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연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연우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954년에 태어나 1015년에 사망했다. 거란의 침입 시기에 활약했으며, 현종을 호종한 공으로 중추사와 판어사대사를 역임했다. 1014년, 군액 증가로 인한 녹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업전을 빼앗아 녹봉에 충당할 것을 건의했으나, 이는 김훈과 최질의 반란을 야기하여 사적에서 제명되었다. 이후 복직하여 호부상서가 되었으나, 그 해 사망했으며, 사후 상서우복야로 추증되었다. 그의 시 "한송정곡"은 조선 시대 문집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5년 사망 - 블라디미르 1세
    블라디미르 1세는 980년부터 1015년까지 키예프 루스를 통치하며 영토를 확장하고 동방 정교회를 국교로 받아들여 비잔틴 문화를 전파하여 동슬라브 민족에게 기독교 시대를 열었다.
  • 1015년 사망 - 아르두이노 디브레아
    아르두이노 디브레아는 1002년 오토 3세 사후 롬바르드 귀족들의 지지로 이탈리아 왕이 되었으나, 하인리히 2세와 왕위를 다투며 이탈리아 독립을 지키려 노력했고, 자신의 이름을 딴 교회들을 건립했으며, 사후 이브레아 후작령 분할을 초래했다.
  • 고려의 호부상서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고려의 호부상서 - 척준경
    척준경은 고려 중기의 무신으로, 윤관과 함께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워 동북 9성 축조에 기여했으나, 이자겸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리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 흥덕 장씨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 흥덕 장씨 - 장신영
    장신영은 2001년 전국 춘향 선발대회에서 현을 수상하고 연기 활동을 시작하여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장연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이름장연우
한자 이름張延祐
로마자 표기Jang Yeonu
한국어 발음안경
한자 발음安敬
로마자 발음Angyeong
인물 정보
국적고려
성별남성
가문흥덕 장씨
생애
출생954년
사망1015년
관직 및 경력
주요 직위고려의 호부상서
재임 시기(미상)
군주현종
아버지장유(張儒)
추증상서우복야 추증

2. 가계

아버지 張儒|장유중국어는 후백제 영주(瀛州; 현재의 전라북도 고창군) 상질현(尙質縣; 현재의 흥덕면) 출신으로 후삼국 시대 난을 피해 오월(吳越)로 피난갔다가 고려 태조가 삼국을 통일한 뒤에 환국하여 광종 때 예빈성(禮賓省)에서 중국 사신을 접대하는 일을 전담하였다. 장연우는 흥덕 장씨 장유의 아들이었다. 장유는 광종 재위 기간 동안 객성에서 근무했다.[1] 장연우는 광종 재위 시기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

3. 생애

장연우는 고려 현종 때 문신으로, 거란의 침입과 무신정변 등 굵직한 사건들을 겪었다.

1014년, 장연우는 황보유의와 함께 군인들의 영업전을 빼앗아 관리들의 녹봉에 충당할 것을 건의했다. 이는 군인들의 큰 반발을 샀고, 결국 최질김훈 등이 주동이 되어 난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장연우는 관직에서 쫓겨나는 신세가 되었다.

1015년, 김훈최질 등이 처형되면서 장연우는 다시 복직하여 호부상서(戶部尙書)가 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해 사망하고 말았다. 사후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로 추증되었다.[8] 그의 시 "한송정곡"은 훗날 조선 시대 문집인 《동문선》에 수록되었다.[6][7]

3. 1. 출생과 초기 생애

954년 흥덕 장씨 張儒|장유중국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장유는 광종 재위 기간 동안 객성(客省)에서 근무했다.[1] 장연우는 광종 재위 시기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

3. 2. 거란의 침입과 현종 호종

1011년(현종 2) 거란이 침략하여 태묘(太廟)와 궁궐을 불태우자 현종은 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여러 신하들이 하공진이 붙잡혔다는 풍문을 듣고 모두 달아났으나 채충순, 주저, 류종, 김응인 등과 더불어 현종을 호종한 공으로 중추사를 거친 뒤 판어사대사가 되었다.[8]

장연우는 강조가 이끄는 30만 명의 고려군 부대의 行營都統副使|행영도통부사중국어로 임명되어 침략해 온 거란에 맞서 싸울 때 兵部侍郞|병부시랑중국어으로 복무하고 있었다.[3] 고려군은 통주 인근에서 거란에게 패했고, 강조는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3] 장연우는 전투에서 살아남아 현종과 함께 1011년에 나주로 피신했다. 그는 국왕에 대한 공헌으로 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로 임명되었다.[1]

3. 3. 무신정변과 좌천

1014년 황보유의와 함께 거란 침입 이후 군인 수(군액(軍額)) 증가로 관리([백관])들의 녹봉이 부족해지자, 경군(京軍)의 영업전(永業田)을 빼앗아 녹봉에 충당할 것을 건의하였다. 이에 상장군 최질(崔質)과 김훈 등이 주동이 되어 난을 일으키자 장연우는 관직에서 쫓겨났다(사적(仕籍)에서 제명).[8] 이 일로 인해 문관인 장연우와 황보유의는 군인들의 봉급을 삭감하여 재정 부족을 메우려 했고, 이는 군인들의 분노를 사 최질김훈이 군사 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1][4]

3. 4. 복직과 죽음

1014년 일직(日直) 황보유의와 함께 거란 침입 이후 군액(軍額)의 증가로 백관의 녹봉이 부족해지자 경군(京軍)의 영업전(永業田)을 빼앗아 녹봉에 충당할 것을 건의하였다. 이에 상장군 최질(崔質)과 김훈 등이 주동이 되어 난을 일으키자 사적(仕籍)에서 제명되었다.[1][4]

1015년 김훈최질 등이 처형된 후 복직하여 호부상서(戶部尙書)가 되었으나 그 해 사망하였다. (음력 1015년, 양력 1016년 사망) 사후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로 추증되었다.[8]

4. 작품

KBS 대하드라마 고려거란전쟁 (2023년~2024년)에서 이지훈이 장연우 역을 맡았다.[1]

5. 기타

장연우는 흥덕 장씨 장유(張儒|장유중국어)의 아들이었다. 장유는 광종 재위 기간 동안 객성에서 근무했다.[1] 장연우는 광종 재위 시기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

1014년, 문관인 장연우와 황보유의는 정부의 재정 부족을 메우기 위해 군인들의 봉급을 삭감할 것을 제안했다. 이 결정은 군인들을 분노하게 했고, 최고 장군 최질과 김훈은 군사 반란을 일으켜 정부를 장악했다.[1][4] 장연우와 황보유의는 모두 조정에서 추방되었다. 그러나 1015년, 최질과 김훈은 모두 살해되었고 권력은 문관 조정에 회복되었다. 장연우와 황보유의는 복귀하였다. 장연우의 시 "한송정곡(寒松亭曲|한송정곡중국어)"은 훗날 조선 시대 문집인 《동문선》에 수록되었다.[6][7]

참조

[1] 웹사이트 장연우(張延祐) https://encykorea.ak[...] 2023-12-12
[2] 웹사이트 장연우 https://www.doopedia[...] 2023-12-12
[3] Wikisource Goryeosa
[4] 서적 A History Of Korea https://www.taylorfr[...] Routledge 1996-01-10
[5] 웹사이트 호부상서 장연우가 죽다 https://db.history.g[...] 2024-01-22
[6]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3-12-14
[7] 웹사이트 "[이종문의 한시산책] 한송정 노래(한송정곡, 寒松亭曲) - 장연우" https://www.imaeil.c[...] 2019-10-26
[8] 웹사이트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