베리 대공국을 계승했지만, 이러한 빠른 세대 교체가 트베리 대공국의 약화를 초래했을지도 모른다.3. 가족
Иван Михайлович|이반 미하일로비치ru는 1375년에 리투아니아 대공 케스투티스의 딸 마리야와 결혼하여 알렉산드르, 이반, 유리 세 아들을 두었다. 1408년에는 도로고부시 공녀 에브도키야와 재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