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직하학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하학궁은 기원전 318년경 제 선왕에 의해 설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가가 학문을 후원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받는 학문 연구 기관이다. 다양한 학파의 학자들이 모여 학문 연구와 토론을 진행했으며, 특히 백가쟁명으로 불리는 활발한 논쟁이 이루어졌다. 직하학궁은 황로사상의 중심지였으며, 맹자, 순자 등 유명 학자들이 활동했다. 제 민왕 시대까지 번영하다가 연나라의 침공으로 쇠퇴했지만, 전국 시대 다른 학궁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2022년에는 유적이 발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쯔보시 - 임치 (지명)
    린쯔는 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수도로서 현재 중국 산둥성 쯔보시 린쯔구에 성터 유적이 남아 있는 경제, 군사적 요충지이며, 직하 학궁이 위치했던 학문 중심지이다.
  • 제나라 - 전제 (전국)
    전제는 진나라에서 망명한 전완을 시조로, 기원전 386년 제나라를 찬탈하여 건국되었으며, 효율적인 정치와 인재 등용으로 강성했으나 민왕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1년 진나라에 멸망한 국가이다.
  • 제나라 - 북제
    북제는 고환의 아들 고양이 동위 효정제로부터 선양받아 건국되었으며, 경제력을 바탕으로 돌궐과 연합하여 북주와 대립했으나, 후주 시기의 실정과 내부 갈등으로 쇠퇴하여 577년 북주에 의해 멸망한 남북조 시대의 북조 국가이다.
직하학궁
개요
직하학궁 상상도
제나라의 수도 린치에 위치했던 학궁
위치린치
설립 시기기원전 318년 ~ 기원전 284년경
존속 시기약 140년간 존속
창설자제나라의 환공 또는 위왕
주요 학자맹자
순자
추연
전변
접여자
신도
팽몽
계진
황로학파
윤문
송견
음문
공손룡
영향제자백가 사상 발전
황로학 형성
후대 중국 사상계에 큰 영향
상세 정보
성격학술 기관
정치 자문 기관
주요 활동학문 연구 및 토론
정치 자문
인재 양성
특징다양한 사상가들의 자유로운 토론 장려
국가에서 학자들을 후원
실용적인 학문 중시
기타
관련 유적직하학궁 유적지 (확인 필요)

2. 설립

『사기』에 따르면,[15][3] 직하학궁은 전제 선왕이 기원전 318년경에 설립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건안칠자 중 한 명인 서간은 선왕의 할아버지인 전제 환공이 학궁을 세웠다고 주장했으며,[16][4] 사마천의 기록 역시 선왕이 학궁을 처음 세웠다기보다는 이전에 있던 것을 복구하거나 부활시켰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6][4]

직하학궁은 역사적으로 "국가가 학문을 국가적 기능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신념하에 학문을 후원하기 시작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받는다.[20][9]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러한 설립 배경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즉, 강씨 왕조를 몰아내고 세워진 전씨 정권은 태생적으로 정통성이 취약했으며, 특히 환공이 자신의 형제, 조카, 어머니까지 처형하는 등 친족 숙청을 감행하면서 정통성은 더욱 훼손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황로학과 같은 정치 이론을 장려하고 학궁 운영을 통해 얻게 될 명성을 이용하여 약화된 정권의 정당성을 강화하려는 정치적 목적에서 비롯된 정책이었다는 주장이다.[17][5][6]

『사기』에는 선왕이 문학이나 유세를 하는 선비들을 좋아하여, 추연, 순우곤, 전병, 접여, 신도, 환연 등 76명에게 모두 열제(列弟)의 지위를 주고 상대부로 삼았으며, 이들에게 직접 정무를 맡기지 않고 자유롭게 논의하게 함으로써 제나라의 직하학사가 다시 크게 성행하여 그 수가 수백에서 천 명에 이르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직하학궁이 선왕 대에 이르러 더욱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준다.

3. 중요성

직하학궁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위왕과 선왕 시기에 번성했던 학술 기관으로, 당대 최고의 학자들이 모여들었던 중요한 장소였다. 제나라 왕들은 학자들에게 임치 직문(稷門) 근처에 거처[3][15]와 급료[8][19]를 제공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학자들은 사회적으로도 높은 대우를 받았다. 총장격인 좨주(祭酒)와 주요 학사인 선생(先生)들은 사(士)가 아닌 상대부(上大夫)의 지위를 부여받아 부역이 면제되는 등[8][19]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다. 『사기』 「맹자순경열전」에 따르면 선왕은 추연, 순우곤, 전변, 섭여, 신도, 환연 등 76명에게 모두 열대(列第)의 지위를 내리고 상대부로 삼아, 정치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논의만 하게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곳에는 다양한 학파의 저명한 학자들이 멀리서부터 찾아와 합류했다.

학파주요 학자
도가전변, 신도, 팽몽, 장자[1][13], 섭여, 환연
음양가추연[1]
묵가송견[1], 윤문
유가맹자[7][18], 순자[8][19], 순우곤[1]
법가신도 (도가/법가 겸)
명가아설
병가손빈


  • ''맹자''에서 맹자가 제 선왕과 나눈 대화는 그가 직하학궁에 머물던 시기의 일이다.[7]


직하학궁은 특히 황로사상의 중심지로 여겨지며, 『관자』와 그 일부이자 "기(氣)" 수련과 명상에 관한 가장 오래된 문헌 중 하나인 『내업』 같은 중요한 텍스트들이 이곳에서 집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9][20] 일부 학자들은 『도덕경』 역시 이곳에서 현재의 형태로 편집되고 완성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14]

수많은 학자들이 모여 자유롭게 토론하고 학문을 연구하면서 직하학궁은 제자백가 시대를 대표하는 학술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3. 1. 백가쟁명(百家爭鳴)

직하의 학사들은 매일 논쟁을 벌였고, 사람들은 이를 '''백가쟁명'''이라고 불렀다. 염철론 (기원전 81년)의 반유교 챕터 11에 따르면, "제나라 직하학궁에는 1,000명 이상의 학자들이 논쟁을 벌였다."[10] 다양한 사상과 학문이 접촉하고, 학자들 간의 토론이 이루어지면서 논리가 연마되고 상호 이해를 심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렇게 형성된 다양한 학문은 '''직하의 학'''이라고도 불린다. 이처럼 토론을 했기 때문에, 직하의 학사들은 변론술에 연마하고 논리를 새롭게 해나갔다. 그러한 인물들은 전국 시대에서는 '''변자'''나 '''찰자'''라고 불렸다.

4. 종말

직하학궁은 제 민왕의 치세까지 번영했으나, 기원전 284년 연(燕)나라가 수도 임치를 함락시키고 약탈하면서 사실상 몰락했다.[22][11] 그러나 사마천은 직하학궁의 제도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특히 전국사군자들이 식객을 모으거나 다른 나라에서 학궁을 세우는 데 본보기가 되었다고 보았다.[22][11] 예를 들어, 맹상군은 제나라에, 평원군은 조나라에, 춘신군은 초나라에, 신릉군은 위나라에 각각 학궁을 운영했다.[11] 또한 진(秦)나라의 재상이었던 여불위 역시 기원전 250년부터 238년 사이에 수천 명의 학자를 후원하여 『여씨춘추』를 편찬하는 등 비슷한 활동을 펼쳤다.[22][11]

2022년 2월, 산동성 치박시에서 직하학궁 유적이 발굴되었다. 이 유적은 동서 길이 210m, 남북 길이 190m의 사다리꼴 모양이며, 전체 면적은 약 40000m2에 달한다.[23]

5. 유적 발굴

2022년 2월, 고고학자들은 산둥성 쯔보시에서 직하학궁의 유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2][23] 이 발표는 5년간 진행된 발굴 조사의 결과였으며, 조사 과정에서 학궁 단지에 속하는 건물 기초 4열과 "햇빛이 비치면 다채로운 빛으로 빛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건축 부재들이 발견되었다.[12]

발견된 유적지는 동서 방향으로 가장 넓은 곳이 약 210m, 남북 방향으로 약 190m이며, 위에서 보면 사다리꼴 (혹은 직각 사다리꼴) 모양이다.[23][12] 전체 면적은 약 40000m2에 달한다.[23][12]

참조

[1]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6
[2] 서적 Taoism: The Enduring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4] 서적 Name and Actuality in Early Chinese Though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4
[5] 서적 Law and Morality in Ancient China: The Silk Manuscripts of Huang-Lao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3
[6] 문서 Annals of Wei
[7] 서적 A History of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01
[8]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Political Thought of Xun Zi https://books.google[...] Brill (Boston) 2003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1999
[10] 웹사이트 Discourses on Salt and Iron, chapter XI http://www2.iath.vir[...] Ch'eng Wen 2015-10-25
[11] 서적 The Old Master: A Syncretic Reading of the ''Laozi ''from the Mawangdui Text Onward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
[12] 웹사이트 Ruins of ancient academy sheds light on roots of Chinese civilization-Xinhua https://english.news[...] 2022-05-31
[13]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6
[14] 서적 Taoism: The Enduring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1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6] 서적 Name and Actuality in Early Chinese Though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4
[17] 서적 Law and Morality in Ancient China: The Silk Manuscripts of Huang-Lao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3
[18] 서적 A History of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001
[19]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Political Thought of Xun Zi https://books.google[...] Brill (Boston) 2003
[2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1999
[21] 웹인용 Discourses on Salt and Iron, chapter XI http://www2.iath.vir[...] Ch'eng Wen 2015-10-25
[22] 서적 The Old Master: A Syncretic Reading of the ''Laozi ''from the Mawangdui Text Onward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
[23] 웹인용 Ruins of ancient academy sheds light on roots of Chinese civilization-Xinhua https://english.news[...] 2022-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