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볼레티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사 볼레티니는 오스만 제국 시대의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가로, 코소보 미트로비차 인근 볼레틴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웠으며, 1908년 청년 투르크 혁명 당시에는 술탄을 지지했으나 이후에는 청년 투르크당에 대항했다. 1912년 알바니아 봉기를 이끌었고, 알바니아 독립 선언에 기여했다. 제1차 발칸 전쟁, 알바니아 농민 반란, 제1차 세계 대전 등에서 게릴라전을 지휘했으며, 1916년 사망했다. 그는 알바니아의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코소보와 알바니아에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군인 - 이제트 파샤
이제트 파샤는 알바니아 출신으로 오스만 제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군사학을 공부한 오스만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며, 무드로스 휴전 협정 체결, 튀르키예 독립 전쟁 당시 군대 재건 시도, 그리고 오스만 제국 멸망 후 이스탄불 전력 회사 이사로 활동한 인물이다. - 19세기 알바니아 사람 - 이브라힘 파샤
이브라힘 파샤는 1789년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나 이집트 군인이자 정치가로 활동하며, 아라비아와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시리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1848년 사망했다. - 19세기 알바니아 사람 - 무함마드 알리
무함마드 알리는 19세기 초 이집트를 사실상 독립시키고 근대화 정책을 추진한 통치자로서, 맘루크 세력 숙청 후 이집트 태수가 되어 사회, 경제, 군사 전반의 혁신을 단행하여 이집트를 지역 강국으로 부상시켰으며, 그의 후손들이 이집트를 통치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 20세기 오스만 제국 사람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터키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자로, 오스만 제국의 몰락과 터키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며 터키의 근대화와 세속화를 위한 개혁을 단행하여 현대 터키의 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터키 국민들에게 국부로 추앙받는다. - 20세기 오스만 제국 사람 - 제바트 파샤
제바트 파샤는 오스만 제국과 튀르키예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갈리폴리 전투에서 활약하고 튀르키예 독립 전쟁에 참여했으며, 의회 의원으로도 활동했다.
이사 볼레티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사령관 |
이름 | 이사 볼레티니 |
출생일 | 1864년 1월 15일 |
출생지 | 오스만 제국 부슈트리 주 볼레틴 (현재 코소보 즈베찬) |
사망일 | 1916년 1월 24일 |
사망지 | 몬테네그로 왕국 포드고리차 |
병역 | |
소속 | 프리즈렌 동맹 (1878–1891) 알바니아 (1912–1914) |
군 종류 | 알바니아 게릴라 |
복무 기간 | 1881–1916 |
계급 | 장군 |
참전 전투 | 슬리보바 전투 알바니아 반란 (1910년) 카랄레바 고개 전투 1911년 알바니아 반란 알바니아 반란 (1912년) 위스퀴프 점령 발칸 전쟁 오흐리드-데바르 봉기 농민 반란 제1차 세계 대전 |
훈장 | 인민 영웅 흑수리 훈장 |
자녀 | 7명의 아들 (그중 한 명은 무스타파 볼레티니) |
이름 (알바니아어) | |
로마자 표기 | Isa Boletini |
IPA (알바니아어) | isa bolɛˈtini |
2. 생애
이사 볼레티니는 코소보 볼레틴 출신의 저명한 알바니아인 민족 운동가이자 군사 지도자였다. 그의 생애는 오스만 제국 말기 알바니아 민족 운동의 성장, 알바니아 독립 과정, 그리고 신생 알바니아 국가의 초기 혼란기에 걸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어린 시절부터 프레리즈렌 동맹 활동에 참여하며 민족 운동에 투신했고, 오스만 제국에 대한 무장 투쟁을 이끌었다. 특히 청년 투르크 혁명 이후 변화하는 정세 속에서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대립했다. 1910년과 1912년 알바니아 봉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오스만 군대에 맞서 싸웠고, 이는 알바니아 독립의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1912년 블로러에서 알바니아 독립이 선언된 후, 그는 이스마일 퀘말리가 이끄는 임시 정부를 군사적으로 지원했으며, 런던 회의에 대표단으로 참여하여 알바니아의 국경 문제에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코소보가 알바니아 영토에서 제외되자 이에 반발하여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군대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알바니아 공국 시기에는 빌헬름 대공을 지지하며 국내 반란 세력과 싸웠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도 알바니아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던 볼레티니는 1916년 1월, 몬테네그로 포드고리차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황 속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몬테네그로 헌병대에 의한 암살설과 점령군에 대한 저항 중 사망설 등 여러 주장이 전해진다.
2. 1. 초기 생애와 가족
이사 볼레티니는 당시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미트로비차 인근 볼레틴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알바니아인 무슬림이었으며, 피의 복수 (gjakmarrjasq) 문제로 인해 데찬 인근 이스니크 마을에서 볼레틴으로 이주했다. 본래는 북알바니아의 샬라 부족 출신이었다. 그들은 정착한 마을 이름을 따서 '볼레틴 출신'이라는 의미의 Boletinisq라는 성을 사용했다.알바니아어로는 보통 ''이사 볼레티니''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Isa Boletin'' 또는 ''Isa Boljetini''로 표기된다. 터키어로는 İsa Bolatintr으로 쓰이기도 한다.[1] 일부 독일 및 이탈리아 문헌에서는 "Issa Boletinaz"로, 다른 표기로는 "Isa Boletinac"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샬라 부족은 이스니크에 살았던 약 400가구를 제외하면 알바니아에서 가장 가난한 부족 중 하나였다.[2] 샬라 부족은 가시 부족과 오랫동안 갈등을 겪었으나, 1879년 8월에 평화를 이루었다.[3]
볼레티니에게는 여러 아들이 있었다. 1924년 기록에 따르면, 그의 아들들과 여자들, 다른 친척들은 소콜리카 수도원 근처에 있는 볼레티니 가문의 kullasq (탑 가옥)에서 살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탑 가옥은 오스만 제국 포병에 의해 여러 차례 파괴된 바 있다. 그의 아들 중 무스타파는 발칸 전쟁 당시 반군 지도자로 활동했다.[4]
2. 2. 오스만 제국과의 투쟁 (1878-1912)
1878년 알바니아 민족주의 프레리즈렌 동맹이 등장한 이후, 이사 볼레티니는 이 지역의 변화하는 정치 및 군사 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5] 그는 1881년 4월 오스만 군대에 맞서 싸운 슬리보바 전투에 참여하며 두각을 나타냈다.[6] 볼레티니는 고향 지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는 때때로 지역 사회와의 복잡하고 논쟁적인 관계로 이어지기도 했다.[7]세기 전환기에 볼레티니의 역할은 다양해졌다. 1898년에서 1899년경에는 미트로비차 지역의 세르비아 정교회 공동체를 보호하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6] 이러한 행동으로 그는 세르비아 왕국으로부터 훈장과 무기를 받는 등 인정을 받았다.[8] 볼레티니와 그의 형제 아흐메드는 알바니아 마을 사이에 자리 잡은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인 소콜리차 수도원 근처에 살았다.[9] 그러나 1900년 이후 민족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평화로운 시기는 점차 저물었다.[6]
청년 투르크 혁명 (1908) 당시, 피르조빅에서 열린 지역 유력 인사들과 무슬림 성직자(울라마)들의 대규모 모임은 헌법 복원을 지지했다. 볼레티니는 족장으로서 이러한 입장을 술탄에 대한 불충으로 여겼다.[12] 그는 자신의 입지가 약하다고 판단하여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병력을 철수시켰다.[10] 혁명 당시 압둘 하미드 2세가 피르조빅 모임을 해산시키기 위해 볼레티니에게 도움을 요청했다는 소문이 돌았다.[11] 그는 술탄에게 충성했지만, 1908년 처음에는 청년 투르크당을 지지했다가 나중에는 그들의 정부에 맞서 싸웠다.[12] 볼레티니는 1908년부터 1912년까지 오스만 의회에서 코소보 대표를 지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 기간 동안 그가 청년 투르크당과 대립하며 사면받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학술적 검증이 필요하다.
연합 및 진보 위원회(CUP)는 헌법 복원 약 한 달 후 코소보의 혈족 간 원한 문제를 해결하기로 결정하고 살인을 저지른 알바니아인들에게 형을 선고했다.[13] 1908년 말, 지역 주민들은 공격적인 조치를 취했고, 넥시프 드라가와 다른 코소보 유력 인사들은 볼레티니를 성가시고 위협적인 존재이자 술탄 압둘하미드 2세의 충성자로 여겨 그의 체포와 그의 쿨라( kulla|쿨라sq, 요새화된 타워 하우스) 파괴를 위해 새로운 청년 투르크 (CUP) 정부에 로비를 벌였다.[13] 법과 질서를 원했던 지주 드라가와 달리, 볼레티니는 오랜 특권과 자율성을 유지하려던 족장이었으며, 피르조빅에서의 헌법 복원에 대한 의견 차이로 둘 사이는 갈라섰다.[13] 미트로비차에서 CUP 구성원들을 설득하지 못한 드라가는 살로니카로 가서 지역 CUP 위원회에 호소했고, 위원회는 이를 승인하여 오스만 정부가 볼레티니에 대항하도록 했다.[13] 오스만 정부는 조치를 취할 구실을 찾던 중, 이전에 하치 알리라는 지역 주민 소유였던 토지를 술탄으로부터 불법적으로 받았다는 혐의로 볼레티니에게 법원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장교와 병사들을 보냈다.[14] 볼레티니는 혐의를 비웃고 청년 투르크 혁명을 비난하며 오스만 당국을 쫓아냈다.[14] 오스만군은 곧 그의 요새를 공격했고, 치열한 교전 끝에 볼레티니는 소수의 병력과 함께 탈출했으며 그의 쿨라는 파괴되었다.[14] 이페크 (페치)의 무타사리프 등 지역 오스만 당국은 볼레티니에 대한 조치가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청년 투르크 정부에 반대하고, 대신 무력을 과시하여 지역 족장들의 복종을 유도할 것을 권고했다.[14] 볼레티니 사건 이후 오스만군은 코소보 전역을 돌며 데루데칠릭(보호 명목의 "갈취") 시스템에 연루된 여러 족장들의 다른 쿨라들을 파괴했다.[14]
3월 31일 사건 동안 볼레티니는 여러 코소보 알바니아 족장들과 함께 술탄에게 군사 지원을 제공했다.[15] 1909년 5월 15일, 알바니아인들의 민족 권리를 부정하는 기존 정책을 이어가던 청년 투르크당은 정부에 대한 적대감 증가를 막고, 이스탄불이 부과한 세금 납부를 거부하는 농민들의 저항을 꺾기 위해 코소보 빌라예트에 군사 원정대를 보냈다. 미트로비차 사단의 새로운 사령관 자비드 파샤는 알바니아 산악인들에 대한 군사 작전, 특히 볼레티니 체포 명령을 받았다.[16] 청년 투르크당은 신문 ''타닌''을 통해 볼레티니와 소수의 지지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이 정부에 반대하지 않겠다는 베사(맹세)를 했다고 주장했다.[16] 오스만 당국은 볼레티니 체포에 300리라의 현상금을 걸었다.[16] 당국이 이전까지 주로 기독교인들이 부담했던 세금을 징수하려 하자, 북부 알바니아의 호전적인 무슬림 부족들 사이에서 심각한 소요가 발생했다. 술탄으로부터 자주 존경받던 저명한 지도자인 볼레티니와 야코바 (자코베)의 다른 족장들은 오스만군을 공격했고, 수많은 전투에서 많은 피를 흘렸으며, 오스만군은 여러 마을에 포격을 가했다.[17] 볼레티니는 프리슈티나, 프리즈렌 등지에서 전투를 이끌었다.
볼레티니는 1910년 알바니아 반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0년 초, 그는 몬테네그로로 이동하여 니콜라 국왕으로부터 추가 무기를 받은 알바니아 고지대 사람들을 방문했다.[18] 이페크의 코소보에서 볼레티니와 12명의 알바니아 고지대 부족장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공동 행동에 합의했다.[18]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이 공세에 나서자, 볼레티니는 2,000명의 병력으로 피르조빅과 프리즈렌을 공격했다.[18] 그는 카랄레바에서 이틀 동안 오스만군에 저항했다. 볼레티니는 오스만군이 반란을 진압하자 나중에 탈출했다.[19] 1910년, 노프차는 그와 이전의 알리 파샤 드라가를 미트로비차의 주요 알바니아 인물로 지목했다. 1910-11년, 몬테네그로 정부는 북부 알바니아 부족 (''말리소리'')들이 오스만 제국에 반란을 일으키도록 부추겼다. 가톨릭 말리소리 외에도 볼레티니를 포함한 일부 코소보 알바니아 지도자들에게도 접근했다. 볼레티니는 몬테네그로를 오스만 알바니아에 대한 침략 기지로 사용하려 했다.[20] 처음에는 몬테네그로가 그의 존재를 묵인했지만, 6월 15일 오스만 대사의 거듭된 항의 끝에 볼레티니와 그의 추종자 13명을 알바니아 국경 밖으로 추방했다.


1912년 알바니아 봉기를 앞두고 세르비아 정부는 알바니아 게릴라 부대와 협력하여 필요할 경우 문제를 일으킬 준비를 했고, 이를 위해 검은 손으로 알려진 세르비아 조직을 통해 볼레티니에게 접근했다.[21] 4월 23일, 하산 프리슈티나의 반군이 자코바 고지대에서 봉기를 일으켰고, 봉기는 확산되었다. 5월 20일, 볼레티니는 다른 알바니아 지도자들과 함께 유니크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하여 코소보 빌라예트에서 무장 봉기를 통해 청년 투르크 정부에 맞서 싸우겠다는 베사(서약)를 했다.[22][23] 1912년 봄, 볼레티니는 코소보에서 봉기를 이끌며 오스만 제국에 맞서 놀라운 승리를 거두었다. 1912년 봉기 동안, 반군의 요구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응답을 기다리면서 볼레티니와 다른 반란 지도자들은 병력에게 위스큅(현대 스코페)으로 진격하라고 명령했고, 스코페는 8월 12일부터 15일 사이에 점령되었다.[24] 알바니아 비정규군은 이후 비톨라와 테살로니키를 위협했고, 오스만 제국은 반군에 대항하여 군대를 파견했지만, 반군은 산으로 후퇴하면서도 정부에 대한 항의를 계속했다. 그들은 이페크와 미트로비차 사이의 전 지역에서 군수품 창고를 약탈하고, 감옥을 열었으며, 알바니아 지도자들을 위해 주민들로부터 세금을 징수했다.
8월 18일, 프리슈티나가 이끄는 온건파는 볼레티니와 이드리즈 세페리, 바즈람 쿠리, 리자 베이 자코바와 같은 보수파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알바니아의 사회 정치 및 문화적 권리를 위한 오스만 제국과의 합의를 받아들이게 했다.[25][26] 오스만 제국은 코소보, 스쿠타리, 야니나 및 모나스티르(비톨라)의 일부 알바니아 거주 빌라예트에 자치를 약속하는 양보에 동의했다. 1912년 8월 18일, 오스만 정부는 일련의 경제적, 정치적, 행정적 및 문화적 권리를 양보할 준비가 되었지만 공식적인 자치는 없다고 답했다. 알바니아 측은 이를 받아들이고 더 이상의 국가적 주장을 포기했으며, 볼레티니를 진정시키고 집으로 돌려보냈다. 오스만 측은 9월 4일에 이를 수락했다.[27] 이는 사실상 자치 알바니아 국가를 만드는 효과를 가져왔다. 무슬림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기뻐했지만, 발칸 이웃 국가들과 가톨릭 알바니아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발칸 국가들은 알바니아 분할을 예상하고 있었기에 전쟁을 서둘러 촉발했다. 몬테네그로는 말리소리를 설득하여 자치적인 북부 알바니아 가톨릭 실체를 지원하도록 했다.
8월, 세르비아 검은 손 조직의 수장인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아피스" 대령은 볼레티니와 그의 부하들에게 오스만 제국과 싸우는 세르비아를 돕도록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28] 검은 손은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봉기를 부추기고 장려하며 도움을 약속했다. 아피스 대령은 알바니아 봉기 지도자들, 특히 볼레티니와 접촉하기 위해 여러 차례 북부 알바니아를 방문했다. 아피스는 세르비아가 오직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알바니아인들을 해방시키기를 원하며, 세르비아와 알바니아 양측 모두 국가 해방에서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을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우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지만, 아피스와 그의 부하들은 알바
2. 3. 알바니아 독립과 이후 (1912-1916)
1912년 알바니아 봉기1912년 알바니아 봉기를 앞두고, 세르비아 정부는 검은 손으로 알려진 조직을 통해 볼레티니에게 접근하여 알바니아 게릴라 부대와 협력할 준비를 했다.[21] 4월 23일, 하산 프리슈티나의 반군이 자코바 고지대에서 봉기를 일으켰고, 이는 점차 확산되었다. 5월 20일, 볼레티니는 다른 알바니아 지도자들과 함께 유니크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하여 코소보 빌라예트에서 무장 봉기를 통해 청년 투르크 정부에 맞서 싸우겠다는 베사(서약)를 했다.[22][23] 1912년 봄, 볼레티니는 코소보에서 봉기를 이끌며 오스만 제국군을 상대로 여러 차례 승리를 거두었다. 1912년 봉기 동안, 오스만 제국의 반군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면서, 볼레티니와 다른 반란 지도자들은 병력에게 위스큅(현대 스코페)으로 진격하라고 명령했고, 8월 12일부터 15일 사이에 스코페를 점령했다.[24] 이후 알바니아 비정규군은 비톨라와 테살로니키를 위협했으며, 오스만 제국이 군대를 파견하자 산으로 물러났지만 정부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그들은 이페크와 미트로비차 사이의 전 지역에서 군수품 창고를 약탈하고, 감옥을 열었으며, 알바니아 지도자들을 위해 주민들로부터 세금을 징수했다.
8월 18일, 하산 프리슈티나가 이끄는 온건파는 볼레티니와 이드리즈 세페리, 바즈람 쿠리, 리자 베이 자코바와 같은 보수파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알바니아의 사회 정치 및 문화적 권리를 위한 오스만 제국과의 합의를 받아들이게 했다.[25][26] 오스만 제국은 코소보, 스쿠타리, 야니나 및 몬아스티르(비톨라)의 일부 알바니아 거주 빌라예트에 대해 경제적, 정치적, 행정적, 문화적 권리를 양보할 준비가 되었음을 밝혔으나, 공식적인 자치권 부여는 거부했다. 알바니아 측은 이를 받아들이고 더 이상의 국가적 주장을 포기했으며, 볼레티니는 집으로 돌아갔다. 오스만 측은 9월 4일에 합의를 수락했다.[27] 이는 사실상 자치적인 알바니아 국가를 형성하는 결과를 낳았다. 무슬림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은 이 결과에 만족했지만, 발칸 이웃 국가들과 가톨릭 알바니아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발칸 국가들은 알바니아 분할을 예상하고 전쟁을 서둘렀으며, 몬테네그로는 말리소리족을 설득하여 자치적인 북부 알바니아 가톨릭 실체를 지원하도록 했다.
같은 해 8월, 세르비아 검은 손 조직의 수장인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아피스" 대령은 볼레티니와 그의 부하들에게 오스만 제국과 싸우는 세르비아를 돕도록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28] 검은 손은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봉기를 부추기고 지원을 약속했으며, 아피스 대령은 볼레티니 등 봉기 지도자들과 접촉하기 위해 여러 차례 북부 알바니아를 방문했다. 아피스는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알바니아인들을 해방시키기를 원하며, 양측 모두 국가 해방을 통해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7][28] 그러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을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우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한 후, 아피스와 그의 부하들은 알바니아인으로 위장하여 정치적 살인을 저질렀고, 1912년 9월 초에는 몬테네그로 및 세르비아 군대가 알바니아인을 학살하고 알바니아인에게 무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았다.[27][28]

제1차 발칸 전쟁이 시작되자 오스만 제국군은 일부 알바니아 자원병과 용병의 지원을 받았다. 오스만 당국은 볼레티니의 부대에 65,000정의 소총을 제공했고, 볼레티니는 제국 내 알바니아 영토를 보호하기 위해 그들과 함께 싸웠는데, 이는 세르비아를 실망시키는 행동이었다.[29] 1912년 11월 28일 블로러에서 알바니아 국민 의회는 알바니아 독립 선언을 했다. 이스마일 퀘말리는 볼레티니와 코소보 빌라예트의 다른 알바니아 지도자들을 기다리지 않고 서둘러 선언을 진행했는데,[30] 이는 남부 엘리트들이 볼레티니가 핵심 정치 인물로 부상하는 것을 막고 그를 군사적 필요에만 이용하려 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30]
볼레티니는 블로러 정부를 보호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알바니아 정부 수반 이스마일 퀘말리와 함께 런던 회의 (1913년)에 알바니아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알바니아 대표단은 코소보가 새로 건국된 알바니아의 국경 안에 포함되기를 원했지만, 열강은 이를 거부하고 해당 지역을 세르비아에 할양했다.
1913년, 볼레티니와 바즈람 쿠리는 세르비아군과 몬테네그로군에 대항하여 반란군을 지휘했다.[32] 1913년 8월 13일, 세르비아-알바니아 국경에서 적대 행위가 발생했다. 임시 정부의 전쟁 장관이었던 볼레티니의 지휘 아래 알바니아 전투 부대가 국경 도시인 데바르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여 세르비아 수비대로부터 탈환했다.
1913년 9월 23일, 세르비아 통치 하에 놓인 것에 대한 알바니아인들의 불만은 마케도니아에서의 봉기로 이어졌다. 이들은 알바니아 국경에 대한 대사 회의의 결정을 거부했다. 알바니아 정부는 잃어버린 지역을 회복하기 위해 무장 저항을 조직했고, 전쟁 장관인 볼레티니의 지휘 아래 6,000명의 알바니아인이 국경을 넘었다. 세르비아군과의 교전 후, 그들은 데바르를 탈환한 다음 페타르 차울레프가 이끄는 불가리아 부대와 함께 오흐리드 방향으로 행진했다. 다른 부대는 마브로보에서 손실을 입고 저지되었다. 며칠 안에 그들은 고스티바르, 스트루가 및 오흐리드 마을을 점령하고 세르비아군을 몰아냈다. 오흐리드에서는 지방 정부를 세우고 레센을 향한 언덕을 4일 동안 점령했다.

1914년 5월 중순 알바니아 중부에서 친 오스만 농민 봉기(알바니아 농민 반란)가 발발하자, 이사 볼레티니와 그의 군대는 빌헬름 대공을 지켰다. 1914년 6월 봉기가 악화되자, 볼레티니와 그의 부대(대부분 코소보 출신)는 친 오스만 반군에 맞서 싸우는 네덜란드 국제 헌병대에 합류했다.[31]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볼레티니는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군대에 대항하여 게릴라 전사들을 지휘했다.
이사 볼레티니는 1916년 1월 23일 또는 24일 포드고리차에서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 한 이야기에 따르면, 볼레티니는 슈코더를 방어하던 중 심각한 병을 얻었고, 몬테네그로군에게 붙잡히지 않기 위해 체티네의 프랑스 영사관에 보호를 요청했다. 그러나 그는 체티네 호텔에서 체포되어 니크시치에 투옥되었다가 포드고리차로 이송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포드고리차에 진입하고 혼란이 벌어진 틈을 타 몬테네그로 헌병대는 1916년 1월 23일 모라차 강 다리에서 볼레티니, 그의 두 아들, 두 손자, 사위, 조카, 그리고 충실한 두 동료를 살해했다. 당시 그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만나러 가던 중이었다고 여겨진다. 알바니아 신문에 따르면, 볼레티니를 살해한 몬테네그로 헌병대 부대는 사보 라자레비치의 지휘를 받았다.[32]
- 베오그라드 언론은 다른 이야기를 보도했다. 몬테네그로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점령된 후 시민들이 무기를 당국에 넘겨야 했을 때, 이사 볼레티니, 그의 아들, 그리고 여섯 명의 친구가 이를 거부했다. 그들은 사람들이 모여 있던 마을 법원에 들어가 점령에 저항하도록 격려하려 했고, 그 과정에서 몬테네그로 작가 한 명과 경찰관 두 명을 쏘았다. 이후 벌어진 수색 과정에서 볼레티니가 사망했다는 것이다.[33]
3. 유산
이사 볼레티니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상징적인 인물로, 사후에도 알바니아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용맹한 전사이자 독립 운동가로서 높이 평가받으며, 코소보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동상 건립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그의 영웅적인 면모와 민족주의 사상은 후대에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 있다.
3. 1. 평가
이사 볼레티니는 키가 크고 체격이 좋으며 강인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용맹함과 특히 터키인 및 세르비아인으로부터의 탈출과 관련된 업적은 알바니아에서 전설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항상 전통적인 알바니아 흰색 모자인 ''qeleshe''와 민족 의상을 착용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볼레티니는 알바니아의 가장 위대한 애국자이자 영웅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그의 사상은 미드하트 프라셰리를 비롯한 저명한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1934년 6월 24일 포드고리차에서 열린 비행기 회의에서는 조종사 타디야 손더마예르가 몬테네그로 복장을 하고 볼레티니의 플린트락을 착용하기도 했다.[34]
2010년 코소보 공화국의 파트미르 세이디우 대통령은 볼레티니에게 아젬 갈리차, 쇼테 갈리차, 하산 프리슈티나, 바지람 추리와 함께 최고 훈장인 "코소보 영웅" 칭호를 수여했다.[35] 2012년 11월 28일, 알바니아 독립 100주년 기념일이자 국기 기념일에 그의 동상이 남미트로비차에 세워졌다.[36] 2014년 10월 14일에는 세르비아와 알바니아 간의 UEFA 유로 2016 예선 경기가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때 이스마일 퀘말리와 이사 볼레티니의 얼굴, 그리고 대(大)알바니아 지도가 그려진 국기를 매단 작은 무선 조종 쿼드콥터 드론이 경기장 상공을 비행했다.[37]
알바니아 북서부 슈코더르에는 이사 볼레티니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38] 이 영웅적인 동상은 4.8m 높이로 1986년에 건립되었다.
3. 2. 기념
이사 볼레티니는 키가 크고 체격이 좋으며 강인한 인물로, 그의 용맹함과 터키인, 세르비아인으로부터의 탈출에 대한 업적은 알바니아에서 전설이 될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그는 항상 전통적인 알바니아 흰색 모자인 ''qeleshe''와 민족 의상을 입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알바니아의 가장 위대한 애국자이자 영웅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의 사상은 미드하트 프라셰리를 비롯한 저명한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1934년 6월 24일 포드고리차에서 열린 비행기 회의에서는 조종사 타디야 손더마예르가 몬테네그로 복장을 하고 볼레티니의 부싯돌 권총을 착용하기도 했다.[34]2010년 코소보 공화국 대통령 파트미르 세이디우는 그에게 아젬 갈리차, 쇼테 갈리차, 하산 프리슈티나, 바지람 추리와 함께 최고 훈장인 "코소보 영웅" 칭호를 수여했다.[35] 알바니아 독립 100주년 기념일이자 국기 기념일인 2012년 11월 28일에는 그의 동상이 남미트로비차 중심부에 세워졌다.[36] 2014년 10월 14일, 경기가 중단된 세르비아 대 알바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 축구 경기 도중, 작은 무선 조종 쿼드콥터 드론이 경기장 위를 맴돌았는데, 이 드론에는 이스마일 퀘말리와 이사 볼레티니의 얼굴, 그리고 대(大)알바니아 지도가 그려진 국기가 매달려 있었다.[37]
알바니아 북서부 슈코더르에는 이사 볼레티니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38] 이 동상은 그의 영웅적인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높이는 4.8m이며, 1986년에 건립되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Sabrana dela
https://books.google[...]
NIP "Jež,"
2013-06-04
[3]
서적
Društvene i ekonomske prilike kosovskih srba u XIX i početkom XX veka
https://books.google[...]
Srpska akademija nauka i umetnosti
2013-06-04
[4]
간행물
Како је у Скадру и околини
http://istorijskenov[...]
[5]
서적
Isa Boletini 1864-1916
https://books.google[...]
Akademia e Shkencave e RPS të Shqipërisë, Instituti i Historisë
1987
[6]
서적
Kosovo, a documentary history: from the Balkan Wars to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8
[7]
서적
Reinstating the Ottomans: alternative Balkan modernities, 1800-1912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Preparation for a Revolution: The Young Turks, 1902-190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2, Reform, Revolution, and Republic: The Rise of Modern Turkey 1808-197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05-27
[28]
서적
Apis, the Congenial Conspirator: The Life of Colonel Dragutin T. Dimitrijević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29]
서적
[30]
서적
Rethinking the late Ottoman Empire: a comparative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of Albania and Yemen, 1878-1918
http://www.ssrc.org/[...]
Isis Press
2011-03-09
[31]
웹사이트
Albania under prince Wied
http://www.albanianp[...]
2011-01-25
[32]
뉴스
Jeta dhe vrasja e Isa Boletinit heroit të pavarësisë dhe shtetit
http://gazeta-shqip.[...]
2017-08-13
[33]
간행물
Crnogorci rado položiše oružje
http://istorijskenov[...]
1916-02-20
[34]
간행물
Авионски слет у Црној Гори
http://istorijskenov[...]
1934-06-25
[35]
웹사이트
EVIDENCE OF THE DECORATED BY PRESIDENT FATMIR SEJDIU (2006 – 2010)
http://www.president[...]
2017-06-30
[36]
뉴스
Unveiled the statue of Isa Boletini - Kosovo - M-Magazine
https://web.archive.[...]
M-magazine
2013-12-14
[37]
뉴스
Drone flyover starts soccer brawl
http://q13fox.com/20[...]
Fox
2014-10-15
[38]
서적
Albanie
https://books.google[...]
Petit Futé
[39]
서적
The search for Greater Albania
https://books.google[...]
Hur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