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체화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체화학은 분자 내 원자들의 3차원 공간 배열을 연구하는 화학 분야이다. 1800년대 초 광학 활성 현상 관찰로 시작되어, 1874년 판트호프와 르벨에 의해 탄소의 사면체 구조와 광학 활성 간의 관계가 설명되었다. 입체화학은 이성질체의 종류, 입체 배열과 입체 배좌, 입체화학 결정법, 칸-잉골드-프렐로그 우선순위 규칙, 탈리도마이드 사례 등을 포함한다. 이성질체는 구조 이성질체와 입체 이성질체로 나뉘며, 입체 이성질체는 기하 이성질체, 디아스테레오머, 에난티오머(광학 이성질체) 등으로 세분된다. 입체 배열은 비가역적인 구조 차이를, 입체 배좌는 단일 결합 회전과 같이 자유롭게 변하는 원자단의 상대적 배열을 의미한다. 핵자기공명(NMR)과 X선 결정구조분석 등을 통해 입체화학을 결정하며, 탈리도마이드 사건은 입체화학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4년 과학 - 1874년 10월 10일 일식
  • 1874년 과학 - 1874년 4월 16일 일식
    1874년 4월 16일 일식은 다양한 주기와 매개변수를 가지는 부분 일식으로, UTC 기준 0시 05분에 시작하여 3시 01분에 종료되었으며 사로스 주기 129에 속한다.
  • 입체화학 - 배위수
    배위수는 중심 원자에 직접 결합한 이웃 원자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배위 화합물의 성질과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결정 구조나 리간드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실험적 방법이나 계산 화학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입체화학 - 카이랄성
    카이랄성은 거울상과 겹쳐지지 않는 성질로, 물리학, 화학, 수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자, 결정, 도형 등에서 관찰되며, 특히 화학에서는 거울상 이성질체 관계, 생물학에서는 특정 분자의 생명체 내 흔한 발견, 의약품 개발에서 약효 개선 및 부작용 감소 연구와 관련된다.
입체화학
일반 정보
왼손과 오른손은 서로 거울상이다.
왼손과 오른손은 서로 거울상이다.
분야화학, 물리학
하위 분야분자, 구조
관련 항목카이랄성,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키랄 중심, Cahn-Ingold-Prelog 우선순위 규칙, 입체 특이성, 입체 선택성
상세 정보
정의분자의 3차원적 배열과 그 효과를 연구하는 화학의 한 분야이다.
중요성분자의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응용 분야의약품 개발, 재료 과학, 촉매, 식품 화학

2. 역사

1815년, 장-바티스트 비오는 유기 분자가 용액이나 기체 상태에서 편광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는 광학 활성을 관찰하면서 유기 입체화학 역사의 시작을 알렸다.[3] 1842년, 루이 파스퇴르는 포도주 생산 과정에서 얻은 타르타르산 염이 편광면을 회전시킬 수 있지만, 다른 출처의 염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두 종류의 타르트레이트 염 사이에서 차이가 나는 유일한 물리적 성질이었는데, 이는 광학 이성질체 때문이다.

1874년, 야코뷔스 헨리쿠스 판트호프와 조제프 르벨은 탄소에 결합된 원자들의 사면체 배열이라는 관점에서 광학 활성을 설명했다. 케쿨레는 1862년에 사면체 모델을 탐구했지만, 그의 연구 결과는 발표하지 않았다. 에마누엘레 파테르노는 아마 이 사실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1869년 ''Giornale di Scienze Naturali ed Economiche''에 1,2-디브로모에탄과 같은 3차원 구조를 그려 설명한 최초의 사람이었다.[4]

켈빈 경은 1904년에 "카이랄(chiral)"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스코틀랜드의 약리학자인 아서 로버트슨 쿠시니는 1908년에 최초로 카이랄 분자의 거울상 이성질체 사이의 생물 활성 차이에 대한 명확한 예를 제시했는데, 즉 (-)-아드레날린이 (±)-형보다 혈관 수축제로서 두 배나 강력하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1926년에는 카이랄 약리학/입체 약리학[5][6] (광학 이성질체 물질의 생물학적 관계)의 기초를 마련했다.

1966년에는 절대 배열을 지정하기 위한 칸-잉골드-프렐로그 명명법 또는 순차 규칙이 고안되었는데, 이는 입체 중심/카이랄 중심(R- 및 S- 표기)에 적용되었고,[7] 올레핀 결합(E- 및 Z- 표기)에도 적용되도록 확장되었다.

3. 이성질체의 종류

이성질체는 크게 구조 이성질체입체 이성질체로 나뉜다. 구조 이성질체는 분자식은 같지만 원자의 연결 방식(구조식)이 다르며, 입체 이성질체는 분자식과 구성 원자의 연결 방식은 같지만, 원자들의 공간적 배열이 다르다. 입체 이성질체는 다시 기하 이성질체, 디아스테레오머, 에난티오머(광학 이성질체)로 분류된다.

입체 이성질체의 원인이 되는, 일반적으로는 비가환적인 원자의 공간적인 배치를 입체 배치라고 한다. 또, 상온에서 쉽게 변환할 수 있는 공간 배치를 입체 배좌라고 한다.

3. 1. 구조 이성질체

구조 이성질체란, 분자식은 같지만 원자의 연결 방식(구조식)이 다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1-프로판올 CH3−CH2−CH2−OH와 2-프로판올 CH3−CH(OH)-CH3는 서로 구조 이성질체이다.

3. 2. 입체 이성질체

입체 이성질체는 분자식과 구성 원자의 연결 방식은 같지만, 원자들의 공간적 배열이 다른 이성질체를 말한다. 기하 이성질체, 디아스테레오머, 에난티오머(광학 이성질체)로 분류된다.

비대칭 중심이 n개 있을 경우, 그 화합물의 이성질체는 2n개가 생성되며, 그중 두 가지를 선택했을 때 각각의 관계는 디아스테레오머, 에난티오머 또는 메소체의 관계가 된다. 광학 이성질체를 2차원 평면에서 나타내려면 투영식을 사용하며, 광학 이성질체끼리는 'RS' 또는 DL과 같은 명명법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3. 2. 1. 기하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부분입체 이성질체 중 특히 구성 원자와 결합 관계는 같으나 공간적인 구조가 달라서 보통의 조건에서는 서로 변환이 가능하지 않은 이성질체를 말한다.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물질의 E-와 Z-, 정팔면체형 착물의 ''cis''-와 ''trans''- 등의 예가 있다.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는 종종 알켄의 이중 결합과 관련이 있다.

     
cis-펜트-2-엔     trans-펜트-2-엔



보다 일반적인 ''E''/''Z'' 명명법은 ''cis''/''trans'' 이성질체 개념을 나타내며, 보다 복잡한 화합물에 특히 유용하다.

     
(Z)-1-브로모-1,2-디클로로에텐     (E)-1-브로모-1,2-디클로로에텐


3. 2. 2. 디아스테레오머

부분입체이성질체란 여러 개의 입체 중심을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 서로 거울상이 아닌 이성질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예를 들어, 2개의 입체 생성 중심 탄소를 가지는 화합물에서 RR과 RS의 관계를 말한다. 경우에 따라 erythro/threo, syn/anti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2개 이상의 부제탄소를 지니는 화합물의 경우에도, 분자 내에 대칭면이 존재하면 광학 활성을 보이지 않는데, 이러한 화합물을 메조 화합물이라고 부른다. 부분입체 이성질체 중에서 특히 한 곳만 입체 배열이 달라지는 것들을 에피머라고 하며, 에피머가 되는 것을 에피머화라고 한다. 또한, 당 화합물에서는 아노머가 생성된다.

에피머의 예시
[1]

D-글루코스와 D-갈락토스는 에피머
[2]

3. 2. 3. 에난티오머 (광학 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광학 이성질체)는 서로 거울상 관계에 있는 이성질체이다. 하나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진 경우, ''R''체와 ''S''체가 거울상이성질체이고, 두 개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진 화합물에서는 ''RR''체와 ''SS''체가 거울상이성질체가 된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카이랄하며, 광회전도를 제외한 물리적 성질은 완전히 같기 때문에, 분리하려면 특수한 방법이 필요하다.

부탄-2-올의 거울상이성질체


한 쌍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등량 혼합물을 라세미체라고 한다. 이것은 전혀 광회전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어느 한쪽의 거울상이성질체가 많으면 광학활성체가 된다. 화학 합성에서 어느 한쪽의 거울상이성질체만을 합성하는 것을 비대칭 합성이라고 하며, 그 입체선택성은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로 평가된다.

4. 입체 배열과 입체 배좌

입체배열은 일반적인 조건에서 비가역적인 구조의 차이를 의미하며, 입체 이성질체의 기본이 된다.

입체배좌는 원자단의 상대적인 입체 배열을 의미하며, 단일 결합 주위의 회전처럼 자유롭게 변화한다.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단일 결합 주위에서는 고우슈·에클립스·스태거드·안티(트랜스)가 있으며, 시클로헥산과 같은 평면에 대해서는 액시알·에콰토리알로 구분한다. 클람 규칙에 따라 반응성을 논할 때 중요하다.

5. 입체화학의 결정법

단순한 유기화합물의 경우, NMR로 거의 완벽하게 입체화학을 결정할 수 있다. 최근에는 모셔법 등의 발전으로 절대배열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단결정을 만들어 X선결정구조분석을 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1]

6. 입체화학의 중요성

분자를 구성하는 원소의 종류와 수를 나타내는 분자식이 같더라도, 원자결합의 종류나 방향, 즉 분자 구조가 다르면 전혀 다른 성질을 가진 분자가 된다. 이처럼 같은 분자식이지만 구조가 다른 것을 이성질체라고 하며, 어떤 분자가 이성질체로 변화하는 것을 이성질화라고 한다.

이성질체에는 크게 구조 이성질체입체 이성질체가 있다. 입체 이성질체는 다시 기하 이성질체, 디아스테레오머 및 광학 이성질체(거울상 이성질체)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비가환적인 원자의 공간적인 배치를 입체 배치라고 하며, 상온에서 쉽게 변환될 수 있는 공간 배치는 입체 배좌라고 한다.

입체화학은 특히 의약 분야에서 중요한데, 탈리도마이드 사건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탈리도마이드는 임산부의 입덧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나, 기형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의약품의 입체화학적 특성은 매우 중요하며, 엄격한 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6. 1. 칸-잉골드-프렐로그 우선순위 규칙

칸-잉골드-프렐로그 우선순위 규칙은 분자의 입체화학을 기술하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 규칙은 입체중심 주위의 원자를 표준적인 방식으로 순위를 매겨 분자 내 상대적 위치를 명확하게 기술할 수 있도록 한다. 피셔 투영식은 입체중심 주위의 입체화학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방법이다.

6. 2. 탈리도마이드

탈리도마이드 구조


입체화학은 의학, 특히 제약 분야에서 중요한 응용 분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탈리도마이드 사건이 자주 인용된다. 탈리도마이드는 1957년 독일에서 처음 합성된 의약품으로, 임산부의 입덧 치료에 처방되었다. 그러나 이 약물은 기형 발생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초기 배아의 성장 및 발달에 심각한 유전적 손상을 일으켜 아기의 사지 기형을 유발했다. (R)- 및 (S)-탈리도마이드 거울상이성질체의 서로 다른 생물학적 기능이 탈리도마이드의 기형 발생 기전에 대한 여러 제안된 가설들에 포함된다.[8] 그러나 인체 내에서는 탈리도마이드가 라세미화를 겪는다. 따라서 두 거울상이성질체 중 하나만 약물로 투여되더라도 다른 거울상이성질체가 대사 과정의 결과로 생성된다.[9] 그러므로 한 가지 입체 이성질체는 안전하고 다른 하나는 기형 발생성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10] 탈리도마이드는 현재 암과 나병과 같은 다른 질병의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임산부의 사용을 방지하고 발달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엄격한 규정과 통제가 시행되고 있다. 이 사건은 의약품을 대중에게 공개하기 전에 엄격한 시험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6. 3. 기타 의약품

이부프로펜은 (''R'')- 및 (''S'')-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S'')-이성질체만이 염증과 통증 감소에 효과적이다.

참조

[1] 서적 Basic Organic Stereochemistry
[1] 서적 Organic Stereochemistry: Guiding Principles and Biomedicinal Relevance
[1] 서적 Organic Stereochemistry: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Methods
[1] 서적 Stereochemistry and Stereoselective Synthesis: An Introduction
[2]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stereo- http://dictionary.re[...]
[3] 서적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New Delhi: New Age International
[4] 논문 Intorno all'azione del percloruro di fosforo sul clorale https://books.google[...] 1869
[5] 논문 Chiral Toxicology: It's the Same Thing…Only Different 2009-05-04
[6] 논문 Biomedical aspects of chiral molecules 2004-07-31
[7] 논문 Specification of Molecular Chirality 1966-04
[8] 논문 Mechanism of action in thalidomide teratogenesis 2000-06
[9]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alidomide
[10] 논문 Urban legends of chemis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