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해관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해관계자는 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는 개인 또는 집단을 의미하며, 내부 이해관계자와 외부 이해관계자로 구분된다. 내부 이해관계자는 주주, 투자자, 종업원 등이 있으며, 외부 이해관계자는 정부, 고객, 공급업체, 채권자, 지역 사회, 노동 조합 등이 있다. 이해관계자 이론은 기업이 주주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개념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 지배 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한국에서는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이해관계자 이론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 경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상충하는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어려움과 이해관계자 범위 설정에 대한 논쟁 등 비판과 한계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업 - 자회사
    자회사는 모회사의 의사결정을 지배하며 법적으로 독립된 별개의 실체로, 모회사의 신규 사업 진출, 세금 절감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행정 절차 복잡성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기업 - 회사
    회사는 영리 추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법인격과 영속성을 지니며, 대한민국 상법상 주식회사, 합명회사, 합자회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출자, 소유 구조, 법률, 규모 등에 따라 여러 기준으로 분류될 뿐 아니라 주식 공개 여부에 따라 상장, 비상장 회사로 나뉜다.
  • 경영학 - 의사결정
    의사결정은 특정 결과를 위해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과정으로, 불확실성, 인지적 편향,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합리적, 비합리적 접근과 개인 및 집단 역학의 영향을 받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객관적인 정보와 인지적 편향 인식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발전으로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 경영학 -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는 초기 단계 기업의 성장을 위해 사무 공간, 자금 조달,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59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정부 지원 과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법률 - 전과
    전과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법적, 제도적으로 관리되는 개인의 범죄 관련 기록을 의미하며, 형이 실효된 전과에 의한 차별은 금지되지만, 성범죄 전과자의 경우 취업이 제한될 수 있다.
  • 법률 - 율령격식
    율령격식은 동아시아에서 율령을 보충하고 개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격과 식을 통칭하는 용어로, 당나라의 율령을 바탕으로 현실과의 괴리를 해결하고자 제정되었으며 주변 국가의 법제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이해관계자
정의
이해관계자조직의 목표 달성에 영향을 받거나 영향을 주는 개인 또는 단체
유형
1차 이해관계자주주
채권자
직원
고객
공급자
2차 이해관계자지역 사회
정부
언론
경쟁자
중요성
조직에 대한 중요성조직의 생존과 성공에 필수적인 존재
고려 사항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함
이해관계자들과의 긍정적인 관계 유지가 필요함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활동에 반영해야 함
영향
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기업의 전략 수립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침
기업의 평판 및 이미지에 영향을 미침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침
관리
이해관계자 관리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해 파악
이해관계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의사결정
이해관계자들과의 장기적인 관계 구축

2. 이해관계자 유형



이해관계자는 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는 모든 개인 또는 집단을 의미한다. 이해관계자는 크게 내부 이해관계자와 외부 이해관계자로 나눌 수 있다.

내부 이해관계자는 기업 내부에 속하며, 기업의 경영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이해관계자이다.[11] 일반적으로 주주, 투자자, 종업원 (사원) 등이 포함된다.[13][14]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의 관심사[11]
직원임금, 고용 안정, 보상, 존중, 정직한 소통, 감사, 인정.
소유주수익성, 지속성, 시장 점유율, 시장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성장, 사회적 목표.
투자자투자 수익, 소득.



외부 이해관계자는 기업 외부에 존재하며, 기업 활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이해관계자이다.[11]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의 관심사
정부조세,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보고, 합법성, 외부 효과 등
고객가치, 품질, 고객 관리, 윤리적 제품.
공급업체최종 고객 제품에 사용되는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업체, 공정한 사업 기회.
채권자신용 점수, 신규 계약, 유동성.
지역 사회일자리, 참여, 환경 보호, 주식, 정직한 소통.
노동 조합품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해관계자 범위는 다음과 같은 대상을 포함한다.[13]

2. 1. 내부 이해관계자

내부 이해관계자는 기업 내부에 속하며, 기업의 경영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이해관계자이다.[11] 일반적으로 주주, 투자자, 종업원 (사원) 등이 포함된다.[13][14]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의 관심사[11]
직원임금, 고용 안정, 보상, 존중, 정직한 소통, 감사, 인정.
소유주수익성, 지속성, 시장 점유율, 시장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성장, 사회적 목표.
투자자투자 수익, 소득.


2. 2. 외부 이해관계자

외부 이해관계자는 기업 외부에 존재하며, 기업 활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이해관계자이다.[11]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의 관심사
정부조세,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보고, 합법성, 외부 효과 등
고객가치, 품질, 고객 관리, 윤리적 제품.
공급업체최종 고객 제품에 사용되는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업체, 공정한 사업 기회.
채권자신용 점수, 신규 계약, 유동성.
지역 사회일자리, 참여, 환경 보호, 주식, 정직한 소통.
노동 조합품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해관계자 범위는 다음과 같은 대상을 포함한다.[13]

3. 이해관계자 이론의 발전

포스트, 프레스턴, 삭스(2002)는 "이해관계자"를 "조직에 관심이나 우려를 가진 개인, 집단 또는 조직. 이해관계자는 조직의 행동, 목표 및 정책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라고 정의한다.[10] 주요 이해관계자로는 채권자, 이사, 직원, 정부(및 그 기관), 소유주(주주), 공급업체, 노조, 그리고 사업체가 자원을 조달하는 지역 사회 등이 있다.[10] 그러나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등한 것은 아니다. 회사의 고객은 공정한 거래 관행을 누릴 자격이 있지만, 회사의 직원과 동일한 고려를 받을 자격은 없다.[10] 기업의 이해관계자는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기업의 부 창출 능력과 활동에 기여하며, 따라서 잠재적인 수혜자이자/이거나 위험 부담자가 되는 개인과 구성원들이다.[10]

로버트 앨런 필립스는 『이해관계자 이론과 조직 윤리』에서 존 롤스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 공정성 원칙"을 옹호하며, 규범적이고 파생적인 정당한 이해관계자 간의 구분을 제시한다. 실제 이해관계자는 정당한 지분을 가진 진정한 이해관계자, 상호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충실한 파트너로 분류된다. 지분 소유자는 기업의 지분을 소유하고 받을 자격이 있다. 이해관계자 상호성은 이사회의 대표성을 누구에게 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업 지배 구조 논쟁에서 혁신적인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책임을 의미해야 한다.

이해관계자별 관심 사항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 관심 사항
정부세금,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공시, 합법성, 외부효과
종업원금여, 고용 안정성, 보상, 존중, 정직한 의사소통, 칭찬, 승인
고객제품 가치, 품질, 고객관리, 윤리적 상품
공급자제품의 공급사 및 협력사, 영업기회의 공정성
채권자신용 점수, 신규계약, 유동성
지역사회일자리, 참여 개입, 환경보호, 공유, 정직한 의사소통
노동조합노동의 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소유자, 오너수익성, 재직기간, 시점점유율, 시장에서의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투자자투자자본수익률, 투자수익


3. 1.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기업이 주주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주주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주주 자본주의와 대비된다.[16] 일본에서는 '멀티 스테이크홀더 자본주의'라는 용어로도 사용되며, 관서경제연합회는 이를 오미 상인의 '삼방 좋음' 정신과 연결 짓기도 한다.[17]

로버트 앨런 필립스는 『이해관계자 이론과 조직 윤리』에서 존 롤스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해관계자 공정성 원칙"을 옹호하며, 규범적이고 파생적인 정당한 이해관계자 간의 구분을 제시한다. 실제 이해관계자는 정당한 지분을 가진 진정한 이해관계자, 상호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충실한 파트너로 분류된다. 지분 소유자는 기업의 지분을 소유하고 받을 자격이 있다.[10]

3. 2. 이해관계자 이론의 윤리적 기반

로버트 앨런 필립스(Robert Allen Phillips)는 존 롤스(John Rawls)의 정의론을 바탕으로 "이해관계자 공정성 원칙"을 제시하며 이해관계자 이론의 윤리적 기반을 강화했다. 그는 규범적 및 유추적 합법적 이해관계자 간의 구별을 옹호한다. 지분 소유자인 진정한 이해관계자는 합법적인 지분을 가진 진정한 이해관계자이며, 상호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충실한 파트너이다. 이해관계자는 회사의 지분을 소유하고 소유할 자격이 있다. 이해관계자 상호성은 이사회에 누가 동의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업 지배 구조 토론에서 혁신적인 기준이 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이해관계자의 책임을 의미해야 한다.

Post, Preston, Sachs (2002)는 "이해 관계자"를 "조직에 관심이나 우려가 있는 사람, 그룹 또는 조직"으로 정의하며, "이해 관계자는 조직의 행동, 목표 및 정책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주요 이해 관계자의 예로는 채권자, 이사, 직원, 정부 (및 그 대행사), 소유자 (주주), 공급 업체, 노동 조합 및 기업이 자원을 확보하는 지역 사회 등이 있다. 그러나 모든 이해 관계자가 동등하지는 않으며, 공정한 거래 관행을 받을 자격은 있지만 회사 직원과 동일한 배려를 받을 자격은 없다. 기업의 이해 관계자는 자발적으로 또는 비자발적으로 부의 창출 역량 및 활동에 기여하는 잠재적 수혜자 및 / 또는 위험 부담자인 개인 및 선거구이다.

이해관계자별 관심 사항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 관심 사항
정부세금,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공시, 합법성, 외부효과
종업원금여, 고용 안정성, 보상, 존중, 정직한 의사소통, 칭찬, 승인
고객제품 가치, 품질, 고객관리, 윤리적 상품
공급자제품의 공급사 및 협력사, 영업기회의 공정성
채권자신용 점수, 신규계약, 유동성
지역사회일자리, 참여 개입, 환경보호, 공유, 정직한 의사소통
노동조합노동의 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소유자, 오너수익성, 재직기간, 시점점유율, 시장에서의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투자자투자자본수익률, 투자수익


4.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과 이해관계자

기업 지배 구조와 기업 책임 분야에서는 기업을 주로 이해관계자, 주주, 고객 또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5][6]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기업이 이윤 추구 외에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CSR은 이해관계자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경영 활동에 반영해야 한다.

Post, Preston, Sachs (2002)는 "이해 관계자"를 "조직에 관심이나 우려가있는 사람, 그룹 또는 조직"으로 정의하며, 이들은 조직의 행동, 목표 및 정책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주요 이해 관계자의 예로는 채권자, 이사, 직원, 정부 (및 그 대행사), 소유자 (주주), 공급 업체, 노동 조합 및 기업이 자원을 확보하는 지역 사회 등이 있다.

이해관계자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주장에 근거하여 주장을 펼칠 수 있다.

# 가치는 공동의 결과를 극대화함으로써 가장 잘 창출될 수 있다.

# 채권자, 직원 및 공급업체도 기여하고 성공적인 기업을 만드는 데 위험을 감수한다.

# 특정 종류의 이사회 구조로 인해 CEO와 같은 최고 경영진이 주로 기업을 통제한다.

# 기업의 가장 큰 가치는 이미지와 브랜드이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려고 노력함으로써 기업은 이미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 관심 사항
정부 (Government)세금,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공시, 합법성, 외부효과
종업원 (Employees)금여, 고용 안정성, 보상, 존중. 정직한 의사소통, 칭찬, 승인
고객 (Customers)제품 가치, 품질, 고객관리, 윤리적 상품
공급자 (Suppliers)제품의 공급사 및 협력사, 영업기회의 공정성
채권자 (Creditors)신용 점수, 신규계약, 유동성
지역사회 (Community)일자리, 참여 개입, 환경보호, 공유, 정직한 의사소통
노동조합 (Trade Unions)노동의 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소유자, 오너 (Owners)수익성, 재직기간, 시점점유율, 시장에서의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투자자 (Investors)투자자본수익률, 투자수익


5. 기업 지배 구조와 이해관계자

기업 지배 구조는 기업의 의사 결정 과정과 관련된 시스템을 의미한다.[5][6] 전통적인 기업 지배 구조는 주주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채권자, 직원, 고객, 공급업체, 지역사회, 노동조합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5][6]

이해관계자 지지자들은 가치가 공동의 결과를 극대화함으로써 가장 잘 창출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직원들의 욕구와 주주들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프로그램은 두 집단의 요구를 동시에 다루기 때문에 두 배의 가치가 있다. 또한, 채권자, 직원 및 공급업체도 기여하고 성공적인 기업을 만드는 데 위험을 감수한다는 점에서 주주에게만 부여되었던 탁월한 역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5]

과거에는 주주가 기업을 이끄는 데 완전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특정 종류의 이사회 구조로 인해 CEO와 같은 최고 경영진이 주로 기업을 통제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5]

기업의 가장 큰 가치는 이미지와 브랜드이다. 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킴으로써 이미지 손상을 방지하고, 판매 손실과 불만을 품은 고객을 예방하며, 법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이해관계자 관점은 비용을 증가시키지만, 많은 기업들은 이미지 개선, 판매 증가, 기업 과실에 대한 책임 감소, 압력 단체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판단한다.[5]

Robert Allen Phillips는 이해 관계자 이론 및 조직 윤리에서 이해 관계자 이론의 윤리를 다룬다. 여기서 그는 John Rawls의 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이해 관계자 공정성 원칙"과 규범 적 및 유추 적 합법적 이해 관계자 간의 구별을 옹호한다.[5]

기업의 이해관계자는 기업 전체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주주는 종종 비즈니스 결정에 있어 가장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진 당사자이지만, 고객과 직원 또한 결과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하위 집합 중 하나이다.[5]

이해관계자별 관심 사항[5]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 관심 사항
정부 (Government)세금,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공시, 합법성, 외부효과
종업원 (Employees)금여, 고용 안정성, 보상, 존중. 정직한 의사소통, 칭찬, 승인
고객 (Customers)제품 가치, 품질, 고객관리, 윤리적 상품
공급자 (Suppliers)제품의 공급사 및 협력사, 영업기회의 공정성
채권자 (Creditors)신용 점수, 신규계약, 유동성
지역사회 (Community)일자리, 참여 개입, 환경보호, 공유, 정직한 의사소통
노동조합 (Trade Unions)노동의 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소유자, 오너 (Owners)수익성, 재직기간, 시점점유율, 시장에서의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투자자 (Investors)투자자본수익률, 투자수익


6. 한국에서의 이해관계자 이론

한국에서는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 경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이해관계자 이론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노동자의 권익 보호, 소비자 보호, 환경 보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재벌 개혁, 경제 민주화 등도 이해관계자 이론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해관계자와 그 관심 사항
이해관계자관심 사항
정부세금,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공시, 합법성, 외부효과
종업원급여, 고용 안정성, 보상, 존중, 정직한 의사소통, 칭찬, 승인
고객제품 가치, 품질, 고객 관리, 윤리적 상품
공급자제품의 공급사 및 협력사, 영업 기회의 공정성
채권자신용 점수, 신규 계약, 유동성
지역사회일자리, 참여 개입, 환경 보호, 공유, 정직한 의사소통
노동조합노동의 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소유자, 오너수익성, 재직 기간, 시점 점유율, 시장에서의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투자자투자 자본 수익률, 투자 수익


7. 비판 및 한계

이해관계자 이론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상충하는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이해관계자의 범위를 어디까지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여전히 존재한다.

Post, Preston, Sachs (2002)는 이해관계자를 "조직에 관심이나 우려가 있는 사람, 그룹 또는 조직"으로 정의하며, 이들은 조직의 행동, 목표, 정책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주요 이해관계자로는 채권자, 이사, 직원, 정부, 소유자(주주), 공급 업체, 노동 조합, 기업이 자원을 확보하는 지역 사회 등이 있다. 그러나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등한 것은 아니며, 회사의 직원과 동일한 배려를 받을 자격은 없다.

Robert Allen Phillips는 이해관계자 이론의 윤리를 다루며, "이해관계자 공정성 원칙"과 규범적 및 유추적 합법적 이해관계자 간의 구별을 옹호한다. 그는 지분 소유자인 진정한 이해관계자는 합법적인 지분을 가진 진정한 이해관계자이며, 상호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충실한 파트너라고 주장한다.

이해관계자별 관심 사항
이해관계자이해관계자 관심 사항
정부세금, 부가가치세, 법률, 고용, 정직한 공시, 합법성, 외부효과
종업원금여, 고용 안정성, 보상, 존중, 정직한 의사소통, 칭찬, 승인
고객제품 가치, 품질, 고객관리, 윤리적 상품
공급자제품의 공급사 및 협력사, 영업기회의 공정성
채권자신용 점수, 신규계약, 유동성
지역사회일자리, 참여 개입, 환경보호, 공유, 정직한 의사소통
노동조합노동의 질, 근로자 보호, 일자리
소유자, 오너수익성, 재직기간, 시점점유율, 시장에서의 지위, 승계 계획, 자본 조달
투자자투자자본수익률, 투자수익


참조

[1] 논문 Stockholders and Stakeholders: A new perspective on Corporate Governance https://www.research[...] 2017-10-21
[2] 웹사이트 The Role of Stakeholders https://www.oecd.org[...] 2000-10
[3] 논문 Business ethics without stakeholders 2006
[4] 논문 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http://cf.linnbenton[...] 1991-07
[5] 웹인용 Shareholder vs. Stakeholder: Two Approaches to Corporate Governance http://www.ieseinsig[...] IESE Business School 2008-06
[6] 뉴스 Shareholders v Stakeholders: A new idolatry http://www.economist[...] 2017-04-29
[7] 논문 Incorporating Social Activism https://ssrn.com/abs[...] 2018-12-01
[8] 서적 Stakeholder Relationship Management: A Maturity Model for Organisational Implementation http://www.stakehold[...] 2007
[9] 논문 From Efficient Markets Theory to Behavioral Finance
[10] 서적 Redefining the Corporation: Stakeholder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Wealth http://www.sup.org/b[...] Stan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Modern Management Pearson
[12] 논문 Stockholders and Stakeholders: A new perspective on Corporate Governance 1983
[13] 문서
[14] IT미디어 정보 시스템 용어 사전 스테이크 홀더 https://www.itmedia.[...] ITmedia
[15] 일본거래소그룹 경제를 배우다 > 주주란? https://www.jpx.co.j[...] 일본거래소그룹 2023-12-15
[16] 닛케이비즈니스 세계에서 진행되는 주주 이익 편중으로부터의 탈피 회사법제 재검토 진행되지 않는 일본 https://business.nik[...] 닛케이비즈니스 2021-01-15
[17] 간행물 의견서 『코퍼레이트 거버넌스에 관한 제언』 『멀티 스테이크홀더 자본주의에 근거한 코퍼레이트 거버넌스 코드의 제안』의 정리 https://www.kankeire[...] 간사이경제연합회 2023-09-11
[18] 뉴스 기업지배구조가 뭐길래 이렇게 시끄러울까? http://www.newstomat[...] 뉴스토마토 2015-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