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치 (지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치는 춘추 전국 시대 제나라의 수도였던 도시로,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쯔보시 린쯔구에 위치해 있다.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에게 점령되었으며, 668km² 면적에 달하는 도시 구조를 갖추었다. 린지에는 14km 길이의 성토로 둘러싸인 외성과 내성이 있었고, 하수도 및 급수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궁궐과 대로가 건설되었다. 또한, 직하 학궁이 위치하여 맹자, 순자 등 학자들이 활동했으며, 주변에는 100개 이상의 고분군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쯔보시 - 직하학궁
    직하학궁은 기원전 4세기 경 제나라에서 설립되어 국가가 학문을 후원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받는 학술 기관으로, 다양한 학파의 학자들이 모여 학문 연구와 토론을 펼쳤으며 황로사상의 중심지였고, 전국시대 식객 제도의 전범이 되었으며, 2022년 유적지가 발굴되었다.
  • 제나라 - 전제 (전국)
    전제는 진나라에서 망명한 전완을 시조로, 기원전 386년 제나라를 찬탈하여 건국되었으며, 효율적인 정치와 인재 등용으로 강성했으나 민왕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멸망한 국가이다.
  • 제나라 - 북제
    북제는 고환의 아들 고양이 동위 효정제로부터 선양받아 건국되었으며, 경제력을 바탕으로 돌궐과 연합하여 북주와 대립했으나, 후주 시기의 실정과 내부 갈등으로 쇠퇴하여 577년 북주에 의해 멸망한 남북조 시대의 북조 국가이다.
  • 중국의 옛 수도 - 대도
    대도는 1267년 쿠빌라이 칸이 건설하여 원나라의 수도로 삼은 도시이며, 몽골어로는 칸발릭,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에는 캄발룩으로 기록되었고, 명나라가 들어서면서 베이징으로 개칭되었다.
  • 중국의 옛 수도 - 흥경
    흥경은 여진족 추장 시오깡가의 거주지였던 헤투알라가 개명된 이름으로, 누르하치가 후금을 건국하며 수도로 삼았으나 요양으로 천도 후 묘소가 이전되었고, 현재는 용릉이 위치한 수자강 남쪽 기슭의 이중 성벽 구조를 갖춘 지역이다.
임치 (지명)

2. 역사

임치는 춘추 전국 시대의 도시들 중 가장 큰 규모에 속하였으며, 경제력과 군사력이 가장 강한 도시들 중 하나였다.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가 제나라를 멸망시킬 때 점령되었다. 현재 산둥성 쯔보시 린쯔구에 성터 유적이 남아있다.[1]

2. 1. 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수도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가 제나라를 멸망시킬 당시 점령되었다. 춘추 전국 시대의 도시들 중 가장 큰 규모에 속하였으며, 경제력과 군사력이 가장 강한 도시들 중 하나였다.[1] 현재 산둥성 쯔보시 린쯔구에 성터 유적이 남아 있으며, 1926년 일본의 고고학자들과 1964년 중화인민공화국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다.[1]

2. 2. 유적 발굴

1926년 일본의 고고학자들과 1964년 중화인민공화국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었다.[1]

3. 도시 구조

린지는 외성(外城)과 내성(內城)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궁궐은 내성 안 남서쪽 구석에 있었다. 내성에서는 제 환공의 플랫폼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성토 플랫폼이 발견되었는데, 잔해는 86m x 70m 크기에 높이는 14m이다.[1]

남북 및 동서 방향으로 뻗은 일곱 개의 넓은 대로(폭 20m 이상, 길이 4km 이상)는 도시를 격자형으로 나누었고, 이 중 네 개의 주요 대로가 도시 북동부 구역에서 만났다. 이 지역에서는 서주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까지의 풍부한 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1]

사기는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린지에 7만 가구, 최소 21만 명의 성인 남성이 있었다고 기록했지만, 오늘날 학자들은 이 기록이 과장되었다고 생각한다.[2]

3. 1. 지리적 특징

린지는 약 668km2 면적을 차지했으며, 동쪽에는 쯔강이, 서쪽에는 시강의 옛 물줄기가 북–남으로 흐르는 두 개의 평행한 강 사이에 건설되었다.

과거 성벽 아래를 지나가는 도시 하수도의 잔해


도시는 14km 길이의 성토로 둘러싸여 있었다. 도시는 외성(外城)과 내성(內城)으로 구성되었다. 외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43m에 달했으며, 평균 너비는 20m에서 30m 사이였다. 내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60m에 달했다. 이 도시는 하수도와 급수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궁궐은 린지의 남서쪽 구석에 위치한 내성에 있었다. 내성 안에서는 대규모의 성토된 플랫폼이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제 환공의 플랫폼이라고 불린다. 이 플랫폼의 잔해는 86m x 70m 크기이며 높이는 14m이다.

폭이 20m 이상이고 길이가 4km가 넘는 일곱 개의 넓은 대로가 남북 및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대략 격자형 패턴을 이루었다. 네 개의 주요 대로가 도시 북동부 구역에서 만났다. 이 지역은 서주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까지 가장 풍부한 문화 유물을 제공했다.[1]

사기에는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린지의 인구가 7만 가구, 성인 남성이 최소 21만 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것이 다소 과장된 것이라고 생각한다.[2]

3. 2. 성벽과 도시 구성

린지는 약 668km2 면적을 차지했으며, 동쪽에는 쯔강이, 서쪽에는 시강의 옛 물줄기가 북-남으로 흐르는 두 개의 평행한 강 사이에 건설되었다.

도시는 14km 길이의 성토로 둘러싸여 있었다. 도시는 외성(外城)과 내성(內城)으로 구성되었다. 외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43m에 달했으며, 평균 너비는 20m에서 30m 사이였다. 내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60m에 달했다. 이 도시는 하수도와 급수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궁궐은 린지의 남서쪽 구석에 위치한 내성에 있었다. 내성 안에서는 대규모의 성토된 플랫폼이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제 환공의 플랫폼이라고 불린다. 이 플랫폼의 잔해는 86by 크기이며 높이는 14m이다.

폭이 20m 이상이고 길이가 4km가 넘는 일곱 개의 넓은 대로가 남북 및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대략 격자형 패턴을 이루었다. 네 개의 주요 대로가 도시 북동부 구역에서 만났다. 이 지역은 서주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까지 가장 풍부한 문화 유물을 제공했다.[1]

사기에는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린지의 인구가 7만 가구, 성인 남성이 최소 21만 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것이 다소 과장된 것이라고 생각한다.[2]

3. 3. 궁궐과 주요 시설

린지는 약 668km2 면적을 차지했으며, 동쪽에는 쯔강이, 서쪽에는 시강의 옛 물줄기가 북–남으로 흐르는 두 개의 평행한 강 사이에 건설되었다.

도시는 14km 길이의 성토로 둘러싸여 있었다. 도시는 외성(外城)과 내성(內城)으로 구성되었다. 외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43m에 달했으며, 평균 너비는 20m에서 30m 사이였다. 내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60m에 달했다. 이 도시는 하수도와 급수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궁궐은 린지의 남서쪽 구석에 위치한 내성에 있었다. 내성 안에서는 대규모의 성토된 플랫폼이 발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제 환공의 플랫폼이라고 불린다. 이 플랫폼의 잔해는 86m x 70m 크기이며 높이는 14m이다.

3. 4. 도로망

린지는 동쪽의 쯔강과 서쪽의 시강의 옛 물줄기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이 두 강은 남북 방향으로 평행하게 흐른다. 도시는 14km 길이의 성토로 둘러싸여 있었다. 외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43m이고 평균 너비는 20m에서 30m 사이였다. 내성의 벽은 기저 폭이 최대 60m였다.[1]

폭이 20m 이상이고 길이가 4km가 넘는 일곱 개의 넓은 대로가 남북 및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어 대략 격자형 패턴을 이루었다. 네 개의 주요 대로가 도시 북동부 구역에서 만났다.[1]

4. 직하학궁(稷下學宮)

제나라는 기원전 315년에서 기원전 285년경 린쯔(临淄|lín zī중국어)에 위치한 직하 학궁을 후원했다.[1] 직하 학궁은 당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학문 중심지였다.[1] 학궁은 근처 도시 문(稷)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선발된 학자들은 정부에서 넉넉한 봉급을 받으며 군주에게 정치, 의례, 철학에 관해 조언했다.[1] 직하 학궁의 주요 학자로는 맹자, 순자(한비자와 이사 등을 가르침), 신도 등이 있었다.[1]

4. 1. 설립과 운영

제나라는 기원전 315년에서 기원전 285년경 린쯔에 위치한 직하 학궁을 후원했다.[1] 직하 학궁은 당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학문 중심지였다.[1] 학궁은 근처 도시 문(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정부에서 넉넉한 봉급을 받는 학자들은 군주에게 정치, 의례, 철학에 관해 조언했다.[1] 직하 학궁의 학자들로는 맹자, 순자(그는 한비자와 이사 등을 가르쳤다), 신도 등이 있었다.[1]

4. 2. 주요 학자

직하 학궁은 중국 린쯔 (기원전 315년경-기원전 285년경)에 위치했으며, 당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학문 중심지였다.[1] 제나라 군주들은 직하 학궁을 후원했다.[1] 학궁은 근처 도시 문(稷)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선발된 학자들은 정부에서 넉넉한 봉급을 받으며 군주에게 정치, 의례, 철학에 관해 조언했다.[1]

직하 학궁의 주요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5. 무덤

제물로 바쳐진 말 구덩이


린지 주변에는 100개가 넘는 고분이 있으며, 일부는 10km 떨어진 곳에 있다. 린지 주변의 많은 무덤들은 고대에 도굴되었다. 제나라 경공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곳 근처에서는 제물로 바쳐진 600마리가 넘는 말들이 두 줄로 정렬된 채 발견되었다.

5. 1. 무덤의 분포와 특징



임치 주변 유적에는 100개가 넘는 고분이 있으며, 일부는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임치 주변의 많은 무덤들은 고대에 도굴되었다. 제나라 경공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곳 근처의 구덩이에서 두 줄로 정렬된 600마리가 넘는 제물로 바쳐진 말들이 발견되었다.

5. 2. 제나라 경공 무덤



린지 주변 유적에는 100개가 넘는 고분이 있으며, 일부는 10km 떨어진 곳에 있다. 린지 주변의 많은 무덤들은 고대에 도굴되었다. 제나라 경공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곳 근처의 구덩이에서 두 줄로 정렬된 600마리가 넘는 제물로 바쳐진 말들이 발견되었다.

5. 3. DNA 검사 논란

린쯔(Linzi) 고분에서 나온 시신의 초기 미토콘드리아 DNA(mtDNA) 검사 결과, 그들의 mtDNA가 현대 중국인보다 유럽인과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mtDNA 재검사 결과, 초기 검사 결과는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럽 mtDNA는 고분에서 발견된 유해와 아무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른 표본 추출 방식과 잠재적 오염에 노출된 고대 mtDNA 데이터가 부적절한 데이터 분석 방법을 사용할 경우, 지난 수천 년 동안 지역 인구의 유전적 구조에서 급격한 시공간적 변화의 인상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라고 밝혔다.[3]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2007
[2] 서적 The Grand Scribe's Records, vol. 7: "The Memoirs of Pre-Han China", 69 Indiana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Reconstruc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hina: a caveat about inferences drawn from ancient DNA. 2015-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