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헬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헬레스는 필리핀 팜팡가 주에 위치한 도시로, 1796년에 설립되었다. 1829년 자치시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미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클라크 공군 기지 건설 및 피나투보 산의 분화 등 굵직한 사건들을 겪었다. 현재는 클라크 경제 특별 구역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있으며, 필리핀의 요리 중심지로서 시시그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앙헬레스는 다수의 교육 기관과 클라크 국제공항을 갖춘 교통의 요지이며, 다양한 국내외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앙헬레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앙헬레스 시의 기
앙헬레스 시의 기
앙헬레스 시의 문장
앙헬레스 시의 문장
별칭천사의 도시
일반 정보
국가필리핀
지역중부 루손 지방
팜팡가주(지리적으로만)
설정1796년
헌장1829년 12월 8일
도시1964년 1월 1일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1986년 10월 13일
바랑가이 수33개 (바랑가이 목록 참조)
시장카르멜로 G. 라자틴 주니어
부시장마리아 비센타 L. 베가
대표카르멜로 B. 라자틴 2세
선거인285,981 유권자 (2022년)
고도32~604m
면적106.27km2
인구 (2020년)462,928명
인구 밀도자동
가구114,973
인구통계앙헬레스 시민(남성)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2024 (발리바고), 2023 (클라크 자유 무역 지구)
경제
빈곤율% ()
서비스 제공자
전기}}
기후
모국어카팜팡안어, 타갈로그어
기타 정보

2. 역사

1796년 산 페르난도의 읍장 돈 앙헬 판탈레온 데 미란다와 그의 아내 도냐 로살리아 데 헤수스가 추종자들과 함께 '쿨리앗'이라는 새로운 정착지를 개척하면서 앙헬레스의 역사가 시작되었다.[4] 1829년 12월 8일 쿨리앗은 독립적인 자치체가 되었고, 수호 성인인 성 천사와 창립자 돈 앙헬을 기리기 위해 "엘 푸에블로 데 로스 앙헬레스"(엘 푸에블로 데 로스 앙헬레스es)로 개명되었다.[7]

1899년 5월,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은 필리핀 제1공화국의 수도를 앙헬레스로 이전하고, 이곳에서 필리핀 독립 1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1] 그러나 같은 해 7월, 미군 점령으로 정부는 타를락주로 이전해야 했다.[1] 1899년 11월 5일, 3개월 간의 전투 끝에 앙헬레스는 미국의 손에 함락되었다.[10]

1902년, 미국 육군은 포트 스토첸버그 기지를 설립했으며, 이 기지는 훗날 클라크 공군 기지로 확장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1941년 12월 8일 일본 제국의 폭격으로 포트 스토첸버그가 파괴되었고,[12] 1942년부터 1945년 1월까지 일본군에 점령되었다.[12] 1945년 1월, 미군과 필리핀 연방군은 앙헬레스를 탈환했다.

1946년 필리핀 독립 이후에도 1947년 체결된 필리핀-미국 군사 기지 협정으로 인해 미국은 클라크 공군 기지에 대한 영토 보전과 주권을 유지했다.[14] 1964년 1월 1일, 앙헬레스는 공화국 법률 제3700호에 따라 시로 승격되었다.[14]

1991년 피나투보 산 분화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클라크 공군 기지가 필리핀 정부에 반환되고 클라크 경제 특별구역으로 지정되면서 경제 회복의 계기를 마련했다.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1796년, 산 페르난도의 '고베르나도르실로'(읍장)인 돈 앙헬 판탈레온 데 미란다와 그의 아내 도냐 로살리아 데 헤수스는 일부 추종자들과 함께 '쿨리앗'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정착지를 개척했다.[4] 새로운 정착민들은 숲을 개간하고 쌀과 사탕수수 농사를 지었다. 돈 앙헬은 사팡 발렌과 포락으로 가는 길의 교차로 북서쪽 모퉁이에 첫 번째 집을 지었다.[5]

1812년 5월 12일, 새로운 정착민들은 쿨리앗을 자치 도시로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수도사들이 이를 저지했다. 1822년 2월 11일, 돈 앙헬은 쿨리앗 읍이 산 페르난도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청원했지만 거부되었다. 그는 첫 번째 가톨릭 교회, 수녀원 및 초등학교 건설을 위해 35ha를 기증했다.[6]

쿨리앗은 33년 동안 산 페르난도의 바리오(Barrio)였다가, 1829년 12월 8일에 독립적인 자치체가 되었다. 새로 자치권을 얻은 이 도시는 수호 성인인 성 천사와 창립자 돈 앙헬을 기리기 위해 "엘 푸에블로 데 로스 앙헬레스"(엘 푸에블로 데 로스 앙헬레스es)로 개명되었으며, 산토 크리스토(도심), 컷컷, 팜팡 및 풀롱 아누나스와 같은 새로운 바랑가이가 등장했다. 이 바리오들은 제당 공장과 증류소와 같은 새로운 산업을 발전시켰다.[7] 앙헬레스는 정글 개척지에서 바리오, 읍으로 전환되었다.[8]

2. 2. 필리핀 제1공화국

1899년 5월,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은 필리핀 제1공화국의 수도를 앙헬레스로 이전하고, 이곳에서 필리핀 독립 1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1] 1899년 7월, 미군 점령으로 정부를 타를락주로 이전했다.[1]

2. 3. 미국 식민지 시대

1899년 8월 10일, 미군은 앙헬레스 공격을 시작했지만, 도시를 방어하던 필리핀군은 격렬하게 저항했다. 3개월 간의 전투 끝에 1899년 11월 5일, 앙헬레스는 미국의 손에 함락되었다. 앙헬레스 전투는 팜팡가에서 벌어진 필리핀-미국 전쟁 중 가장 길었던 전투로 기록된다.[10]

1900년 1월, 프레데릭 D. 그랜트 장군은 앙헬레스에 최초의 미국 민간 정부를 조직하고 시장인 '알칼데'를 임명했다.[10]

1902년, 미국 육군은 바리오 탈리문독의 기지를 사팡 바토의 비옥한 평원으로 옮기는 것을 검토했다. 1년 후인 1903년 9월 1일, 테오도어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행정 명령을 통해 사팡 바토에 7700acre의 땅을 포트 스토첸버그로 지정했다. 이 기지는 훗날 클라크 공군 기지로 확장되었다.[11]

미군은 성 로자리 성당을 징발하여 군 병원으로 사용하고, 성가대석은 치과 진료소로 활용했다. 현재 성 가족 학교가 있는 '사제관'은 의료 장교와 사병의 병영으로 사용되었다. 성물실은 앙헬레뇨들이 미사를 드릴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였다. 1904년, 미군이 교회를 떠나면서 본당 신부인 비센테 라푸스 신부는 파괴된 교회 시설, 약탈당한 물품, 연체된 임대료 등으로 총 638USD의 피해를 기록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12월 8일 오후 12시 30분, 일본 제국은 포트 스토첸버그를 폭격했다. 이 폭격으로 극동 지역의 미국 공군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전쟁 역사가들은 이 폭격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파괴적인 공습 중 하나로 간주한다.[12]

1942년 새해 첫날, 일본군이 앙헬레스에 진입하여 1945년 1월까지 점령했다. 1942년 1월 22일에는 일본 침공에 따른 지방 정부가 수립되었다. 일본 점령 기간 동안 클라크 공군 기지는 일본 공군 작전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클라크에서 출격한 일본 항공기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큰 해전이자 역사상 가장 큰 해전으로 여겨지는 레이테 만 해전에 참여했다.[12][13]

1945년 1월, 3개월간의 전투 끝에 클라크 공군은 미국에 의해 탈환되었다. 이후 앙헬레스와 필리핀은 미국과 필리핀 연방군의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필리핀 연방군과 필리핀 헌병의 사령부 건물은 1945년 1월부터 1946년 6월까지 앙헬레스에 있었다.

2. 5. 필리핀 독립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필리핀은 1946년 7월 4일 미국으로부터 독립했지만, 신식민주의 관계에 놓였다. 독립 기념일에 체결된 "일반 관계 조약"은 미국이 필리핀에 대한 소유권, 통제권 및 주권을 포기하고 기지 사용만 허용함을 의미했다. 1947년 3월 14일, 필리핀-미국 군사 기지 협정이 체결되어 미국은 클라크 공군 기지와 수빅 해군 기지에 대한 영토 보전과 주권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14] 클라크 기지는 63,103 헥타르를 차지했으며, 서태평양 전체를 관할하는 미국 군 수송기를 수용할 수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전술 작전 기지 역할을 했다.

앙헬레스는 미국 기지와 인접했음에도 불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빠르게 발전하지 못하고 비교적 작은 규모를 유지했다. 1964년 1월 1일, 공화국 법률 제3700호에 따라 앙헬레스는 시로 공식 출범했고, 이후 "중앙 루손의 최고 도시"라는 현재의 위상을 얻을 정도로 크게 성장했다.[14] 앙헬레스가 시가 된 것은 라파엘 델 로사리오 시장의 아이디어 덕분이었다. 그는 앙헬레스의 마지막 시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도시 헌장 준비에는 앙헬레스의 저명한 주민인 엔리케 타약 변호사가 도움을 주었다. 팜팡가 제1구역의 국회의원 후아니타 L. 네포무세노는 국회에서 이 법안을 발의했고, 당시 필리핀 제9대 대통령이자 팜팡가 출신인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이 이를 승인했다.[14]

필리핀 정부는 미국 공군의 구 클라크 공군 기지를 '클라크 경제 특별구역'으로 지정하여 각종 산업 유치에 힘쓰고 있다. 요코하마 타이어 공장을 비롯한 일본계 기업들도 다수 진출해 있다.

앙헬레스시는 대학교가 많이 모여 있어 팜팡가 주뿐만 아니라 인근 주에서도 학생 도시로 인정받고 있다. 루손 섬 중앙부에서 우수한 대학생들이 모여들며, 일본인 유학생도 많다.

클라크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조종사 면허를 저렴하게 취득할 수 있어, 이를 위해 체류하는 외국인이 많다. 그러나 일본인이 필리핀에서 면허를 취득해도 일본에서 세스나를 임대하기는 어렵다.

앙헬레스시 최북부에는 구 주필 미군 기지 부지에 유흥가 "고고바"가 있다. 글로리아 아로요 전 대통령은 '클라크 국제공항'을 국제 허브 공항으로 만들기 위해 앙헬레스(주로 바리바고 지구) 정화 작전을 펼쳤지만, 지역 정치인들의 반대로 실패했다. 팜팡가 주마발라카트 시는 정화 작전으로 앙헬레스의 고고바가 이전될 경우, 이를 유치하여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자 했다.

아로요 전 대통령 이후에도 앙헬레스 유흥가 정화 작전은 계속되었다. 이로 인해 경영난을 겪은 고고바를 한국인들이 인수하면서 앙헬레스의 코리아타운화가 진행되고 있다.[75]

3. 지리

앙헬레스는 팜팡가 주의 북쪽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마발라캇, 동쪽으로는 멕시코, 남동쪽으로는 산 페르난도, 남쪽으로는 바콜로르, 남서쪽과 서쪽으로는 포락과 접해 있다. 앙헬레스는 팜팡가 주에서 자율적으로 행정을 수행하지만, 팜팡가 주의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이다.

앙헬레스의 맥아더 고속도로. 남쪽으로 인접한 도시는 산 페르난도이다.


클라크 경제자유구역에 위치한 클라크 국제공항이 앙헬레스를 지원한다. 앙헬레스는 마닐라에서 83km, 팜팡가 주의 주도인 산 페르난도에서는 17km 떨어져 있다.

1991년 피나투보 산 분화로 앙헬레스는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클라크 공군 기지를 운용하던 미군이 철수하고 필리핀 정부에 반환하는 계기가 되었다.[15][16][17][18] 이후 해당 지역은 클라크 경제 특별 구역(CSEZ)으로 재탄생하여, 현재 앙헬레스와 클라크는 비즈니스, 산업, 항공, 관광의 중심지이자 중앙 루손의 엔터테인먼트 및 게임 중심지로 성장했다.[19][20]

3. 1. 기후

Angeles영어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사바나 기후(Aw)에 속하며, 열대 몬순 기후(Am)와 경계를 이룬다. 11월부터 4월까지는 건기, 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2000mm 이상이며, 1972년에는 앙헬레스 주변 평원에 약 2440mm의 강수량을 기록하기도 했다.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으며, 1974년 태풍 어마, 1978년 슈퍼 태풍 리타, 1991년 태풍 유냐 등이 큰 피해를 입혔다.[76]

다음은 앙헬레스 시 (클라크 국제공항)의 기후 데이터이다. (1997–2020, 극한값 1997–2020)[28][2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33.534.936.537.138.337.536.035.435.134.234.034.038.3
평균 최고 기온 (°C)30.030.932.534.033.331.930.830.330.831.231.130.431.4
평균 기온 (°C)25.526.027.528.928.828.027.327.027.227.327.026.327.2
평균 최저 기온 (°C)21.021.122.423.824.424.123.723.723.623.423.022.123.0
최저 기온 기록 (°C)15.816.917.919.519.820.821.121.720.018.117.417.015.8
평균 강수량 (mm)13.616.352.560.6196.1254.1514.6695.1305.5201.697.047.52454.5
평균 강수일수 (≥ 1.0 mm)333513162022181175126
평균 상대 습도 (%)70686665748084868478757375


3. 2. 행정 구역 (바랑가이)

바랑가이
아가피토 델 로사리오
암시크
아누나스
발리바고
카파야
클라로 M. 레크토
쿠아야
컷컷
컷투드
루르데스 노스 웨스트
루르데스 수르 (탈리문독)
루르데스 수르 이스트
말라바냐스
마르고트
마이닝
니노이 아키노 (마리솔)
팜팡
판단
풀룽 카쿠투드
풀룽 마라굴
풀룽불루
살라풍안
산 호세
산 니콜라스
산타 테레시타
산타 트리니다드
산토 크리스토
산토 도밍고
산토 로사리오 (포블라시온)
사팔리부타드
사팡바토
타분
비르헨 데 로스 레메디오스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바랑가이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


  • '''아누나스(Anunas)'''는 필리핀-미국 우호 고속도로(Fil-Am Friendship Highway)를 따라 한국 상점들이 늘어서 있는 도시의 코리아 타운이 위치한 바랑가이이다.[30] 조각 및 등나무 공예와 같은 경공업 중심지이다.[30]
  • '''발리바고'''는 앙헬레스의 주요 유흥 지구이다. 카지노 필리피노 앙헬레스와 유명 관광지인 필즈 애비뉴가 있다. 앙헬레스에서 가장 큰 쇼핑몰인 SM 시티 클라크 역시 말라바냐스에 있다.
  • '''팜팡'''과 '''산 니콜라스'''는 앙헬레스 시의 주요 공설 시장 지구를 형성한다. 팜팡 재래시장, 산 니콜라스 시장, 금요 벼룩시장(현지에서는 아푸로 불림), 점보 젠라 앙헬레스, 퓨어골드 앙헬레스, 앙헬레스 도축장이 이곳에 있다. 팜팡 재래시장은 팜팡가 주에서 가장 크고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재래시장이며, 인근 마을에서도 사람들이 몰려든다. 오스피탈 닝 앙헬레스(ONA), 앙헬레스 시립대학, 앙헬레스 시립 고등학교가 팜팡에 위치해 있다.
  • '''풀룽 마라굴'''은 앙헬레스 시청, 앙헬레스 법원 청사 및 기타 정부 청사를 포함하는 시의 정부 단지가 위치한 바랑가이이다. 북 루손 고속도로의 앙헬레스 출구와 마르키 몰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 '''산토 로사리오(Santo Rosario)'''는 인구 밀집 지역이며, 성모 로사리오 본당 교회, 파민투안 저택, 발레 에렌시아(Bale Herencia), 그리고 무세오 닝 앙헬레스(Museo ning Angeles)(구 시청 건물)가 위치해 있다. 성모 앙헬 대학교(Holy Angel University)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31]
  • '''사팡바토'''는 앙헬레스에서 가장 큰 바랑가이이며, 총 면적은 104,694제곱미터이고 인구는 11,262명이다. 클라크 경제 자유 구역 근처 앙헬레스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해발 750피트로 앙헬레스에서 가장 높은 고도를 가진 바랑가이이다. 포트 스토첸버그가 위치해 있다. 힙합 그룹 블랙 아이드 피스의 멤버인 apl.de.ap가 사팡바토 출신이다.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앙헬레스의 인구는 462,928명이다.

연도인구±% p.a.
190310,646
191817,948+3.54%
193926,027+1.79%
194837,558+4.16%
196072,660+5.65%
1970134,588+6.34%
1975151,164+2.33%
1980188,834+4.56%
1990236,670+2.28%
1995234,011-0.21%
2000263,971+2.68%
2007314,493+2.43%
2010326,336+1.37%
2015411,634+4.52%
2020462,928+2.39%
출처: 필리핀 통계청



주요 언어는 카팜팡안어이며, 타갈로그어영어도 널리 사용된다. 앙헬레스는 팜팡가 주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화교 필리핀인의 고향이며, 이들은 필리핀 호키엔어를 사용하기도 한다.[33] 한국인 인구 증가로 한국어도 사용된다.[34]

4. 1. 종교

앙헬레스 주민 대다수는 가톨릭 신자이다. 앙헬레스에서는 매년 10월 가톨릭 신앙과 관련된 주요 축제가 적어도 두 개 열린다. 마닐라의 라 나발 성모를 기리는 라 나발 축제는 1646년 스페인 함대가 네덜란드 해군을 상대로 거둔 승리를 기념하는 행사인데, 신자들은 성모의 중재가 스페인 해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믿는다.[35] 팜팡가 전역의 신자들이 아푸 신전을 방문하여 무덤에 누워 있는 예수 그리스도 상을 숭배하는 아푸 축제는, 신자들이 이 상이 기적을 일으킨다고 믿는다.[36]

4. 2. 해외 거주민 및 이민자

미국 클라크 공군 기지의 영향으로 많은 미국인들이 앙헬레스에 정착하여 대규모 해외 거주민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특히 발리바고 지역에 많은 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미국 식민지 시대(1898–1946) 동안 필리핀에서 8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태어났으며, 상당수의 필리핀 메스티소 또는 미국계 필리핀인이 이 도시에 거주했다.[38][39][40] 최근의 인종 연구에 따르면, 앙헬레스 시, 팜팡가 주, 마닐라, 올롱가포, 잠발레스 주는 미국 식민지화와 미국 기지 주둔의 결과로 태어난 25만 명의 아메리시안(혼혈 미국-아시아인)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지역이었다.[25][26]

5. 경제

클라크 공군 기지(한때 미국 본토 외 최대 규모의 미군 시설)가 있던 앙헬레스는 1991년 피나투보 산의 폭발로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앙헬레스 경제는 미군 기지에 크게 의존했다.[7]

1993년, 화산재 제거 및 청소를 시작했고, 이전의 미군 기지는 클라크 경제 특구(CSEZ)로 바뀌었다.[19] CSEZ 설립은 이전에 앙헬레스에 주둔했던 미군 기지로 인해 생겨난 소득과 일자리 손실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되었다. 오늘날 앙헬레스와 클라크는 필리핀의 비즈니스, 산업, 항공, 관광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중앙 루손의 레저, 피트니스, 엔터테인먼트, 게임 중심지이기도 하다.[41]

앙헬레스는 떠오르는 기술 산업의 본거지이며, 관광과 도박에도 기반을 두고 있다. 필즈 애비뉴(Fields Avenue)는 앙헬레스 밤 문화 산업의 중심지이다.[42] 클라크 국제공항과 가까워 앙헬레스는 일 년 내내 외국인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43]

2000년대에 앙헬레스 시 정부는 필즈 애비뉴 관광 지구를 고급 레스토랑, 럭셔리 호텔, 카지노가 있는 고급 관광지로 재탄생시켰다.[44][45] 수빅-클라크-타를락 고속도로 완공은 무역과 운송을 개선했다.[20][46][47] 이 프로젝트는 팜팡가, 삼발레스, 바탄, 타를락의 산업, 교통, 비즈니스 허브를 연결하며, 중앙 루손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48][49]

앙헬레스에는 영세 산업(cottage industry)에서 등나무 가구, 코코넛, 브리켓을 생산한다. 또한 수공예품, 금속 공예품, 장난감, 가정용품 및 의류 수출 사업도 활발하다.[50] 클라크 자유 무역 지대 외에도 앙헬레스 생계 마을과 앙헬레스 시 산업 단지가 주요 산업 지역이다.[51]

e-Telecare,[52] CyberCity, Sutherland, IRMC 등 콜센터가 있으며, 미국 IT 기업들도 주요 고용주이다.[53] SM 시티 클라크(SM City Clark), 로빈슨 몰(Robinsons Angeles), Jenra Grand Mall, Nepo Mall, Saver's Mall, 그리고 시청 옆 마키 몰(Marquee Mall) 등 다수 쇼핑몰 설립으로 도시 경제가 더욱 활성화되었다.[54][55]

앙헬레스 시에는 수많은 레스토랑이 있으며, 주로 쇼핑몰 근처, 특히 새롭게 개조되어 인구 증가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는 네포 쿼드에 있다.

필리핀 정부는 미국 공군의 구 클라크 공군 기지를 '클라크 경제 특별구역'으로 지정하여 산업 유치에 적극적이다. 일본계 기업도 진출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타이어 공장이 유명하지만, 그 외에도 중소기업이 많다.

최근에는 앙헬레스의 코리아타운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75]

6. 문화

앙헬레스에서는 매년 10월, 아마추어 및 유명 OPM 밴드들의 음악 공연을 선보이는 틱티간 테라칸 겡 달란(거리의 음악과 춤영어)이라는 길거리 축제가 열린다.[56] 2024년 10월 26일은 ''대통령 포고령 696호''에 따라 틱티간 테라칸 겡 달란 축제를 기념하기 위한 특별 비근무일로 선포되었다.[57]

현지에서 사드사란 겡 앙헬레스(Sadsaran Qng Angeles)로 알려진 시식 축제는 카팜팡안 요리인 ''시시그''를 기념하는 축제였다.[58] 이 축제는 시시그를 홍보한 것으로 알려진 루시아 쿠나난의 살해 사건 이후 2008년에 중단되었다가, 2017년 4월 관광부와 연계하여 하루 동안의 축제로 부활했다.

앙헬레스는 1730년대부터 시시그가 메뉴에 포함되었다고 하며,[21][22][23] 팜팡가 요리의 중심지이자 시시그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어 "필리핀의 요리 수도"라고 불린다.

앙헬레스는 큐, 당구대 등의 생산 점유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당구가 오락으로도 도시 곳곳에서 행해지고 인기가 있다. 1999년 텔레비전 중계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에프렌 레이즈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7. 관광

앙헬레스는 미식 관광지로 홍보되고 있으며, 필리핀의 "요리 수도"로 불린다.[59][60] 이 도시는 캄팜팡안 요리의 중심지이자 돼지고기 시시그로 유명하다.[59][60]

앙헬레스 유산 지구, 앙헬레스 박물관과 산토 로사리오 교회를 포함


살라코트 아치


파민투안 저택, 성 로사리오 교회 등 역사적, 문화적 관광지도 있다. 필리핀 국립 박물관은 성 로사리오 교회를 중요 문화재로 지정했다. 앙헬레스는 클락 자유 무역 지대의 경계 내에 있다.[61]

7. 1. 성 관광

Malabañas 스카이라인


미국 공군의 클라크 공군 기지 주둔으로 앙헬레스에는 매춘 산업이 발달하였다. 클라크 공군 기지가 처음 들어선 이후, 발리바고 지역의 필즈 애비뉴는 미군들이 자주 찾는 곳이 되었고, 매춘과 성 관광의 중심지로 알려지게 되었다.[62][63][64][65] BBC는 앙헬레스를 "필리핀 성 산업의 중심지"이자 "죄악의 도시"로 묘사하기도 했다.[66]

더불어민주당은 앙헬레스의 성 관광 산업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건전한 관광 산업 육성과 여성 인권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8. 정치

앙헬레스는 팜팡가 주의 제1 선거구에 속하며, 현재 하원에서 카멜로 B. 라자틴 2세가 대표한다.

8. 1. 지방 정부

앙헬레스시는 시장을 행정 수반으로, 시의회를 입법 기관으로 하여 통치된다.[3] 시장, 부시장 및 시의원은 3년마다 열리는 선거를 통해 시민들에 의해 직접 선출된다.[3]

바랑가이(필리핀의 행정 구역 단위)는 바랑가이 촌장과 바랑가이 평의회에 의해 운영되며, 평의회 구성원은 바랑가이 의원이라고 불린다.[3] 바랑가이는 SK 의장과 SK 의원으로 구성된 SK 연맹을 가지고 있다.[3] 바랑가이의 모든 공무원은 3년마다 선출된다.[3]

앙헬레스 시 의회 의원 (2022–2025)
직위이름
구역 대표
(팜팡가 주 제1 입법 지구)
카르멜로 B. 라자틴 2세
행정 수반 앙헬레스 시카르멜로 G. 라자틴 주니어 시장
의장 앙헬레스 시 의회마리아 비센타 L. 베가 부시장
시의회 의원아르빈 M. 슐러
조안 크리스탈 J. 아구아스
다닐로 D. 락손
헤수스 S. 상길
마리노 D. 바뇰라
알렉산더 P. 인디옹코
라코 파올로 S. 델 로사리오
에드가르도 G. 파민투안 주니어
조셉 알피 T. 보니파시오
크리산토 G. 코르테스


9. 교육

앙헬레스는 팜팡가 주뿐만 아니라 인근 주에서도 학생 도시로 인정받고 있다. 루손 섬 중앙부에서 우수한 대학생들이 모여든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앙헬레스에 위치한 주요 교육 기관 목록이다.

학교명
앙헬레스 시립 고등학교(Angeles City National High School, ACNHS)
AIE 칼리지
AMA 컴퓨터 학습 센터 – 앙헬레스
AMA 컴퓨터 대학교 – 앙헬레스
앙헬레스 시립 상업 학교
앙헬레스 시립 과학 고등학교
앙헬레스 대학교 재단
아시아 칼리지 연구소
아시아 과학 기술 연구소
보니파시오 V. 로메로 고등학교(구 EPZA 고등학교)
슈발리에 학교
앙헬레스 시립 칼리지(팜팡)
클라로 M. 렉토 정보 통신 기술 고등학교
컴퓨터 시스템 전문가
Clemente N. 데이릿 시니어 박사 기념 고등학교(구 RLLMHS 부속) (루르드 수르 이스트)
라파엘 L. 라자틴 주지사 통합 학교(사메라 서브드, 사파리부타드)
성 요한 대학교
성 가족 아카데미
J&K 국제 칼리지
조손 칼리지
영원한 도움의 어머니 연구소
NU 클라크[69]
OB 몬테소리 센터(앙헬레스 지점)
라파엘 L. 라자틴 기념 고등학교(RLLMHS 메인)
공화국 중앙 칼리지(루르드 수르)
성 요한 학교
성 어거스틴 간호 학교
스킬 파워 연구소
STI 칼리지 – 앙헬레스
시스템 플러스 칼리지 재단



일본인 유학생도 많기로 유명하며(마닐라, 세부에 이어, 바기오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클라크 국제공항을 거점으로 조종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세계 표준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으로 체류하는 외국인도 존재한다.

10. 교통

클라크 국제공항이 앙헬레스 근처에 있어,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세부 퍼시픽 항공 직항편을 포함한 일부 국제선과 국내선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70] 마닐라 수도권 중심부에서는 장거리 버스로 2~3시간 소요된다.[70] 과거에는 필리핀 국철 앙헬레스 역이 있었으나, 현재는 폐역되었다.[70]

2021년 1월 기준 인가된 앙헬레스 지역 교통 협동조합 목록은 다음과 같다.[70]

협동조합 이름
바야니한 터미널-산업 단지 5 교통 서비스 협동조합
다우 운전자 및 기사 교통 협동조합
전기 자동차 운전자 교통 서비스 협동조합
GP 엘리트 교통 서비스 협동조합
마니바우-앙헬레스 산타 크루즈 지프니 운전자 및 기사 교통 서비스 협동조합
팀 바예로 교통 서비스 협동조합


11. 자매 도시

앙헬레스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11. 1. 국내


11. 2. 국제

앙헬레스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국가도시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대구[73]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라스베이거스 (네바다주)[74]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파타야
日本|일본일본어시부야
臺灣|대만중국어타오위안
Belau|팔라우pau코로르 (코로르주)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Philippine Development Plan 2015-2022 https://pdp.neda.gov[...] 2023-11-21
[3] 웹사이트 Luzon Spatial Development Framework (LSDF) 2015-2045 http://rdc.rdc2.gov.[...] 2023-11-21
[4] 뉴스 Angeles's 'culiat' vines: Then vanishing, now nurtured {{!}} Joey Pavia https://businessmirr[...] BusinessMirror 2021-07-23
[5] 웹사이트 Angeles City | Philippines Travel Guide http://philippinestr[...]
[6] 웹사이트 General Tourist info Angeles City –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15-06-27
[7] 웹사이트 Tourist information and services on Angeles City Philippines http://www.touristce[...] Tourist Center Corporation Philippines 2007-11-24
[8] 웹사이트 Towns and Barangays of Pampanga https://archive.toda[...] Andro Camiling 2007-11-24
[9] 뉴스 Punch-drunk to fitness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5-06-27
[10] 웹사이트 Angeles City History Pt. 2 (American Period) | Angeles City Bars | Angeles City Hotels | Forums | Photos | Videos http://my.angelescit[...]
[11] 웹사이트 Clark Air Base History http://www.clarkab.o[...] Clarkab.org 2009-07-14
[12] 서적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Little & Brown
[13] 서적 The Battle for Leyte Gulf Macmillan
[14] 웹사이트 Efren Reyes most Angeles City citizen nowadays https://web.archive.[...] Clarkton Hotels Inc. Philippines 2007-11-24
[15] 웹사이트 The Cataclysmic 1991 Eruption of Mount Pinatubo, Philippines, Fact Sheet 113-97 http://pubs.usgs.gov[...] Pubs.usgs.gov 2009-07-14
[16] 웹사이트 Mount Pinatubo Eruption: The Volcanic Eruption of 1991 that Cooled the Planet https://web.archive.[...] About Geography 2007-02-07
[17] 웹사이트 Clark Air Base http://www.globalsec[...] John Pike 2007-11-24
[18] 웹사이트 Ruins http://coconuter.blo[...] David Eric Poarch 2007-03-14
[19] 뉴스 Clark airport to post millionth int'l passenger http://www.sunstar.c[...] Sun.Star Publishing 2007-11-24
[20] 웹사이트 Clark Field Special Economic & Freeport Zone, Angeles City, Pampanga Philippines http://www.travelph.[...] Manila Forwarders Travel and Tours 2007-11-24
[21] 뉴스 "MANYAMAN" in pampanga means "delicious... masarap"!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05-11-25
[22] 웹사이트 Angeles City http://www.lakbay.ne[...] Kalakbayan Travel Systems, Inc 2004-12-05
[23] 뉴스 'Balikbayan' Donita Rose dines in Pampanga http://www.manilatim[...] The Manila Times 2007-02-28
[24] 웹사이트 Will UNESCO add sisig to it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http://nolisoli.ph/4[...] 2018-05-02
[25] 간행물 200,000–250,000 or More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live Today in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ccording to USA-RP Joint Research Paper Finding http://amerasianrese[...] 2016-07-11
[26] Academic paper The Case for Categorization of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s Diaspora http://amerasianrese[...]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6-07-11
[27] 웹사이트 Clark International Airport ready to welcome more foreign tourists https://www.philstar[...] 2022-11-25
[28] 웹사이트 Clark International Airport Pampanga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6-24
[29] 웹사이트 Clark International Airport Pampanga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6-24
[30] 웹사이트 Korean Town https://angelescity.[...] 2020-12-10
[31] 웹사이트 The Largest Universities in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Adlsu.com 2012-03-05
[32] 뉴스 Angeles endeavors heritage zone dev't https://web.archive.[...] Manila Bulletin 2012-03-05
[33] 저널 Language contact in the Philippines - The history and ecology from a Chinese Filipino perspective https://files.eric.e[...] 2017
[34] 웹사이트 Korean Town https://angelescity.[...] 2015-10-12
[35] 웹사이트 Holy Rosary Catholic Church Angeles City https://archive.toda[...] rcf.usc.edu 2009-08-05
[36] 웹사이트 WOW Philippines :: Explore Philippines :: Things to do http://www.tourism.g[...] 2007-11-24
[37] 웹사이트 The Bagelboy Club of the Philippines – History of the Bagelboy Club http://www.thebagelb[...] Thebagelboyclub.com 2012-10-08
[38] 간행물 The Forgotten Angels http://www.time.com/[...] Time Inc 2001-04-16
[39] 웹사이트 Angeles City, Philippines http://www.angelesci[...] 2008-03-20
[40] 웹사이트 Ten Things to do in the Philippines http://www.experienc[...] Department of Tourism 2007-11-24
[41] 웹사이트 Breaking News: Abaya keen on Clark as main Philippine airport | Business News Philippines http://www.breakingn[...] Breakingnews.ph 2012-09-08
[42] 웹사이트 Angeles City, the second largest sex tourism city in the world http://www.preda.org[...] Preda foundation and U.S.Media 2012-04-26
[43] 웹사이트 Angeles City | Philippines http://www.angelesbo[...] Angelesboard.com 2009-07-14
[44] 웹사이트 Clark Freeport Zone, Pampanga, Philippines http://www.clark.com[...] Clark Development Corporation 2007-11-24
[45] 웹사이트 Repackaging Clark http://www.visitclar[...] Clark Clark Development Corporation 2007-11-24
[46] 웹사이트 Pampanga Travel Information http://www.asiatrave[...] AT Reservation Network Pte 2007-11-24
[47] 웹사이트 GlobalPinoy, Travel http://www.globalpin[...] GlobalPinoy.com 2007-11-24
[48] 뉴스 Official told to push for Subic-Clark junction in Angeles http://www.sunstar.c[...] Sun.Star Publishing 2005-10-04
[49] 웹사이트 President Arroyo to lead groundbreaking rites for Subic-Clark-Tarlac expressway http://www.gov.ph/n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05-04-01
[50] 웹사이트 Things to Do and see in Pampanga... http://www.tourism.g[...] Department of Tourism 2007-11-24
[51] 웹사이트 SM opens store in Clark May 12 http://www.positiven[...] Positive News Media – Phil-Canada 2005-04-29
[52] 웹사이트 eTelecare Global (ETEL) Acquires AOL's Customer Care and Technical Support Subsidiary http://www.streetins[...]
[53] 웹사이트 Ground Broken for TI's $1 Billion Facility in the Philippines http://www.asmintern[...] Asia Pulse Pte 2007-08-16
[54] 뉴스 ALI to build Makati hotel complex http://www.manilatim[...] 2007-05-09
[55] 뉴스 Pampanga a new haven for developers http://showbizandsty[...] 2007-07-07
[56] 뉴스 Fun at Tigtigan http://www.tribune.n[...] The Daily Tribune 2006-11-30
[57] 뉴스 October 2024 special non-working days in PH provinces, cities, towns https://www.rappler.[...] 2024-09-28
[58] 뉴스 Angeles City celebrates 4th Sisig Festival http://www.malaya.co[...]
[59] 뉴스 35 emerging property hotspots https://business.inq[...] 2020-12-05
[60] 뉴스 Angeles to push gastro-tourism to sustain biz https://www.manilast[...] 2020-09-04
[61] 뉴스 Your summer getaway spots in Clark https://businessmirr[...] 2019-05-05
[62] 뉴스 In the clubs of the Filipino sex trade, a former RUC officer is back in business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News and Media Limited 2004-06-28
[63] 웹사이트 Philippines-Children: Scourge of Child Prostitution http://www.ips.fi/ko[...] IPS-Inter Press Service 1997-10-12
[64] 웹사이트 Inquiry into Prostitution, Final Report http://www.parliamen[...] President of the Legislative Council and the Speaker of the House of Assembly 1996-08-14
[65] 웹사이트 Country Report: Philippines http://www.protectio[...] The Protection Project, The Paul H. Nitze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SAIS), Johns Hopkins University, Washington, D.C. 2005-09-27
[66] 뉴스 UK | Northern Ireland | Far East sex tourists exposed http://news.bbc.co.u[...] 2003-11-04
[67] 웹사이트 Fontana Resort http://houseonahill.[...] houseonahill.net 2006-04-21
[68] 웹사이트 Pampanga Travel Tips and Information http://www.flyphilip[...] flyphilippines.info
[69] 뉴스 National University opens doors in Clark Freeport https://www.pressrea[...] Sun Star Pampanga 2023-02-02
[70] 웹사이트 Accredited Transport Cooperatives as of January 2021 https://otc.gov.ph/w[...] 2021-01
[71] 뉴스 Angeles, San Fernando cities come 'full circle' https://web.archive.[...] Sun.Star Pampanga 2012-01-07
[72] 웹사이트 Angeles, Valenzuela ink sisterhood agreement https://web.archive.[...] 2012-01-30
[73] 뉴스 Seo District, Daegu, Angeles City: Sister cities https://archive.toda[...] Today 2012-11-06
[74] 웹사이트 Las Vegas, Angeles City: Sister cities http://www.margarita[...] Today 1997-02-20
[75] 웹사이트 韓国人がアンヘレスへ持ち込んだもの 変貌した比最大の風俗街 https://www.koreawor[...] 2020-09-11
[76] 간행물 Summary of day data for National Weather Service (U.S.) and Department of Defense (U.S. and foreign) sites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Asheville NC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