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티스트 클레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바티스트 클레베르는 1753년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난 프랑스 혁명 시대의 장군이다. 건축학을 공부하고 오스트리아 군대에서 복무한 그는 프랑스 혁명 전쟁에 참전하여 여단장, 사단장을 거쳐 라인 전선에서 활약했다. 이집트 원정에도 참여하여 알렉산드리아 총독을 맡았으며, 나폴레옹이 떠난 후 프랑스군 지휘관이 되었다. 1800년 헬리오폴리스 전투에서 승리하고 카이로를 재점령했으나, 같은 해 암살당했다. 그의 시신은 스트라스부르 클레베르 광장에 안장되었으며, 프랑스 혁명 시대 최고의 장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데 전쟁 참전 군인 - 루이 라자르 오슈
루이 라자르 오슈는 프랑스 혁명 시기의 군인으로, 혁명 전쟁에서 활약하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고,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석방 후 군 사령관이 되었으나 2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방데 전쟁 참전 군인 -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
앙리 드 라 로슈자클랭은 프랑스 혁명 시기 방데 반란을 이끈 지도자이며, 농민들을 이끌고 혁명에 맞서 싸우다 21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 1800년 사망 - 정조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탕평책 계승, 규장각 설치,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실시, 수원 화성 건설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47세에 사망하여 건릉에 안장되었다. - 1800년 사망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는 혁신적인 전술로 수많은 전쟁에서 공을 세운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이스마일 요새 함락 등의 잔혹 행위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러시아 육군 및 해군 대원수 칭호를 받았고 그의 군사 전략은 후대 러시아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바티스트 클레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프랑스어: Jean-Baptiste Kléber |
출생일 | 1753년 3월 9일 |
사망일 | 1800년 6월 14일 (47세) |
출생지 | 스트라스부르, 프랑스 왕국 |
사망지 | 카이로, 오스만 이집트 |
안장지 | 클레베르 광장, 스트라스부르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군사 정보 | |
소속 | |
군종 | 프랑스 왕립군 제국군 프랑스 혁명군 |
복무 기간 | 1769–1770 (프랑스) 1777–1783 (신성 로마 제국) 1792–1800 (프랑스) |
최종 계급 | 사단장 |
부대 | 오-랭 4대대 상브르-뫼즈 군단 동방 원정군 |
주요 참전 전투 |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방데 전쟁 티포주 전투 몽테귀 전투 라 트렘블레 전투 제2차 숄레 전투 돌 전투 르망 전투 사브네 전투 제1차 대프랑스 동맹 마인츠 공방전 플랑드르 전역 고슬리 전투 플뢰뤼스 전투 로어 전투 마인츠 전투 1796년 라인 전역 알텐키르헨 전투 프리드베르크 전투 프랑스의 이집트와 시리아 원정 엘 아리시 공성전 야파 공성전 아크레 공성전 타보르 산 전투 헬리오폴리스 전투 |
서훈 | 개선문 명각 (남쪽 기둥, 23번 열) |
![]() |
2. 초기 생애 및 경력
장바티스트 클레베르는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나 초기에는 건축가로 활동했으며, 젊은 시절 오스트리아군에서 복무한 경험도 가지고 있다.
2. 1. 출생 및 건축 경력
장바티스트 클레베르는 1753년 3월 9일 스트라스부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알자스 지방의 건축가였다. 그는 1769년 잠시 프랑스 제1 척탄병 연대에 입대했지만, 1770년부터 1774년까지 파리에서 장 샬그랭 밑에서 건축학을 공부하기 위해 사임했다.선술집 싸움에서 두 명의 독일 귀족을 도운 것을 계기로 뮌헨의 군사 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군의 '카우니츠' 보병 연대 제38연대에 임관했다. 그는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여했지만 주요 교전에는 참가하지 않았고,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몽스, 메헬렌, 룩셈부르크 등지에서 번갈아 복무했다. 낮은 신분 때문에 중위 이상으로 진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자, 7년 복무 후 1783년에 오스트리아 군대를 떠났다.

프랑스로 돌아온 클레베르는 벨포르의 공공 건물 감찰관으로 임명되어 본격적인 건축가 활동을 시작했다. 1784년부터 1792년까지 공공 및 사적 의뢰를 받아 여러 건물을 설계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는 현재 탄의 시청으로 사용되는 건물(1787–1793)이다. 이 건물은 원래 병원으로 설계되었으나, 완공 전에 행정 건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2]
다른 현존하는 주요 건축물로는 1790년경에 지어진 그랑빌라르의 ''샤토''[3] 와 마세보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여수도원 주택(1781–1790)이 있다. 여수도원 주택은 총 9채가 계획되었으나, 프랑스 혁명의 발발로 7채만 건설되었다.[4]
스트라스부르 역사 박물관에는 장바티스트 클레베르에게 헌정된 방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곳에서 그의 건축 스케치와 디자인을 볼 수 있다.
2. 2. 군 경력 초기
1769년 잠시 프랑스 제1 척탄병 연대에 입대했으나, 1770년부터 1774년까지 파리에서 장 샬그랭과 함께 건축학을 공부하기 위해 군을 떠났다. 이후 선술집 싸움에서 독일 귀족 두 명을 도운 것을 계기로 뮌헨의 군사 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다. 학교 교육을 마친 뒤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 군대의 '카우니츠' 보병 연대 제38연대에 임관했다.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했으나, 주요 교전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의 몽스, 메헬렌, 룩셈부르크 주둔지에 번갈아 배치되었다. 낮은 신분 때문에 중위 이상으로 진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7년간의 복무를 마치고 1783년에 오스트리아 군대를 제대했다.3. 프랑스 혁명 전쟁
1792년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클레베르는 오랭주 제4 자원병 대대에 입대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다.[5] 군사 경험을 바탕으로 빠르게 부관과 대대 중령으로 승진했으며, 1793년 마인츠 방어전에서의 활약으로 여단장이 되었다.
이후 서부 프랑스로 파견되어 방데 반란 진압에 참여했으며, 여러 전투를 거치며 사단장으로 승진했다.[5] 프랑수아 마르소와 함께 가톨릭 왕당파 격파에 기여했으나, 방데 주민에 대한 관대한 입장을 보이다 잠시 소환되기도 했다. 1794년 아르덴 군대로 복귀하여 라인 전선으로 이동했고, 플뢰뤼스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5] 상브르-뫼즈 군대 소속으로 복무하며 장바티스트 조르당 장군을 보좌했고, 여러 차례 최고 사령관직 제의를 받았으나 거절했다.
1798년 초 잠시 군을 떠났으나, 같은 해 말 복귀하여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집트 원정에 합류했다.[5]
3. 1. 방데 반란 진압

1792년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클레베르는 오랭주 제4 자원병 대대에 입대했다.[5] 그의 군사적 경험 덕분에 즉시 부관으로 선출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대 중령으로 승진했다. 1793년 7월 마인츠 방어전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으며, 나머지 수비대와 함께 불명예스럽게 투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즉시 복직하여 1793년 8월 여단장으로 진급했다.
이후 클레베르는 라로셸 해안 군대에 배치되어 서부 프랑스로 파견되었고, 방데 반란 진압에 참여하게 되었다.[5] 1793년 9월 19일 티포주 전투에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파견된 정치 위원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지휘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었다.[5] 한 달 뒤, 클레베르는 쇼레 전투에서 공화파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여 1793년 10월 17일 사단장으로 승진했다.[5] 이 과정에서 그는 프랑수아 마르소 장군과 가까운 사이가 되었으며, 두 사람은 함께 1793년 12월 르 망 전투와 사브네 전투에서 가톨릭 왕당파 군대를 격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클레베르가 방데 지역 주민들에게 관대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하자, 혁명 정부 당국은 그를 파리 중앙으로 소환했다. 그러나 그의 능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1794년 4월 다시 복직되었고, 아르덴 군대로 배치되었다.[5]
3. 2. 라인 전선 활약
1794년 4월, 클레베르는 아르덴 군대로 보내졌다.[5] 그는 샤를루아 주변의 여러 작전에서 뛰어난 능력과 용기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1794년 6월 26일 플뢰뤼스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주로 라인 전선에서 상브르-뫼즈 군대 소속으로 복무했다.[5]1794년부터 1795년 겨울까지는 마인츠를 포위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1795년과 1796년에는 잠시 군대의 최고 사령관 직을 대행하기도 했으나, 정식 사령관으로 임명되는 것은 거절했다. 1795년 10월 13일, 그는 노이비트 다리에서 훌륭한 후위 작전을 지휘했으며, 1796년 공세 작전에서는 장바티스트 조르당 장군의 가장 유능하고 성공적인 부관으로 활약했다. 특히 1796년 6월 1일 지크부르크 전투에서의 승리는 조르당 장군이 프랑스 군대의 주력을 이끌고 라인강을 건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라인강으로 후퇴한 후, 클레베르는 다시 한번 최고 사령관 직 제의를 거절하고 1798년 초 군대를 떠나 잠시 은퇴했다. 그러나 같은 해 말, 그는 다시 군에 복귀하여 처음에는 잉글랜드 군대에서 복무했고,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군 휘하의 이집트 원정군에 합류했다.[5]
4. 이집트 원정
장바티스트 클레베르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따라 이집트 원정에 참여했다. 원정 초기 알렉산드리아에서의 교전 중 머리 부상을 입어 피라미드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고 알렉산드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799년 시리아 원정에서는 선봉 부대를 이끌며 엘 아리쉬, 가자, 자파를 점령하고 타보르 산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799년 말, 나폴레옹이 프랑스로 돌아가면서 클레베르는 사전 협의 없이 이집트 주둔 프랑스군의 총사령관직을 맡게 되었다.[6] 당시 프랑스군은 철수나 점령지 유지가 모두 어려운 상황이었다. 클레베르는 현실적인 판단 아래 영국 해군의 시드니 스미스 제독과 엘 아리쉬 협정(1800년 1월 24일)을 맺어 프랑스군의 명예로운 철수를 시도했다.[6] 하지만 영국 해군의 키스 경 제독이 협정 비준을 거부하자, 클레베르는 다시 군사적 대응을 선택했다.[6] 그는 1800년 3월 20일 헬리오폴리스 전투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오스만 투르크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후 반란이 일어난 카이로를 다시 점령했다.
클레베르는 군사 활동 외에도 프리메이슨으로서 이집트에 프리메이슨 조직을 소개하는 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그는 1800년 1월 카이로에 La Loge Isis|이시스 로지fra를 창설하고 초대 마스터를 맡았으며, 이 로지는 프랑스 혁명의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를 모토로 삼았다.[7][8][9]
4. 1. 초기 활동
클레베르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따라 이집트 원정에 참여했다. 그러나 알렉산드리아에서의 첫 교전에서 머리에 부상을 입어 피라미드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했고, 대신 알렉산드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799년 시리아 원정에서는 선봉 부대를 지휘하며 엘 아리쉬, 가자, 자파를 점령했다. 또한 1799년 4월 15일에서 16일에 걸쳐 벌어진 타보르 산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1799년 말, 나폴레옹이 프랑스로 철수하면서 프랑스군의 상황은 어려워졌다. 나폴레옹은 떠나기 전 클레베르와 상의 없이 그를 프랑스군 지휘관으로 남겨두었다.[6] 클레베르는 군대를 프랑스로 데려가거나 점령지를 유지할 희망이 없다고 판단하고, 시드니 스미스 제독과 엘 아리쉬 협정(1800년 1월 24일)을 협상하여 프랑스군의 명예로운 철수 권리를 확보했다.[6] 그러나 키스 경 제독이 협정 비준을 거부하자, 클레베르는 헬리오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투르크군을 공격했다.[6] 1800년 3월 20일, 그는 불과 1만 명의 병력으로 6만 명의 투르크군을 상대로 완벽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프랑스 통치에 반란을 일으킨 카이로를 다시 점령했다.
석공의 아들이었던 클레베르는 저명한 프리메이슨이기도 했으며, 이집트에 프리메이슨을 전파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1800년 1월 시드니 스미스와 협상하는 동안, 그는 카이로에 '이시스 로지'(La Loge Isisfra)라는 메이슨 신전을 열고 초대 마스터로 활동했다.[7][8][9] 이 로지의 모토는 프랑스 혁명의 슬로건인 자유, 평등, 박애였다.[7]
4. 2. 시리아 원정
클레베르는 이집트 원정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따라 참전했으나, 알렉산드리아에서의 첫 교전 중 머리에 부상을 입어 피라미드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고 알렉산드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799년 시리아 원정에서는 선봉 부대를 지휘하여 엘 아리쉬, 가자, 자파를 차례로 점령했다. 특히 1799년 4월 15일부터 16일까지 벌어진 타보르 산 전투에서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나폴레옹이 1799년 말 프랑스로 철수하면서, 클레베르는 나폴레옹과의 상의 없이 갑작스럽게 이집트 주둔 프랑스군의 총지휘관으로 남겨졌다.[6] 당시 프랑스군은 병력을 본국으로 데려가거나 점령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클레베르는 이러한 현실을 인지하고, 시드니 스미스 제독과 협상하여 1800년 1월 24일 엘 아리쉬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은 프랑스군이 명예롭게 철수할 권리를 보장하는 내용이었다.[6]
그러나 영국 해군의 키스 경 제독이 협정 비준을 거부하자, 클레베르는 다시 전투를 준비해야 했다.[6] 그는 1800년 3월 20일 헬리오폴리스 전투에서 약 1만 명의 병력으로 6만 명에 달하는 오스만 제국군을 상대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프랑스 통치에 반기를 들었던 카이로를 다시 점령하며 이집트에서의 프랑스 지배력을 일시적으로 회복시켰다.
4. 3. 프랑스군 총사령관 임명 및 엘 아리쉬 협정
나폴레옹이 1799년 말 프랑스로 돌아가면서 프랑스군의 상황은 좋지 않았다. 나폴레옹은 떠나기 전 클레베르와 상의 없이 그를 프랑스군 지휘관으로 임명했다.[6]클레베르는 군대를 프랑스로 데려가거나 이집트 내 프랑스 세력을 공고히 할 희망이 없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그는 영국 해군의 시드니 스미스 제독과 협상하여 1800년 1월 24일 엘 아리쉬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으로 프랑스군은 명예롭게 이집트에서 철수할 권리를 얻었다.[6]
그러나 영국 해군의 키스 경 제독이 협정 조건의 비준을 거부하자, 클레베르는 군사적 대응에 나섰다. 그는 헬리오폴리스 전투에서 오스만 투르크 군대를 공격했다.[6] 1800년 3월 20일, 클레베르는 약 1만 명의 병력으로 6만 명에 달하는 투르크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그는 프랑스 통치에 반기를 든 카이로를 다시 점령했다.
4. 4. 헬리오폴리스 전투와 카이로 재점령
1799년 말 나폴레옹이 프랑스로 돌아가면서 이집트의 프랑스군은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나폴레옹은 떠나기 전 클레베르와 상의 없이 그를 프랑스군 지휘관으로 임명했다.[6] 클레베르는 군대를 프랑스로 데려가거나 점령지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시드니 스미스 제독과 엘 아리쉬 협정(1800년 1월 24일)을 협상하여 프랑스군의 명예로운 철수 권리를 확보했다.[6]그러나 영국 해군의 키스 경 제독이 이 협정의 비준을 거부하자, 클레베르는 협정을 파기하고 군사적 대응을 선택했다.[6] 그는 1800년 3월 20일 헬리오폴리스 전투에서 약 1만 명의 병력으로 6만 명에 달하는 투르크군을 공격하여 완전히 격파했다. 이후 클레베르는 프랑스 통치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카이로를 다시 점령했다.
4. 5. 프리메이슨 활동
석공의 아들이자 저명한 프리메이슨이었던 클레베르는 이집트에 프리메이슨을 들여오는 데 기여했다는 증언이 있다.[7] 1800년 1월 시드니 스미스와 협상하는 동안 클레베르는 카이로에 메이슨 신전을 열어 La Loge Isis|이시스 로지fra를 창설하고, 초대 마스터로 활동했다.[7][8][9] 이 로지의 모토는 프랑스 혁명의 슬로건인 자유, 평등, 박애였다.[7]5. 암살 및 사후
이집트 원정에서 승리를 거둔 직후인 1800년 6월 14일, 클레베르는 카이로에서 술레이만 알-할라비라는 시리아 학생에게 암살당했다.[10] 그의 시신은 방부 처리되어 프랑스로 옮겨졌으며,[12] 오랜 시간이 흐른 뒤 고향인 스트라스부르의 클레베르 광장 중앙에 안장되었다.[13] 그의 이름은 개선문에도 새겨져 기려지고 있다.
5. 1. 암살

클레베르는 이 승리 직후인 1800년 6월 14일, 카이로의 알피 비카 궁전 정원을 걷던 중 암살당했다. 암살범은 이집트에 거주하던 쿠르드족[10] 혹은 아랍계 시리아 학생인 술레이만 알-할라비였다. 술레이만은 클레베르에게 구걸하는 척 접근하여 손을 잡은 뒤 단검으로 심장, 복부, 왼쪽 팔, 오른쪽 뺨을 찔렀다.
암살 직후 술레이만은 궁전 근처에 숨었으나, 범행에 사용된 단검을 소지한 채 곧바로 체포되었다. 그는 이후 처형되었다. 공교롭게도 클레베르가 암살된 날은 그의 친구이자 동료인 데세가 마렝고 전투에서 전사한 날이기도 했다.
암살범 술레이만의 오른팔은 불에 태워졌으며, 카이로의 한 광장에서 꼬챙이 형에 처해져 수 시간 동안 고통 속에 죽도록 방치되었다. 그의 두개골은 프랑스로 보내졌고, 프랑스 골상학자들은 이 두개골의 특징을 "범죄"와 "광신"을 나타내는 증거로 삼아 의학도들을 가르치는 데 사용했다.[11]
5. 2. 장례 및 유산

암살당한 후 클레베르의 시신은 방부 처리되어 프랑스로 송환되었다.[12] 나폴레옹은 그의 묘가 공화주의의 상징이 될 것을 우려하여, 시신을 마르세유 근처 섬에 있는 이프 성에 보관하도록 명령했다. 시신은 18년 동안 그곳에 보관되었다. 이후 루이 18세가 클레베르에게 그의 고향인 스트라스부르에 묘지를 마련해 주었다.[13] 클레베르는 1838년 12월 15일, 스트라스부르의 클레베르 광장 중앙에 세워진 자신의 동상 아래에 묻혔다. 그의 심장은 따로 분리되어 파리 앵발리드의 생 루이 예배당 제단 아래 총독의 지하 묘실에 있는 항아리에 보관되어 있다. 클레베르의 이름은 개선문 남쪽 기둥의 23번 열에 새겨져 있다.
6. 평가
클레베르는 의심할 여지 없이 프랑스 혁명 시대 최고의 장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스스로 최고 지휘관의 책임을 맡는 것을 주저하기도 했지만, 그의 경력은 그가 충분히 그 역할을 감당할 능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부관으로서 그의 능력은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 재정이 바닥나고 병사들이 봉급 부족으로 불만을 품고 있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이집트에서의 업무 수행은 그의 행정가로서의 능력이 장군으로서의 능력에 결코 뒤지지 않음을 증명했다. 클레베르 자신은 나폴레옹에 대해 엇갈린 견해를 가지고 있었지만(때로는 나폴레옹을 비난하고 그의 모습을 조롱하는 캐리커처를 그리기도 했다), 나폴레옹은 클레베르의 군사적 재능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 나폴레옹은 "클레베르가 전투에 임하는 것을 보는 것만큼 훌륭한 광경은 없다"고 말하며, 그를 전쟁의 신 마르스에 비유하기도 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Jean-Baptiste Kléber
http://www.frenchemp[...]
2016-02-16
[2]
웹사이트
Hôtel de ville de Thann
http://patrimoine.al[...]
2016-02-15
[3]
웹사이트
Château, puis tréfilerie et usine de petite métallurgie dites le Château
http://www.actuacity[...]
2016-02-15
[4]
웹사이트
Abbaye de bénédictines Saint-Léger
http://www.actuacity[...]
2016-02-16
[5]
서적
Dictionnaire Napoléon
https://www.napoleon[...]
Éditions Fayardurl
[6]
서적
Napoleon in Egypt: The History and Legacy of the French Campaign in Egypt and Syria
Charles River Editors
[7]
간행물
Freemasonry in Egypt 1798-1921: A Study in Cultural and Political Encounters
https://www.jstor.or[...]
[8]
문서
Dictionnaire universelle de la Franc-Maçonnerie
Larousse
2011
[9]
문서
La franc-maçonnerie révélée aux profanes
Presses de Chatelet
2009
[10]
서적
Islamists of the Maghreb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0-05
[11]
웹사이트
Halabi, Suleiman al-
http://damascus-onli[...]
2009-12-31
[12]
웹사이트
Tour nécropolitain du métropolitain – 2nde partie : de J à Q – Cimetières de France et d'ailleurs
http://www.landrucim[...]
[13]
웹사이트
Kléber après Kléber (1800-2000) – Jean Paul Baillard
https://www.parution[...]
[14]
서적
Swords Around A Throne: Napoleon's Grand Armee
Da Capo Pres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