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비아 항공 870편 추락 사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타비아 항공 870편 추락 사고는 1980년 6월 27일, 볼로냐에서 팔레르모로 향하던 이타비아 항공 DC-9 여객기가 우스티카 섬 부근 티레니아 해 상공에서 추락한 사건이다. 이 사고로 탑승자 81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사고 원인에 대해 테러, 미사일 격추 등 여러 가설이 제기되었다. 이탈리아 대법원은 2013년 미사일 격추 가능성을 인정하여 정부 배상 책임을 판결했으며, 2023년에는 전 이탈리아 총리가 프랑스의 오인 격추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건 이후 진실 규명을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관련자들의 의혹과 증거 은폐 의혹 등으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맥도넬더글러스 DC-9 기종의 항공 사고 - 야트 항공 367편 추락 사고
1972년 유고슬라비아 항공 367편이 체코슬로바키아 상공에서 폭탄 테러로 추락하여 27명이 사망했으나, 승무원 베스나 불로비치가 기적적으로 생존하며 기네스 기록에 등재되었고, 사고 원인으로는 우스타샤의 테러 연루설과 격추 음모론이 제기되었으며, 기내 폭발로 결론지어졌다. -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항공 사고 - 수페르가의 비극
수페르가의 비극은 1949년 AC 토리노 선수단을 태운 항공기가 토리노 수페르가 언덕에 추락하여 31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세리에 A 5연패를 노리던 최강팀의 비극적인 종말과 이탈리아 축구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항공 사고 - 영국해외항공 781편 추락 사고
영국해외항공 781편 추락 사고는 1954년 1월 10일 이탈리아 엘바 섬 상공에서 발생한 사고로, 기체의 금속 피로로 인해 영국해외항공 소속 코메트 3호기가 공중 분해되어 탑승자 35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여객기 가압 객실의 안전 기준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80년 대량 살인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에서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정치 탄압에 항거한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자 계엄군의 무력 진압 사건으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980년 대량 살인 - 옥토버페스트 폭격
1980년 뮌헨 옥토버페스트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는 초기 범인의 개인적 동기에 의한 것으로 수사되었으나, 극우 단체 연루 의혹, 증거 은폐 의혹 등 진실 규명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 재수사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진실 규명에는 한계를 보인 사건이다.
이타비아 항공 870편 추락 사고 | |
---|---|
기본 정보 | |
![]() | |
사고 유형 | 원인 불명의 공중 폭발 (사고 원인 논쟁 중) |
발생 날짜 | 1980년 6월 27일 |
발생 위치 | 티레니아해, 이탈리아 우스티카 인근 |
항공기 종류 | 더글러스 DC-9-15 |
운영 주체 | 이타비아 항공 |
IATA | IH870 |
ICAO | IHS870 |
호출 부호 | ITAVIA 870 |
항공기 등록 번호 | http://aviation-safety.net/database/record.php?id=19800627-0 |
출발지 | 볼로냐 구글리엘모 마르코니 공항 |
목적지 | 팔레르모 푼타 라이시 공항 |
승객 | 77명 |
승무원 | 4명 |
탑승자 수 | 81명 |
사망자 수 | 81명 |
생존자 수 | 0명 |
사고 원인 | |
원인 | 사고 원인에 대한 논쟁이 있음 |
관련 정보 | 2023년 9월 5일, 아마토: "우스티카에 대해 모든 것을 확인합니다. 마크롱은 코르시카의 기지에 대해 이야기하십시오." https://www.repubblica.it/politica/2023/09/05/news/ustica_strage_amato_conferenza_stampa-413424903/ |
2. 사고 개요
사고기는 맥도넬 더글러스 DC-9-15 기종으로, 일련 번호는 ''45724'', 항공기 등록 번호는 ''I-TIGI''였다.[3] 1966년에 제작되어 하와이안 항공에서 ''N902H''라는 등록 번호로 운항하다가 1972년 이타비아 항공에 인수되었다.[3][4] 사고 당시까지 총 29,544시간을 비행했으며, 45,032회의 이착륙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3]
870편 추락 사고의 원인을 두고 여러 가설이 제기되었다. 사고 당시 조종사로부터 이상 징후를 알리는 교신이 없었고, 추락 직전 레이더에 미확인 비행 물체가 포착되었다는 점[35][36] 등은 단순한 기기 결함이나 조종사 과실에 의한 사고가 아닐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이후 리비아 공군의 MiG-23 전투기가 이탈리아 영공을 침범했고, 이를 추적하는 이탈리아 공군 및 리비아 공군기가 사고 현장 부근에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외부 요인에 의한 격추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
1980년 6월 27일, 이타비아 항공 870편(항공 교통 관제 호출 부호 IH 870, 군사 레이더 호출 부호 AJ 421[6])은 볼로냐 굴리엘모 마르코니 공항에서 시칠리아의 팔레르모 푼타 라이시 공항으로 향하는 정기 국내선 노선을 운항할 예정이었다. 항공기는 예정보다 1시간 53분 지연된 오후 8시 8분(CEST)에 볼로냐 공항을 이륙했다.[5] 비행기에는 승객 77명과 도메니코 가티 기장(34세), 엔조 폰타나 부기장(32세)을 포함한 승무원 4명이 탑승하고 있었다.[5]
고도 약 7620.00m(약 7620m) 상공을 순항하던 중, 오후 8시 37분(CEST)에 마지막 교신이 이루어졌다. 이후 항공기는 나폴리에서 남서쪽으로 약 120km 떨어진[7] 티레니아 해의 우스티카 섬 근처 상공에서 연락이 두절되었다.[7] 일부 기록에 따르면, 항공 관제 레이더 스크린에 870편을 향하는 미확인 비행 물체가 확인된 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기는 오후 8시 59분(CEST)에 공중에서 분해되어 바다로 추락했다.[8]
사고 직후인 오후 9시(CEST), 이탈리아 공군 소속 F-104 전투기 2대가 그로세토 공군 기지에서 출격하여 사고 지역 수색에 나섰으나, 시야가 좋지 않아 사고 지점을 찾는 데 실패했다. 이후 사고 해역에서 떠다니는 기체 잔해와 시신 일부(38구)가 발견되었으나,[9] 탑승자 81명 전원 사망하여 생존자는 없었다.[10] 기체의 주요 잔해는 수심 3700m 아래로 가라앉았으나 나중에 회수되었다. 2006년 7월, 재조립된 DC-9의 파편은 로마 근처의 프라티카 디 마레 공군 기지에서 볼로냐로 옮겨졌다.
3. 사고 원인
초기에는 기내에 설치된 시한폭탄이 터져 추락했다는 '테러설'이 제기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레이더에 포착된 미확인 비행 물체와의 충돌 또는 공대공 미사일 피격설도 보도되었다. 특히 미사일 격추설은 이탈리아 공군 등이 발사 주체로 지목되기도 했으며, 이탈리아 국내 재판에서도 공식적으로 다루어졌다.[35][36]
사고 이후 기체 잔해 수거 및 분석 결과, 기내 폭발 흔적이 확인되어 테러 또는 미사일 피격 논쟁이 벌어졌다. 비행 기록 장치는 동력 정지 이후의 기록이 없어 원인 규명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다.
사고 원인에 대한 공식 조사는 혼선을 빚었다. 1990년대 프랭크 테일러가 이끈 기술 위원회는 후방 화장실에서의 폭발이 유일하게 타당한 결론이며 미사일 공격은 아니라고 결론 내렸으나[17], 이 보고서는 여러 비판에 직면했다. 한편, 미사일 오발 혐의로 이탈리아 공군 간부가 기소되었으나 2007년 최종 무죄가 확정되었다. 같은 해 사고 조사 위원회는 "원인 불명의 기내 폭발"이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이탈리아 최고 항소 법원은 2013년 1월, 공대공 미사일 피격으로 기체가 폭발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하며, 이탈리아 정부에 희생자 유족에 대한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사고 발생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사고의 진상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정부나 군이 음모를 통해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음모론적 시각이 존재한다. 사고 관련 항공 관제사 등이 의문스러운 급사나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실제 음모의 존재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사고기인 DC-9의 잔해는 복원 작업을 거쳐 2007년부터 볼로냐의 '우스티카 추모 박물관'에 81명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물과 함께 전시되고 있다. 이탈리아의 작곡가 알레산드로 멜키오레는 이 사건을 소재로 오페라를 작곡하기도 했다.[37]
3. 1. 미사일 격추설
사고 직후 조종사로부터 이상을 알리는 통신이 없었고, 추락 직전 항공 관제 레이더 스크린에 870편을 향하는 미확인 비행 물체가 포착된 점[35][36] 등으로 인해 단순한 항공 사고가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한 격추설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특히 사고 당시 리비아군 소속의 MiG-23 전투기가 이탈리아 영공을 침범했고, 이를 이탈리아 공군기가 추적 중이었다는 사실이 이후 밝혀지면서 의혹은 더욱 증폭되었다.
이탈리아 일부 언론은 870편이 공중전 중에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 당시 NATO 회원국 공군(미국 공군, 프랑스 공군, 이탈리아 공군)이 같은 영공을 비행 중이던 리비아의 지도자 무아마르 알 카다피를 포함한 주요 인사를 암살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870편이 의도치 않게 휘말렸다는 것이다.[23] 이러한 주장은 1999년 로사리오 프리오레 판사에 의해 지지되었는데,[24] 그는 최종 보고서에서 자신의 조사가 NATO의 요청에 따라 이탈리아 군과 비밀 정보부 회원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방해받았다고 명시했다.[24]
2011년 트리폴리 함락 이후 휴먼 라이츠 워치에 넘겨진 리비아 비밀 정보부 문건에는 870편과 리비아 MiG기가 프랑스 제트기에 의해 공격받았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이탈리아 언론은 보도했다.[25] 한편, 870편 추락 21일 후인 1980년 7월 18일, 리비아 공군의 MiG-23MS 전투기가 이탈리아 남부 칼라브리아 카스텔실라노의 실라 산맥에서 추락한 채 발견되었다.[26] 리비아 측은 조종사가 저산소증으로 사망했으며 자동 조종 장치로 비행하다 연료 고갈로 추락했다고 설명했지만[10], 이 사건은 870편 격추설과 연관 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이 MiG-23의 영공 침범 이유에 대해서는 망명 비행설, 혹은 당시 유럽을 순방 중이던 미국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 격추 시도설 등 다양한 추측이 제기되었으나 확인된 바는 없다.
2008년, 사고 당시 이탈리아 총리였던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870편이 프랑스 군용기에 의해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27] 이에 따라 2008년 7월 7일 프랑스 대통령에게 손해 배상 청구가 제기되기도 했다. 2023년에는 또 다른 전 이탈리아 총리 줄리아노 아마토가 프랑스가 무아마르 카다피 암살을 위해 리비아 군용기를 노렸으나 실수로 870편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아마토는 이탈리아가 사전에 프랑스의 암살 계획을 리비아에 알렸고, 그 결과 카다피는 해당 군용기에 탑승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28][29][30]
미사일 격추설은 발사 주체와 이유에 따라 여러 구체적인 가설로 나뉜다.
이탈리아 국내 재판에서도 미사일 격추설을 공식적으로 다루었으며[35][36], 2013년 이탈리아 대법원은 미사일 격추가 사고 원인이라는 "충분히 명확한 증거"가 있다고 판결하며 이탈리아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3. 2. 테러설
1970년대 이탈리아를 강타한 일련의 폭탄 테러 사건인 피의 연대 이후, 테러 행위가 사고 원인으로 처음 제기되었다. 항공편이 볼로냐에서 출발이 약 3시간 지연되었기 때문에, 폭탄 타이머가 실제로는 팔레르모 공항이나 후속 항공편에서 폭발하도록 설정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1990년의 사법 조사는 독립 조사관 프랭크 테일러가 이끄는 기술 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 기술 위원회는 잔해 분석 결과, 후방 화장실에서의 폭발이 유일하게 타당한 결론이며 미사일 공격은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17] DC-9 항공기 화장실에서 실시된 실험 폭발은 사고 항공기와 거의 동일한 구조 변형을 보여주었다.[18][19] --
그러나 기술 위원회의 보고서는 이탈리아 언론 코리에레 델라 세라와 라 레푸블리카로부터 비판을 받았다.[20] 특히, 1994년 영국 국방 연구소에서 실시한 테스트에서 폭발 잔해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21][22]
프랑스의 협력으로 기체의 65%에 해당하는 잔해와 비행 기록 장치가 수거되었지만, 비행 기록 장치는 동력 정지 이후의 기록이 없어 사고 원인 규명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하지만 잔해 분석을 통해 기내에서 폭발이 일어난 흔적이 확인되었다. 이 폭발의 원인이 기내 설치 폭발물에 의한 테러인지, 공대공 미사일 오발인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테러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는, 같은 해 8월 네오 파시즘 테러 조직인 무장 혁명 핵심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볼로냐 역 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는 점이 거론되었다. 이는 당시 이탈리아 내에서 폭탄 테러의 위협이 실재했음을 보여준다. 이 설에 따르면, 폭탄은 기체 후방 화장실에 설치되었고, 폭발로 인해 기체 후부 상부와 꼬리 날개 부근의 엔진 1기, 그리고 승객 13명이 함께 떨어져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4. 진실 규명 노력과 논란
사고 직후 이탈리아 공군 소속 F-104 전투기 2대가 수색에 나섰으나 시야 확보 문제로 실패했다. 이후 떠다니는 잔해와 시신 일부가 발견되었다.
사고 원인을 둘러싸고 이탈리아 정부와 군 당국이 진실을 은폐하고 증거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열린 청문회 이후, 리베로 구알티에리 상원의원이 이끄는 의회 테러 위원회는 이 사건을 "우스티카 학살"(''Strage di Ustica'')로 규정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11] 위원회는 추락 원인을 "주로 전쟁 행위, 사실상 보고되지 않은 전쟁 – 진주만 공습 이후, 최신 발칸 반도 분쟁까지 관례적으로 이어져온 – 국제 경찰 작전, 사실상 강대국에 의한 작전, 이와 관련된 권한은 없었기에;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대해 합법적으로 또는 불법적으로 행사한 비군사적 강제 조치; 또는 테러 행위, 나중에 주장된 것처럼, 국가 원수 또는 정권 지도자에 대한 공격" 등과 관련지어 설명하며 복잡한 국제 정치적 배경을 시사했다.[12]
수많은 이탈리아 공군 관계자들이 문서 위조, 반역, 위증, 직권 남용 및 방조를 포함한 여러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재판에 넘겨졌으나, 최종적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없었다. 2004년 코라도 멜릴로 장군과 제노 타스치오 장군은 반역죄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고, 다른 군 관계자들에 대한 혐의도 기각되었다. 공소 시효 만료로 인해 람베르토 바르톨루치 장군과 프랑코 페리 장군 등에 대한 혐의는 더 이상 추궁할 수 없게 되었다. 2007년 1월 10일, 이탈리아 대법원은 항소 법원의 판결을 유지하며 관련자들에게 최종적으로 무죄를 선고하여 사건을 종결했다.
그러나 진실 규명 요구는 계속되었다. 2010년 6월, 당시 조르지오 나폴리타노 이탈리아 대통령은 모든 국가 기관에 사고 조사에 적극 협조할 것을 촉구했다.[13]
피해자 유족들은 이탈리아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2011년 9월, 팔레르모 민사 법원은 정부가 비행기 보호에 실패하고 진실을 은폐했으며 증거를 파기한 책임을 물어 유족에게 1억유로 (당시 약 1억 3700만 달러)의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명령했다.[14] 2013년 1월 23일, 민사 대법원은 비행기가 미사일에 의해 격추되었다는 "충분히 명확한 증거"가 있다며 정부의 배상 책임을 재확인했다.[15] 이 판결은 2015년 4월 팔레르모 항소 법원에서도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16]
법원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추락 원인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1997년 사고 조사 위원회는 "원인 불명의 기내 폭발"로 결론 내렸으나, 이탈리아 법원은 이를 경시하며 미사일 격추 가능성을 가장 높게 판단했다. 항공 관제사 등 관련 인물들이 의문스러운 급사나 자살을 했다는 점과 맞물려,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고 있다는 음모론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2007년, 사고기의 잔해는 복원되어 희생자 81명을 기리는 기념물과 함께 전시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의 작곡가 알레산드로 멜키오레는 이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를 작곡하기도 했다.[37]
5. 사건의 여파
사고 해역에서 떠다니는 잔해 부품이 발견되었으나,[9] 탑승자 81명 중 생존자는 없었다.[10]
이후 사고기의 잔해 대부분이 인양되었고, 재조립된 DC-9의 파편은 2006년 7월 프라티카 디 마레 공군 기지에서 볼로냐로 옮겨졌다.
2007년 6월 27일, 볼로냐에 우스티카 추모 박물관(Museo per la Memoria di Usticaita)이 개관했다. 이 박물관에는 복원된 사고기의 잔해가 전시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외부 동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고 해역에서 발견된 희생자들의 유품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
프랑스의 설치 미술가 크리스티앙 볼탕스키(Christian Boltanski)는 박물관을 위한 특정 설치 미술 작품 제작을 의뢰받았다. 그의 작품은 희생자 81명을 기리는 81개의 맥동하는 램프, 81개의 검은 거울, 그리고 각 거울 뒤에 설치되어 희생자들의 마지막 생각이나 걱정(예: "도착하면 해변에 갈 거야")을 속삭이는 듯한 소리를 내는 81개의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다. 발견된 유품들은 검은색 플라스틱 덮개로 덮인 나무 상자에 보관되어 있으며, 방문객은 요청 시 유품 사진과 정보가 담긴 책자를 받아볼 수 있다.
사고 원인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탈리아 공군 간부가 오사(誤射)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으나, 1997년 사고 조사 위원회는 원인 불명의 기내 폭발로 결론 내렸고 2007년에는 공군 간부의 무죄가 확정되었다. 하지만 이탈리아 법원은 2013년 1월 28일, 공대공 미사일에 맞아 기체가 폭발하며 추락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판단을 내리며 조사 위원회의 보고서와 다른 결론을 제시했다.
이처럼 명확한 원인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항공 관제사의 의문사나 자살 등을 근거로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고 있다는 음모론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음모의 존재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사건은 이탈리아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작곡가 알레산드로 멜키오레(Alessandro Melchiorre)는 이 사건을 바탕으로 오페라를 작곡하기도 했다.[37]
6. 관련 작품
- 마르코 리시 감독의 1991년 이탈리아 영화 ''보이지 않는 벽''은 사고의 진실을 추적하는 기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사고기가 나토와 리비아 전투기 간의 공중전 중에 격추되었을 가능성 등 여러 가설을 제시하며 사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34]
- 이탈리아의 작곡가 알레산드로 멜키오레는 이 사건을 소재로 오페라를 작곡하여 상연했다.[37]
- 캐나다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메이데이'' 시즌 13 (미국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방영명: ''에어 크래쉬'' 시즌 11)의 "지중해 상의 학살" 에피소드에서 이 사고를 다루었다.[33] 해당 에피소드는 미사일 격추설보다는 기체 후방 화장실 근처에서의 폭발을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한 프랭크 테일러의 조사 결과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다.[17]
- 일본의 TV 프로그램 ''세계 충격 영상 100연발''에서 2024년 12월 26일 방영분에서 이 사건을 다루었다.
참조
[1]
뉴스
Agenzia ANSA, 2 September 2023
https://www.ansa.it/[...]
Agenzia ANSA
2023-09-02
[2]
웹사이트
Amato: "Su Ustica confermo tutto. Macron parli della base in Corsica"
https://www.repubbli[...]
2024-08-13
[3]
웹사이트
Unlawful Interference Douglas DC-9-15 I-TIGI, Friday 27 June 1980
https://asn.flightsa[...]
Flight Safety Foundation
2024-12-14
[4]
서적
McDonnell Douglas Aircraft Since 1920
Naval Institute Press
1988
[5]
간행물
Massacre over the Mediterranean
Mayday (Canadian TV series)
[6]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Douglas DC-9-15 I-TIGI Ustica, Italy [Tyrrhenian Sea]
https://aviation-saf[...]
2019-06-10
[7]
간행물
Italian DC-9 lost off Sicily.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90-07-05
[8]
웹사이트
DAGLI USA E' ARRIVATO IL NASTRO DEL DC9 – la Repubblica.it
https://ricerca.repu[...]
2019-06-10
[9]
웹사이트
A case involving wreckage analysis
https://aviation-saf[...]
[10]
문서
Cooper
2018
[11]
문서
Commissione Parlamentare d'inchiesta sul terrorismo in Italia e sulle cause della mancata individuazione dei responsabili delle stragi. Relazione sull'inchiesta condotta sulle vicende connesse al disastro aereo di Ustica. Presidente Libero Gualtieri
https://www.stragi80[...]
[12]
문서
Ordinanza-sentenza by judge R. Priore
1999
[13]
뉴스
Napolitano fordert Aufklärung des Absturzes von Ustica
https://www.tagessch[...]
Tagesschau
2010-06-27
[14]
뉴스
Italy court fines government $137 million over mysterious crash of plane over Ustica
https://www.washingt[...]
2011-09-13
[15]
뉴스
Italian court: Missile caused 1980 Mediterranean plane crash; Italy must pay compensation
https://www.washingt[...]
2013-01-23
[16]
뉴스
Ustica, Corte d'Appello conferma: "Il Dc-9 venne abbattuto da un missile"
http://www.ilfattoqu[...]
2015-04-08
[17]
문서
A Case History Involving Wreckage Analysis: Lessons from the Ustica investigations
http://aviation-safe[...]
[18]
간행물
Accident to Itavia DC-9 near Ustica, 27 June 1980: wreckage and impact information & analysis
http://www.stragi80.[...]
International Society of Air Safety Investigators Forum
1995-03
[19]
간행물
The study of aircraft wreckage: the key to accident investigation
Technology, Law and Insurance
1998
[20]
웹사이트
Ustica, 41 anni dopo. Mig, morti sospette, depistaggi: ecco cosa sappiamo
https://www.corriere[...]
2022-01-23
[21]
웹사이트
LE MISTERIOSE ASSENZE DEI PERITI DI USTICA - la Repubblica.it
https://ricerca.repu[...]
2020-08-28
[22]
웹사이트
Ustica, perito inglese: depistaggio il missile Contesta le tesi degli altri esperti: c' e' molta puzza di disinformazione " Un nesso con la strage di Bologna "
http://archiviostori[...]
2020-08-28
[23]
간행물
Italy's Darkest Night
http://fly.historicw[...]
2012-06-27
[24]
뉴스
The Mystery of Flight 870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6-07-21
[25]
간행물
Libyan secret documents said to uncover Ustica tragedy... and how Gaddafi escaped to Malta unscathed
http://www.independe[...]
2011-09-18
[26]
문서
Cooper
2015
[27]
뉴스
Italy Reopens Probe Into 1980 Plane Crash: Media
https://web.archive.[...]
Reuters
2008-06-22
[28]
웹사이트
Italian ex-premier says French missile downed an airliner in 1980 by accident in bid to kill Gadhafi
https://www.msn.com/[...]
2023-09-02
[29]
뉴스
Italian ex-premier says French missile downed an airliner in 1980 by accident in bid to kill Gadhafi
https://apnews.com/a[...]
2023-09-04
[30]
웹사이트
Italy ex-PM alleges France downed passenger jet in bid to kill Gaddafi
https://www.politico[...]
2023-12-09
[31]
간행물
Conspiracy Buffs Gain in Court Ruling on Crash
https://www.nytimes.[...]
2013-02-10
[32]
간행물
Italian Obsession: Was Airliner Shot Down?
https://www.nytimes.[...]
1992-02-10
[33]
웹사이트
Mayday: Season 13, Episode 7 {{!}} Massacre over the Mediterranean
https://www.rottento[...]
2024-05-26
[34]
AV media
The Invisible Wall (1991)
https://www.imdb.com[...]
2024-05-26
[35]
뉴스
Ustica, la Cassazione: “Fu un missile” Stato condannato a risarcire le vittime
https://www.lastampa[...]
LASTAMPA
2013-01-29
[36]
뉴스
Ustica, Cassazione: Dc9 fu abbattuto per scontro tra aerei militari
http://it.reuters.co[...]
Reuters
2013-01-29
[37]
웹사이트
sol.unibo.it
http://sol.unibo.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