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용 (조선자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완용은 대한제국 순종과 같은 항렬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의 5대손이며, 덕안군의 양자가 되었다. 1893년 관직에 진출하여 삭녕군수, 시강원시종관 등을 역임했고, 1900년에는 비인군수를 지냈다. 1910년 일제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친일 단체에 가담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갑부로 살았다. 1937년 사망했으며, 2002년과 2008년 친일파 명단에, 2007년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자작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조선자작 - 조민희 (조선귀족)
조민희는 조선 말 관료로 대한제국 시기 요직을 거쳐 한일 병합에 기여한 공으로 일본으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도박으로 파산하여 작위가 정지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덕흥대원군파 - 이구 (1931년)
이구는 1931년 이왕 이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미국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결혼했으나 사업 실패 후 일본에서 생활했으며, 1996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를 지내다 2005년 사망했다. - 덕흥대원군파 - 이해찬
이해찬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 7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한국 정치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진보 성향의 정치인이다. - 일제강점기 사람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 사람 - 임화수
임화수는 이정재와 함께 동대문파의 2인자이자 이승만 정권의 비호 아래 영화계 대부로 활동하며 반공예술인단을 조직하여 자유당 정권의 선전 도구로 활용하고 정치 테러에 개입했으나 4.19 혁명 이후 몰락하여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당한 정치 깡패이자 영화 제작자이다.
이완용 (조선자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완용 |
![]() | |
출생일 | 1872년 12월 13일 |
사망일 | 1937년 2월 4일 |
사망지 | 경성부 관철정 41번지 |
국적 |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
직업 | 문신, 왕족, 정치인 |
작위 | 자작 |
후임자 | 이택주 |
배우자 | 문화 류씨, 2명 이름 미상 |
2. 생애
조선 왕가의 족친으로, 호적상 사도세자의 5대손이다. 덕안군 이재덕(李載悳)의 양자가 되어 은언군의 제사를 받드는 사손(祀孫)이 되었다.[1] 생부 이재경은 선무전과 부사과를 지냈으며, 덕흥대원군의 증손자인 밀산군의 9대 손이었다.
왕족으로서의 작위는 덕흥대원군의 증손자인 밀산군까지만 주어졌다. 이후 그의 직계는 경기도 포천군 남면 일대에 살았고, 포천 향적산, 천보산 일대에 그의 선영이 있었다. 그의 생가 증조부 이동식(李東植, 1768 ~ 1852)은 노인직으로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 생부 이재경은 과에 급제하여 선전관과 부사과를 역임했다. 1887년 생모 청송심씨가 사망했다.
1893년 고종은 은언군의 제사를 받들던 이재덕의 아들 이언용이 자녀 없이 병으로 일찍 죽자, 은언군의 봉사손을 정하라는 특명을 내렸다. 그는 이언용의 양자 대신 이재덕의 사후양자로 낙점되었다. 1899년(광무 2)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었다가 다시 장조로 추존되면서 4대까지 작위가 추서될 때, 그는 입양되었지만 사도세자에게 5대손이 되었으므로 작위는 내려지지 않았다.
1893년 음서로 홍릉의 참봉 벼슬로 관직에 들어섰고, 예릉참봉(睿陵參奉)으로 이직하였다. 이후 능령(陵令)을 거쳐 1896년 삭녕군수(朔寧郡守), 1897년 통진군수(通津郡守), 1899년(고종 36) 시강원시종관(侍講院侍從官), 중화군수(中和郡守)를 역임하였다. 이후 시강원의 시종관, 비서원승 등을 역임하고 같은 해 11월 1일 평락정(平樂亭)을 영건할 때 참여한 궁내부대신(宮內府大臣) 이하 관료들에게 시상할 때 정3품으로 승진되었다. 1900년 비인군수(庇仁郡守)로 부임했다가 부임 직전 비서원승(祕書院丞)에 임명되었다. 봉상사부제조(奉常司副提調)를 거쳐 같은 해 11월 익산군수(益山郡守)에 임명되었는데, 부임 직전에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어 되돌아왔다. 1903년에는 종정원경이 되었다.
1901년(광무 4) 2월 17일 내부 회계국장(內部會計局長) 주임관 5등(奏任官五等) 5등에 임명된 뒤 시종원시종(侍從院侍從) 겸임하고, 같은 해 5월 종2품(從二品)으로 승진하고 강화부윤으로 나갔다. 1903년(광무 6) 10월 18일 내직으로 돌아와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 칙임관 4등(勅任官四等)에 임명되었다가 같은 해 10월 27일 종정원경(宗正院卿)에 임용하고 칙임관 4등, 1904년(광무 7) 1월 2일 종척집사(宗戚執事)로 차하(差下)하고 습렴(襲斂)할 때 입참(入參)하였다. 이해 4월 26일 혼전 제사관(魂殿祭祀官)에 차하되고, 11월 3일 동지돈녕원사(同知敦寧院事) 칙임관 4등, 1905년(광무 8) 3월 23일 태복사장(太僕司長) 칙임관 4등을 역임했다. 1906년 수원군수로 나갔다가 1907년(광무 10) 7월 7일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 칙임관 3등에 임명된 뒤, 종2품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진하였다.
1910년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친일 단체에도 가담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서울 종로구 계동에서 손꼽히는 갑부로 살았다.[2] 본부인 문화 류씨에게서는 아들이 없었고, 첩에게서 서자 이해구를 보았다. 뒤늦게 얻은 아들 이해만(李海滿)도 아들이 없어, 결국 이완용의 자작위는 양손자인 이택주가 이완용 사후 습작하였다.
1914년 4월 1일 은언군의 봉사손 이완용은 은언군 묘소 주변의 땅을 타인에게 매각하였다.
이완용은 효령공파 출신의 인물이다.
이택주는 청풍군 이해승의 둘째 아들로, 본래 전계대원군의 아들 영평군 이경응의 양자 청안군 이재순의 양손자였다. 상계군의 양자인 익평군 이희의 양자 덕안군 이재덕의 아들인 이완용에게 항렬상 손자뻘이 된다. 1937년 2월 4일 경성부 관철정 41번지 자택에서 사망했다.
2. 1. 생애 초기
이완용은 대한제국 순종과 같은 항렬인 조선 왕가의 족친으로, 호적상 사도세자의 5대손이다. 친아버지는 부사과 이재경(李載經)이나, 덕안군 이재덕(李載悳)의 양자가 되었다. 따라서 은언군의 제사를 받드는 사손(祀孫)이 되었다.[1] 생부 이재경은 선무전과 부사과를 지냈으며, 덕흥대원군의 증손자인 밀산군의 9대 손이었다.왕족으로서의 작위는 덕흥대원군의 증손자인 밀산군까지만 주어졌다. 이후 그의 직계는 경기도 포천군 남면 일대에 살았고, 포천 향적산, 천보산 일대에 그의 선영이 있었다. 그러다가 그의 생가 증조부 이동식(李東植, 1768 ~ 1852)이 노인직으로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 생부 이재경은 과에 급제하여 선전관과 부사과를 역임했다. 1887년 생모 청송심씨가 사망했다.
은언군의 제사를 받들던 이재덕의 아들 이언용이 자녀 없이 병으로 일찍 죽자, 1893년 고종은 은언군의 봉사손을 정하라는 특명을 내렸다. 이 중 이언용의 양자를 지명하지 않고, 대신 그가 낙점되어 이재덕의 사후양자로 지정되었다. 1899년(광무 2)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었다가 다시 장조로 추존되면서 4대까지 작위가 추서될 때, 그는 입양되었지만 사도세자에게 5대손이 되었으므로 작위는 내려지지 않았다.
2. 2. 관료 생활
1893년 음서로 홍릉의 참봉 벼슬로 관직에 들어섰고, 예릉참봉(睿陵參奉)으로 이직하였다. 이후 능령(陵令)을 거쳐 1896년 삭녕군수(朔寧郡守), 1897년 통진군수(通津郡守), 1899년(고종 36) 시강원시종관(侍講院侍從官), 중화군수(中和郡守)를 역임하였다. 이후 시강원의 시종관, 비서원승 등을 역임하고 같은 해 11월 1일 평락정(平樂亭)을 영건할 때 참여한 궁내부대신(宮內府大臣) 이하 관료들에게 시상할 때 정3품으로 승진되었다. 1900년 비인군수(庇仁郡守)로 부임했다가 부임 직전 비서원승(祕書院丞)에 임명되었다. 이후 봉상사부제조(奉常司副提調)를 거쳐 같은 해 11월 익산군수(益山郡守)에 임명되었는데 역시 부임 직전에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어 되돌아왔다. 1903년에는 종정원경이 되었다.1901년(광무 4) 2월 17일 내부 회계국장(內部會計局長) 주임관 5등(奏任官五等) 5등에 임명된 뒤 시종원시종(侍從院侍從) 겸임하고, 같은 해 5월 종2품(從二品)으로 승진하고 강화부윤으로 나갔다. 1903년(광무 6) 10월 18일 내직으로 돌아와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 칙임관 4등(勅任官四等)에 임명되었다가 같은 해 10월 27일 종정원경(宗正院卿)에 임용하고 칙임관 4등, 1904년(광무 7) 1월 2일 종척집사(宗戚執事)로 차하(差下)하고 습렴(襲斂)할 때 입참(入參)하였다. 이해 4월 26일 혼전 제사관(魂殿祭祀官)에 차하되고, 11월 3일 동지돈녕원사(同知敦寧院事) 칙임관 4등, 1905년(광무 8) 3월 23일 태복사장(太僕司長) 칙임관 4등을 역임했다. 1906년 수원군수로 나갔다가 1907년(광무 10) 7월 7일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 칙임관 3등에 임명된 뒤, 종2품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진하였다.
2. 3. 생애 후반
1910년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친일 단체에도 가담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서울 종로구 계동에서 손꼽히는 갑부로 살았다.[2] 슬하에 본부인 문화 류씨에게서는 아들이 없었고, 첩에게서 서자 이해구를 보았다. 뒤늦게 얻은 아들 이해만(李海滿)도 아들이 없어, 결국 이완용의 자작위는 양손자인 이택주가 이완용 사후 습작하였다.1914년 4월 1일 은언군의 봉사손 이완용은 은언군 묘소 주변의 땅을 타인에게 매각하였다.
이완용은 효령공파 출신의 인물이다.
이택주는 청풍군 이해승의 둘째 아들로, 본래 전계대원군의 아들 영평군 이경응의 양자 청안군 이재순의 양손자였다. 상계군의 양자인 익평군 이희의 양자 덕안군 이재덕의 아들인 이완용에게 항렬상 손자뻘이 된다. 1937년 2월 4일 경성부 관철정 41번지 자택에서 사망했다.
3. 사후
이완용의 시신은 선영이 있는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아미동(峨嵋洞) 선영 아래에 안장되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포함되어 있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양부 | 덕안군 이재덕 | 1852년 3월 18일 | 1877년 6월 5일 | |
양모 | 달성 서씨 | 1850년 9월 25일 | ? | 서우보(徐佑輔)의 딸, 정부인(貞夫人) |
친부 | 이재경 | 1844년 2월 29일 | 1912년 | 덕흥대원군의 12대손, 밀산군의 9대손 |
친모 | 청송 심씨 | 1838년 6월 4일 | 1887년 12월 15일 | 심관지(沈觀之)의 딸 |
부인 | 문화 류씨 | 1873년 6월 3일 | ? | 류병세(柳炳世)의 딸 |
아들 | 이해만(李海滿) | |||
서자 | 이해구(李海龜) | 1899년 2월 20일 | ? |
이완용은 대한제국 순종과 같은 항렬인 조선 왕가의 족친으로, 호적상 사도세자의 5대손이다.[1] 이재경(李載經)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덕안군 이재덕(李載悳)의 양자가 되어 은언군의 제사를 받드는 사손(祀孫)이 되었다.[1]
1893년 8월 14일, 고종은 은언군의 사손을 정하라는 지시를 내렸고[3], 이완용이 지명되었다. 양아버지 이재덕은 본가로는 21촌 아저씨뻘이 된다. 첩에게서 얻은 서자 이해구와 그 후손들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참조
[1]
간행물
命 恩彦君 祀孫 李完鎔 初仕擬入
http://www.knowledg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논문
日帝韓人貴族의 近況
[3]
서적
은언군의 사손을 택정하여 들이라고 명하다
고종실록
1893-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