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태영 (190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영은 1905년 강원도 울진군에서 태어난 인물로, 일제강점기에는 회령보통학교 촉탁교원, 울진금융조합 감사, 강원도청 도 이원 등을 역임했다. 해방 후에는 울진면장, 삼척군청 내무과장을 거쳐 울진군수, 삼척군수, 홍천군수를 지냈다. 1962년에는 망양정 현판 글씨를 썼으며,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울진군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묘소는 울진군 북면에 있다.

2. 생애

1905년 5월 18일 당시 강원도 소속이었던 울진군에서 태어났다.[1] 젊은 시절 함경남도 회령보통학교 촉탁교원[2][3], 울진금융조합 감사[4] 등을 지냈다.

일제 강점기에는 강원도 지방 공무원으로 임용되어 김화군[5][6], 강릉군청[7], 삼척군[8] 등 여러 지역에서 근무하였다. 대한민국인사록에 따르면 보통문관시험에 합격하였다고 한다.[1]

광복 이후에는 울진군 울진면장과 삼척군청 내무과장을 거쳤으며[1], 1947년 울진군수를 시작으로 홍천군수, 삼척군[13], 다시 울진군수를 역임하는 등 여러 지역의 행정책임자로 활동했다. 울진군수 재직 중이던 1947년에는 죽변항 수축 공사 재개를 요청하는 공동 성명에 참여하기도 했다.[12]

1951년 공직에서 물러난 후, 1962년에는 울진군 망양정(望洋亭)의 현판 글씨를 썼고[14],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울진군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묘소는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에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05년 5월 18일 강원도 울진군 북면 부구3리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사헌부 감찰 이경진(李景鎭)이며, 아버지는 이윤형(李潤衡), 어머니는 울진 장씨(珍張氏)로 장병의(張秉懿)의 딸이다. 고려 대사성 이순우의 25대손이고, 옥천부원군 이녹후의 21대손이다. 대한민국인사록에 따르면 1949년 당시 만 45세였다.[1] 이후 울진군 울진읍 읍내리로 이주하였다. 종교는 불교였다.[1] 그가 태어나 활동할 당시 울진군경상북도가 아닌 강원도 소속이었다.

1930년 함경남도 회령군 회령보통학교의 촉탁교원(囑託敎員)이 되었으며, 당시 월 수당은 85전이었다.[2] 1931년 4월 11일 다시 회령보통학교 촉탁교원으로 임용되었다.[3]

1937년에는 울진금융조합 감사를 맡았다. 그러나 같은 해 1월 25일 구역(區域) 밖으로 이사했다는 이유로, 그해 2월 20일 함흥지방법원 울진출장소로부터 감사 자격을 박탈당했다.[4]

1937년 지방비 직원인 강원도청 도 이원(道 吏員)으로 채용되어, 같은 해 강원도 김화군청 지방서기(地方書記)로 발령받았다. 당시 월 수당은 12급봉이었다.[5] 1938년에는 김화군청 지방서기로 재직하며 월 38급봉을 받았다.[6] 1939년에는 강릉군청 내무과(內務課) 지방서기(11호봉)가 되었다.[7] 그러나 강릉군청 내무과에서의 구체적인 담당 직무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대한민국인사록에 따르면 그는 보통문관시험에 합격했다고 하나[1], 정확한 합격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울진군청, 김화군청, 강릉군청, 삼척군청, 회양군청 등 여러 지역에서 근무하였다.

1940년에는 삼척군청 군속(屬)이 되었으며, 8호봉이었다.[8] 하지만 삼척군청에서의 구체적인 소속 부서나 직무 내용 역시 조선총독부 직원록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광복 후 울진군 울진면장[1], 삼척군청 내무과장을 역임했다.[1]

2. 2. 일제 강점기 활동

1930년 함경남도 회령군의 회령보통학교(會寧普通學校) 촉탁교원(囑託敎員)으로 임용되었다. 당시 월 수당은 85전이었다.[2] 1931년 4월 11일 다시 회령보통학교 촉탁교원으로 임용되었다.[3]

1937년에는 울진금융조합의 감사로 재직했다.[4] 그러나 같은 해 1월 25일 관할 구역 밖으로 이사했다는 이유로, 2월 20일 함흥지방법원 울진출장소로부터 감사 자격을 박탈당했다.[4]

1937년 지방 공무원인 강원도청 도 이원(道 吏員)으로 채용되었고, 같은 해 강원도 김화군청 지방서기(地方書記)로 발령받았다. 당시 월 수당은 12급봉이었다.[5] 1938년에는 김화군청 지방서기로 계속 근무했으며, 월급은 38급봉이었다.[6] 1939년에는 강릉군청 내무과(內務課) 소속 지방서기가 되었고, 11호봉이었다.[7]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담당했는지는 조선총독부 직원록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인사록에 따르면 보통문관시험에 합격했다고 하나[1], 정확한 합격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울진군청, 김화군청, 강릉군청, 삼척군청, 회양군청 등 여러 지역에서 근무하였다.

1940년에는 삼척군청 군속(屬)으로 근무했으며, 8호봉이었다.[8] 이 시기에도 구체적인 담당 업무는 조선총독부 직원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2. 3. 해방 이후 활동

광복 후 울진군 울진면장과 삼척군청 내무과장을 역임했다.[1]

1947년 1월 8일 울진군수로 부임하였다. 같은 해 6월 20일, 경상북도강원도에 구호용 쌀 2만 톤을 보낸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강원도민 대표 감사 사절단 7인 중 한 명으로 삼척군수 최예덕(崔禮德) 등과 함께 경북 대구의 대구시보사를 방문했다.[9][10]

1947년 8월 15일 전후, 울진군 온정면 덕인리에 거주하던 농민조합 책임자 황창석(黃昌錫, 당시 37세)과 민청 간부 황재수(黃在洙, 당시 21세) 등 6명이 공모하여 이태영 군수와 울진경찰서장을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치는 사건이 발생했다.[11] 범인들은 영덕군으로 도주했다가 그해 12월 27일 영덕경찰서에 체포되었다.[11] 암살 시도 이유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1947년 8월 28일에는 광복 이후 중단되었던 죽변항의 수축(修築) 공사 재개를 요청하는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성명서에는 울진군수 이태영 외에 죽변어업조합 이사장 장석기(張錫기), 죽변자영업회장 최태형(崔太衡) 등이 공동으로 서명하였다.[12]

1947년 8월 15일 홍천군수로 임명되었으나, 당시 기록에 따르면 8월 28일 무렵까지 울진군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홍천군수로 부임하여 1948년 9월 3일까지 재직했다.

1950년 3월 삼척군수로 부임했으며[13], 같은 해 9월 25일 다시 울진군수로 부임하여 1951년 5월 31일까지 근무하다 퇴직하였다.

1962년 겨울에는 울진군의 망양정(望洋亭) 현판 글씨를 썼다.[14] 기존 망양정 현판은 1910년일본인 관리가 가져간 뒤 행방을 알 수 없었다.

1963년 2월 8일 울진군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어 1964년 2월 14일까지 활동했다.

2. 4. 사망 및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 흥부동 진곡하등 건좌에 있다.

3. 작품


  • 망양정望洋亭한국어 현판 글씨

3. 1. 망양정 현판

1962년 울진군에 있는 망양정의 현판 글씨를 썼다.[1] 본래 망양정에 걸려 있던 현판은 1910년 일제 강점기 초기에 일본인에게 약탈당한 후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2]

참조

[1] 서적 대한민국 인사록 내외홍보사 1950
[2] 간행물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30
[3] 뉴스 地方辭令 매일신보 1931-04-11
[4] 간행물 商業及法人登記 조선총독부 관보 1937-04-05
[5] 간행물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37
[6] 간행물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38
[7] 간행물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39
[8] 간행물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1940
[9] 뉴스 人事消息 대구시보 1947-06-21
[10] 뉴스 慶北道民에의 感謝를 貴報를 通해 傳해주시요, 江原道感謝使節團本社來訪 대구시보 1947-06-22
[11] 뉴스 郡守等 暗殺陰謀 主謀者 檢擧 取調 1947-12-27
[12] 뉴스 竹邊港灣修築不遠着工, 今年度旣定豫算에서 一部捻出 수산경제신문 1947-08-28
[13] 서적 三涉郡誌 삼척군청 1985
[14] 뉴스 망양정 현판 일본인이 가져가 https://www.uljinnew[...] 울진신문 2005-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