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잔 (이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잔은 이란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잔잔 주의 주도이다. 사산 제국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이란의 아랍 침공 이후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14세기에는 "순수한 팔라비어"가 사용되었으며, 1851년 바비교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현재는 이란 아제르바이잔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아제르바이잔어와 페르시아어를 사용한다. 주요 명소로는 바자르, 잔잔 자메 모스크 등이 있으며, 수공예품과 씨 없는 포도 생산으로도 유명하다. 잔잔 대학교, 잔잔 의과대학교 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스포츠 시설도 갖추고 있다. 터키의 트라브존, 말레이시아의 말라카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잔잔주 (이란)의 도시 - 솔터니예
솔타니예는 14세기 초 올제이투가 건설한 일 칸국의 수도였으며 시가지와 성채, 올제이투 영묘 등의 건축물이 있었으나 쇠퇴하여 잊혀졌고, 198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이란의 주도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이란의 주도 - 이스파한
이스파한은 이란 중부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시로, 사파비 왕조 시대에 수도로 지정되어 번성했으며, 현재는 이란의 주요 산업, 문화,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이란의 도시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이란의 도시 - 이스파한
이스파한은 이란 중부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시로, 사파비 왕조 시대에 수도로 지정되어 번성했으며, 현재는 이란의 주요 산업, 문화,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잔잔 (이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잔잔 |
로마자 표기 | Zanjan |
언어별 명칭 | 아제르바이잔어: Zəncan, 튀르키예어: Zencan |
위치 | 이란 3구역 |
주 | 잔잔주 |
군 | 잔잔군 |
행정 구역 | 중앙구 |
시장 | 알리레자 피루즈파르 |
국회의원 | 와크프치, 아마디 |
해발 고도 | 1638m |
인구 정보 기준 시점 | 2024년 |
총 인구 | 69825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순위 | 이란 내 20위 |
시간대 | IRST |
UTC 오프셋 | +3:30 |
웹사이트 | www.Zanjan.ir |
기타 정보 |
2. 역사
wikitext
14세기 이란 지리학자 함달라 무스토피(1339/40년 이후 사망)의 《누즈하트 알-쿨루브》에 따르면, 잔잔은 초대 사산 제국 통치자 아르다시르 1세(224-242)가 건국했으며, 그가 도시 이름을 "샤힌"으로 명명했다고 한다. 이란의 아랍 침공 동안 잔잔은 645년 알-바라 이븐 아지브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중세 지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잔잔이 자발(Jibal)/페르시아 이라크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인접한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경계에 있었다고 보며, 일부 지리학자들은 잔잔을 데이람 또는 레이의 일부로 포함시키기도 한다.
833년 이후, 아바스 칼리파조는 잔잔에서 아르다빌까지 요새 사슬을 건설하여 호라미 지도자 바바크 호람딘(838년 사망)의 817–837년 반란에 대항했다. 10세기에는 잔잔이 무사피리드(919–1062)와 같은 지역 데일람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13세기 아랍 지리학자 야쿠트 알-하마위(1229년 사망)에 따르면, 페르시아인들은 이 도시를 "잔간"이라고 불렀다. 일 칸국 시대(1256–1335) 동안, 함달라 무스토피는 주민들이 "순수한 팔라비어" (팔라비에 라스트/pahlavī-e rāstfa)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메디아어 또는 페르시아어의 북부 형태였다.
이 도시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 중 하나는 1851년, 네이리즈, 셰이크 타바르시로 알려진 요새와 함께 억압된 바비 종교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을 때였다. 중앙 정부군은 대 재상(이란 총리) 아미르 카비르의 명령에 따라 잔잔의 바비 요새를 오랜 포위 끝에 점령하고 바비의 추종자들을 살해하거나 추방했다.[7]
잔잔은 동명의 잔잔 주의 주도가 되기 전에 길란 주의 군이었다.
2. 1. 고대 및 중세
14세기 이란 지리학자 함달라 무스토피(1339/40년 이후 사망)의 《누즈하트 알-쿨루브》에 따르면, 잔잔은 초대 사산 제국 통치자 아르다시르 1세(224-242)가 건국했으며, 그가 도시 이름을 "샤힌"으로 명명했다고 한다. 이란의 아랍 침공 동안 잔잔은 645년 알-바라 이븐 아지브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중세 지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잔잔이 자발(Jibal)/페르시아 이라크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인접한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경계에 있었다고 보며, 일부 지리학자들은 잔잔을 데이람 또는 레이의 일부로 포함시키기도 한다.
833년 이후, 아바스 칼리파조는 잔잔에서 아르다빌까지 요새 사슬을 건설하여 호라미 지도자 바바크 호람딘(838년 사망)의 817–837년 반란에 대항했다. 10세기에는 잔잔이 무사피리드(919–1062)와 같은 지역 데일람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 13세기 아랍 지리학자 야쿠트 알-하마위(1229년 사망)에 따르면, 페르시아인들은 이 도시를 "잔간"이라고 불렀다. 일 칸국 시대(1256–1335) 동안, 함달라 무스토피는 주민들이 "순수한 팔라비어" (''pahlavī-e rāst'')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메디아어 또는 페르시아어의 북부 형태였다.
2. 2. 근대
14세기 이란 지리학자 함달라 무스토피 (1339/40년 이후 사망)의 《누즈하트 알-쿨루브》에 따르면, 잔잔은 초대 사산 제국 통치자 아르다시르 1세(224-242 재위)가 건국했으며, 그가 도시 이름을 "샤힌"으로 명명했다고 한다.[7] 이란의 아랍 침공 동안 잔잔은 645년 알-바라 이븐 아지브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7] 중세 지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잔잔이 자발(Jibal)/페르시아 이라크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인접한 아제르바이잔 지역의 경계에 있었다고 본다.[7] 일부 지리학자들은 잔잔을 데이람 또는 레이의 일부로 포함시키기도 한다.[7]
833년 이후, 아바스 칼리파조는 잔잔에서 아르다빌까지 요새 사슬을 건설하여 호라미 지도자 바바크 호람딘(838년 사망)의 817–837년 반란에 대항했다.[7] 10세기에는 잔잔이 무사피리드(919–1062)와 같은 지역 데일람 왕조의 통치를 받았다.[7] 13세기 아랍 지리학자 야쿠트 알-하마위(1229년 사망)에 따르면, 페르시아인들은 이 도시를 "잔간"이라고 불렀다.[7] 일 칸국 시대(1256–1335) 동안, 함달라 무스토피는 주민들이 "순수한 팔라비어"(''pahlavī-e rāst'')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메디아어 또는 페르시아어의 북부 형태였다.[7]
1851년, 잔잔은 네이리즈, 셰이크 타바르시로 알려진 요새와 함께 억압된 바비 종교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7] 중앙 정부군은 대 재상(이란 총리) 아미르 카비르의 명령에 따라 잔잔의 바비 요새를 오랜 포위 끝에 점령하고 바비의 추종자들을 살해하거나 추방했다.[7]
잔잔은 동명의 잔잔 주의 주도가 되기 전에 길란 주의 군이었다.[7]
3. 지리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최고 기온 기록 °C (°F) | 17.0 | 22.0 | 25.0 | 27.0 | 32.0 | 38.0 | 40.0 | 39.4 | 35.0 | 30.0 | 23.0 | 18.0 | |
평균 최고 기온 °C (°F) | 2.1 | 4.3 | 10.3 | 17.0 | 22.8 | 28.8 | 32.2 | 31.6 | 28.1 | 20.4 | 12.7 | 5.5 | |
평균 최저 기온 °C (°F) | -8.1 | -6.4 | -1.2 | 3.7 | 7.6 | 11.2 | 14.9 | 14.2 | 9.9 | 5.5 | 0.7 | -4.4 | |
강수량 mm (inches) | 33.5 | 30.0 | 45.7 | 56.5 | 46.2 | 7.3 | 4.6 | 3.4 | 4.2 | 26.0 | 28.8 | 29.2 | |
평균 강수일수 | 10.7 | 9.4 | 12.5 | 12.3 | 11.1 | 3.3 | 2.1 | 2.3 | 1.7 | 6.5 | 7.3 | 9.6 | |
평균 일조시간 | 150.1 | 139.3 | 172.5 | 213.3 | 267.2 | 328.9 | 334.5 | 317.3 | 295.8 | 229.3 | 164.7 | 137.0 | |
평균 상대 습도 (%) | 72 | 69 | 61 | 54 | 49 | 40 | 38 | 39 | 38 | 49 | 59 | 68 |
[24]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강우 농업이 잔잔의 토지 피복의 약 42%를 차지하고, 초원이 37%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황무지, 관개 농업, 숲, 과수원, 강둑이다. 토지의 1.07%만이 도시 계획에 이용된다.[12]
3. 1. 기후
잔잔은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덥고 건조한 여름과 춥고 습한 겨울을 보이는 냉대 반건조 기후(BSk)이다. 종종 눈이 내리기도 한다.[13] 강수량은 매우 적으며, 대부분 10월에서 5월 사이에 내린다.[13]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월 평균 기온은 최저 -8.1°C(1월)에서 최고 32.2°C(7월) 사이이며, 연 평균 기온은 11.73°C이다.[24] 연 평균 강수량은 285.4mm이며, 강수 일수는 1월 10.7일에서 9월 1.7일까지 다양하다.[24] 월 평균 일조 시간은 1월 150.1시간에서 7월 334.5시간까지 변화한다.[24]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를 보면, 월 평균 기온은 최저 -5.2°C(1월)에서 최고 32.9°C(8월) 사이이며, 연 평균 기온은 조금 더 높게 나타난다.[14] 연 평균 강수량은 265.7mm이며, 1.0mm 이상의 강수 일수는 1월 5.0일에서 9월 0.7일까지 다양하다.[14] 월 평균 일조 시간은 1월 147시간에서 7월 350시간까지 변화한다.[14]
역대 최저 기온은 1955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록 중 -30.0°C(1월)이며, 최고 기온은 43.0°C(8월)이다. 2020년 2월 13일에는 기온이 -21.0°C(-5.8°F)까지 기록되었다.[13]
4. 인구
2006년 전국 인구 조사 당시 잔잔의 인구는 89,829가구에 341,801명이었다.[9]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110,943가구에 386,851명이었다.[10] 2016년 인구 조사에서는 132,469가구에 430,871명으로, 이란에서 20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11]
잔잔은 테헤란에서 북서쪽으로 298km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타브리즈와 터키로 가는 주요 고속도로에 위치해 있다. 또한 카스피해에서 약 125km 떨어져 있으며, 가플란쿠 산맥에서 남쪽으로 약 20km 떨어져 있다.
4. 1. 언어와 민족
잔잔의 인구는 대부분 이란 아제리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제르바이잔어와 페르시아어를 이중 언어로 사용한다.[8] 잔잔 주 인구의 약 절반이 잔잔 시에 거주한다.[8] 2017년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시내의 아제르바이잔어 사용 가정이 페르시아어로의 언어 전환을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8]5. 문화
5. 1. 주요 명소

잔잔의 바자르는 1784년(서기) 아흐마드 칸 카자르 시대에 시작되어 파트알리 샤 카자르 시대인 1792년(서기)에 완공된 공공 시장이다.[15] 이후 모스크와 목욕탕이 추가되었다. 바자르는 940개의 상점을 가지고 있으며, 바자르-에 발라(상부 바자르)와 바자르-에 파이엔(하부 바자르)으로 나뉜다.[15] 상인들은 직업과 상품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15]
잔잔의 중앙 모스크는 잔잔 자메 모스크이며, 세예드 모스크(Masjid-e-Seyyed)라고도 불린다. 이 모스크는 1826년 카자르 시대에 파트-알리 샤의 아들 중 한 명이 건설했다.[16] 이 모스크는 도시의 구 시가지에 건설되었으며 잔잔의 종교적 중심지이다.
이맘 거리에는 1993년 체흐라바드 소금 광산에서 발견된, '소금 인간' 또는 '나마키'라고 불리는 여섯 구의 자연적으로 보존된 인체의 유해가 보관되어 있다. 이 유해들은 원래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의 것이다.
토피기의 건물은 카자르 시대와 팔라비 시대의 마지막 부분과 관련이 있다. 이 건물은 이맘 거리에 지어졌으며, 도시의 시장을 지낸 잔잔의 가장 위대한 인물의 집이었다. 2층 건물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매치사(Match company) (별 3개 매치사)는 팔라비 시대와 관련이 있으며 사파 거리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도시에서 두 번째로 큰 회사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마흐무드 샬치에 의해 건설되었다. 벽돌 굴뚝을 가지고 있다.
과거의 수도원은 잔잔의 가장 중심적이고 오래된 지역인 엔겔라브 광장 지역에 200년 전에 건설되었다. 처음에는 대상 숙소로 사용되었으며, 약 80년 동안 잔잔의 학자 중 한 명인 셰이크 잘랄 아샤비의 집으로 사용되었다. 1997년 셰이크가 사망한 후 20년 동안 사람이 살지 않았으나, 2017년에 개조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통 호텔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대상(돌 대상)은 사파비 시대에 지어진 고대 도로변 여관으로, 1990년대에 식당으로 개조되었다.[17][18] 단층 석조 건물로, 네 개의 이완(현관)과 아치형 천장을 갖추고 있다.
락흐트슈이 카네 건축물은 역사적인 세탁소이자 이란의 국가 유산으로, 현재 잔잔 인류학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9]
5. 2. 수공예품
잔잔은 칼, 찰리게 및 마릴레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샌들 등 아름다운 수공예품으로 알려져 있다. 마릴레는 은실로 엮어서 제작된다. 잔잔의 장인은 은세공 외에도 다양한 장식적인 식기 등도 취급한다.가장 유명한 수공예품으로는 칼, 차루크(여성용 신발의 일종으로, 통나무 덧신과 유사함), 금속 세공과 도금 등이 있다. 도금은 책과 서예를 장식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다른 수공예품으로는 구리 세공, 카펫 및 양탄자 짜기(킬림과 자짐 스타일 포함) 등이 있다.
고대에는 잔잔은 녹슬지 않고 날카로운 칼로 유명했다. 그러나 이 전통 산업은 저렴하고 대량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칼에 의해 점차 소멸되고 있다. 교외에서는 전통적인 융단을 짠다. 이것이 아마 현재 가장 각광받는 잔잔의 수공업이다.
6. 교육
잔잔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대학교가 있다.
- 잔잔 대학교
- 잔잔 의과대학교
- 잔잔 이슬람 아자드 대학교
- 기초과학 고등연구원(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in Basic Sciences, IASBS)
7. 스포츠
잔잔은 엥겔라브 스포츠 단지에 위치한 중동 최고의 실내 스포츠 클라이밍 벽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21] 이 시설에는 표준 속도 클라이밍 벽도 포함되어 있다.[21] 이 도시의 축구팀은 샤르다리 잔잔 FC이며, 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21]
8. 산업
잔잔은 칼, 찰리게 및 마릴레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샌들 등 아름다운 수공예품으로 알려져 있다. 마릴레는 은실로 엮어서 제작된다. 잔잔의 장인은 은세공 외에도 다양한 장식적인 식기 등도 취급한다. 고대에는 잔잔은 녹슬지 않고 날카로운 칼로 유명했다. 그러나 이 전통 산업은 저렴하고 대량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칼에 의해 점차 소멸되고 있다. 교외에서는 전통적인 융단을 짠다. 이것이 아마 현재 가장 각광받는 잔잔의 수공업이다.
또한 잔잔은 씨 없는 포도의 산지로서도 유명하다.
납, 아연, 살균 우유, 화학 제품 생산, 직조, 면, 식품 생산, 변압기, 전기 제품 생산등의 산업이 발달했다.
9. 자매 도시
이란의 잔잔은 터키의 트라브존과 말레이시아의 말라카와 자매 도시이다.[23]
10. 저명한 인물
분류:이란 잔잔 출신 인물에는 잔잔 출신의 저명한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22]
- 세예드 미란 후세인 자잔지는 11세기 수피 신비주의자로, 라호르에 정착하여 이슬람을 설교했다.
- 샤하브 알딘 야흐야 이븐 하바쉬 수라와르디는 조로아스터교와 플라톤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 이슬람 철학의 중요한 학파인 일루미네이션주의의 이란 학파를 창시한 페르시아 철학자이다.
- 아사돌라 바야트-잔자니는 이란의 신학자, 이슬람 철학자, 작가이자 이슬람의 그랜드 마르자이다.
- 후자트는 19세기 페르시아의 바비 운동의 초기 지도자이다.
- 레자 미르카리미는 현대 영화 작가, 감독, 프로듀서이다.
- 무사 쇼바이리 잔자니는 이란의 시아 마르자이다.
- 유세프 소부티는 현대 이란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 메흐디 소라비는 이란의 프로 사이클 선수이다.
- 아미르 하타미는 이란 정규군(아르테시) 준장 계급의 장교이자 현 이란 국방부 장관이다.
- 아바스-알리 아미드 잔자니는 이란의 정치인이자 성직자이다.
- 사에이드 마흐디운은 이란 공군 조종사이다.
- 마지드 샤흐리아리는 이란 원자력 기구에서 일한 핵 과학자이자 엔지니어이다.
- 자밀레 셰이키는 이란 배우이다.
- 사이드 마틴푸르는 이란 활동가, 언론인이자 전 정치범이다.
- 미르자 아부탈레브 잔자니는 이란 법학자이자 시아 학자이다.
- 모하마드 에조딘 호세이니 잔자니는 이란 시아 마르자이다.
- 파라 오술리는 이란 화가이다.
- 잠시드 안사리는 이란 개혁파 정치인이다.
- 압둘카림 잔자니는 시아파 교사이다.
- 모하마드 예가네는 1973년부터 1975년까지 이란 중앙 은행 총재를 역임한 이란 경제학자이다.
- 세예드 모하마드 호세이니 잔자니는 이란 시아 마르자이다.
- 레자 잔자니는 시아 이란 성직자이다.
- 마수드 로가니 잔자니는 이란 학자, 경제학자, 학자이다.
- 파테메 라케에는 이란 정치인, 언어학자, 시인이다.
- 알리 샤쿠리-라드는 이란 의사이자 개혁파 정치인이다.
- 마흐사 자바르는 이란의 경쟁적인 조정 선수이다.
- 모흐센 모하마드세이피는 이란 우슈 선수이다.
- 압둘 카림 코이니 잔자니는 이란 학자이자 성직자이다.
- 알리 아크바르 사레미는 이란 건축가이다.
- 모하마드 키아바시는 이란 정치인이다.
- 메이삼 나시리는 이란 자유형 레슬링 선수이다.
- 에바돌라 S. 마흐무디안은 은퇴한 수학 교수이다.
- 호세인 몬자비는 저명한 이란 시인이다.
- 호세인 아베디니는 이란 배우이다.
- 아흐마드 하키미푸르는 이란 개혁파 정치인이다.
- 다우드 말레키는 이란 페더급 역도 선수이다.
- 세예드 에스마일 무사비 잔자니는 이란 정치인이다.
- 사돌라 나시리 게이다리는 대학교수이다.
- 나르게스 모하마디는 인권 운동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이다.
참조
[1]
지도
Zanjan, Zanjan County
https://www.openstre[...]
2024-09-09
[2]
문서
"{{GEOnet3|-3088976}}"
[3]
학술지
Güney Azərbaycan: tarix və müasirlik
https://www.academia[...]
[4]
웹사이트
ZENCAN
https://islamansiklo[...]
2024-03-20
[5]
보고서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Zanjan province, centered in Zanjan city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the Interior, Defense Political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Council
2023
[6]
웹사이트
ایسنا - شادترين استانهاي ايران كدامند؟
http://www.isna.ir/f[...]
[7]
서적
"A Traveller's Narrative Written to Illustrate the Episode of the Báb"
Published by Kalimat Press
2004
[8]
학술지
Family language policy in the City of Zanjan: a city for the forlorn Azerbaijani
2017
[9]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Zanjan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06
[10]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Zanjan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11
[11]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Zanjan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16
[12]
웹사이트
Zanjan Province - Land Cover Map
http://www.fao.org/3[...]
[13]
웹사이트
40729: Zanjan (Iran)
http://ogimet.com/cg[...]
OGIMET
2020-02-13
[14]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Zanjan
https://www.nodc.noa[...]
NOAA
2024-02-02
[15]
웹사이트
Zanjan Bazaar
http://www.iran-dail[...]
2015-05-04
[16]
웹사이트
Zanjan Jame' (Seyed) Mosque in Zanjan, Travel to IRAN
http://www.itto.org/[...]
[17]
웹사이트
Caravanserai Sangi Registered as National Monument
http://www.tehrantim[...]
1998-12-01
[18]
웹사이트
Canning Town Caravanserai
https://caravanserai[...]
[19]
웹사이트
Rakhtshooy Khaneh Historical Edifice in Iran's Zanjan
https://www.tasnimne[...]
2018-07-28
[20]
웹사이트
Handicrafts and Souvenirs of Zanjan in Zanjan, Travel to IRAN
http://www.itto.org/[...]
[21]
웹사이트
تیم فوتبال"شهرداری زنجان"پیدا شد
http://newspaper.ham[...]
2021-04-05
[22]
웹사이트
"Cənubi Azərbaycanın Mandelası"
https://www.bbc.com/[...]
BBC Azərbaycanca
2015-08-27
[23]
웹사이트
Zanjan sister Malacca, Malaysia
http://zanjanshora.i[...]
2013-09-29
[24]
웹인용
Zanjan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2-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