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피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피너는 수학 및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특히 양자역학 및 상대성 이론에서 전자의 스핀과 같은 물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피너는 로렌츠 군의 표현으로, 텐서 표현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며, 클리퍼드 대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스피너는 디랙 스피너, 바일 스피너, 마요라나 스피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차원과 부호수에 따라 그 성질이 달라진다. 스피너는 입자물리학의 표준 모형에서 페르미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중성미자, 쿼크, 전자 등 기본 입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스피너는 또한 기하학적 관점과 표현론적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클레브쉬-고르단 분해를 통해 스피너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피너 - 디랙 방정식
    디랙 방정식은 폴 디랙이 도입한 스핀 1/2 입자의 운동을 기술하는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상대론적 효과와 전자의 스핀을 결합하여 양전자의 존재를 예측하는 데 기여했으며 양자장론의 기본 방정식으로 널리 활용된다.
  • 스피너 - 피어츠 항등식
    피어츠 항등식은 디랙 스피너와 바일 스피너의 곱셈 결과를 나타내는 관계식으로, 디랙 스피너는 스칼라, 벡터, 텐서, 축벡터, 유사스칼라 간의 곱셈 결과를 표로 나타내며, 바일 스피너는 반가환성을 만족하는 특정 형태를 가진다.
  • 3차원 회전 - 방향
    방향은 2차원, 3차원 공간에서 방향 벡터로 표현되며, 단위 벡터, 각도(편각), 방향각, 방위각, 방향 코사인 등으로 나타낼 수 있고, 언어적으로는 가로세로, 상하, 전후, 좌우와 같은 상대적인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 3차원 회전 - 오일러 각
    오일러 각은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소개한 3차원 공간 좌표계의 회전으로 강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세 개의 각도이며, 로봇 제어 등 기기 제어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회전축 순서에 따라 정오일러 각과 테이트-브라이언 각으로 나뉜다.
  • 물리학 사이드바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리학 사이드바 - 양자역학
    양자역학은 20세기 초에 개발된 물리학 이론으로, 미시적인 계의 성질과 거동을 설명하며, 불확정성 원리, 파동-입자 이중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현대 기술과 현대 물리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스피너
개요
'구면의 점은 복소수 스피너에 해당하며, 반대쪽 점은 반대 스피너에 해당한다.'
'복소수 2차원 스피너의 기하학적 표현. 구면의 점은 복소수 스피너에 해당하며, 반대쪽 점은 반대 스피너에 해당한다.'
유형수학적 대상
분야선형대수학
기하학
물리학
수학적 정의
정의'스피너는 회전군의 선형 표현의 요소이다.'
그룹과의 관계스핀 군
로렌츠 군
클리포드 대수
물리학에서의 응용
응용 분야양자역학
상대성이론
양자장론
관련 개념
관련 개념텐서
벡터
바일 스피너
디랙 스피너
마요라나 스피너
역사
최초 고안자엘리 카르탕
발표 년도1913년

2. 간략한 역사

스피너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1913년 프랑스 수학자 엘리 카르탕이 처음 도입하였다.[40] "spinor"라는 단어는 물리학자 파울 에렌페스트가 양자역학을 연구하며 사용했다.

스피너는 1927년에 볼프강 파울리가 스핀 행렬을 도입하면서 처음으로 물리학에 응용되었다. 이후 폴 디랙이 스피너와 로런츠 군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전자 스핀에 대한 완전한 상대론적인 이론을 만들었다.

1930년에는 수학자 구스타프 쥬베와 물리학자 프리츠 사우터가 스피너 공간을 행렬 대수의 왼쪽 이데알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스피너를 파울리처럼 2차원 복소 열벡터로 표현하지 않고 2 × 2 복소 행렬로 표현하였다.

1947년 수학자 리스 머르첼은 스피너 공간을 클리포드 대수의 왼쪽 이데알의 원소들로 구성하였다. 1966/1967년 물리학자 데이비드 헤스텐은 스피너 공간을 시공간 대수의 짝수 부분 대수로 대체하였다. 1980년대에는 데이비드 봄과 바실 헨리를 중심으로 한 버크벡 칼리지의 이론 물리학 연구 단체가 양자 물리학에 대한 대수적 접근법을 발전시켰다.

3. 정의

일반적으로, ( \mathbb F에 대한) 벡터 공간 V와 계량 형식 g\colon V\times V\to\mathbb F가 주어졌을 때, '''스피너 표현'''은 회전 (로런츠) 대수 \mathfrak{so}(V,g)의 표현 가운데 텐서 표현이 아닌 것이다. '''스피너'''는 스핀 표현의 원소이다. 스피너 표현은 클리퍼드 대수를 통하여 나타낼 수 있다.[40]

3. 1. 클리퍼드 대수

클리퍼드 대수 \mathrm{Cl}(V,g)V에 의하여 생성되고, xy+yx=2g(x,y)를 만족하는 대수이다. 편의상 \mathbb F=\mathbb C인 경우를 먼저 생각하면, k=\lfloor n/2\rfloor라고 놓았을 때, n이 짝수일 경우 \operatorname{Cl}(V,g)는 복소 행렬 대수 \operatorname{Mat}(2^k,\mathbb C)와 동형이고, n이 홀수인 경우 \operatorname{Cl}(2^k,\mathbb C)\oplus \operatorname{Cl}(2^k,\mathbb C)과 동형이다. 즉, 2^k 차원의 복소 표현 \Delta가 존재한다.

클리퍼드 대수 \mathrm{Cl}(V,g)교환자 [x,y]=xy-yx에 따라 리 대수를 이룬다. 리 대수 \mathfrak{so}(V,g)\operatorname{Cl}(V,g)의 부분 리 대수를 이룸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Delta\mathfrak{so}(V,g)의 표현을 이룬다. 이를 '''디랙 스피너 표현'''(Dirac spinor representation영어)이라고 부른다.

\mathfrak{so}(V,g)의 복소표현으로서 디랙 표현은 n이 홀수면 기약(旣約, irreducible)표현이지만, n이 짝수면 가약(可約, reducible)표현으로서 2^{k-1}차원의 표현 \Delta=\Delta_+\oplus\Delta_-로 나뉜다. 짝수 차원에서 존재하는 \Delta_\pm 표현을 (왼손 및 오른손) '''바일 스피너 표현'''(Weyl spinor representation영어)이라고 부른다.[38]

3. 2. 표현론적 관점

표현론 관점에서 보면, 텐서 구성을 통해서는 만들 수 없는 직교군리 대수 표현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누락된 표현을 '''스핀 표현'''이라 하고, 그 구성 요소를 '''스피너'''라고 한다. 이 관점에서 스피너는 회전군 또는 더 일반적인 계량 부호를 갖는 공간에서의 일반화된 특수 직교군의 이중 피복에 대한 표현에 속해야 한다. 이러한 이중 피복은 리 군이며, 스핀 군 또는 라고 불린다.[4] 스피너의 모든 속성, 그 응용 및 파생 객체는 먼저 스핀 군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군의 이중 피복 표현은 군 자체의 이중 값 사영 표현을 생성한다. (이는 특정 회전이 양자 힐베르트 공간의 벡터에 대한 작용이 부호까지 정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10]

간단히 말하면, VK = \mathbb{R} 또는 \mathbb{C} 위의 벡터 공간이고 \rho가 준동형 사상 \rho:\text{Spin}(p,q)\rightarrow \text{GL}(V)인 데이터 (V,\text{Spin}(p,q), \rho)로 지정된 표현이 주어지면, '''스피너'''는 벡터 공간 V의 원소이다.[2]

3. 3. 기하학적 관점

스피너는 리 군의 작용에 따라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명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은 스피너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기본적인 설명을 제공하지만, 피어츠 항등식과 같은 스피너의 복잡한 속성이 필요할 때 다루기 어려워진다.[5]

4. 다양한 차원에서의 스피너

스피너의 성질은 보트 주기성을 따른다. 즉, d+8차원의 스피너 종류는 d차원과 같지만, 크기는 16배 더 크다. 낮은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에서 가능한 스피너는 다음과 같다.


  • 1차원: 자명한 1차원 실수 (마요라나) 표현.[42]
  • 2차원: 1차원 (바일) 복소 표현, 2차원 실수 (마요라나) 표현.[42]
  • 3차원: 2차원 디랙 스피너.
  • 4차원: 두 개의 2차원 바일 스피너.
  • 5차원: 4차원 디랙 스피너.
  • 6차원: 4차원 바일 표현.
  • 7차원: 8차원 마요라나 표현.
  • 8차원: 두 개의 8차원 바일 표현 (8차원 벡터 표현과 함께 삼중성(triality영어)을 이룸).


스피너의 종류, 크기, 존재 여부는 부호수와 차원에 따라 결정된다. 부호수가 (p,q)n=p+q차원 시공간에서, k=\lfloor n/2\rfloor일 때,

  • 디랙 스피너: 2^k 복소 차원 (2^{k+1} 실수 차원). 모든 m=|(p-q)\;\bmod\;8|에 대해 존재.
  • 바일 스피너: 2^{k-1} 복소 차원 (2^k 실수 차원). m=0,2,4 (짝수 차원)에서만 존재.
  • 마요라나 스피너: 2^k 실수 차원. m=0,1,2에서만 존재.
  •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2^{k-1} 실수 차원. m=0에서만 존재.


예를 들어, (3,1) 차원 민코프스키 공간 (m=2)은 디랙, 바일, 마요라나 스피너는 존재하지만 마요라나-바일 스피너는 없다. (9,1) 차원 공간 (m=0)에서는 모든 종류의 스피너가 존재한다.

차원부호수왼손 바일오른손 바일켤레변형디랙왼손 마요라나-바일오른손 마요라나-바일마요라나
(복소 차원)(복소 차원)(복소 차원)(실수 차원)(실수 차원)(실수 차원)
1(1,0)---1--1
2(2,0)11m2--2
(1,1)s112
3(3,0)---2---
(2,1)---2
4(4,0)22s4---
(3,1)m--4
(2,2)s224
5(5,0)---4---
(4,1)----
(3,2)---4
6(6,0)44m8--8
(5,1)s---
(4,2)m--8
(3,3)s448
7(7,0)---8--8
(6,1)----
(5,2)----
(4,3)---8
8(8,0)88s168816
(7,1)m--16
9(9,0)---16--16
(8,1)---16
10(10,0)1616m32--32
(9,1)s161632
11(11,0)---32---
(10,1)-32--32



켤레변형이 m이면 왼손 바일 표현이 오른손으로 바뀌나, s이면 왼손 표현은 왼손, 오른손 표현은 오른손으로 변환한다. (1,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왼쪽 바일 스피너는 오른쪽 바일 스피너의 복소수 켤레이나, 4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오른쪽 바일 스피너의 복소수 켤레는 오른쪽 바일 스피너와 동형이며, 왼쪽 스피너의 복소수 켤레는 왼쪽 바일 스피너와 동형이다. m일 경우, 왼쪽·오른쪽 바일 스피너로 마요라나 스피너를 정의할 수 있다. s일 경우, 마요라나 스피너가 존재하려면 마요라나-바일 스피너 역시 존재해야 한다.

5. 민코프스키 공간의 스피너

클리퍼드 대수 또는 표현론의 관점에서 0차원 시공간에서 기하학적 객체로서 스피너를 정의할 수 있다. 디랙 스피너와 같은 물리학의 스피너를 얻기 위해서는 4차원 시공간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스핀 구조를 얻도록 구성을 확장해야 한다. 시공간의 접선 다발에서 시작하여 각 점은 SO(3,1) 대칭을 가진 4차원 벡터 공간이고, 각 점에서 스핀 군을 구성한다. 점의 근방은 매끄러움과 미분 가능성의 개념을 부여받는다. 표준 구성은 섬유 다발의 하나이며, 섬유는 스핀 군 아래에서 변환되는 아핀 공간이다. 섬유 다발을 구성한 후, 디랙 방정식 또는 섬유 다발에 대한 바일 방정식과 같은 미분 방정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정식(디랙 또는 바일)은 위에서 설명한 (0차원) 클리퍼드 대수/스핀 표현론에서 얻은 스피너의 대칭, 즉 섬유의 특성을 갖는 대칭을 가진 평면파 해를 갖는다. 이러한 평면파 해(또는 다른 해)는 미분 방정식의 페르미온이라고 부를 수 있다. 페르미온은 스피너의 대수적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인 관례에 따라, 물리학에서는 "페르미온"과 "스피너"라는 용어가 서로 동의어로서 종종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자연에 존재하는 스핀-1/2를 갖는 모든 기본 입자중성미자를 제외하고는 디랙 방정식으로 묘사되는 것으로 보인다. 스피너에 대한 완벽하게 유효한 선택은 Cℓ2,2|Cℓ2,2영어(실수)의 비 복소화된 버전인 마요라나 스피너가 될 것이다.[6] 또한 바일 스피너가 기본 입자로서 자연에 나타나는 것에 대한 특별한 금지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디랙, 바일, 마요라나 스피너는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그 관계는 실제 기하 대수를 바탕으로 설명될 수 있다.[7]

응집 물질 물리학의 상황은 다르다. 다양한 물리적 물질에서 2차원 및 3차원 "시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반도체에서 훨씬 더 이국적인 물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015년, 프린스턴 대학교 과학자들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바일 페르미온처럼 행동하는 준입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9]

5. 1. 바일 스피너

헤르만 바일의 이름을 따 붙여진 바일 스피너는 로런츠 대수의 1/2 표현으로 만들어지는 표현이다. 바일 스피너는 왼손과 오른손 두 종류가 있으며, 바일 스피너로 나타내어지는 입자는 손지기 페르미온이라 불린다. 표준 모형중성미자가 이에 해당하지만, 실제 중성미자는 질량을 가지기 때문에 바일 스피너가 아니다. 바일 스피너는 손지기 대칭을 깬다.

5. 2. 디랙 스피너

왼손과 오른손 바일 스피너를 합치면 손지기가 없는 디랙 스피너(폴 디랙)를 얻는다. 디랙 스피너는 질량을 가질 수 있으며, 디랙 스피너로 나타내어지는 디랙 입자는 그 반입자와 다르다. 표준 모형의 쿼크전자, 뮤온, 타우온 등이 이에 해당한다.[6] 디랙 및 바일 스피너는 복소수 표현이고, 마요라나 스피너는 실수 표현이다.[7]

바일 스피너는 전자와 같은 질량이 있는 입자를 묘사하기에는 부족하다. 왜냐하면 바일 평면파 해는 필연적으로 빛의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질량이 있는 입자의 경우, 디랙 방정식이 필요하다.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의 초기 구성은 전자와 중성미자를 질량이 없는 바일 스피너로 시작한다. 힉스 메커니즘은 전자에 질량을 부여한다. 고전적인 중성미자는 질량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었고, 따라서 바일 스피너의 한 예이다.[8]

5. 3. 마요라나 스피너

에토레 마요라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마요라나 스피너는 디랙 스피너 중 왼손과 오른손 부분이 서로 에르미트적으로 관련된 것을 말한다. 마요라나 입자는 질량을 가질 수 있으며, 스스로의 반입자이다. 디랙 및 바일 스피너는 복소수 표현이고, 마요라나 스피너는 실수 표현이다.[7]

5. 4. 바일 스피너의 표기

입자물리학에서는 판데르바르던 표기법을 사용한다.[43] 그리스 소문자와 점을 찍은 그리스 소문자(\dot\alpha,\dot\beta,\dots) 첨자는 바일 스피너의 두 성분을 나타낸다. 스피너 지표는 레비치비타 기호로 올리거나 내린다. 아인슈타인 표기법이 적용된다.

6. 스피너장

클리퍼드 대수 또는 표현론의 관점에서 주어진 구성은 스피너를 0차원 시공간에서 기하학적 대상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디랙 스피너와 같은 물리학의 스피너를 얻기 위해서는 4차원 시공간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스핀 구조를 얻도록 구성을 확장해야 한다. 효과적으로, 시공간의 접다발에서 시작하며, 각 점은 SO(3,1) 대칭을 가진 4차원 벡터 공간이고, 각 점에서 스핀 군을 구성한다. 점의 근방은 매끄러움과 미분 가능성의 개념을 부여받는다. 표준 구성은 올다발의 하나이며, 올은 스핀 군 아래에서 변환되는 아핀 공간이다. 올다발을 구성한 후, 디랙 방정식 또는 올다발에 대한 바일 방정식과 같은 미분 방정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정식(디랙 또는 바일)은 위에서 설명한 (0차원) 클리퍼드 대수/스핀 표현론에서 얻은 스피너의 대칭, 즉 올의 특성을 갖는 대칭을 가진 평면파 해를 갖는다. 이러한 평면파 해(또는 다른 해)는 미분 방정식의 페르미온이라고 부를 수 있다. 페르미온은 스피너의 대수적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인 관례에 따라, 물리학에서는 "페르미온"과 "스피너"라는 용어가 서로 동의어로서 종종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자연에 존재하는 스핀-1/2를 갖는 모든 기본 입자중성미자를 제외하고는 디랙 방정식으로 묘사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이유에 대한 어떠한 ''사전적'' 이유도 없어 보인다. 스피너에 대한 완벽하게 유효한 선택은 Cℓ|2,2영어(\Reals)의 비 복소화된 버전인 마요라나 스피너가 될 것이다.[6] 또한 바일 스피너가 기본 입자로서 자연에 나타나는 것에 대한 특별한 금지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디랙, 바일, 마요라나 스피너는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그 관계는 실제 기하 대수를 바탕으로 설명될 수 있다.[7] 디랙 및 바일 스피너는 복소수 표현이고, 마요라나 스피너는 실수 표현이다.

바일 스피너는 전자와 같은 질량이 있는 입자를 묘사하기에는 부족하다. 왜냐하면 바일 평면파 해는 필연적으로 빛의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질량이 있는 입자의 경우, 디랙 방정식이 필요하다.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의 초기 구성은 전자와 중성미자를 질량이 없는 바일 스피너로 시작한다. 힉스 메커니즘은 전자에 질량을 부여한다. 고전적인 중성미자는 질량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었고, 따라서 바일 스피너의 예였다. 그러나 관찰된 중성미자 진동 때문에, 현재는 이들이 바일 스피너가 아니라 마요라나 스피너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8] 바일 스피너 기본 입자가 자연에 존재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응집 물질 물리학의 상황은 다르다. 다양한 물리적 물질에서 2차원 및 3차원 "시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반도체에서 훨씬 더 이국적인 물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015년, 프린스턴 대학교 과학자들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바일 페르미온처럼 행동하는 준입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9]

7. 현상론

중성미자는 과거에 바일 입자(손지기 페르미온)로 생각되었으나, 중성미자 진동의 발견으로 인해 이 이론은 반증되었다. 아직까지 중성미자가 디랙 입자인지, 마요라나 입자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8. 명시적 구성

스피너의 공간은 클리퍼드 대수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객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복소 클리포드 대수의 스피너 표현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동일한 결과를 낳는다. 3차원에서 스피너를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은 3차원의 스피너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8. 1. 성분 스피너

클리포드 대수는 감마 행렬을 사용하여 명시적인 행렬 표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먼저, 벡터 공간 ''V''와 이차 형식 ''g''가 주어지면, ''V''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 e^1 \dots e^n을 선택한다. 즉, \eta^{\mu\nu}이며, 여기서 \eta^{\mu\mu} = \pm 1이고, \mu \ne \nu일 때 \eta^{\mu\nu} = 0이다.

k = \lfloor n/2 \rfloor로 설정하고, \gamma^\mu \gamma^\nu + \gamma^\nu \gamma^\mu = 2\eta^{\mu\nu}1을 만족하는 2^k \times 2^k 행렬 집합 \gamma^1 \dots \gamma^n (즉, 감마 행렬에 대한 규칙)을 고정한다. 그러면 할당 e^\mu \rightarrow \gamma^\mu는 클리포드 대수의 단항식 e^{\mu_1} \dots e^{\mu_k}를 행렬 곱 \gamma^{\mu_1} \dots \gamma^{\mu_k}로 보내고, 선형적으로 확장하여 대수 준동형사상 Cl(V, g) \rightarrow \text{Mat}(2^k, \Complex)로 유일하게 확장된다.

이렇게 구성된 감마 행렬이 작용하는 공간 \Delta = \Complex^{2^k}가 바로 스피너 공간이다.[38] 3차원의 경우, 감마 행렬을 파울리 시그마 행렬로 정의하면 양자역학에서 사용되는 두 성분 스피너가 만들어진다. 4차원의 경우, 디랙 감마 행렬을 사용하면 양자장론에서 사용되는 네 성분 디랙 스피너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는 바일-브라우어 행렬을 사용하여 감마 행렬을 정의할 수 있다.

8. 2. 추상 스피너

스피너를 추상적으로 정의하는 방법에는 최소 이상을 사용하는 방법과 외대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최소 이상을 이용한 정의:
  • 클리퍼드 대수의 왼쪽 작용에 대한 최소 이상을 찾는다.
  • 최소 이상은 C\ell(V, g)\omega 형태로 표현되며, 여기서 \omega는 클리퍼드 대수의 멱영원 또는 멱등원이다.
  • 이 방식을 통해 스피너 표현은 클리퍼드 대수 자체의 특정 부분 공간으로 정의된다.

  • 외대수를 이용한 정의:
  • 벡터 공간 V의 등방성 부분 공간 W를 이용한다.
  • W의 외대수 \Lambda^* W를 구성한다.
  • 클리퍼드 대수의 작용을 외대수에 정의하여 스피너 공간을 구성한다.


두 방법 모두 등방성 부분 공간 W를 선택해야 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스핀 공간의 기저를 정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이 없음을 의미한다.
등방성 부분 공간을 이용한 벡터 공간 구성 및 클리퍼드 대수 작용 정의:1. 등방성 부분 공간:

  • (V, g)를 비퇴화 쌍선형 형식을 갖춘 n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이라 하자.
  • V가 실수 벡터 공간이면, 복소화 V \otimes_\Reals \Complex를 사용하고, g를 유도된 쌍선형 형식으로 둔다.
  • 최대 등방성 부분 공간 W를 선택한다. (g|_W = 0V의 최대 부분 공간)


2. 짝수 차원과 홀수 차원의 경우:

  • n = 2k (짝수)이면, W'W에 상보적인 등방성 부분 공간으로 둔다.
  • n = 2k + 1 (홀수)이면, W \cap W' = 0인 최대 등방성 부분 공간을 W'로 두고, UW \oplus W'의 직교 여원으로 둔다.
  • 두 경우 모두 WW'는 차원 k를 갖는다. 홀수 차원의 경우 U는 1차원이며, 단위 벡터 u에 의해 생성된다.


3. 클리퍼드 대수의 작용:

  • W'가 등방성이므로, C\ell(V, g) 내에서 W'의 원소 곱셈은 왜곡된다.
  • C\ell(W', g|_{W'}) = C\ell(W', 0)는 외대수 \Lambda^* W'와 같다.
  • W'''k''의 생성자 \omega를 정의한다. (예: \omega = w'_1 w'_2 \cdots w'_k)
  • \omega멱영원(\omega^2 = 0)이며, 모든 w' \in W'에 대해 w'\omega = 0이다.


4. 최소 좌 아이디얼:

  • n = 2k이면, 좌 아이디얼 \Delta = C\ell(V, g)\omega는 최소 좌 아이디얼이며, 짝수 클리퍼드 대수의 작용으로 두 스핀 공간 \Delta_+ = C\ell^{\text{even}}\omega\Delta_- = C\ell^{\text{odd}}\omega로 나뉜다.
  • n = 2k + 1이면, 단위 벡터 u의 작용은 좌 아이디얼 C\ell(V, g)\omega를 두 개의 동형인 기약 고유 공간 \Delta로 분해한다.


5. 외대수를 이용한 스피너 표현:

  • 스피너 표현은 외대수 \Lambda^* W를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 \Delta = \Lambda^* WW의 외대수로 두고, 클리퍼드 작용 c를 정의한다.
  • 짝수 차원: c(v)w_1 \wedge \cdots \wedge w_n = (\epsilon(w) + i(w'))(w_1 \wedge \cdots \wedge w_n)
  • 홀수 차원: W \oplus W'에서 c는 이전과 같이 정의하고, u에 대해서는 c(u)\alpha = \begin{cases} \alpha & \hbox{if } \alpha \in \Lambda^\text{even}W \\ -\alpha & \hbox{if } \alpha \in \Lambda^\text{odd}W \end{cases}로 정의한다.


6. 스핀 표현의 분해:

  • 짝수 차원에서 스핀 표현 \Delta는 반 스핀 표현(바일 스피너) \Delta_+ = \Lambda^{\text{even}}W, \Delta_- = \Lambda^{\text{odd}}W로 분해된다.

9. 클레브쉬-고르단 분해

하나의 스핀 표현과 다른 스핀 표현의 텐서 곱에 대해 여러 개의 클레브쉬-고르단 분해가 가능하다.[28] 이러한 분해는 직교군의 교대 표현 측면에서 텐서 곱을 표현한다.

실수 또는 복소수의 경우, 교대 표현은 다음과 같다.


  • , 랭크 ''r''의 반대칭 텐서에 대한 직교군의 표현.


또한, 실수 직교군의 경우 세 개의 문자 (1차원 표현)가 있다.

  • ''σ''+: O(''p'', ''q'') → {−1, +1}은 로 주어지며, ''R''이 ''V''의 공간적 방향을 반전시키면 -1, ''R''이 ''V''의 공간적 방향을 보존하면 +1이다. (''공간적 문자''.)
  • ''σ'': O(''p'', ''q'') → {−1, +1}은 로 주어지며, ''R''이 ''V''의 시간적 방향을 반전시키면 -1, ''R''이 ''V''의 시간적 방향을 보존하면 +1이다. (''시간적 문자''.)
  • ''σ'' = ''σ''+''σ''. (''방향 문자''.)


클레브쉬-고르단 분해는 무엇보다도 다음을 정의할 수 있게 한다.

  • 스피너의 벡터에 대한 작용.
  • 실수 스핀 군의 복소수 표현에 대한 에르미트 계량.
  • 각 스핀 표현에 대한 디랙 연산자.


만약 가 짝수라면, Δ와 공액 표현의 텐서 곱은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Delta\otimes\Delta^* \cong \bigoplus_{p=0}^n \Gamma_p \cong \bigoplus_{p=0}^{k-1} \left(\Gamma_p\oplus\sigma\Gamma_p\right) \oplus \Gamma_k

이것은 (명시적 구성에서) 분해 가능한 요소 에 대한 클리퍼드 대수의 작용을 고려하여 명시적으로 볼 수 있다. 가장 오른쪽 공식은 호지 별 연산자의 변환 속성에서 파생된다. 짝수 클리퍼드 대수로 제한하면 쌍으로 묶인 합산 항목 가 동형이지만 전체 클리퍼드 대수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클리퍼드 대수에서의 켤레를 통해 Δ를 공액 표현으로 자연스럽게 식별할 수 있다.

(\alpha\omega)^* = \omega\left(\alpha^*\right).

따라서 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분해된다. 또한 짝수 클리퍼드 대수에서 반 스핀 표현은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begin{align}

\Delta_+\otimes\Delta^*_+ \cong \Delta_-\otimes\Delta^*_- &\cong \bigoplus_{p=0}^k \Gamma_{2p}\\

\Delta_+\otimes\Delta^*_- \cong \Delta_-\otimes\Delta^*_+ &\cong \bigoplus_{p=0}^{k-1} \Gamma_{2p+1}

\end{align}

실수 클리퍼드 대수의 복소수 표현의 경우, 복소수 클리퍼드 대수의 관련 실수 구조는 스피너 공간으로 내려온다(예를 들어 최소 아이디얼을 사용한 명시적 구성을 통해). 이러한 방식으로 표현 Δ의 복소 켤레 을 얻으며, 다음 동형이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bar{\Delta} \cong \sigma_-\Delta^*

특히, 정시 스핀군의 표현 Δ는 유니타리 표현임을 주목하라. 일반적으로 클레브슈-고르단 분해가 있다.

\Delta \otimes\bar{\Delta} \cong \bigoplus_{p=0}^k\left(\sigma_-\Gamma_p \oplus \sigma_+\Gamma_p\right).

계량 부호 에서 켤레 반 스핀 표현에 대해 다음 동형이 성립한다.

  • ''q''가 짝수이면, \bar{\Delta}_+ \cong \sigma_- \otimes \Delta_+^*\bar{\Delta}_- \cong \sigma_- \otimes \Delta_-^*.
  • ''q''가 홀수이면, \bar{\Delta}_+ \cong \sigma_- \otimes \Delta_-^*\bar{\Delta}_- \cong \sigma_- \otimes \Delta_+^*.


이러한 동형을 사용하여 반 스핀 표현 의 텐서 곱에 대한 유사한 분해를 유추할 수 있다.

만약 이 홀수라면,

\Delta\otimes\Delta^* \cong \bigoplus_{p=0}^k \Gamma_{2p}.

실수 공간의 경우, 다시 한번 동형 관계가 성립한다.

\bar{\Delta} \cong \sigma_-\Delta^*.

따라서 클레브쉬-고르단 분해(다시 한번 호지 별 연산자를 사용하여 쌍대화)는 다음과 같다.

\Delta \otimes \bar{\Delta} \cong \sigma_-\Gamma_0\oplus\sigma_+\Gamma_1\oplus\dots\oplus\sigma_\pm\Gamma_k

참조

[1] 논문
[2] 인용
[3] 간행물 Geometry of Spin: Clifford Algebraic Approach https://www.ias.ac.i[...] 2016-12
[4] 간행물 The Spin Model of Euclidean 3-Space
[5] 문서 William Kingdon Clifford
[6] 문서 Ettore Majorana
[7] 간행물 The construction of spinors in geometric algebra
[8] 간행물 Majorana returns Macmillan Publishers
[9] 간행물 Discovery of a Weyl Fermion semimetal and topological Fermi arc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0] 서적 Spinors in Physics Springer
[11] 서적 The Strangest Man: The hidden life of Paul Dirac, quantum genius Faber & Faber
[12] 논문
[13] 서적
[14] 논문
[15] 논문
[16] 간행물 Opérateurs de Dirac et équations de Maxwell
[17] 간행물 Lösung der Diracschen Gleichungen ohne Spezialisierung der Diracschen Operatoren
[18] 서적 Crumeyrolle's bivectors and spinors https://books.google[...]
[19] 서적 Clifford algebras and spino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Clifford algebras and spino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Space–Time Algebra Gordon and Breach
[22] 간행물 Real spinor fields https://davidhestene[...]
[23] 논문
[24] 서적
[25] 서적 Riemannian Geometry and Geometric Analysis Springer-Verlag Univeritext
[26] 문서
[27] 서적
[28] 논문
[29] 웹사이트 学術用語集 物理学編 http://sciterm.nii.a[...] 文部科学省 2010-06-09
[30] 문서
[31] 문서
[32] 논문 Les groupes prejectifs qui ne laissent invariante aucune multiplicite plane http://archive.numda[...]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서적
[37] 서적 スピン幾何学:スピノール場の数学 森北出版 2016-11-14
[38] 문서 W. K. Clifford
[39] 문서 양자화나, 등방적인 소공간의 たぐい
[40] 저널 Les groupes projectifs qui ne laissent invariante aucune multiplicité plane http://dx.doi.org/10[...] 1913
[41] 저널 Geometry of Spin: Clifford Algebraic Approach https://www.ias.ac.i[...] 2016-12
[42] 문서
[43] 저널 Two-component spinor techniques and Feynman rules for quantum field theory and supersymmet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