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제트 파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흐메트 이제트 파샤는 알바니아계 오스만 제국의 군인으로, 1881년 쿨렐리 육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와 육군참모학교를 거쳐 독일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그는 그리스-튀르크 전쟁과 예멘 반란 진압에 참여했으며, 청년 투르크 혁명 이후 오스만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육군 현대화에 기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반대했으나, 카프카스 전역에서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1918년 무드로스 휴전 조약 체결을 이끌며 대재상을 지냈으나, 세 파샤의 망명 관련 논란으로 비판받았다. 튀르키예 독립 전쟁에서 오스만 정부와 국민 운동 사이에서 활동했으며, 마지막 오스만 외무 장관을 역임했다. 터키 공화국 수립 후에는 이스탄불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군인 - 이사 볼레티니
    이사 볼레티니는 20세기 초 알바니아 독립과 자치를 위해 헌신하며 오스만 제국에 저항한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무장 봉기를 주도하고 알바니아 독립 선언에 참여했으며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북마케도니아계 튀르키예인 - 세미흐 카야
    세미흐 카야는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서 갈라타사라이 SK, 스파르타 프라하, 예니 말라티아스포르에서 활동했으며 튀르키예 국가대표로 UEFA 유로 2016에 참가, 2022-23 시즌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올해의 영 플레이어 상을 수상했다.
이제트 파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흐메트 이젯, 1918년경
존칭 접두사해당 없음
이름아흐메트 이젯
존칭 접미사파샤
출생1864년
출생지나스리치, 마나스트르 주, 오스만 제국
사망1937년 3월 31일
사망지이스탄불, 튀르키예
국적오스만 (1923년까지)
튀르키예 (1923년 이후)
정치 경력
소속 정당통일진보위원회
군사 경력
복무 기간1884년–1922년
계급원수
지휘제2군
동부 집단군
참전해당 없음 (정보 없음)
훈장해당 없음 (정보 없음)
주요 직책
직책 1오스만 제국 대宰相
군주 1메흐메트 6세
임기 시작 11918년 10월 14일
임기 종료 11918년 11월 8일
전임자 1탈라트 파샤
후임자 1아흐메트 테브피크 파샤
직책 2외무부 장관
군주 2메흐메트 6세
총리 2아흐메트 테브피크 파샤
임기 시작 21921년 6월 13일
임기 종료 21922년 11월 4일
전임자 2압 륄라티프 사파 베이
후임자 2직책 폐지
직책 3전쟁부 장관
군주 3메흐메트 6세
총리 3본인
임기 시작 31918년 10월 14일
임기 종료 31918년 11월 8일
전임자 3엔베르 파샤
후임자 3쾨레멘 압둘라 파샤
직책 4해당 없음
군주 4메흐메트 5세
총리 4사이이드 할림 파샤
임기 시작 41913년 6월 11일
임기 종료 41914년 1월 3일
전임자 4마흐무트 셰브케트 파샤
후임자 4엔베르 파샤
교육
모교오스만 육군사관학교 (1884년 졸업, 기병과, 수석 졸업)
기타 정보
배우자정보 없음
친척정보 없음
자녀정보 없음
거주지정보 없음
직업정보 없음
전문 분야군인
서명정보 없음
각주정보 없음

2. 초기 생애

아흐메트 이제트는 오스만 제국의 마나스티르 빌라예트에 속한 나슬리치 (네아폴리)에서 알바니아인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2][5] 그의 아버지 하이다르 베이(Haydar Bey)는 지역의 저명한 공무원이자 전직 주지사였다.[3]

그는 1881년 쿨렐리 육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884년 하르비예 학교를 졸업했으며, 이듬해인 1885년에는 참모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887년부터 1890년까지 오스만 육군대학에서 전략과 군사 지리학을 공부했다.[4] 1894년까지 독일 제국에서 콜마르 프라이헤어 폰 데어 골츠 밑에서 군사 교육을 받으며 전문성을 키웠다.[5]

3. 군 경력

이제트는 1897년 그리스-튀르크 전쟁 당시 도모코스 전투와 차탈자 계획 수립에 참여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 후 미랄라이(대령)로 진급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체포되어 심문을 받고 다마스쿠스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1901년 시리아를 방문한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오스만 정부에 그의 진급과 훈장 수여를 압력을 넣으면서 복권되었다. 이후 시리아, 레바논, 히자즈 등지에서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1904년 1월에는 1904년 예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오스만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3년 반 동안 예멘에 주둔했다. 이 기간 동안 1905년 3월 미를리바(준장), 1907년 페리크로 진급했다.

1908년 청년 투르크 혁명 이후 오스만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독일 군사 고문단의 감독 하에 오스만 육군의 현대화를 주도했으며, 특히 폰 데어 골츠와 함께 발칸 및 러시아와의 전쟁에 대비한 계획을 수립했다. 그는 소모전을 통한 방어 전략을 선호하여 에디르네와 야냐 등 주요 도시의 요새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1910년 알바니아 봉기 당시 마흐무트 셰브케트 파샤가 이끄는 군대의 강경 진압에 반대하다가 해임되었고, 1911년 2월 다시 예멘의 반란 진압 임무를 맡게 되었다.[5] 1911년 7월 6일에는 오스만 상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1912년 예멘에서 돌아온 후 통일당으로부터 쿠데타 이후 대재상 직을 제안받았으나 거절했다.[6] 이후 사이드 할림 파샤 내각에서 전쟁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발칸 전쟁 말기에는 트라키아 육군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다. 하지만 1914년 1월, 통일당이 요구한 육군 개혁안 이행을 거부하며 전쟁부 장관직에서 사임했다. 그의 후임으로는 엔베르 파샤가 임명되었다. 한편, 이스마일 케말리와 에사드 파샤 토프타니는 그에게 알바니아 공작 지위를 제안했으나 이 역시 거절했다.[7]

이제트 파샤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에 강력히 반대했으며, 전쟁 초기 2년 동안은 군 복무를 하지 않았다. 1916년 카프카스 전역에 투입되어 제2군 사령관으로 제3군과 함께 러시아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를 겪었다.[2] 1917년에는 제2군과 제3군을 통합한 카프카스 군집단의 지휘를 맡았다.[8] 전쟁 기간 동안 술탄 메흐메트 6세부관으로도 활동했다.

3. 1. 군 내부 갈등

1908년 청년 투르크 혁명 이후 오스만 참모총장이 된 이제트는 군 내부의 주요 현안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1910년 알바니아 봉기 당시, 마흐무트 셰브케트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육군이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에게 군사력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셰브케트 파샤 및 독일 군사 고문 폰 데어 골츠와의 갈등으로 이어졌고, 결국 그는 참모총장직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1911년 2월에는 다시 예멘으로 파견되어 반란 진압 임무를 맡게 되었다.[5]

1912년 11월 예멘에서 돌아온 후, 통일당의 탈라트 파샤 등은 그에게 쿠데타 이후 대재상 직을 맡아달라고 제안했지만, 이제트는 이를 거절했다. 통일당은 1913년 1월 23일 쿠데타를 일으켰고[6], 이후 암살된 셰브케트 파샤의 뒤를 이어 사이드 할림 파샤 내각에서 전쟁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제트 파샤는 1914년 1월, 통일당이 추진하던 육군 개혁안의 이행을 거부하며 전쟁부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후임으로는 엔베르 파샤가 임명되었는데, 이제트는 엔베르의 상대적으로 낮은 계급을 문제 삼으며 이에 항의하기도 했다.

4. 대재상 (총리) 재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무스타파 케말 파샤(아타튀르크)의 지원을 받아[9] 오스만 제국을 대표하여 무드로스 휴전 조약에 서명하는 정부를 이끌게 되었다.[2]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벗어났으며, 이제트 파샤는 이 시기에 원수로 진급했다.

그의 내각은 통일진보위원회(CUP)의 반전(反戰) 세력이 주를 이루었으며, 메흐메트 자비드, 라우프(오르바이), 페트히(오키야르) 등이 포함되었다. 당시 언론에서는 무스타파 케말 파샤가 육군 장관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제트 파샤는 그를 임명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육군 장관과 외무 장관 직을 겸임했다. 내각에 소수 민족 대표는 없었지만, 그는 존경받는 그리스인과 아르메니아인 관료 두 명에게 장관직을 제안했다고 회고했다.

이제트 파샤는 추방된 사람들의 귀환권을 인정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그는 총리직에서 물러나기 전, 오스만 제국의 그리스인과 아르메니아인 추방자들이 잃어버린 집과 사업체를 돌려받거나 보상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여러 위원회를 조직했다. 그러나 이 위원회들의 활동은 여러 어려움에 부딪혔다. 반환 대상 재산이 부정확하게 평가되거나, 이미 약탈당했거나, 새로 정착한 무하지르(난민)들이 점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지방 관리들이 협조를 거부하여 귀환 절차는 더욱 복잡해졌다. 1920년까지 오스만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약 335,000명의 오스만 그리스인과 아르메니아인이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제트 파샤는 스페인 독감에 걸려 총 25일간의 짧은 재임 기간 대부분을 병상에서 보내야 했다. 그는 1918년 11월 8일에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

4. 1. 세 파샤 망명 관련 논란

이제트 파샤는 1918년 11월 8일에 총리직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그는 세 파샤(탈라트 파샤, 엔베르 파샤, 제말 파샤)가 국외로 도피하는 것을 허용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들 세 명은 아르메니아인 집단 학살을 포함한 여러 전쟁 범죄 혐의로 1919-20년 터키 군사 재판소에서 재판을 받을 예정이었으나, 11월 2일에서 3일로 넘어가는 밤에 국외로 탈출했다. 이제트 파샤는 탈라트 파샤에게 "내가 내각에 있는 한, 절대 당신을 적에게 넘기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내가 얼마나 오랫동안 내각에 남아 있을지 누가 알겠습니까?" 라고 말하며 소극적인 수준의 안전만을 약속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5. 튀르키예 독립 전쟁

아흐메트 이제트 파샤는 다마트 페리트 파샤 내각에서 전쟁부 장관으로 다시 정부에 복귀했다. 그는 오스만 제국 군대를 재편하고 전투를 준비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알려져 있다.[10] 알리 리자 파샤가 수상으로 있을 때, 그는 당시 시바스에 기반을 둔 대표 위원회 산하의 국민 운동에 대한 오스만 정부의 비공식 대사 역할을 수행했다.

1920년 12월 5일, 그는 전 수상 살리 파샤와 함께 비레지크에서 무스타파 케말과 만났다. 이 회담은 이스탄불 정부와 앙카라에 기반을 둔 국민 운동 간의 공동 정책을 조율하고, 연합국에게 세브르 조약 수정을 압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회담 후, 무스타파 케말은 이제트 파샤와 살리 파샤가 이스탄불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3개월 동안 앙카라에 억류했다.[11]

1921년 3월, 그는 마침내 이스탄불로 돌아가는 것이 허락되었고, 테브피크 파샤 내각의 외무 장관이 되었다. 그는 1922년 11월 4일 오스만 정부가 해산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하여 마지막 오스만 외무 장관이 되었다. 이제트 파샤가 외무 장관직을 수락한 것은, 앙카라에 억류되어 있는 동안 케말에게 이스탄불 내각에서 봉사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던 것과 배치되는 행동이었기에, 케말은 그의 유명한 1927년 연설에서 이제트 파샤를 강하게 비판했다. 케말은 이제트 파샤가 "생이 다할 때까지 칼리프에 대한 지지를 유지했다"고 비판했다.

6. 공화국 수립 이후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고 터키 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아흐메트 이제트는 파샤 칭호를 잃었다. 1934년 성씨법에 따라 그는 '푸르가치'라는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연금으로 생활했지만, 1934년 이스탄불 전력 회사의 이사로 임명되어 어느 정도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었다. 그는 1937년 3월 31일 이스탄불 카디쿄이의 모다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으며, 카라자아흐메트 묘지에 안장되었다.

7. 유산 및 평가

아흐메트 이제트 파샤의 캅카스 전역 당시 결정은 비판을 받기도 하며, 실패의 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반면 튀르키예에서 그의 높은 명성은 튀르키예 독립 전쟁에서의 성공적인 활동 덕분으로 평가받는다.[12]

알리 푸앗 제베소이에 따르면, 이제트 파샤는 군사학, 전략, 철학, 문학 등 다방면에 걸쳐 해박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모국어인 튀르키예어 외에도 알바니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등 여러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또한 겸손함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물이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Atatürk Research Center – Halâs-I Vatan Cemiyeti http://atam.gov.tr/h[...] 2014-01-02
[2] 서적 Caucasian Battlefields, A History of Wars on the Turco-Caucasian Border, 1828-1921
[3] 문서
[4] 간행물 Harp Akademilerinin 120 Yılı Harp Akademileri Komutanlığı
[5] 서적 The Birth of Modern Turkey: The Ottoman Military and the March to WWI https://books.google[...] I.B.Tauris
[6] 서적 Talaat Pasha: Father of Modern Turkey, Architect of Genoci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문서 Son Sadrazamlar
[8] 서적 Caucasian Battlefields, A History of Wars on the Turco-Caucasian Border, 1828-1921
[9] 논문 Beiträge zur Geschichte des Kampfes der Türkei um ihre Unabhängigkeit https://www.jstor.or[...] 1957
[10] 문서 Son Sadrazamlar
[11] 문서 Nutuk
[12] 서적 Ordered to die: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 문서 Son Sadrazaml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