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안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안군은 1852년에 태어나 익평군의 양자로 은언군 가문의 후사가 되었으며, 1877년 26세의 나이로 사망한 조선 시대의 인물이다. 1865년 동몽교관으로 관직에 나선 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 병조정랑, 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했다. 1870년 병으로 관직을 사직하기도 했으며, 최익현의 상소에 연루되어 파직되기도 하였다. 사후, 덕안정으로 추증되었고, 이후 덕안군으로 추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사망 - 귀스타브 쿠르베
귀스타브 쿠르베는 프랑스 출신의 사실주의 화가로,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들을 통해 예술관을 드러냈으며, 후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77년 사망 - 위르뱅 르베리에
프랑스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위르뱅 르베리에는 수학적 계산으로 해왕성의 존재를 예측하고 천체역학에 기여했으며, 혜성 연구, 행성 운동표 작성, 수성의 근일점 이동 문제 연구, 기상학 분야 폭풍 예측 시스템 구축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연구를 펼쳐 그의 업적이 천체 이름에 기념되고 있다. - 덕흥대원군파 - 이구 (1931년)
이구는 1931년 이왕 이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미국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결혼했으나 사업 실패 후 일본에서 생활했으며, 1996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를 지내다 2005년 사망했다. - 덕흥대원군파 - 이해찬
이해찬은 충남 청양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 7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한국 정치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진보 성향의 정치인이다. - 조선의 관료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조선의 관료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덕안군 | |
---|---|
기본 정보 | |
신상 정보 | |
출생 | 1438년 |
사망 | 1494년 (56세) |
묘소 |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
부 | 세종대왕 |
모 | 숙원 이씨 |
가족 관계 | |
부인 | 풍덕 군부인 풍천 노씨 |
자녀 | 3남 |
2. 생애
1852년 생으로, 생부는 덕흥대원군의 11대손 이계(李烓)이며 생모는 안동 김씨(安東金氏)이다. 후에 익평군 이희(李曦)의 양자로 입적되어 은언군의 후사(後嗣)를 이었다. 이는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의 양손자가 되는 것이다.
초기에는 음서로 관직에 나아가 교관(敎官), 동몽교관(童蒙敎官) 등을 지냈다. 1867년(고종 4)에는 고종 앞에서 치러진 응제시(應製試)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을 얻었고, 같은 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과거 급제 후 홍문관 교리를 시작으로 병조 정랑, 문신 겸 선전관, 경연 시독관, 사헌부 지평 및 장령, 장악원 정, 홍문관 응교 등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871년에는 성균관에서 열린 왕족 유생 대상 응제(應製)에서도 능력을 인정받아 고종으로부터 칭찬과 함께 은언군 사당에 제사를 지내라는 명을 받기도 했다.
관직 생활 중 1873년 최익현의 상소에 연루되어 잠시 파직되었으나 곧 복직하였다. 이후 1876년에는 다른 홍문관 관료들과 함께 최익현의 처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리는 등 정치적 상황에 따라 입장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병을 얻어 1876년 장악원 정에서 해임되었고, 이듬해인 1877년(고종 14) 향년 26세의 젊은 나이로 별세하였다.
2. 1. 가계와 초기 활동
1852년 태어났으며, 생부는 덕흥대원군의 11대손이자 충정공 이홍술(李弘述)의 6대손인 유학(幼學) 이계(李烓)이고, 생모는 진사(進士) 김운순(金運淳)의 딸인 안동 김씨(安東金氏)이다. 후에 익평군의 양자로 입양되어 은언군 가문의 후사(後嗣)를 이었다. 이는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의 양손자이자 익평군 이희(益平君 李曦)의 양자가 되는 것이다.선원세보의 은언군파보에 따르면, 그는 초기에 음서로 관직에 나아가 교관(敎官)을 역임했다고 한다. 1865년(고종 2) 12월 24일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제수되었고, 1866년 3월 4일에는 철종 어진의 이봉(移奉, 옮겨 모심)에 참여하였다.
1867년(고종 4) 3월 19일, 고종이 북원(北苑)의 봉실(奉室)에서 제례를 행하고 재전(齋殿)으로 돌아와 소현세자(昭顯世子)와 인평대군(麟坪大君)의 후손들을 만났다. 이후 춘당대(春塘臺)에서 열린 응제시(應製試)에서 유학(幼學) 이재덕(李載悳, 덕안군의 본명)이 시(詩)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직부전시(直赴殿試), 즉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을 얻었다.
같은 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한 후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날짜 | 주요 내용 |
---|---|---|
1867년 | 4월 11일 | 홍문관 교리 임명 |
1867년 | 5월 30일 | 홍문관 교리 재임명 |
1868년 | 11월 29일 | 종친부의 건의로 병조로부터 부사용(副司勇) 임명 |
1870년 | 4월 25일 | 부수찬 임명 |
1870년 | 5월 7일 | 경연 검토관 임명 |
1870년 | 5월 9일 | 병조 정랑 임명 |
1870년 | 7월 24일 | 병조 추천으로 문신 겸 선전관 임명 |
1870년 | 9월 24일 | 병으로 문신 겸 선전관 사직 |
1870년 | 10월 | 교리, 경연 시독관 임명 |
1871년 | 1월 3일 | 성균관 선파 유생(璿派儒生) 응제(應製)에서 부(賦) 부문에 뽑혀 직부전시 자격 획득. 고종이 은언군 내외 사당에 치제(致祭) 명령. |
1871년 | 2월 2일 | 교리 재임명 |
1871년 | 5월 30일 | 홍문관 교리 재임명 |
1872년 | - | 부사과(副司果), 병조 정랑(兵曹正郞) 역임 |
1872년 | - | 홍문관 교리, 동학교수 역임 |
1873년 | - | 홍문관 부수찬, 지평(持平), 부사과, 중궁전(中宮殿) 봉옥책관부사과(捧玉冊官副司果), 어영청 종사관 역임 |
1873년 | 5월 10일 | 병으로 사직 |
1873년 | 8월 | 부사직 임명 |
1873년 | 10월 27일 | 최익현의 상소와 관련하여 파직됨 |
파직 후 | - | 복직하여 사헌부 지평 임명 |
1875년 | 7월 28일 | 사헌부 장령 임명 |
1875년 | 12월 4일 | 병조 정랑 임명 |
1875년 | 12월 12일 | 장악원 정 임명 (같은 달 부사과 겸직) |
1876년 | 1월 3일 | 장악원 정 겸 홍문관 응교 임명 |
1876년 | 1월 26일 | 홍문관 동료들과 연명하여 최익현 처벌 상소 |
1876년 | 3월 11일 | 병으로 장악원 정 해임 (이조 건의) |
1876년 | - | 홍문관 응교 역임 |
1876년 | 7월 16일 | 부응교 임명 |
1877년(고종 14) 향년 26세로 별세하였다.
2. 2. 관직 생활
선원세보의 은언군파보에 따르면, 덕안군은 초기에 음서 제도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 교관(敎官)을 지냈다. 1865년(고종 2) 12월 24일에는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었고, 1866년 3월 4일에는 철종 어진을 옮기는이봉(移奉) 행사에 참여했다.1867년(고종 4) 3월 19일, 고종이 북원(北苑)의 봉실(奉室)에서 예를 행한 뒤 춘당대(春塘臺)에서 유생들을 대상으로 응제시(應製試)를 열었다. 이때 유학(幼學) 신분이었던 이재덕(李載悳, 덕안군의 본명)이 시(詩) 부문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과거 시험의 최종 단계인 전시에 바로 응시할 수 있는 자격, 즉 직부전시(直赴殿試) 자격을 얻었다. 같은 해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급제 후 4월 11일 홍문관 교리에 임명되었고, 5월 30일 다시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 1868년 11월 29일에는 종친부의 추천으로 병조로부터 부사용(副司勇)에 임명되었다.
1870년에는 여러 관직을 거쳤다. 4월 25일 부수찬, 5월 7일 경연 검토관, 5월 9일 병조 정랑에 임명되었다. 7월 24일에는 병조의 추천으로 문신 겸 선전관이 되었으나, 그해 9월 24일 병을 이유로 사직했다. 이후 10월에 다시 교리 및 경연 시독관으로 임명되었다.
1871년(고종 8) 1월 3일, 고종이 성균관에서 직접 주관한 왕족 유생(璿派儒生) 대상 응제(應製)에서 부(賦) 부문에 이재긍(李載兢) 등과 함께 뽑혀 다시 직부전시 자격을 얻었다. 이에 고종은 "이 집안(덕안군 가문)에서 과거에 합격한 것은 매우 기특하고 기쁜 일"이라며, 합격자 발표일에 은언군 내외의 사당에 승지(承旨)를 보내 제사를 지내도록 명했다. 그해 2월 2일 덕안군은 다시 교리에 임명되었다.
1871년 5월 30일 또다시 홍문관 교리가 되었고, 1872년(고종 9)에는 부사과(副司果)를 거쳐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냈다. 같은 해 다시 홍문관 교리, 동학교수를 역임했다. 1873년(고종 10)에는 홍문관 부수찬을 거쳐 지평(持平)이 되었고, 이후 부사과, 중궁전옥책봉안 시의 부사과(中宮殿捧玉冊官副司果), 어영청 종사관 등을 지냈다. 그러나 그해 5월 10일 병으로 사직하고, 8월에 부사직에 임명되었다.
1873년 10월 27일, 최익현이 올린 상소문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곧 복직하여 사헌부 지평이 되었다. 1875년 7월 28일에는 사헌부 장령, 12월 4일에는 병조 정랑, 12월 12일에는 장악원 정에 임명되었다. 장악원 정으로 재직 중이던 1875년 12월에는 부사과를, 1876년 1월 3일에는 홍문관 응교를 겸직했다.
1876년(고종 13) 1월 26일, 덕안군은 홍문관 관원들과 연명하여 최익현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그러나 3월 11일 병으로 인해 장악원 정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자 이조의 건의로 해임되었다. 이후 홍문관 응교로 있다가 7월 16일 부응교가 되었다.
1877년(고종 14) 향년 26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2. 3. 최익현 상소 연루와 사망
1873년(고종 10) 홍문관 부수찬을 거쳐 지평(持平)이 되었고, 부사과, 중궁전봉옥책관부사과(中宮殿捧玉冊官副司果), 어영청 종사관을 지냈다. 같은 해 5월 10일 병으로 사직하였고, 그해 8월 부사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해 10월 27일 최익현의 상소문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곧 복직하여 사헌부 지평이 되었고, 1875년 7월 28일 사헌부 장령, 12월 4일 병조 정랑, 12월 12일 장악원 정에 임명되었다. 장악원 정으로 재직 중이던 1875년 12월 부사과를 겸직했고, 1876년 1월 3일 홍문관 응교를 겸직했다.
1876년(고종 13) 1월 26일에는 홍문관 관원들과 연명하여 최익현의 처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같은 해 3월 11일 병으로 인해 장악원정 직무를 수행하기 어렵게 되자 이조의 건의로 해임되었다. 이후 홍문관 응교를 지내다가 7월 16일 부응교가 되었다.
1877년(고종 14) 향년 26세로 별세하였다.
3. 사후
시신은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진관리(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북북서쪽 해좌에 안장되었다. 1898년(광무 1)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면서 4대손에 해당되었으므로, 4대승습의 예에 따라 1899년(광무 2) 9월 21일 덕안정(德安正)에 추증되었다. 이후 1903년(광무 6) 11월 20일 특별히 덕안군으로 추봉되었다.
1905년(광무 6) 6월 2일 고종은 조령을 내려, 연전에 승습(承襲)한 군(君)들을 추증한 후 제사를 지내주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완림군, 완영군, 인양군, 덕안군의 사판에 비서감 승(祕書監丞)을 보내 제사를 지내도록 명하였다.
1910년(융희 4) 8월 21일 순종의 황후인 순정효황후 윤씨는 덕안군의 부인 정부인(貞夫人) 서씨(徐氏)에게 훈 2등 서봉장을 수여하였다. 덕흥대원군의 12대손이자 밀산군의 9대손인 부사과(副司果) 이재경의 아들 완용(完鎔)을 양자로 삼았다.
4. 가족 관계
구분 | 관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양가 | 양 조부 | 상계군 이담 |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 | |
양 조모 | 군부인 신씨 | 1769년 6월 13일 ~ 1801년 3월 17일 | 평산 신씨, 통덕랑 신오의 딸 | |
양부 | 익평군 이희 | 1824년 10월 16일 ~ 1863년 9월 18일 | ||
양모 | 덕성군부인 덕수 이씨 | 1820년 1월 4일 ~ ? | 덕수 이씨, 이우신(李愚信)의 딸 | |
생가 | 생부 | 유학 이계(李烓) | 1815년 ~ 1855년 | |
생모 | 안동 김씨 | |||
친형 | 이재헌 | 1849년 ~ 1880년 | 숙부 이희(李熺, 1822년 ~ 1852년)에게 출계 | |
생계모 | 안동 권씨 | 도정 권상철(權尙喆)의 딸 | ||
친서모 | 이름 미상 | 생부의 첩실 | ||
이복동생 | 이재협(李載莢) | 1854년 ~ 1904년 | ||
양 이복 서제 | 이재은(李載恩) | 1859년 ~ 1894년 | 인평대군 후손 이좌응(李佐應)의 아들, 덕안군 생가의 양자로 입적 | |
측실 | 양 서모 | 이름 미상 | 양부 익평군의 측실 | |
이복 서제 | 경은군 이재성 | 양 서모 소생 | ||
부인 및 자녀 | 부인 | 정부인 달성 서씨 | 1850년 9월 25일 ~ ? | 달성 서씨, 서우보(徐佑輔)의 딸 |
장남 (양자) | 이완용(李完鎔) | 1872년 11월 13일 ~ 1936년 | 덕흥대원군 12대손 이재경(李載經)의 아들 | |
양며느리 | 이름 미상 | 이완용의 초배 | ||
양며느리 | 문화 류씨 | 1873년 6월 3일 ~ ? | 류병세(柳炳世)의 딸, 이완용의 계배 | |
양손자 | 이해만(李海滿) | |||
양첩며느리 | 이름 미상 | 이완용의 첩실 | ||
양 서손자 | 이해구(李海龜) | 1899년 2월 20일 ~ ? | ||
차남 (친아들) | 이언용(李彦鎔) | 1876년? ~ 1893년 | 휘경원 참봉 역임 |
친아들 이언용(李彦鎔)은 은언군의 봉사손(제사를 받드는 후손) 자격으로 1887년 휘경원 참봉을 지냈다. 그러나 이언용이 후사 없이 요절하자, 1893년 8월 14일 고종은 은언군의 사손(제사를 이을 후손)을 정하라고 지시했다.[1] 이에 따라 덕흥대원군의 12대손인 선무전 이재경(李載經)의 아들 완용(完鎔)을 양자로 입적하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