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 요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의 요정은 아이가 잃은 이를 가져가고 작은 선물이나 돈을 두고 간다는 신화 속 존재이다. 중세 유럽의 미신에서 기원하여, 1908년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의 기사를 통해 현대적인 형태가 나타났다. 이의 요정의 외모는 일관성이 없으며, 성별과 모습에 대한 다양한 묘사가 존재한다. 보상금은 국가, 경제 상황, 인플레이션 등에 따라 다르며, 미국에서는 치아 하나당 평균 6달러 이상을 지불한다. 아이의 순수한 믿음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측면과 어른들의 맹신을 비판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며,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의 라톤 페레스, 유럽의 작은 생쥐 등 다른 문화권에도 유사한 이야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픽시 - 이스시
아오스 시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초자연적 존재로, 요정 언덕과 같은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인간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픽시 - 코볼트
코볼트는 독일 민속에 등장하는 집이나 광산에 깃든 요정으로, 집안일을 돕거나 광부들을 괴롭히며, 고블린과 유사하고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어원은 'kob'과 'walt'의 합성어 또는 그리스어 "코발로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현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집주인의 성향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악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 유년기 - 유아
유아는 출생 후 만 2세까지의 아동을 지칭하며, 신체, 인지, 사회정서적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운동 및 언어 능력 발달,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지며, 영양 섭취, 안전한 환경, 부모의 양육 태도, 감염병 예방, 건강 관리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유년기 - 신동
신동은 어린 나이에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사람을 지칭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연습, 성격, 지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사회적 부적응이나 완벽주의 성향과 같은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 이 (몸) - 상아
상아는 코끼리, 매머드, 하마 등의 동물 엄니나 이빨로 만들어진 재료로, 장신구, 공예품 등에 사용되었으나 코끼리 개체 수 감소로 국제적으로 거래가 제한되고 대체재가 개발되고 있다. - 이 (몸) - 어금니
이의 요정 | |
---|---|
일반 정보 | |
![]() | |
다른 이름 | 이의 요정 이 요정 이빨 요정 |
문화적 측면 | |
역할 | 빠진 젖니를 베개 밑에 둔 아이에게 돈이나 작은 선물을 준다. 동화 속 인물 |
기원 |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유래 바이킹 전통 중세 유럽 전통 |
변형 | 쥐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남아메리카 국가) 라틴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쥐, 쥐, 다람쥐, 또는 토끼 |
특징 | |
외모 | 작고 날개 달린 여성 때로는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 |
기타 | |
관련 동화 | 라일리의 첫 데이트? |
2. 기원
중세 시대에는 어린이의 이에 얽힌 여러 미신들이 있었다. 잉글랜드에서는 아이들에게 젖니를 태우도록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사후 세계에서 젖니를 찾아 영원히 헤매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마녀가 누군가의 이를 얻으면 그 사람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마녀에 대한 두려움 또한 이를 묻거나 태우는 이유 중 하나였다.[3]
이러한 전통은 1908년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에 실린 "가정 팁" 항목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현대적 이의 요정으로 변형되었다. 해당 기사에서는 이의 요정이 아이의 베개 밑에 놓인 이를 가져가고 그 자리에 작은 선물을 두고 간다는 내용이 언급되었다.[4]
2. 1. 중세 유럽의 미신
중세 시대에는 어린이의 이에 얽힌 여러 미신들이 있었다. 잉글랜드에서는 아이들에게 젖니를 태우도록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사후 세계에서 젖니를 찾아 영원히 헤매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마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를 묻거나 태우기도 했다. 중세 유럽에서는 마녀가 누군가의 이를 얻으면 그 사람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3]2. 2. 현대적 기원
중세 시대에는 어린이의 이에 얽힌 여러 미신들이 있었다. 잉글랜드에서는 아이들에게 젖니를 태우도록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사후 세계에서 젖니를 찾아 영원히 헤매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마녀가 누군가의 이를 얻으면 그 사람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마녀에 대한 두려움 또한 이를 묻거나 태우는 이유 중 하나였다.[3]이러한 전통은 1908년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에 실린 "가정 팁" 항목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현대적 이의 요정으로 변형되었다.
릴리안 브라운은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많은 말을 듣지 않는 아이라도 이의 요정에 대해 알면 흔들리는 이를 뽑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가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작은 이를 베개 밑에 넣으면 이의 요정이 밤에 와서 이를 가져가고, 그 자리에 작은 선물을 두고 갈 것이다. 어머니들이 5센트짜리 코너에 들러 이런 경우에 사용할 물건을 비축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4]
3. 외모
산타클로스나 부활절 토끼와 달리, 이의 요정의 외모에 대한 세부 사항은 여러 이야기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부분이 거의 없다. 로즈메리 웰스가 1984년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설문 조사 대상자의 74%가 이의 요정이 여성이라고 믿었고, 12%는 남성도 여성도 아니라고 믿었으며, 8%는 남성일 수도 여성일 수도 있다고 믿었다.[5] 웰스는 이의 요정의 외모에 대한 자신의 연구 결과에 대해 "날개와 요술 지팡이를 가진 기본적인 팅커벨 유형의 이의 요정이 있고, 조금 더 나이가 든 모습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이의 요정을 남성, 토끼, 또는 쥐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라고 설명했다.[6] 출판된 아동 도서와 삽화를 보면, 이의 요정은 날개를 가진 아이, 요정, 드래곤, 푸른색 어머니상, 날아다니는 발레리나, 두 명의 나이든 남자, 치위생사, 때로는 여성 치과의사, 시가를 피우는 배불뚝이 날아다니는 남자, 박쥐, 곰 등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산타클로스처럼 정해진 이미지가 있는 것과 달리, 이의 요정에 대한 묘사가 다양한 것은 아이들에게 큰 혼란을 주지 않는다.[15]
3. 1. 일반적인 묘사
산타클로스나 부활절 토끼와 달리, 이의 요정의 외모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들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부분이 거의 없다. 로즈메리 웰스가 1984년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설문 조사 대상자의 74%가 이의 요정이 여성이라고 믿었고, 12%는 남성도 여성도 아니라고 믿었으며, 8%는 남성일 수도 여성일 수도 있다고 믿었다.[5] 웰스는 이의 요정의 외모에 대한 자신의 연구 결과에 대해 "날개와 요술 지팡이를 가진 기본적인 팅커벨 유형의 이의 요정이 있고, 조금 더 나이가 든 모습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이의 요정을 남성, 토끼, 또는 쥐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라고 설명했다.[6] 출판된 아동 도서와 삽화를 보면, 이의 요정은 날개를 가진 아이, 요정, 드래곤, 푸른색 어머니상, 날아다니는 발레리나, 두 명의 나이든 남자, 치위생사, 때로는 여성 치과의사, 시가를 피우는 배불뚝이 날아다니는 남자, 박쥐, 곰 등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산타클로스처럼 정해진 이미지가 있는 것과 달리, 이의 요정에 대한 묘사가 다양한 것은 아이들에게 큰 혼란을 주지 않는다.[15]3. 2. 기념 주화
캐나다 왕립 조폐국은 2011년부터 신생아, 생일, 결혼 기념일, "오 캐나다", 이의 요정을 위한 특별 세트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2011년과 2012년에만 발행된 이의 요정 쿼터는 별도로 포장되었다.[7]2020년, 호주 왕립 조폐국은 기념 주화 2AUD를 포함한 "이의 요정 키트"를 발행하기 시작했다.[8]
4. 보상
이의 요정이 주는 보상금은 국가, 가족의 경제 상황, 아이의 또래들이 받는다고 보고하는 금액,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9][10]
4. 1. 미국의 경우
비자의 2013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아이들은 평균적으로 치아 하나당 3.7달러를 받는다.[11][12] 같은 설문조사에서는 3%의 아이들만 1USD 이하를, 8%는 5USD 이상을 베개 밑에서 발견한다고 밝혔다.[13]보상금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는다.[14] 미국의 치과 보험 회사인 델타 덴탈이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치아당 평균 지불액은 1998년 1.3달러에서 2023년 6.23USD로 증가했다.[14] 델타 덴탈에 따르면, 지불액의 추세는 일반적으로 거시 경제 상황 및 S&P 500 주가 지수와 일치한다.[14]
델타 덴탈은 미국에서 처음 빠진 치아가 다른 치아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은 보상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14]
5. 믿음
이의 요정에 대한 믿음은 두 가지 상반된 관점으로 나뉜다. 아이들의 믿음은 어린 시절의 순수한 본성으로 여겨지지만, 어른들의 믿음은 쉽게 속고 무엇이든 믿는 경향으로 비판받기도 한다.[15]
5. 1. 긍정적 측면
부모는 이의 요정 신화를 아이가 이를 잃을 때 위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15] 연구에 따르면 이의 요정에 대한 믿음은 이를 잃으면서 두려움이나 고통을 느끼는 아이에게 위안을 줄 수 있다.[16] 특히 어머니들은 자녀의 믿음을 "아기"가 여전히 아이이고 "너무 빨리 성장하지" 않는다는 신호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15] 부모는 허구의 인물에 대한 믿음을 장려함으로써 자녀가 여전히 환상을 믿고 있으며 아직 "성장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스스로 위안을 얻는다.[16]아이들은 종종 5~7세의 변화의 일부로 이의 요정이 상상 속의 존재라는 것을 발견하며, 종종 이를 다른 선물을 주는 상상의 인물들(산타클로스, 부활절 토끼)과 연결한다.[17]
작가 비키 랜스키는 부모에게 이의 요정이 썩은 이보다 완벽한 이에 훨씬 더 많은 돈을 지불한다고 아이들에게 일찍 말하도록 조언한다. 랜스키에 따르면 일부 가족은 지불과 함께 메모를 남겨 아이의 좋은 치아 관리 습관을 칭찬한다.[18]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이가 이의 요정(및 기타 허구의 인물)에 대한 지속적인 믿음과 허위 기억 증후군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19]
5. 2. 비판적 측면
이의 요정에 대한 믿음은 서로 다른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아이들의 믿음이 어린 시절의 순수한 본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어른들이 이의 요정에 대한 믿음을 쉽게 믿고 무엇이든 믿으려는 경향을 비판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5]부모들은 이 신화가 아이가 이를 잃었을 때 위안을 준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15] 연구에 따르면 이의 요정에 대한 믿음은 이를 잃으면서 두려움이나 고통을 느끼는 아이에게 위안을 줄 수 있다고 한다.[16] 특히 어머니들은 자녀의 믿음을 아이가 아직 어리고 "너무 빨리 성장하지" 않는다는 신호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15] 부모는 허구의 인물에 대한 믿음을 장려함으로써 자녀가 여전히 환상을 믿고 있으며 아직 "성장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스스로 위안을 얻는다.[16]
아이들은 종종 5~7세 사이에 이의 요정이 상상 속의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며, 산타클로스나 부활절 토끼와 같은 다른 선물을 주는 상상의 인물들과 연결 짓기도 한다.[17]
한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이가 이의 요정(및 기타 허구의 인물)에 대한 믿음을 지속하는 것과 허위 기억 증후군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9]
5. 3. 부모를 위한 조언 (비키 랜스키)
작가 비키 랜스키는 부모에게 이의 요정이 썩은 이보다 완벽한 이에 훨씬 더 많은 돈을 지불한다고 아이들에게 일찍 말하도록 조언한다. 랜스키에 따르면 일부 가족은 아이가 이를 잃었을 때 지불하는 돈과 함께 메모를 남겨 아이의 좋은 치아 관리 습관을 칭찬하기도 한다.[18]6. 다른 문화권의 유사한 이야기
중세 시대에는 어린이의 이에 얽힌 여러 미신들이 있었다. 잉글랜드에서는 아이들에게 젖니를 태우게 했는데, 그렇지 않으면 사후 세계에서 젖니를 찾아 영원히 헤매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마녀가 누군가의 이를 얻으면 그 사람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에 이를 묻거나 태우기도 했다.[3]
이러한 전통은 1908년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의 "가정 팁" 항목에서 릴리안 브라운이 이의 요정을 언급하면서 현대적으로 변형되었다. 그는 흔들리는 이를 가진 아이가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이를 베개 밑에 두면 이의 요정이 밤에 와서 이를 가져가고 작은 선물을 두고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4]
스페인과 히스패닉 아메리카에서는 라톤시토 페레스 또는 라톤 페레스( Ratón Pérez|작은 생쥐 페레스 또는 페레스 생쥐es)가 이의 요정과 같은 존재이다. 이들은 루이스 콜로마가 1894년에 알폰소 13세를 위해 쓴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했다.[20] 이탈리아에서는 이의 요정(''Fatina dei denti'') 대신 ''토폴리노''(Topolino)라는 작은 생쥐가, 프랑스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에서는 ''라 프티트 수리''(La Petite Souris, ''작은 생쥐'')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로우랜드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는 흰 요정 쥐가 아이들의 이를 동전과 교환한다는 전통이 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문화권에서, 일본에서는 잃어버린 윗니는 땅에, 아랫니는 하늘로 던져 새 이가 바르게 자라기를 바랐다.[25] 대한민국에서는 윗니와 아랫니 모두 지붕에 던지는 풍습이 있었는데,[26] 이는 까치가 이를 발견하면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믿음과 관련이 있다.[27]
6. 1.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 엘 라톤 페레스 (El Ratón Pérez)
스페인과 히스패닉 아메리카에서는 엘 라톤시토 페레스 또는 라톤 페레스(Ratón Pérez|작은 생쥐 페레스 또는 페레스 생쥐es)가 이의 요정과 같은 존재이다. 루이스 콜로마가 1894년에 8세의 나이에 유치를 잃은 알폰소 13세 국왕을 위해 쓴 이야기에서 처음 등장했다.[20] 다른 문화권에서와 마찬가지로, 아이가 이를 잃으면 라톤시토 페레스가 작은 돈이나 선물과 교환하도록 베개 밑에 두는 것이 관례이다. 이 관습은 스페인 문화권에서 거의 보편적이며, 약간의 차이가 있다.그는 일반적으로 "엘 라톤시토 페레스"[21]로 알려져 있으며, 멕시코, 페루, 칠레의 일부 지역에서는 "엘 라톤 데 로스 디엔테스"(el Ratón de los Dientes|이빨 생쥐es)로,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우루과이, 콜롬비아에서는 단순히 "엘 라톤 페레스"로 알려져 있다. 콜게이트 마케팅에서 베네수엘라[22]와 스페인에서 사용되었다.
6. 2. 유럽의 다른 지역
중세 시대 잉글랜드에서는 아이들에게 젖니를 태우도록 지시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사후 세계에서 젖니를 찾아 영원히 헤매게 될 것이라고 했다. 마녀에 대한 두려움 또한 이를 묻거나 태우는 또 다른 이유였다. 중세 유럽에서는 마녀가 누군가의 이를 얻게 되면 그 사람을 완전히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3]이탈리아에서는 이의 요정(''Fatina dei denti'') 대신 ''토폴리노''(Topolino)라는 작은 생쥐가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역에서는 성 아폴로니아(베네토에서는 ''산타 폴로니아''(Santa Polonia)로 알려짐)가 같은 역할을 한다.[23]
프랑스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에서는 이 캐릭터를 ''라 프티트 수리''(La Petite Souris, ''작은 생쥐'')라고 부른다. 로우랜드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에서는 요정 생쥐와 유사한 전통이 있는데, 흰 요정 쥐가 아이들의 이를 동전과 교환하여 산다.
카탈루냐 자치 공동체에서는 ''Els Angelets(작은 천사)''와 "Les animetes"(작은 영혼)가 가장 인기가 있으며,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이가 동전이나 작은 토큰과 교환되어 베개 밑에 놓인다.
바스크 자치 공동체, 특히 비스카이아에는 ''마리 테일라투코아''(Mari Teilatukoa, "지붕에서 온 마리")가 있는데, 이 아이는 바세리 지붕에 살면서 아이들이 던진 이를 잡는다. 칸타브리아에서는 ''L'Esquilu de los dientis''( "치아 다람쥐")로 알려져 있다.[24]
6. 3. 아시아와 아프리카
일본에서는 잃어버린 윗니는 땅에 곧바로 던지고 아랫니는 하늘로 곧바로 던지는 풍습이 있다. 이는 새로 나는 이가 바르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다.[25]대한민국에서는 윗니와 아랫니 모두 지붕에 던지는 풍습이 흔했다.[26] 이 풍습은 대한민국의 국조(國鳥)인 까치와 관련이 있다. 지붕 위에서 까치가 이를 발견하면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한다.[27] 일부 학자들은 이 신화가 까치를 뜻하는 중세 한국어 단어인 까치|Ka-chi한국어가 "새 이"와 발음이 비슷하거나, 한국 신화에서 까치가 신과 인간 사이의 메신저로서 중요성을 지니기 때문에 유래했다고 본다.
이라크, 요르단, 이집트, 수단 등 중동 국가에서는 아기 이를 하늘로, 태양이나 알라에게 던지는 전통이 있다. 이 전통은 이슬람 이전 시대인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제물 의식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Izz bin Hibat Allah Al Hadid 또한 13세기에 이를 언급했다.[28]
말리에서는 아이들이 아기 이를 닭장에 던져 다음 날 닭을 얻는다.[29]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아이들이 이를 신발에 넣어두면 Tandemuis (이 쥐)가 이를 돈으로 바꿔준다.[30]
7. 대중문화
1927년, 아동 극작가 에스터 왓킨스 아놀드는 8페이지 분량의 소극에서 요정과 같은 특별한 존재를 등장시켰다. 그녀는 이 존재를 "이의 요정"이라고 장난스럽게 이름 붙였으며, 이 신화 속 존재는 어린아이들을 방문하여 빠진 유치를 수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31]
참조
[1]
논문
Children's belief in Santa Claus, Easter Bunny and Tooth Fairy
1980-06
[2]
간행물
Tooth Fairy (legendary)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3]
웹사이트
Legends of the Tooth Fairy
https://recess.ufl.e[...]
University of Florida
2005-08-23
[4]
뉴스
Tooth Fairy
https://img0.newspap[...]
2022-03-13
[5]
뉴스
Tooth Fairy Lore Extracted
https://news.google.[...]
1984-02-02
[6]
뉴스
The tooth fairy: friend or foe?
https://news.google.[...]
1991-07-31
[7]
웹사이트
2012 CANADA Tooth Fairy Gift Sett Special quarter reverse Mint sealed
http://www.ebay.com/[...]
[8]
웹사이트
2021 Tooth Fairy Coin Set
https://www.ramint.g[...]
2021-01-08
[9]
논문
Tooth Fairy guilty of favouritism!
https://www.mja.com.[...]
[10]
논문
The Tooth Fairy Comes, or Is It Just Your Mum and Dad?: A Child's Construction of Knowledge
2003
[11]
뉴스
Tooth Fairy inflation flies high
https://www.cbsnews.[...]
2013-08-30
[12]
뉴스
Survey: Tooth fairy leaving less money
https://www.upi.com/[...]
2011-07-26
[13]
웹사이트
How Much Does The Tooth Fairy Pay for a Tooth
https://www.colgate.[...]
Colgate
2019-03-05
[14]
뉴스
Tooth Fairy's lost teeth payout reaches record high
https://www.axios.co[...]
2023-02-27
[15]
서적
The Good People: New Fairylore Essays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97
[16]
서적
Flights of Fancy, Leaps of Faith: Children's Myths in Contemporary Ame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17]
논문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transitions: revisiting the 5- to 7-year shift
1994
[18]
서적
Practical parenting tips
Unicorn books
[19]
논문
The tooth, the whole tooth and nothing but the tooth: how belief in the Tooth Fairy can engender false memories
2008-07
[20]
간행물
Luis Coloma and Ratoncito Pérez, the tale that born as a gift for a Queen
https://historia.nat[...]
2019-05-07
[21]
웹사이트
British Dental Journal – Volume 220 Issue 11, 10 June 2016
https://www.nature.c[...]
2016-06-10
[22]
웹사이트
Centuria Dental
http://www.producto.[...]
[23]
뉴스
La fatina dei denti
https://www.quotidia[...]
2019-08-22
[24]
웹사이트
La historia del Ratón de los dientes
https://news.yahoo.c[...]
2023-11-14
[25]
서적
Throw Your Tooth on the Roof: Tooth Traditions from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26]
웹사이트
British Dental Journal – Volume 220 Issue 10, 27 May 2016
https://www.nature.c[...]
2016-05-27
[27]
웹사이트
Magpies and Baby Teeth {{!}} USC Digital Folklore Archives
http://folklore.usc.[...]
2022-09-30
[28]
논문
The Worm in the Tooth
[29]
웹사이트
British Dental Journal - Volume 220 Issue 9, 13 May 2016
https://www.nature.c[...]
2016-05-13
[30]
논문
Cultural diversity of traditions for the disposal of exfoliated teeth: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2024
[31]
웹사이트
National Tooth Fairy Day
https://sunshinesmil[...]
2024-02-01
[32]
웹사이트
TOOTH FAIRYとは|歯の妖精「TOOTH FAIRY」
https://www.tooth-fa[...]
2020-02-13
[33]
웹인용
아이들 상장, 옛날 수첩... 다 버리고 얻은 뜻밖의 수확
http://www.ohmynews.[...]
2022-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