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니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니족은 중국, 베트남, 라오스 등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주로 중국 윈난성에 분포하며,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하니어(Hani language)를 사용한다. 하니족은 3세기 이전 칭하이-티베트 고원에서 이주해 온 강족의 후예로 알려져 있으며, 1950년대에 하위 집단이 분류되었다. 하니족은 계단식 논 농업과 독특한 문화, 다신교, 다성부 보컬, 전통 의상 등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계단식 논은 유네스코 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하니족의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민족 - 라오스인
라오스인은 라오스의 주민을 지칭하며, 라오스 정부는 라오룸, 라오틍, 라오쑹의 세 가지 주요 민족으로 분류하여 국민 통합을 추구한다. - 라오스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베트남의 민족 - 흐레족
흐레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거주하며 과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논농사를 주로 하며 물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치엥 바'라는 꽹과리 축제를 가진 소수민족이다. - 베트남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하니족 | |
---|---|
기본 정보 | |
민족 이름 | 하니족 (哈尼族), 하니, Người Hà Nhì |
![]() |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1,922,250명 |
중국 | 1,733,166명 (2020년) |
미얀마 | 200,000명 (2007년) |
라오스 | 60,000명 (2007년) |
태국 | 60,000명 (2007년) |
베트남 | 25,539명 (2019년)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하니어, 남부 로로어군 |
종교 | 애니미즘, 불교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아카족, 이족, 라후족, 카렌족 |
2. 분포
현재 하니족의 90% 이상이 중국 남부 윈난성에 거주하며, 아이라오산맥을 가로질러 메콩강과 홍강 사이에 위치해 있다.[1] 베트남의 라이쩌우 성과 라오까이 성에는 12,500명의 하니족이 거주하고 있다.[1] 호족은 중국과 베트남 국경 근처 라오스의 퐁살리 주 북부 산악 지역에 거주한다.[1]
윈난성 내 하니족 자치현은 다음과 같다.[1]
지급시 | 자치현 |
---|---|
푸얼시 | 모장 하니족 자치현,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
위시시 |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자치주 전체) |
3세기 이전에 하니족의 조상인 강족(羌族)이 칭하이-티베트 고원에서 남서쪽으로 이주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니족의 구전에 따르면 이족이 조상이며, 50세대 이전에 종족이 나뉘어 분리되었다고 한다.
대부분의 하니족은 시노티베트어족의 롤로버마어군에 속하는 하니어를 사용한다. 구전 전승에 따르면 고대 문자가 있었지만, 쓰촨성에서 이주하는 과정에서 유실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루춘 방언의 로마자 표기를 문자 체계로 사용한다.[1][2]
하니족은 다성부 보컬로 유명하며, 1990년대에는 8성부 다성부가 녹음되기도 했다.[2] 전통 악기로는 ''라비''(俄比)라고 불리는 끝이 막힌 피리와 ''라헤''라고 불리는 3현 발현 악기가 있다.[2]
3. 역사
하니족의 선조는 고대 '''화이'''라고 여겨진다. 화이는 화니, 화만이라고도 불리며, 고강인이 분화된 것으로, 4세기부터 8세기에 윈난성 서남부로 이동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남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원대에는 윈난행성 원장로군민총관부가 되었다.
명나라 시대, 하니족 수령은 토사로 임명되었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일부에서 개토귀류가 행해졌지만, 사타, 계처, 낙공, 좌능 등의 토지의 토관은 존속되어 토사가 여전히 이들 지역의 통치자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2년에는 현과 동급인 홍허 하니족 자치구가 만들어졌고, 1957년 11월에 멍쯔전구와의 합병으로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로 변경되었다.
1954년 5월에는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이, 1979년 11월에는 모장 하니족 자치현이, 1980년 11월에는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이 만들어졌다.
4. 언어
하니 어는 언어학적으로 윈난성 북부의 나시족, 리수족 및 이족과 가깝다. 3개의 방언으로 나뉘며, 발음과 어휘 차이가 커서 서로 다른 방언 간의 대화는 어렵다. 그러나 문법적인 차이는 작다. 원래 문자는 없었지만, 1957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지원으로 로마자를 기초로 한 민족 문자가 만들어졌다.[3]
5. 문화
하니족은 다신교를 믿으며 조상신을 특별히 숭배한다.[3] 그들은 다양한 신을 숭배하고 그들의 보호를 받기 위해 의례를 행하는 데 익숙하다. 하니족의 종교적 계층은 세 명의 주요 인물로 나뉜다. 주요 축제를 주관하는 ''주이마'', 엑소시즘과 마법 의례를 담당하는 ''베이마'', 예언을 하고 약초를 관리하는 ''니마''가 그들이다. 니마는 남녀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일부 하니족은 상좌부 불교를 수행하기도 한다.
하니족에게는 아버지의 이름 뒤를 따서 자녀 이름의 처음으로 삼는 부자연명제 전통이 남아 있다.
5. 1. 전통 의상 및 가옥
하니족의 전통 의상은 흑청색 천으로 만들어진다. 남자들은 짧은 윗옷에 길고 넓은 바지를 입으며, 흑백의 터번을 두른다. 여자들의 의상은 부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7세 이전의 아이들은 성별 구분 없이 옷을 입는다.[2]
하니족의 가옥은 보통 2~3층 높이로 대나무, 진흙, 돌, 나무로 지어진다.[2] 산 중턱에 살며, 산세에 따라 마을을 건설하고, 돌로 기초를 만들고 흙벽을 사용한다.
의복은 청색이 많고, 남자는 검은색 두건을 쓴다. 젊은 남녀는 자유 연애를 인정받지만, 결혼에는 부모의 승인이 필요하다. 결혼 후에는 엄격한 일부일처제가 행해진다.
5. 2. 농업
하니족은 광범위한 전통 지식과 문화 유지 노력을 통해 농업생태계와 산악 지형의 생물 다양성에 기여해왔다.[4] 하니족의 가장 잘 알려진 문화적 관행 중 하나는 계단식 논 경작이다. 이는 1300년 이상 지속된 전통적인 관행으로, 관광객과 연구자 모두를 유치하는 독특한 농업생태계를 만들어냈다.[5] 이 계단식 논은 유네스코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전통적인 농업 방식의 예시로 자주 인용된다.[5]
하니족은 약 1300년 전 경사면의 계단식 밭에서 벼농사를 시작했으며, 숲, 마을, 계단식 논, 강 시스템으로 구성된 지속 가능한 농업생태계를 형성하기 시작했다.[5] 현재 하니족의 벼 종자 은행은 산악 지역의 춥고 건조한 환경에 적응된 수많은 전통 벼 종자 품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4년,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은 "위안양 현에서만 196개의 전통 품종을 포함하여 5285개의 벼 품종"을 보고했다.[4] 이는 오리, 물고기 혼합 농법과 같은 혁신적인 농업 관행을 통해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농업생태계를 안정시킨 결과이다. 또한, 국화과 잡초 및 크로프톤 잡초와 같은 녹비의 사용은 토양 건강을 증진시키고 해충과 싸우는 데 기여했다.[4] 하니족의 물 관리 기술은 저수지 없이 숲이 우거진 산에서 물을 끌어와 수천 년 동안 벼 계단식 논을 유지해왔다. 잦은 안개를 발생시키는 이 지역의 덥고 습한 기후와 결합하여, 이 지역은 일년 내내 습한 상태를 유지한다.[4] 계단식 논, 강, 마을, 숲을 융합한 이러한 복잡한 농업 레이아웃은 자연과의 조화를 보여주는 하니족의 관계를 구현한다. 그 결과, 홍허 하니족 벼 계단식 논은 2013년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생물 다양성 보존에 있어 전통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
문화는 특히 도시화에 직면하여 계단식 지형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더 나은 임금을 위해 더 발전된 지역으로 이주하는 대부분의 중국 농부와 달리, 하니족은 고향 근처에서 비농업 파트타임 직업을 선호하며, 전통 행사를 위해 자주 돌아온다.[6] 하니족 농부의 이러한 고용 패턴은 그들의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계단식 논의 지속적인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대 농업 문명에는 여전히 과제가 존재한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계단식 농업 기술을 익히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다. 아이춘 마을에서는 "약 600명이 20세에서 40세 사이이며, 이는 전체 인구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지만, 그중 40명만이 적미 재배의 전체 과정을 알고 있다."[7] 따라서 토지 방치를 막기 위해 남은 마을 사람들이 밭에서 일한다. 또한, 지방 정부와 관광 사업체가 농부와 협력한다. 농부들은 토지를 사업체에 임대하여 조직적인 토지 관리를 보장하고, 임대료 지급과 농업을 통해 마을 주민에게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한다.[7]
5. 3. 식문화
하니족은 전통적으로 하루 두 끼를 먹으며, 쌀을 주식으로 하고 옥수수를 보조적인 칼로리원으로 삼는다. 쌀은 흰밥으로 지어 먹는 외에, 죽, 떡, 미분 등으로 가공한다. 완두로 젤리 형태의 Liangfen|량펀영어을 만들고, 콩으로 두부나 된장을 만든다. 발효 식품으로는 채소 절임, 죽순 종류, 두시 등이 있다.
돼지나 닭, 산에서 얻은 사냥감을 이용한 볶음 요리, 구이 요리, 피를 굳힌 젤리, 생선 수프, 뱀고기, 벌 애벌레의 으깬 것 등 동물성 식품도 많이 사용한다. 간은 고추, 고수, 생강, 마늘 싹, 두시 등을 사용한, 자극적이고 진한 것이 많다. 불을 신성하게 여겨, 밥 등의 끓인 음식과 동물의 구운 것을 다른 장소(다른 불)에서 하는 전통이 있다. 또한, 손님을 접대할 때 남녀가 다른 방에서 식사를 하거나, 장가연이 열리기도 한다.
오곡 풍년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초여름에 논에 나가 메뚜기를 잡아 먹는 축제를 한다. 계단식 논에서는 잉어 치어를 풀어 놓고, 벼와 함께 수확한다.
5. 4. 일본과의 관련성 (논란)
야요이 시대의 유적 등에서 발견된 인골과 DNA, 골격 등이 일치하거나 매우 유사하며, 대두를 사용한 낫토나 된장, 더 나아가 가요제 문화, 자연 숭배인 애니미즘 등 일본과의 공통점이 많다.[1] 하니족은 4세기 이후 전란을 피해 남하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훨씬 동쪽의 일본 열도까지 도달한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1] 이들은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에도 이주해 살고 있으며, 현지에서는 아카족이라고 불린다.[1] 특히 라오스에 거주하는 아카족 마을 입구에는 나무로 만든 문이 있는데, 그 형태가 일본의 가장 오래된 도리이와 비슷하다.[1] 일본처럼 윤이 나는 흰 나무를 조합하지는 않지만, 도리이의 형태와 마귀를 쫓는 역할 면에서 일치하며, 문 위에 새 조각이 놓여 있는 경우도 있다.[1] 일본의 야요이 시대 일부 유구에서 비슷한 형태의 새를 본뜬 조각이 발견된 예도 있다.[1]
또한 도리이 풍습은 쓰촨성 량산에 거주하는 이족(彝族)과도 공통점이 있으며, 티베트에서 흘러드는 창장(양쯔강) 부근에 존재했던 창장 문명을 짊어진 자손으로 여겨지는 이족과 원래 생활 영역이 가까운 점으로 미루어 보아 근연 관계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
6. 하위 집단
You Weiqiong(2013:159–160)은 1954년에 하니족의 하위 집단을 11개의 주요 분파로 분류했다.[8] Vu(2010:10–11)는 베트남 하니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9]
- '''화니족'''(''Hà Nhì Hoa''): 라이쩌우성에서 발견되며, '''하니 꼬 쩌'''와 '''하니 라 미'''의 두 하위 집단으로 나뉜다.
- '''흑하니족''': 라오까이성, 밧삿현에서 발견된다.
베트남에서 하니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communes)은 씬 타우, 쭝 짜이, 무 까, 까 랑, 투 룸 (모두 므엉떼현)과 이 티, 아 루 (모두 밧삿현)이다. 아 루의 하니족은 원래 중국 윈난성의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에서 왔으며, 이후 아 루에서 라오 짜이, 냠 퐁, 응아이 타우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6. 1. 중국
현재 하니족의 90% 이상이 중국 남부 윈난성에 거주하며, 아이라오산맥을 가로질러 메콩강과 홍강 사이에 위치해 있다.[8]윈난성 내의 지급시 및 자치주 내에 있는 하니족 자치현의 하위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지급시 | 자치현 |
---|---|
푸얼시 | 모장 하니족 자치현,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
위시시 |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You Weiqiong(2013:159–160)에 따르면,[8] 하니족의 하위 집단은 1954년에 11개의 주요 분파로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각 위치(현)도 함께 나열되어 있다.
하위 집단 | 현 |
---|---|
하니족 哈尼 | |
누오비 糯比 | 신핑 현, 모장 현 |
치디 其弟/期弟 | 홍허 현, 모장 현, 푸얼 시, 전위안 현, 시솽반나 |
마헤이 麻黑 | 푸얼 시, 징구 현, 전위안 현 |
뤄몐 罗勉 | 루취안 현, 우딩 현 |
라미 腊米 | 전위안 현, 모장 현, 홍허 현, 시솽반나 |
카비에 卡别 | 모장 현 |
두오타 堕塔 | 푸얼 시, 신핑 현, 전위안 현 |
산다 三达 | 시솽반나 |
하이니 海尼 | 징구 현 |
화구 花姑 | 위안양 현 |
아카 阿卡 | 푸얼 시 |
예니 耶尼 (이칭: 카두오 卡多) | 모장 현, 신핑 현, 푸얼 시, 전위안 현, 징둥 현, 징구 현, 시솽반나 |
비위에 碧约 | 모장 현, 푸얼 시, 홍허 현, 신핑 현, 전위안 현, 스마오 구, 징구 현, 시솽반나, 징둥 현 |
하오니 豪尼 | |
부두 布都 | 모장 현, 푸얼 시, 홍허 현, 시솽반나, 전위안 현, 징구 현, 스마오 구, 신핑 현 |
부자오 补角 | 시솽반나 |
바이크 白壳 | 전위안 현 |
거추오 哥搓 (이칭: 쿠충 苦聪) | 전위안 현, 신핑 현, 진핑 현, 모장 현, 푸얼 시, 홍허 현, 시솽반나, 위안양 현, 징구 현, 징둥 현, 솽바이 현 |
아시루마 阿西鲁吗 (이칭: 시모뤄 西摩洛) | 모장 현, 푸얼 시, 홍허 현, 시솽반나, 전위안 현, 징구 현, 스마오 구, 징둥 현 |
두오니 多尼 | 위안양 현, 진핑 현 |
아무 阿木 | 모장 현, 전위안 현, 푸얼 시 |
수오니 梭尼 (이칭: 아수오 阿梭) | 진핑 현 |
뤄메이 罗美 (이칭: 수오비 梭比) | 신핑 현 |
부콩 布孔 (이칭: 허니 合尼, 바이훙 白宏) | 모장 현, 홍허 현, 푸얼 시, 시솽반나, 전위안 현, 징둥 현 |
산다족은 징훙 시의 산다 향(다자이 大寨 포함)에 거주하며, 하니족 차용어가 많은 이족 언어를 사용한다.[8] 다자이에는 산다 언어로 40개 단어 정도만 기억하는 노인 여성 2명이 있다.[8] 이 집단의 중국어 이름은 산다이고, 다이어 이름은 란첸이다. 산다는 이방과 이우에서 이주해 왔다고 주장한다. 처음에는 중국 정부에 의해 이족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하니족으로 분류된다.
행정적으로는 윈난성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를 구성하며, 서쪽 인접 지역인 푸얼 시에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모장 하니족 자치현,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이 있다.
- 란창 라후족 자치현
- * 발전하 하니족 향
- * 주어이 하니족 향
- 징훙 시
- * 징하 하니족 향
- 멍하이 현
- * 거랑허 하니족 향
- * 서정 하니족 푸랑족 향
6. 2. 베트남
베트남의 라이쩌우 성과 라오까이 성에는 12,500명의 하니족이 거주하고 있다. 호족은 중국과 베트남 국경 근처 라오스의 퐁살리 주 북부 산악 지역에 거주한다.[9]베트남 하니족은 다음과 같은 하위 집단으로 구성된다.[9]
- '''화니족'''(''Hà Nhì Hoa''): 라이쩌우 성에서 발견되며, 두 개의 하위 집단으로 더 나뉜다.
- '''하니 꼬 쩌'''
- '''하니 라 미'''
- '''흑하니족''': 라오까이 성, 밧삿 현에서 발견된다.
베트남에서 거의 전적으로 하니족으로 구성된 사(communes)에는 씬 타우, 쭝 짜이, 무 까, 까 랑, 투 룸(모두 므엉떼 현)과 이 티, 아 루(모두 밧삿 현)가 있다. 아 루의 하니족은 원래 중국 윈난 성의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에서 왔으며, 이후 아 루에서 라오 짜이, 냠 퐁, 응아이 타우의 사로 퍼져나갔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on Results of the 2019 Census
https://drive.googl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05-01
[2]
논문
'A New Discovery: Traditional 8-Part Polyphonic Singing of the Hani of Yunnan'
http://contemporary_[...]
1997
[3]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Chinese culture
http://worldcat.org/[...]
Routledge
2009
[4]
간행물
Applic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of Hani People in Biodiversity Conservation
2018-12
[5]
간행물
Wild edible plants collected by Hani from terraced rice paddy agroecosystem in Honghe Prefecture, Yunnan, China
2019-11-27
[6]
간행물
Traditional culture as an important power for maintaining agricultural landscapes in cultural heritage sites: A case study of the Hani terraces
https://www.scienced[...]
2017-05-01
[7]
웹사이트
Millennium-old rice terraces survived in China
http://global.chinad[...]
2023-10-09
[8]
서적
Classifying ethnic groups of Yunnan [云南民族识别研究]
Beijing: Ethnic Publishing House [民族出版社]
2013
[9]
서적
Người Hà Nhì ở Việt Nam [The Ha Nhi in Viet Nam]
Hà Nội: Nhà xuất bản thông tấn
2010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ic.payap.ac.t[...]
2012-05-06
[11]
뉴스
2009년 베트남 인구조사 : 최종 결과
http://www.gso.gov.v[...]
베트남 일반 통계: Centr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eering Committee
20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