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회전비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회전비율은 전하를 띤 입자의 자기 모멘트와 각운동량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고전역학에서는 균일한 전하와 질량 분포를 가진 회전체의 경우 전하량을 질량의 두 배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원형 전류 고리의 자기 모멘트와 각운동량 계산을 통해 유도된다. 양자역학에서는 궤도 각운동량과 스핀에 의한 각운동량을 모두 고려하며, 자기 모멘트와 스핀 각운동량 사이의 비례 계수로 정의된다. 전자의 경우 스핀에 의한 자기회전비율은 궤도 운동에 의한 자기회전비율의 두 배이며, g-인자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원자핵의 자기회전비율은 핵자기 공명(NMR) 및 자기 공명 영상(MRI)과 관련이 있으며, 라머 세차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외부 자기장 내에서 자기 모멘트는 라머 진동수에 따라 세차운동을 하며, 자기 공명 현상을 통해 입자의 자기회전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자기회전비율은 정상 제이만 효과와 이상 제이만 효과, 핵자기 공명 등 다양한 현상과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자기 공명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핵자기 공명 - 피터 맨스필드
피터 맨스필드는 자기 공명 영상(MRI) 기술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하여 200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물리학자로, MRI의 '슬라이스 선택' 기법과 에코 플래너 영상(EPI) 기법을 개발하여 현대 의학 영상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원자물리학 - 보어 반지름
보어 반지름()은 물리 상수들로 정의되며, 약 5.292 × 10-11 m의 값을 가지고, 보어 모형에서 가장 안쪽 전자 궤도의 반지름으로 제시되어 원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 원자물리학 - 스핀-궤도 상호작용
스핀-궤도 상호작용은 전자의 스핀 각운동량과 궤도 각운동량의 결합으로 발생하는 상대론적 효과로, 원자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를 설명하고 고체 내 에너지띠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자기회전비율 |
|---|
2. 고전역학에서의 자기회전비율
균일한 전하와 질량 분포를 가진 고전적인 회전체의 경우, 자기회전비율은 전하량을 질량의 두 배로 나눈 값()으로 주어진다. 이는 원형 전류 고리에 대한 자기 모멘트와 각운동량 계산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
양자역학에서는 궤도 각운동량뿐만 아니라 입자의 고유한 성질인 스핀에 의한 각운동량도 고려해야 한다. 자기모멘트를 , 스핀 각운동량을 라고 하면, 자기회전비율 는 로 주어지는 비례계수이다.
전류 가 흐르는 원형 도선의 자기모멘트는 로 정의된다. 여기서 는 면과 수직한 방향의 미소면적벡터이다. 평면에 놓인 질량 , 전하 를 가지고 반지름 인 원형 고리가 축을 축으로 하여 각속도 로 회전하고 있다고 할 때, 자기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축 방향의 단위벡터이다.
물체의 각운동량은 로 정의되며, 이는 회전관성을 이라 했을 때 로 쓸 수 있다. 원형 도선의 각운동량은 축 방향을 향하고 있고, 원운동하는 입자의 회전관성은 이므로, 각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원형 고리의 자기 모멘트와 각운동량 사이에는 관계가 성립하고, 자기회전비율은 이 된다.
원통형 대칭이 있는 물체의 경우에는 원형 고리를 쌓아놓은 형태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자기회전비율은 모든 경우에 이 된다.
3. 양자역학에서의 자기회전비율
고립된 전자는 스핀에서 비롯된 각운동량과 자기 모멘트를 갖는다. 전자의 스핀은 때때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시각화되지만, 전하와 동일하게 분포된 질량으로 귀속될 수는 없다. 고전적인 관계는 성립하지 않으며, 전자의 g-인자()를 사용하여 와 같이 표현한다. 여기서 는 보어 마그네톤이다.
전자의 스핀에 의한 자기 회전비는 전자의 궤도 운동에 의한 자기 회전비의 두 배이다. 상대론적 양자 역학의 틀 내에서, 이다. 여기서 는 미세 구조 상수이다. 상대론적 결과 에 대한 작은 보정은 이상 자기 쌍극자 모멘트의 양자장론 계산에서 비롯된다. 전자의 g-인자는 단일 전자 사이클로트론에서 전자 자기 모멘트를 측정하여 소수점 12자리까지 알려져 있다.[3]
:
전자의 자기 회전비는 다음과 같다.[4][5][6]
:
:
전자의 g-인자와 자기회전비율은 이론과 매우 잘 일치한다. (''QED 정밀 검증'' 참조)[7]
디락 방정식에 따르면 자기회전비율이 2가 되므로, g-인자 2가 상대성 이론의 결과라고 생각하는 것은 흔한 오해이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인자 2는 슈뢰딩거 방정식과 상대론적 클라인-고든 방정식 (디락 방정식을 유도함)의 선형화에서 모두 얻을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4-스피너가 얻어지며, 두 선형화 모두에서 g-인자는 2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자 2는 최소 결합과 공간 및 시간에 대해 동일한 차수의 도함수를 갖는다는 사실의 결과이다.[8]
3. 1. 전자의 자기회전비율
전자의 자기회전비율은 궤도 각운동량에 의한 것과 스핀에 의한 것으로 나뉜다. 궤도 각운동량에 의한 자기회전비율은 고전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로 주어진다. 여기서 는 기본전하량, 은 전자의 질량, 은 궤도 각운동량이다. 유한한 핵의 질량까지 고려하면, 자기회전비율은 로 표현되며, 여기서 g-상수 이다. (은 원자핵의 질량 대 전자의 질량비)[32]
스핀에 의한 자기회전비율은 고전적인 경우와 다르다. 고전적인 이론에서는 (는 스핀 각운동량)이지만, 상대론적 양자역학에서는 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는 g-인자(g-factor)로, 디락의 이론에서는 이며, 이는 비정상 제이만 효과를 설명한다. 양자전기역학(QED)을 통해 더 정밀하게 계산하면 를 얻는다. 값은 비정상 자기모멘트(anomalous magnetic moment)라고 불리며, 이는 QED의 실험적 기반이 된다.[3]
고립된 전자는 스핀으로 인해 각운동량과 자기 모멘트를 갖는다. 전자의 스핀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이는 고전 물리학과는 다른 양자역학적 현상이다.[24] 전자의 g-인자()는 로 표현된다. (여기서 는 보어 마그네톤)
상대론적 양자 역학에서는 이며, 여기서 는 미세 구조 상수이다. 이상 자기 쌍극자 모멘트의 양자장론 계산을 통해 보정되며, 전자의 g-인자는 소수점 12자리까지 알려져 있다.[3]
전자의 자기 회전비는 다음과 같다.[4][5][6]
:
:
전자의 g-인자와 자기회전비율은 이론과 매우 잘 일치한다. (QED 정밀 검증 참조)[7]
3. 2. 원자핵의 자기회전비율
양성자, 중성자 등의 핵자는 핵스핀을 갖고 있으며, 이는 원자핵이 정상 상태일 때 갖는 각운동량을 나타낸다. 핵 스핀은 원자핵을 구성하는 핵자의 고유 스핀과 핵자의 궤도 운동에 의한 각운동량이 합성된 것이다. 이 스핀은 자기회전비율을 발생시키는데, 자기회전비율은 양성자의 질량과 전하량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은 핵 마그네톤이며, 은 해당 핵자나 원자핵의 g-인자이다. 이 비율()은 와 같으며, 7.622593285(47) MHz/T이다.[10]
원자핵의 자기회전비율은 핵자기 공명(NMR) 및 자기 공명 영상(MRI)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핵 스핀으로 인한 벌크 자화가 세차 운동을 한다는 사실에 의존하며, 이 세차 운동의 속도는 라머 주파수라고 불리며, 자기회전비와 자기장 세기의 곱이다. 이 현상으로, 자기회전비율()의 부호는 세차 운동의 방향(시계 방향 대 시계 반대 방향)을 결정한다.
| 원자핵 | (106 rad⋅s−1⋅T−1) | (MHz⋅T−1) |
|---|---|---|
| 1H | 267.513 | 42.577 478 92(29) |
| 2H | 41.065 | 6.536 |
| 3He | −203.789 | −32.434 |
| 7Li | 103.962 | 16.546 |
| 13C | 67.262 | 10.705 |
| 14N | 19.331 | 3.077 |
| 15N | −27.116 | −4.316 |
| 17O | −36.264 | −5.772 |
| 19F | 251.662 | 40.052 |
| 23Na | 70.761 | 11.262 |
| 27Al | 69.763 | 11.103 |
| 29Si | −53.190 | −8.465 |
| 31P | 108.291 | 17.235 |
| 57Fe | 8.681 | 1.382 |
| 63Cu | 71.118 | 11.319 |
| 67Zn | 16.767 | 2.669 |
| 129Xe | −73.997 | −11.777 |
4. 라머 세차운동
각운동량 벡터가 자기장 하에 놓여 있으면 세차운동을 하는데 이를 라머 세차운동(Larmor precession)이라고 한다. 라머 세차운동은 자기회전비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기 모멘트와 정렬되지 않은 자기장 '''B''' 내에 놓인, 특정 자기 회전비를 가진 계는 외부장의 세기에 비례하는 주파수 f로 세차 운동을 한다.
:.
이 때문에, γ/(2π)라는 양이 자주 사용된다.
== 각운동량의 세차운동 ==
외부 자기장 내에서 자기 모멘트는 자이로스코프와 유사하게 외부 자기장 방향을 축으로 하는 세차운동을 한다. 자기 모멘트 가 축 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자기장 와 만큼의 각도를 가지고 각속도 로 회전하는 각운동량 을 가지고 있을 때, 각운동량의 세차운동 각속도는 자기회전비율을 라 했을 때 가 된다.
고전역학에서 원자의 자기회전비율은 으로 주어지므로, 각운동량의 회전 각속도는 이 되고, 이를 특별히 라머 진동수(Larmor frequency)라고 한다. 라머의 정리에 의하면 약한 자기장이 걸려 있는 경우의 자기 모멘트의 운동은 자기장이 걸려 있지 않은 운동에 자기장 방향을 축으로 하는 라머 진동수 만큼의 각속도를 더한 것과 같다.
강체 전하 시스템, 원자핵, 또는 전자와 같이 일정한 자기 회전비를 가진 임의의 자유 시스템은 외부 자기장에 배치되었을 때, 자기 모멘트와 일치하지 않으면 외부 필드에 비례하는 주파수로 세차 운동을 한다.
회전하는 모든 물체에 대해 각운동량 의 변화율은 가해지는 토크 와 같고, 세차 운동을 예시로 지구의 중력을 자기 선속 밀도 로 대체하면 스핀의 회전의 각속도는 다음과 같다.
:
결과적으로, 이다.
각 세차 운동 주파수는 ''각 사이클로트론 주파수''이며, 정적 유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이온화된 플라즈마의 공진 주파수이며, 고주파 전자기장을 중첩할 때이다.
== 스핀 1/2 입자의 세차운동 ==
양자역학에서 자기모멘트()가 자기장() 하에 있을 때, 이 계의 해밀토니안은 로 주어진다. 자기장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해밀토니안은 로 표현된다.
스핀 1/2 입자의 경우, 스핀 연산자는 파울리 행렬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는 로 표현된다. 따라서 해밀토니안은 와 같은 행렬 표현식으로 쓸 수 있다. 이 해밀토니안의 고유상태(eigenstate)는 의 고유상태와 같은 이며, 각각의 경우 고유치(eigenvalue)는 가 된다.
자기장이 spin 축과 의 각도를 이루고 있을 경우, 스핀의 기대치를 계산하면 스핀이 세차운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방향으로 스핀 성분의 기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는 행렬의 공액전치이고, 이다. 이를 통해 스핀의 기대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결과적으로 스핀의 기대치는 축과 각도 를 이루면서 축을 중심으로 각속도 로 회전한다. 이는 고전역학에서 각운동량 벡터가 자기장 내에서 회전하는 상황과 유사하지만, 스핀 자체가 아닌 스핀 기대치의 회전을 의미한다.
4. 1. 각운동량의 세차운동
외부 자기장 내에서 자기 모멘트는 자이로스코프와 유사하게 외부 자기장 방향을 축으로 하는 세차운동을 한다. 자기 모멘트 가 축 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자기장 와 만큼의 각도를 가지고 각속도 로 회전하는 각운동량 을 가지고 있을 때, 각운동량의 세차운동 각속도는 자기회전비율을 라 했을 때 가 된다.고전역학에서 원자의 자기회전비율은 으로 주어지므로, 각운동량의 회전 각속도는 이 되고, 이를 특별히 라머 진동수(Larmor frequency)라고 한다. 라머의 정리에 의하면 약한 자기장이 걸려 있는 경우의 자기 모멘트의 운동은 자기장이 걸려 있지 않은 운동에 자기장 방향을 축으로 하는 라머 진동수 만큼의 각속도를 더한 것과 같다.
강체 전하 시스템, 원자핵, 또는 전자와 같이 일정한 자기 회전비를 가진 임의의 자유 시스템은 외부 자기장 '''''' (테슬라 단위)에 배치되었을 때, 자기 모멘트와 일치하지 않으면 외부 필드에 비례하는 주파수 (헤르츠 단위)로 세차 운동을 한다.
:
이러한 이유로, | 2 }} 값은 대신 테슬라 (단위)당 헤르츠 (Hz/T) 단위로 인용되는 경우가 많다.
회전하는 모든 물체에 대해 각운동량 의 변화율은 가해지는 토크 와 같고, 세차 운동을 예시로 지구의 중력을 자기 선속 밀도 로 대체하면 스핀의 회전의 각속도는 다음과 같다.
:
결과적으로, 이다.
각 세차 운동 주파수는 ''각 사이클로트론 주파수''이며, 정적 유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이온화된 플라즈마의 공진 주파수이며, 고주파 전자기장을 중첩할 때이다.
4. 2. 스핀 1/2 입자의 세차운동
양자역학에서 자기모멘트()가 자기장() 하에 있을 때, 이 계의 해밀토니안은 로 주어진다. 자기장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해밀토니안은 로 표현된다.스핀 1/2 입자의 경우, 스핀 연산자는 파울리 행렬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는 로 표현된다. 따라서 해밀토니안은 와 같은 행렬 표현식으로 쓸 수 있다. 이 해밀토니안의 고유상태(eigenstate)는 의 고유상태와 같은 이며, 각각의 경우 고유치(eigenvalue)는 가 된다.
자기장이 spin 축과 의 각도를 이루고 있을 경우, 스핀의 기대치를 계산하면 스핀이 세차운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방향으로 스핀 성분의 기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는 행렬의 공액전치이고, 이다. 이를 통해 스핀의 기대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결과적으로 스핀의 기대치는 축과 각도 를 이루면서 축을 중심으로 각속도 로 회전한다. 이는 고전역학에서 각운동량 벡터가 자기장 내에서 회전하는 상황과 유사하지만, 스핀 자체가 아닌 스핀 기대치의 회전을 의미한다.
5. 제이만 효과와의 관련성
5. 1. 정상 제이만 효과
정상 제이만 효과는 약한 자기장 하에서 스핀-궤도 상호작용을 무시할 수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경우, 해밀토니안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는 자기장이 없을 때의 해밀토니안, 는 라머 진동수, 와 는 각각 궤도 각운동량과 스핀 각운동량의 z 성분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 준위는 다음과 같이 갈라진다.
:
:
여기서 은 자기장이 없을 때의 에너지 준위, m은 자기 양자수이다. 즉, 에너지 준위는 라머 진동수에 비례하여 갈라지게 된다.
이는 고전적인 해석과도 일치한다. 고전적으로 자기장 하에서 전자는 원운동을 하며, 구심력과 로렌츠 힘의 관계로부터 라머 진동수를 유도할 수 있다.
각운동량의 시간 변화율을 통해 각운동량의 기댓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
스핀의 경우에도 유사한 관계가 성립하며, 스핀 각운동량의 기댓값은 다음과 같다.
:
:
:
이는 궤도 각운동량과 스핀 각운동량의 z 성분이 자기장에 평행하며, 각운동량과 스핀 자체는 자기장에 수직하게 세차운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궤도 각운동량은 라머 진동수 로, 스핀 각운동량은 로 회전한다.
자기 모멘트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스핀-궤도 상호작용(LS 결합)을 무시하면, z 성분에 대한 식을 얻을 수 있다.
:
5. 2. 이상 제이만 효과
이상 제이만 효과는 스핀-궤도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에 나타나며, 에너지 준위 갈라짐은 란데 g-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란데 g-인자는 총 각운동량, 궤도 각운동량, 스핀 각운동량의 양자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약한 자기장이 걸려있을 때, 전이의 상위 및 하위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의 스핀 양자수가 0이 아니면 란데 g-인자가 상위 상태와 하위 상태에서 다르기 때문에 선택규칙 ''ΔM''=0, ±1을 충족시키는 스펙트럼선이 정상 제만 효과와는 다른 개수 및 간격으로 나타난다. 외부 자기장과 전자의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이며, 는 전자의 정지질량이다. 스핀의 이상 g 상수는 2이다. 이 식을 전각운동량 을 이용해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라는 관계를 이용하면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자기장을 z축 방향으로 걸어주었기 때문에 z축 방향의 자기모멘트 값을 알아낼 필요가 있다. 고유함수 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g는 란데 인자로 불린다. 를 이용해 란데 인자를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입자와 외부 자기장의 상호작용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이는 이웃한 두 에너지 준위에서 이 1일때, 에너지 차이가
:
만큼 존재한다는 의미다. 이 에너지 준위 차이는 란데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s가 -이어서 j와 l이 같다면 g-인자는 1로 정의되고, 이는 정상 제이만 효과와 동일해진다.
6. 자기 공명
자기 공명 현상은 외부 자기장의 진동수가 라머 진동수와 일치할 때 발생하며, 이를 통해 입자의 자기회전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원자핵에 대하여 이러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을 핵자기 공명(NMR)이라고 한다.
외부 자기장(\\mathbf{B} = B_1 \cos{(\omega t)} \mathfrak{e} - B_1 \sin{(\omega t)} \mathfrak{e}_y + B_0 \mathfrak{e}_z)에서 와 방향의 자기장이 진동수 를 가지고 진동할 때, 전자가 스핀 다운 상태로 전이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 (, , )
이 확률은 일 때 공명이 일어나 최대가 된다. 는 실험을 할 때 직접 가해주는 자기장이므로 방향의 자기장 진동수를 바꾸어 주면서 공명이 일어나는 지점을 찾으면 그 입자의 자기회전비율 를 측정할 수 있다.
핵자기 공명(NMR)은 원자핵의 자기회전비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로, 화학 및 의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한국은 핵자기 공명(NMR) 기술을 활용한 기초 연구 및 응용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물질 개발 및 질병 진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GreenBookRef
[2]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3]
논문
Measurement of the Electron Magnetic Moment
https://link.aps.org[...]
2023-02-13
[4]
웹사이트
electron gyromagnetic ratio
http://physics.nist.[...]
NIST
[5]
웹사이트
electron gyromagnetic ratio
http://physics.nist.[...]
NIST
[6]
웹사이트
electron gyromagnetic ratio in MHz/T
http://physics.nist.[...]
NIST
[7]
conference
The anomalous magnetic moments of the electron and the muon
http://parthe.lpthe.[...]
Birkhäuser
2002-10-12
[8]
서적
Quantum Mechan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Verlag
2000-10-04
[9]
논문
Gyromagnetic {{mvar|g}}{{sub|s}} factors of the spin 1/2 particles in the (1/2{{sup|+}}-1/2{{sup|−}}-1/2{{sup|−}}) triad of the four-vector spinor, {{mvar|ψ{{sub|μ}}}}, irreducibility and linearity
[10]
웹사이트
Nuclear magneton in MHz/T:
http://physics.nist.[...]
NIST
[11]
서적
Spin Dynamics
John Wiley & Sons Ltd.
[12]
서적
Protein NMR Spectroscopy
Elsevier Academic Press
[13]
서적
Handbook of MRI Pulse Sequences
https://archive.org/[...]
Elsevier Academic Press
[14]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5]
웹사이트
proton gyromagnetic ratio
https://physics.nist[...]
NIST
[16]
웹사이트
proton gyromagnetic ratio over 2 pi
http://physics.nist.[...]
NIST
[17]
웹사이트
shielded proton gyromagnetic ratio
https://physics.nist[...]
NIST 2022
2021-05-19
[18]
웹사이트
shielded proton gyromagnetic ratio in MHz/T
https://physics.nist[...]
NIST 2022
2021-05-19
[19]
웹사이트
Tritium Solid State NMR Spectroscopy at PNNL for Evaluation of Hydrogen Storage Materials
https://www.energy.g[...]
2015-11
[20]
웹사이트
shielded helion gyromagnetic ratio
https://physics.nist[...]
NIST 2022
2024-07-09
[21]
웹사이트
shielded helion gyromagnetic ratio in MHz/T
https://physics.nist[...]
NIST 2022
2024-07-09
[22]
논문
Explorations of Magnetic Properties of Noble Gas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2020"
[23]
문서
D.C. Giancoli,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3rd ed., page 1017. Or see: P.A. Tipler and R.A. Llewellyn, ''Modern Physics'', 4th ed., page 309.
[24]
논문
A nonperturbative calculation of the electron's magnetic moment
[25]
논문
Measurement of the Electron Magnetic Moment
https://link.aps.org[...]
2023-02-13
[26]
문서
NIST. CODATA推奨値は正の値であるが、この記事における {{Mvar|γ}} は負の値である。実際、 {{Harv|Weil|Bolton|2007|p=578}} など多くの文献で電子の磁気回転比は {{Math|''γ'' < 0}} とされている。
http://physics.nist.[...]
[27]
문서
Walter Greiner Quantum Mechanics: An Introduction, Springer Verlag
[28]
서적
Handbook of MRI Pulse Sequences
Elsevier Academic Press
[29]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30]
웹사이트
proton gyromagnetic ratio over 2 pi
http://physics.nist.[...]
NIST
2018-01-29
[31]
문서
예를 들어, D.C. Giancoli,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3rd ed., 1017쪽. 혹은 P.A. Tipler and R.A. Llewellyn, ''Modern Physics'', 4th ed., 309쪽.
[32]
논문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III
http://link.aps.org/[...]
1952-01-15
[33]
서적
Spin Dynamics
John Wiley & Sons Ltd
"2008"
[34]
서적
Protein NMR Spectroscopy
https://archive.org/[...]
Elsevier Academic Pres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