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잠발레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발레스주는 필리핀 루손섬 서해안에 위치한 주로, 남중국해를 접하고 있다. 험준한 해안선과 잠발레스 산맥이 특징이며, 수비크 만은 과거 미 해군 기지가 있던 곳이다. 피나투보 산은 1991년 폭발로 인해 칼데라 호수를 형성했고, 이로 인해 지역 지형이 크게 변화했다. 중앙 루손 지방에 속하며, 주도는 이바이다.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며, 삼발족에서 유래된 이름처럼 삼발족이 이 지역의 주요 민족이었다.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도시가 건설되었고, 1970년대 마르코스 독재 시대에는 군사화된 지역 중 하나였다. 1991년 피나투보 산 폭발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재는 농업, 어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삼발어,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교회가 주요 종교이다. 이바에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립 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으며, 이나 푼 바토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루손 지방 - 아우로라주
    아우로라주는 필리핀 루손 섬 동중부에 위치하며 케손 주와 역사적 관련이 깊고 시에라 마드레 산맥의 일부를 포함하는 열대 우림 기후 지역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타갈로그족과 일로카노족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지닌 8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주이다.
  • 중앙루손 지방 - 누에바에시하주
    누에바에시하는 필리핀 루손 섬 중앙부에 위치하며,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 시대를 거쳐 담배 재배 중심지로 성장했고, 쌀 생산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 루손섬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루손섬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잠발레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잠발레스 문장
문장
별칭필리핀의 크롬 광산 수도
국가필리핀
지역중앙 루손
설립일1578년
수도이바
주지사헤르모헤네스 E. 에브다네 Jr. (PFP)
부지사재클린 로즈 F. 콩훈 (악숀)
입법부잠발레스 지방 의회
면적3,830.83 km² (올롱가포 시 제외)
면적 순위81개 중 35위
인구909,932 명 (올롱가포 포함)
인구 순위81개 중 46위
최대 해발고도2,037 m
최고 지점타풀라오 산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웹사이트www.zambales.gov.ph
가장 큰 도시올롱가포
행정 구역
구성 도시0
자치시











바랑가이247 (독립시 제외: 230)
하원 의원 선거구잠발레스 주의 선거구 (올롱가포 시와 공유)
인구 통계
민족


언어




주요 종교


교회 관구
수호 성인푼 바토의 성모 및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축일각각 1월 24일과 8월 28일
기타 정보
잠발레스 해안선
잠발레스 주 의사당
수빅 만
잠발레스 산맥
수빅 만 경제자유구역

2. 지리

잠발레스 주는 루손섬 서쪽 해안의 남중국해를 따라 위치한다. 해안선은 험준하며 많은 만과 좁은 해안 만입을 특징으로 한다. 주 동쪽의 잠발레스 산맥은 잠발레스 전체 면적의 약 60%를 차지한다. 수비크 만은 천연 항구를 제공하며, 1992년까지 미 해군 수비크 만 기지가 있었다.[5]

피나투보 산 정상과 분화구 호수는 보톨란에 있으며, 팜팡가 주, 타를라크 주와의 삼각점 근처에 있다.[46] 1991년 6월 피나투보 산이 폭발하면서, 이전 정상은 파괴되고 그 자리에 2.5km 너비의 칼데라가 생겼으며, 그 안에 피나투보 호가 자리 잡았다. 피나투보 호는 평균 수심이 800m로 필리핀에서 가장 깊은 호수이다. 칼데라 가장자리의 최고점은 해발 1485m이며, 폭발 전 정상보다 약 260m 낮다. 1991년 잠발레스 주의 광대한 지역은 약 6.10m 이상의 라하르에 묻혀 사막과 같은 특징을 갖게 되었다.[5]

잠발레스 주는 중앙 루손 지방에 속하며, 삼발레스 산맥 서쪽에 해당된다. 남쪽은 바탄 주, 동쪽은 팜팡가 주와 타를라크 주, 북쪽은 일로코스 지방의 팡가시난 주와 접하며, 서쪽에는 남중국해가 있고, 약 250km 떨어진 곳에 스카보로 암초가 있다.

면적은 3714.4km2이고, 인구는 590,848명(2015년)이며, 주도는 이바이다.

여러 만을 특징으로 하는 주의 서부 해안선


산 안토니오에서 바라본 잠발레스 산맥

2. 1. 기후

잠발레스는 뚜렷한 두 계절을 보인다. 건기는 10월부터 6월까지이며, 우기는 7월부터 9월까지이다.

3. 역사

1918년 잠발레스 주 지도


1947년 군사 기지 협정에 따라[11] 필리핀은 수비크 만 해군 기지를 포함한 여러 미국 기지에 대해 미국에 99년 임대 계약을 허가했다.[12] 1966년 수정안을 통해 협정 기간이 25년으로 단축되었고,[13] 1979년 협정 갱신으로[14] 미국은 1991년 11월까지 기지를 운영했다.[15] 그러나 필리핀 상원이 갱신 법안을 거부하면서 1992년에 미군 기지는 폐쇄되었다.

1970년대 초,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를 야기하며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불안을 초래했다.[20][21] [22][23] 1972년 9월, 마르코스는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을 더 재임했다.[24] 이 시기는 마르코스 행정부의 인권 침해로 기록된다.[25][26]

마르코스 독재 기간 동안 잠발레스는 군사화된 지역 중 하나였다.[28][29] 엘레세르 코르테스,[30] 데니스 데베라투르다,[31] 버치 랜드리토 등 잠발레스 출신 활동가들이 희생되었으며, 이들은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관에 헌정되었다.[32]

올롱가포에서는 베트남 전쟁으로 수비크 만 해군 기지에 미 해군이 증가하면서 매춘이 급격하게 성장했다.[33] 1960년대 말 농업 중심이었던 올롱가포 경제는 1970년대 중반까지 술집 등 성 산업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34][35]

1986년, 잠발레스 주는 피플 파워 혁명을 지지하여 민주주의를 회복했다.[36] 1991년 피나투보산 폭발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정부 노력으로 경제가 회복되었다.[37][38]

2012년 스카버러 암초 대치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필리핀 어부들의 암초 접근을 제한했다.[39] 2016년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과 중화인민공화국의 회담 이후 접근이 허용되었으나,[40] 2018년 중국이 어획물과 생수를 교환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반발을 샀다.[41]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이를 '단순한 물물교환'이라고 옹호했다.[42][43][44] 같은 해, 중국의 스카보로 암초 산호초 파괴가 심각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45]

2020년대 들어 미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2023년 미국군이 대중국 견제를 위해 다시 필리핀 기지 사용권을 획득했다.

3. 1. 스페인 식민 시대

1572년 후안 데 살세도가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가 잠발레스 지역을 처음 탐험했다.[5] 살세도는 팡가시난의 일부인 볼리나오 곶에서 자신의 부하들과 함께 중국 해적선으로부터 삼발 추장과 그의 추종자들을 구출했다. 이 일로 원주민들의 호의를 얻었고, 그 직후 주가 조직되었다. 초기에 설립된 도시로는 수빅(1572년), 보톨란(1572년), 마신록(1607년), 이바(1611년), 산타크루스(1612년) 등이 있었다.[6]

1774년에 제작된 지도에는 스카보로 암초가 "파나콧 암초"로 명확하게 표기되어 스페인령 필리핀, 특히 삼발레스의 완전한 주권 하에 있는 지형으로 묘사되었다. 이 암초의 현재 이름은 동인도 회사 동인도 상선 ''스카버러''의 필립 도버뉴 선장이 1784년 9월 12일, 중국으로 항해하기 전에 암초 중 하나에 잠시 좌초된 사건에서 유래되었다.[7][8]

3. 2. 미국 식민 시대

마신록은 이 주의 첫 번째 주도가 되었다. 그러나 주도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역사상 여러 마을 사이에서 옮겨 다니다가 결국 이바에 정착되었다. 잠발레스 주 북부의 원래 일곱 개 마을, 즉 볼리나오, 인판타, 산 이시드로(San Isidro, 현 부르고스), 안다, 바니, 아그노, 알라미노스는 주도와의 거리 때문에 나중에 팡가시난 주의 관할로 이관되었다.[5] 미국 식민지 시대 동안 잠발레스 주의 첫 번째 민간 지사는 1901년부터 1903년까지 포텐시아노 레사카였다.

3. 3. 전후 시대

1947년 군사 기지 협정에 따라[11] 필리핀은 수비크 만 해군 기지를 포함한 여러 미국 기지에 대해 미국에 99년 임대 계약을 허가했다.[12] 이후 1966년 수정안을 통해 원래 99년이었던 협정 기간이 25년으로 단축되었다.[13] 1979년 협정 갱신을 통해[14] 미국은 1991년 11월까지 기지를 계속 운영할 수 있었으나,[15] 필리핀 상원이 필리핀 내 미국 기지 갱신 법안을 거부하면서 1992년에 미군 기지가 폐쇄되었다.[13]

3. 4. 마르코스 독재 시대

1970년대 초는 잠발레스주뿐만 아니라 필리핀에도 혼란과 변화의 시기였다.[16][17]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를 야기하며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불안을 초래했다.[20][21] [22][23]

1972년 9월, 마르코스는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을 더 재임했다.[24] 이 시기는 마르코스 행정부의 인권 침해 기록으로 기억된다.[25][26]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종교인, 농부 등이 탄압 대상이었다.[27]

마르코스 독재 기간 동안 잠발레스는 가장 군사화된 지역 중 하나였다.[28][29] 이 시기 마르코스 정권에 의해 살해된 잠발레스 출신 활동가 중에는 엘레세르 코르테스,[30] 데니스 데베라투르다,[31] 버치 랜드리토가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관에 헌정되었다.[32]

올롱가포에서는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수비크 만 해군 기지에 미 해군이 증가하면서 매춘이 급격하게 성장했다.[33] 1960년대 말 농업 중심이었던 올롱가포 경제는 1970년대 중반까지 술집과 같은 성 산업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34][35]

1986년, 잠발레스 주는 피플 파워 혁명을 지지하여 민주주의를 회복했다.[36]

3. 5. 20세기 후반 ~ 현재

1970년대 초는 잠발레스 주뿐만 아니라 필리핀 전체에 혼란과 변화의 시기였다.[16][17]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두 번째 임기를 위해 재선을 시도하면서, 전례 없는 수의 외채 자금 지원 공공 사업을 시작했다.[18][19] 이는 필리핀 경제가 갑작스러운 하락세를 겪게 하여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를 야기했고,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불안을 크게 증가시켰다.[20][21] [22][23]

헌법상 허용된 마지막 임기를 1년 남겨둔 마르코스는 1972년 9월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을 더 재임했다.[24] 필리핀 역사에서 이 시기는 마르코스 행정부의 인권 침해 기록으로 기억되며,[25][26]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종교인, 농부 등 마르코스 독재에 맞서 싸운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다.[27] 마르코스 독재 기간 동안 잠발레스는 가장 군사화된 지역 중 하나였다.[28][29] 이 시기 마르코스 정권에 의해 살해된 잠발레스 출신 활동가 중에는 엘레세르 코르테스,[30] 데니스 데베라투르다,[31] 버치 랜드리토가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나중에 마르코스 정권의 민주주의 탄압에 저항한 공로를 인정받아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기념관에 헌정되었다.[32]

올롱가포에서는 베트남 전쟁이 계속되면서 수비크 만 해군 기지에 점점 더 많은 수의 미국 해군이 도착했고, 이와 함께 매춘이 급격하게 성장했다.[33] 마르코스 행정부의 정책은 더 많은 외화를 필리핀 경제로 유입시켰기 때문에 성 산업의 성장을 장려했다.[34] [35] 1960년대 말에 주로 농업 중심이었던 잠발레스의 이 지역 경제는 1970년대 중반까지 술집과 같은 성 산업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34][35]

1986년, 잠발레스 주는 21년의 독재 정권을 종식시키고 코라손 아키노를 대통령으로 임명하여 국가에 민주주의를 되돌린 피플 파워 혁명을 마닐라에서 주도적으로 지지했다.[36]

잠발레스 주는 1991년 피나투보산 폭발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한동안 경제가 위축되었지만, 정부가 잠발레스 주 활성화를 명령하고 1995년까지 남부 지역의 성장을 이끌면서 몇 년 만에 활력을 되찾았고, 이후 남부 지역은 국가의 중요한 경제 구역이 되었다.[37][38]

2012년 스카버러 암초 대치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암초 접근이 제한되는 상황이 발생했다.[39] 그러나 2016년, 필리핀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와 중화인민공화국 측의 회담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필리핀 어부들이 어업을 위해 암초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했다.[40]

2018년에는 삼발 어민들이 3000PHP 상당의 어획물을 잡을 때마다 중국이 20PHP 상당의 '생수 두 병'과 교환하여 가져가는 것으로 밝혀졌다.[41]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중국과 두테르테 행정부의 필리핀 정부에 대한 대중의 반발이 일어났다.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잠발레스 출신들을 포함한 자국민들을 향해 중국의 행동이 '단순한 물물교환'일 뿐이므로 '괜찮다'고 답했다.[42][43][44] 2018년 6월 14일, 중국의 스카보로 암초(Scarborough Shoal) 산호초 파괴가 필리핀 대학교 딜리만의 확인에 따라 구글 어스 및 필리핀 위성을 통해 볼 수 있을 정도로 심화되었다.[45]

한편, 2020년대에 들어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2023년에는 미국군이 대중국을 염두에 두고 다시 기지 사용권을 획득했다.

4. 행정 구역

잠발레스 주는 13개의 지방 자치 도시와 올롱가포 시로 구성된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선거구로 나뉜다. 올롱가포 시는 주로부터 자치적으로 운영된다.[5]

필리핀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파나타그 암초(스카보로 암초)는 주의 지정된 일부이다. 이곳은 마신록 지방 자치 도시 관할로 지정되어 있으나, 국제적으로 분쟁 중이다. 중화인민공화국, 필리핀, 중화민국(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이 사실상 통제하고 있다.[5]

주의 북쪽 절반은 산타크루스, 칸델라리아, 마신록, 팔라우익 지방 자치 도시로 구성된다. 주의 중앙 절반은 이바(주도), 보톨란, 카방안, 산펠리페 지방 자치 도시로 구성된다. 주의 남쪽 절반은 산나르시소, 산마르셀리노, 산안토니오, 카스틸레호스, 수빅 지방 자치 도시와 고도로 도시화된 올롱가포 시로 구성된다.

시/지방 자치 도시선거구인구 (2020년)인구 (2015년)연평균 성장률면적 (km2)면적 (제곱 마일)인구 밀도 (/km2)인구 밀도 (/sq mi)바랑가이 수좌표
보톨란2구66,73957,707735.28km231style="text-align:center;" |
카방안2구28,11825,163175.29km222style="text-align:center;" |
칸델라리아2구30,26327,174333.59km216style="text-align:center;" |
카스틸레호스1구67,88964,84192.99km214style="text-align:center;" |
이바2구55,58150,506153.38km214style="text-align:center;" |
마신록2구54,52947,719316.02km213style="text-align:center;" |
올롱가포1구260,317233,040185km217style="text-align:center;" |
팔라우익2구39,78434,947310km219style="text-align:center;" |
산안토니오2구37,45034,661188.12km214style="text-align:center;" |
산펠리페2구25,03323,183111.6km211style="text-align:center;" |
산마르셀리노1구37,71933,665416.86km218style="text-align:center;" |
산나르시소2구30,75928,36071.6km217style="text-align:center;" |
산타크루스2구63,83958,151438.46km225style="text-align:center;" |
수빅1구111,912104,771287.16km216style="text-align:center;" |
합계649,615590,8483645.83km2230



잠발레스 주에 속한 13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시는 247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4. 1. 주요 도시 및 지방 자치체

지방 자치체명
수빅
카스텔레호스
산마르셀리노
산안토니오
산나르시소
산필리페
카방간
보토란
이바
팔라이그
마신록
칸델라리아
산타크루스



5. 인구

출처: 필리핀 통계청[5][6][7]



5. 1. 주민

피나투보 산의 아이타족은 현재 잠발레스 주에 가장 먼저 정착한 주민이었다.[5] 그들은 이후 잠발레스 주의 이름의 유래가 된 삼발족(오스트로네시아족)에게 밀려났다.[5] 많은 삼발족은 여전히 ​​수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오는 미신과 미스터리를 믿고 있다.

타갈로그족, 일로카노족, 삼발족, 캄팡가족, 팡가시난족은 오늘날 잠발레스 주에서 가장 큰 다섯 개의 민족 집단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들 정체성은 혼혈[47]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해 서로 중복될 수 있으며 실제로 그렇다. 인구가 적은 주의 계곡에는 일로코스 지방과 남부 타갈로그에서 온 정착민들이 정착하여 삼발족이 일로카노 및 타갈로그 정착민에게 동화되었고, 현대에는 삼발 문화적 정체성과 언어가 쇠퇴했다.[4][48][49][50][51] 잠발레스 주 남부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 해군 기지 수빅 만(산 안토니오와 수빅)에서 미국의 통치 시대인 미국 시대에 생겨난 일자리 기회로 인해 전국 각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구하여 그곳에 정착했다. 미국의 존재는 주민들의 문화와 생활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20년 인구 조사에서 잠발레스 주의 인구는 649,615명이었다. 지리적 목적으로 올롱가포 시를 포함하면, 이 주의 인구는 909,932명이다.

5. 2. 종교

잠발레스주 주민들은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78.22%)이며, 이바 교구의 관할을 받는다. 상당수의 인구는 아글리파얀 교회 신자(6.12%)와 Iglesia ni Cristo(6%) 신자이며, 이 교회는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 심지어 외딴 지역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다. 나머지 신자들은 필리핀의 기독교 내의 다른 기독교 단체, 예를 들어 거듭난 기독교, 연합 감리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필리핀 연합 기독교회와 비기독교인, 주로 무슬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구에서는 수호 성인을 기리는 축제가 열린다.

푼 바토의 성모 잠발레스주 수호성인

5. 3. 언어

삼발어, 타갈로그어, 일로카노어는 잠발레스 주의 3대 주요 언어이다.[5] 일로카노어는 115,337명의 모어 화자를, 삼발어는 114,637명, 타갈로그어는 250,637명 (비모어 화자 24,995명 포함)의 화자를 가지고 있다.[53] 이바 지역의 삼발 주민들은 삼발어에서 일로카노어와 타갈로그어로 언어를 전환했으며, 카스티예호스 지역은 일로카노어에서 타갈로그어로, 카방안 지역은 일로카노어와 삼발어에서 타갈로그어로 언어가 전환되었다.[48] 인구의 약 75%는 영어 구사 능력이 다소 차이는 있지만, 영어를 이해하고 있으며, 도로 표지판은 대부분 영어로 작성되어 있다.

6. 경제

잠발레스 주는 기본적으로 농업 지역이다. 주요 생산품은 , 망고, 옥수수, 채소, 뿌리채소이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어업, 광업이 있다. 니켈과 크롬 광석이 풍부하다.[5]

관광 산업은 잠발레스 주 경제에서 큰 역할을 한다.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해변은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주 대부분은 여전히 농업 지역이지만, 잠발레스 주민뿐만 아니라 인접 주의 주민들에게도 일자리를 제공하는 상당한 산업 및 상업 지역이 있다. 최근 잠발레스 주에서는 니켈 및 기타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광업이 호황을 이루고 있다.[5]

잠발레스 주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연간 수입 성장률 20.9억필리핀 페소를 달성하고 2023년 경제 성장률 5%를 기록하면서 1급 주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2022년 11.2% 성장보다 둔화된 수치이다.

잠발레스 주의 망고

7. 교육

잠발레스 주에는 고등 교육 기관이 많다. 이바에 있는 라몬 막사이사이 공과대학(Ramon Magsaysay Technological University)은 이 지역 최초의 주립 대학이다.[1]

라몬 막사이사이 주립 대학교(President Ramon Magsaysay State University, PRMSU)는 이바에 있으며, 산타크루스, 칸델라리아, 마신록, 보톨란, 산마르셀리노, 카스티예호스에 분교가 있다.[1] 올롱가포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가 운영하는 세인트 조셉 칼리지-올롱가포(St. Joseph College-Olongapo)와 콜럼반 칼리지(Columban College)가 있다. 산나르시소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가 운영하는 막사이사이 기념 칼리지(Magsaysay Memorial College)가 있다.[1]

'''잠발레스 주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

학교명위치비고
AIE 국제 대학교올롱가포 시
AMA 컴퓨터 칼리지올롱가포 시
AMA 컴퓨터 학습 센터올롱가포 시
아시아 컴퓨터 연구소올롱가포 시
베스트 프리포트 칼리지 주식회사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보톨란 폴리텍 칼리지보톨란
캡스톤 비즈니스 및 예술 연구소올롱가포 시
중부 루손 과학 기술 칼리지올롱가포 시
수비크 몬테소리 칼리지 수비크 만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카스티예호스 칼리지카스티예호스
콜룸반 칼리지 - 바레토 캠퍼스올롱가포 시
콜룸반 칼리지 - 산타 크루즈 캠퍼스산타 크루즈
콜룸반 칼리지 - 메인 캠퍼스올롱가포 시
콤텍 컴퓨터 및 비즈니스 칼리지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돈 보스코 잠발레스 칼리지카스티예호스
돈 루이스 오린 주니어 범죄학 칼리지, 주식회사이바
제1 EDT 학습 센터, 주식회사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프리포트 SBLC 주식회사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GIS 기술 연구소 필스 주식회사산 마르셀리노
글로벌 시티 혁신 칼리지 수비크올롱가포 시
고든 칼리지올롱가포 시
홀리 인펀트 지저스 칼리지올롱가포 시
희망찬 시작 연구소이바
키스톤 수비크 국제 언어 센터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콜레히오 앙 수비크수비크
로레인 기술 학교올롱가포 시
수비크 만 리세움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막사이사이 기념 칼리지산 나르시소
메트로 수비크 칼리지올롱가포 시
마이크로 아시아 과학 기술 칼리지산타 크루즈, 이바
몬드리안 아우라 칼리지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네트워크 컴퓨터 및 비즈니스 칼리지올롱가포 시
북부 잠발레스 칼리지마신록
필리핀 상선 해양 아카데미산 나르시소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립 대학교칸델라리아, 카스티예호스, 이바, 마신록, 산 마르셀리노
산 안토니오 상업 기술 연구소산 안토니오
샌드 밸리 예술 및 무역 연구소이바
성 베닐데 글로벌 경쟁력 센터올롱가포 시
성 요셉 칼리지올롱가포 시
성 니콜라스 시스텍 칼리지팔라우이그
성 테레사 칼리지산 마르셀리노
STI 칼리지올롱가포 시
수비크 만 외국어 센터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수비크 만 수도 당국 법 집행 아카데미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수비크 만 칼리지 주식회사올롱가포 시
수비크 국제 연구소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산 펠리페 기술 칼리지산 펠리페
토마사이트 국제 연구 센터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필리핀 대학교 - 올롱가포 확장 프로그램수비크 만 경제 자유 구역
비르헨 데 로스 레메디오스 칼리지올롱가포 시
비르헨 데 로스 레메디오스 범죄학 칼리지이바
잠발레스 아카데미산 나르시소
잠발레스 생명 구조 주식회사 PCG 공인 인명 구조 훈련 기관보톨란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립 대학교(PRMSU)는 1910년에 설립된 이바에 위치한 국립 대학교이다.[1] 이 대학교는 이 지역 출신인 라몬 막사이사이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본교는 이바에 있으며, 산타크루스, 칸델라리아, 마신록, 보톨란, 산마르셀리노, 카스티예호스에 분교가 있다.[1]

콜룸반 칼리지는 1961년에 설립된 잠발레스의 사립 가톨릭 교육 기관이다.[1] 아일랜드 출신 선교사들이 성 콜룸반 선교회에서 설립하여 이바 교구에 넘겨주었다.[1] 본교는 올롱가포 시에 있으며, 보. 바레토(올롱가포)와 산타 크루즈에 다른 캠퍼스가 있다.[1]

8. 축제 및 행사

참조

[1] 뉴스 Mining Firms Seek to Export Black Sand Thru Subic Port http://www.dalegador[...] 2016-03-23
[2]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2-13
[3] 뉴스 It's more fun than an airport in Subic http://newsinfo.inqu[...] 2014-05-15
[4] 서적 Negritos of Zambales Bureau of Public Printin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04
[5]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https://books.google[...] Tahanan Books 2015-02-07
[6] 웹사이트 Municipalities https://archive.toda[...]
[7] 문서 A New Nautical Directory for the East-India and China Navigation 1804
[8] 서적 The Oriental Navigator, Or, New Directions for Sailing to and from the East Indies: Also for the Use of Ships Trading in the Indian and China Seas to New Holland, &c. &c https://books.google[...] James Humphreys
[9]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10]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archive.org/[...]
[11]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Concerning Military Bases https://www.loc.gov/[...] United States Library of Congress 2017-12-16
[12] 웹사이트 Philippines : The Early Republic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7-12-16
[13] 뉴스 PHILIPPINE SENATE VOTES TO REJECT U.S. BASE RENEWAL https://www.nytimes.[...] 2018-01-29
[14] 서적 Suspended Apocalypse: White Supremacy, Genocide, and the Filipino Condition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2017-12-17
[15] 뉴스 After 89 Years, U.S. Lowers Flag at Clark Air Base https://www.latimes.[...] 2011-03-12
[16]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17]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Philippine Political Protest https://www.official[...] 2024-08-16
[18] 간행물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2022-11-06
[19]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0] 간행물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21]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22]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23]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24]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25]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26]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27]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018-06-15
[28] 뉴스 'Never again to martial law' http://newsinfo.inqu[...] 2017-09-22
[29] 웹사이트 Life During Martial Law http://www.clarkhuma[...]
[30] 웹사이트 ellecer-cortes https://bantayogngmg[...]
[31] 웹사이트 dennis-deveraturda https://bantayogngmg[...]
[32] 웹사이트 vergel-landrito https://bantayogngmg[...]
[33] 문서 Pipe Dream for the Ladies: Constructs of Rights of Prostituted Women among Social Actors in the Sex Industry of Olongapo City, Zambales
[34] 서적 Sex, Money, and Morality: Prostitution and Tourism in South-east Asia Zed Books 1990
[35] 문서 Sexuality, Gender, and US Imperialism after Philippine Independence: An Examination of Gender and Sexual Stereotypes of Pilipina Entertainment Workers and US Servicemen 2015
[36] 웹사이트 Defying Marcos, Filipino Americans emerged as a force against tyranny http://globalnation.[...] 2012-09-18
[37] 웹사이트 Learn About the 1991 Mount Pinatubo Volcanic Eruption https://www.thoughtc[...]
[38] 웹사이트 The Cataclysmic 1991 Eruption of Mount Pinatubo, Philippines, Fact Sheet 113-97 https://pubs.usgs.go[...]
[39] 웹사이트 Chinese 'occupation' of Bajo de Masinloc could reduce PH territorial waters by 38 percent http://www.abs-cbnne[...] ABS-CBN News and Current Affairs 2013-01-21
[40] 뉴스 South China Sea: Philippines sees Chinese attempt to build on reef near its coast https://uk.news.yaho[...] IBT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7-02-09
[41] 웹사이트 "'2 bottles of water for P3,000 worth of fish in Panatag Shoal'" https://www.rappler.[...] 2018-06-14
[42] 웹사이트 Palace: PH not conceding Scarborough Shoal rights to China http://news.abs-cbn.[...]
[43] 웹사이트 "'UNACCEPTABLE': Bayan condemns China Coast Guard harassment of Pinoy fishermen in Scarborough Shoal" http://www.gmanetwor[...]
[44] 웹사이트 Carpio: Duterte admin should stand by Filipinos harassed at Scarborough Shoal http://newsinfo.inqu[...] 2018-06-08
[45] 웹사이트 Destruction of Scarborough Shoal seen on Google Earth https://www.philstar[...] Philstar.com 2018-10-22
[46] 지도 Tarlac map http://www.lib.utexa[...]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55
[47] 웹사이트 Iba travel guide http://www.world66.c[...] 2008-12-04
[48] 웹사이트 The Historical Indúng Kapampángan: Evidence from History and Place Names https://www.sinupan.[...] 2023-11-28
[49] 웹사이트 Zambales Province, Home Province of Subic Bay and Mt. Pinatubo https://subliblog.co[...] 2019-08-04
[50] 웹사이트 History of Iba https://www.ibazamba[...]
[51] 웹사이트 Who We Are: Zambales http://region3.dilg.[...]
[52] 웹사이트 Zambales: Dependency Ratio Down by Five Persons (Results from the 200… http://www.census.go[...] 2013-06-19
[53] 웹사이트 Zambales http://www.visitzamb[...] 2007-08-13
[54] 웹사이트 米軍、フィリピンで基地使用権を拡大 中国を取り囲む同盟の目的は? https://www.bbc.com/[...] BBC 2023-09-13
[55]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56] 통계 2000
[57] 통계 2003
[58] 통계 2006
[59] 통계 2012
[60] 통계 2015
[61] 통계 2018
[62] 통계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