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로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로(李相魯)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38년 수필가로 등단하여, 1946년 시인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1953년 시집 《귀로》를 발표했으며, 이후 《불온서정》, 《세월 속에서》, 《이상로전시집》 등의 시집과 수필집 《옥석혼화》, 《어느 나비가 주는 기억만치도》 등을 출간했다. 한국신학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으며, 신민당 당무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고등보통학교 동문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대전고등보통학교 동문 - 박병권
    박병권은 연희전문학교 졸업 후 일본군 소위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육군 대장과 국방부 장관을 지낸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권의 민정 참여에 반대하고 한일 기본 조약 비준 반대 운동에 참여하는 등 정치적 활동을 했다.
  • 김포초등학교 동문 - 김두섭
    김두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된 것을 제외하고는 14번의 총선에서 낙선했으며,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활동했고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 김포초등학교 동문 - 강승희 (가수)
    강승희는 대한민국의 가수로, 2007년 방송 출연을 시작하여 2020년에는 MBC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에 출연하고 코리아 드라이브 CF에 출연했다.
  • 한신대학교 교수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 한신대학교 교수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상로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상로
이상로의 젊은 시절 모습
이름이상로
출생일1916년 10월 8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경기도 부천군 ( 이후 지금의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사망일1973년 8월 2일 (향년 56세)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상도동 ( 이후 지금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직업시인, 수필가, 대학 교수
국적대한민국
본관전의(全義)
필명호(號)는 소향(素鄕)
장르시문학, 수필
경력한국신학대학교 객원교수
배우자하복순(河福順)
자녀3남
언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주요 작품 - 《귀로(歸路)》
수필 - 《옥석혼화(玉石混和)》
활동 기간1938년~1973년
학력일본 도쿄 메이지 가쿠인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종교유교(성리학)→개신교

2. 발자취

이상로는 1929년 경기김포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0년 경성중앙고등보통학교 2학년 1학기 도중 학교를 그만두고 일본 도쿄로 유학을 떠났다. 1931년 일본 도쿄 메이지 나카노 중학교 2학년 2학기를 수료 후 귀국하여 충남 대전고보 3학년 1학기로 전학하였다. 1935년 대전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다시 일본 도쿄로 유학을 갔다.

1936년 일본 도쿄 메이지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에 1학년 1학기를 마치고 학교를 그만두었다. 1937년 일본 도쿄 메이지 가쿠인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2학년을 중퇴하고(9월), 같은 해 11월에 귀국하였다. 1938년 수필가로 첫 등단하였고, 1946년에는 인으로 등단하였다.

1947년 〈민중일보(民衆日報)〉에 입사하여 1951년 민중일보 학예부 차장을 지냈다. 1953년 첫 시집 《귀로(歸路)》를 발표하였다. 1954년 서울신문으로 옮겨 같은 해 3월 서울신문 학예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1956년 동아일보사로 옮겨 같은 해 6월 동아일보사 학예부 부장을 지내고 1957년 퇴사하였다.

이후 중앙대학교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과 객원교수 및 겸임교수를 역임하였고, 한국신학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다. 1970년에는 신민당 당무위원을 역임하였으나 1971년에 탈당하였다.

2. 1. 주요 경력

2. 2. 이력

연도내용
1929년경기김포보통학교 졸업
1930년경성중앙고등보통학교 2학년 1학기 전퇴, 일본 도쿄 유학
1931년일본 도쿄 메이지 나카노 중학교 2학년 2학기 수료 및 전퇴, 귀국 및 충남 대전고보 3학년 1학기 전입학
1935년충청남도 대전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재차 일본 도쿄 유학
1936년일본 도쿄 메이지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입학, 동년 9월 도쿄 메이지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1학년 1학기 전퇴
1937년일본 도쿄 메이지 가쿠인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2학년 중퇴(9월), 동년 11월 재차 귀국
1938년수필가 첫 등단
1946년인 등단
1947년〈민중일보(民衆日報)〉 입사
1951년민중일보 학예부 차장
1953년첫 시집 《귀로(歸路)》 발표
1954년서울신문 이적, 동년 3월 서울신문 학예부 차장
1956년동아일보사 이적(동아일보 영전), 동년 6월 동아일보사 학예부 부장
1957년동아일보사 퇴사
1959년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객원교수
1960년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
1964년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 직위 퇴임
1966년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객원교수 직위 퇴임
1968년한국신학대학교 객원교수
1970년신민당 당무위원
1971년신민당 탈당
1972년한국신학대학교 객원교수 직위 퇴임


3. 주요 작품

이상로는 시집과 수필을 발표했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귀로》, 《불온서정》, 《세월 속에서》, 《이상로전시집》이 있으며, 수필로는 《옥석혼화》, 《어느 나비가 주는 기억만치도》 등이 있다.

3. 1. 시집


  • 1953년 《귀로》
  • 1957년 《불온서정》
  • 1961년 《세월 속에서》
  • 1970년 《이상로전시집》

3. 2. 수필


  • 1957년 《옥석혼화》
  • 1960년 《어느 나비가 주는 기억만치도》

4. 트리비아

생전에 '''이상로'''(李相魯)는 자신의 이름에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아, 지인들이 보낸 편지 등에서 '''이상노''', '''리상로''', '''리상노'''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또한, 아호인 '소향'을 사용한 '''리소향'''(李素鄕)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