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양군은 북한 강원도에 위치한 군으로, 태백산맥과 광주산맥이 통과하는 산악 지형을 보인다. 주요 하천으로는 북한강이 흐르며, 금강산 비로봉이 최고봉이다. 고구려 시대에는 각련성군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는 회주목, 조선 시대에는 도호부로 불리다가 1895년 회양군으로 개편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광업이며, 옥수수 엿이 특산물이다. 교통은 국도와 철도를 통해 인근 지역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회양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군 |
위치 | 강원도 |
행정 | |
군 소재지 | 회양면 |
하위 행정 구역 | 1읍, 23리 |
지리 | |
면적 | 540km² |
인구 통계 | |
인구 (2008년) | 42,485명 |
언어 정보 | |
조선어 (한글) | 회양군 |
한국 한자음 | 회, 양, 군 |
로마자 표기 | Hoeyang-g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oeyang-gun |
지도 정보 | |
![]() | |
2. 지리
회양군은 강원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광주산맥이 지나는 산지가 많은 지역이다. 주요 하천으로는 대한민국으로 흘러드는 북한강이 있으며, 회양 분지 등이 발달했다. 북쪽의 철령은 예로부터 교통의 요충지였으며, 회양읍 현리는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의 정중앙에 해당한다.
2. 1. 지형
회양군은 주로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백산맥과 광주산맥이 군을 통과한다. 이 두 산맥 사이에는 회양 분지와 창도 분지가 자리 잡고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은 금강산의 비로봉(해발고도 1638m)이다. 주요 하천은 북한강으로, 남쪽과 동쪽으로 흘러 대한민국으로 유입된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에 매우 춥다.북쪽의 고산군 및 안변군 방면으로 넘어가는 철령(673m) 고개는 과거 강원도와 함경도의 경계였으며, 예로부터 중요한 교통의 요충지로 알려져 왔다.
회양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통치 하의 강원도 중앙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광주산맥 등에 둘러싸인 회양 분지 지형이다. 북쪽으로는 안변군과 고산군, 서쪽으로는 세포군, 남쪽으로는 창도군, 동쪽으로는 금강군 및 통천군과 경계를 접한다.
또한, 회양군 현리는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의 정중앙에 해당되는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2. 기후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나타내며, 겨울에는 매우 춥다.3. 역사
고구려 시대에는 각련성군(連城郡)으로 불렸으며, 이후 신라 시대에는 련성군(連城郡), 고려 시대에는 이물성(伊勿城)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995년 교주(交州)로 개칭되고 1018년에는 방어사(防禦使)가 설치되었으며, 1308년에는 북방 요충지인 철령(鐵嶺) 방어를 위해 회주목(淮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 회양부(淮陽府)로 다시 바뀌었다. 조선 시대인 1413년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다.
1895년 지방 제도 개혁으로 회양군(淮陽郡)이 되었고, 1896년 강원도 소속이 되었다. 1906년 수입면이 양구군으로 이관되었고, 1914년 군면 통폐합을 거쳤다. 1945년 광복 당시에는 강원도에 속했으며, 현재의 금강군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
한국 전쟁 이후 북한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되었으며,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기존 회양군 일부와 김화군 창도면 일부를 합쳐 새로운 회양군(1읍 28리)이 재편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변경이 있었으며, 2001년에는 세포군의 일부 리가 편입되었다는 정보[3]가 있으나, 이후 북한 자료에서는 해당 지역이 여전히 세포군 관할로 나타나[3] 정보 확인이 필요하다.
3. 1. 고대
고구려 시대에는 각련성군(連城郡)으로 불렸고 신라 시대에는 련성군(連城郡), 고려 시대에는 이물성(伊勿城)으로 불렸다. 995년에는 교주(交州)로 개칭되었고, 1018년에는 방어사(防禦使)가 설치되었다. 1308년에는 북방의 요충지인 철령(鐵嶺)을 방어하기 위해 회주목(淮州牧)으로 승격되었으며, 1310년에는 회양부(淮陽府)로 개칭되었다.3.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인 1413년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다. 1895년 지방 제도 개혁에 따라 회양군(淮陽郡)이 되었다.3. 3. 일제강점기
1895년 지방 제도 개혁에 따라 회양군(淮陽郡)이 되었다. 1945년 광복 시점에서는 강원도에 속했으며, 당시 일본 오사카부의 면적과 맞먹는 크기의 군으로 현재의 금강군을 포함한 지역을 관할했다.3. 4. 해방 이후
1945년 8월 광복 당시에는 강원도에 속했으며, 현재의 금강군을 포함한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 광복 직후 회양면의 일부가 분리되어 신안면이 신설되어 총 8개 면이 되었다.한국 전쟁 이후 북한의 통치 하에 들어갔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때 기존 회양군의 회양면, 상북면, 하북면 전체와 신안면, 난곡면의 주요 부분, 안풍면의 일부, 그리고 김화군 창도면 일부 지역을 합쳐 새로운 '''회양군'''(1읍 28리)이 설치되었다.[1] 당시 설치된 읍·리는 다음과 같다.
- '''읍''': 회양읍
- '''리''': 광전리, 전항리, 하교리, 소풍리, 강돈리, 교주리, 전곡리, 용포리, 오랑리, 신명리, 도납리, 기정리, 금철리, 금곡리, 선대리, 신계리, 마전리, 신안리, 신동리, 추전리, 구룡리, 명우리, 오봉리, 귀락리, 유읍리, 포천리, 봉포리, 송포리
이후 행정구역 변동은 다음과 같다.[1]
- 1954년: 용포리의 일부가 소풍리에 편입되었다. (1읍 28리 유지)
- 1958년: 유읍리, 귀락리, 오봉리가 세포군으로 이관되었다. (1읍 25리)
- 1967년: 봉포리의 일부가 강돈리에 편입되었다. (1읍 25리 유지)
- 1987년: 교주리, 신동리, 신안리, 구룡리, 송포리, 추전리, 명우리(금강군 화천리의 일부와 합병)가 창도군으로 이관되었다. (1읍 18리)
- 2001년 1월 27일: 세포군으로부터 신평리, 현리, 유읍리, 귀락리, 오봉리를 넘겨받았다. (1읍 23리)
다만, 2001년 세포군 5개 리 편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의 북한지역정보넷[3]은 편입 사실을 기록하고 있으나, 이후 북한 매체인 조선신보(2014년)[3]나 조선중앙텔레비죤(2020년)[3] 보도에 등장한 지도에서는 해당 지역이 여전히 세포군 관할로 표시되어 실제 행정구역 변동 여부에 대해서는 정보 출처 간 불일치가 존재한다.
4. 행정 구역
행정 구역 목록 | |
---|---|
회양읍 (淮陽邑) | |
강동리 (江敦里) | 소풍리 (素豊里) |
광전리 (廣田里) | 신계리 (新溪里) |
귀락리 | 신명리 (新明里) |
금곡리 (金谷里) | 신평리 (新坪里) |
금철리 (金鐵里) | 오랑리 (五郞里) |
기정리 (機正里) | 오봉리 (梧鳳里) |
도남리 (道納里) | 유읍리 (楡邑里) |
룡포리 (龍浦里) | 전곡리 (田谷里) |
마전리 (麻田里) | 전항리 (箭項里) |
봉포리 (蜂浦里) | 포천리 (浦泉里) |
선대리 (仙臺里) | 하교리 (下橋里) |
현리 (縣里) |
5. 산업
회양군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광업이다.[1][2]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밭작물 위주의 농업이 이루어지며, 지역 내 매장된 다양한 광물을 채굴하는 광업도 발달하였다.[1][2]
5. 1. 농업
회양군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다.[1][2] 하지만 지형적인 제약으로 인해 쌀은 재배되지 않는다.[1][2] 대신 보리, 밀, 귀리, 기장(조), 옥수수, 콩, 감자 등이 주요 재배 작물이다.[1][2]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옥수수를 이용해 만든 엿은 널리 알려져 있다.[1][2] 소도 사육된다.[1][2]5. 2. 광업
회양군 내 광산에서는 텅스텐, 중정석, 몰리브덴, 흑연, 금, 은, 납 등이 채굴된다.6. 교통
회양읍을 중심으로 김화와 금강, 창도로 연결되는 43번 국도와 고산과 부산광역시 서면을 연결하는 31번 국도가 지난다. 다만 남북 분단으로 인해 31번 국도는 김화에서 부산광역시 서면까지 실제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로와 금강산청년선 철도를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와 연결된다.
참조
[1]
문서
강원도 회양군 역사
http://www.cybernk.n[...]
[2]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3]
웹인용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