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중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중경은 중국 후한 시대의 의학자로, 중의학의 '상한병' 학파를 창시한 인물이다. 남양 출신으로 자는 중경이며, 효렴으로 천거되어 장사태수를 지냈다. 스승 장백조에게 의술을 배워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후한 말 혼란과 전염병으로 인한 가족의 죽음을 겪고 의학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고대 의학 지식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한잡병론'을 저술했으며, 이 책은 후대에 '상한론'과 '금궤요략'으로 분리되어 한의학의 중요한 문헌이 되었다. 장중경은 질병의 근원을 파악하고 자연 치유력을 중시하는 의학 철학을 가졌으며, 현재까지도 중의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한의사 - 화타
    화타는 중국 후한 말의 명의로, 약물 처방, 침술, 마취 수술 등 뛰어난 의술을 펼쳤으며, 조조의 치료를 거부하여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중국의 한의사 - 갈홍
    갈홍은 중국 동진 시대의 연금술사, 의학자, 종교 학자로서, 유학을 공부하며 신선 사상에 심취하여 의병을 일으키고 저서를 남겼으며, 개똥쑥을 이용한 말라리아 치료법 연구에 영감을 주었다.
  • 150년 출생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2세기 후반에서 3세기 초반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서, 그리스 철학과 문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기독교 신앙을 변증하고 통합하려 했으며, 삼부작이라고 불리는 《권면》, 《교사》, 《스트로마타》 등의 저작을 통해 기독교 보편주의를 옹호하고 교육 분야에서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진보적인 사상을 펼쳤다.
  • 150년 출생 - 어부라
    어부라는 후한 말 남흉노의 선우로, 흉노족 내분으로 낙양에 망명하여 용병으로 활동하다 195년 사망했으며, 그의 손자 유연은 한조를 건국했다.
  • 중국의 의학자 - 화타
    화타는 중국 후한 말의 명의로, 약물 처방, 침술, 마취 수술 등 뛰어난 의술을 펼쳤으며, 조조의 치료를 거부하여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중국의 의학자 - 이화림
    이화림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해방 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의사로 활동했으며 한국 전쟁에 참전한 조선인민군 군인이다.
장중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중경
장중경
본명장기 (張機)
중경(仲景)
출생150년 (추정)
사망219년 (68-69세)
직업
직업의사, 약학자, 발명가, 작가

2. 생애

장중경은 후한서에는 전기(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가 없고 명의록에 따르면 남양 사람이며, 이름은 기(機)이고 중경은 그의 자(字)이다. 효렴에 천거되어 벼슬이 장사 태수까지 올랐다. 같은 마을의 장백조에게 의술을 배웠는데, 당시 사람들은 그의 의술이 스승을 뛰어넘었다고 평가했다.[2]

삼국지, 후한서와 같은 역사서에는 장중경의 전기가 없지만, 송나라 때 장중경의 저서인 상한론을 교정한 기록이 있다. 교정 후 교정의서국의 의관 한 명이 남긴 서문에 따르면, "장중경은 후한서에 전기가 없고 명의록에 기록되길, 남양 사람으로 이름은 기요, 중경은 그의 자이다. 효렴에 천거되어 관직이 장사태수까지 올랐다. 처음에 같은 마을의 장백조에게 의술을 전수받았다. 당시 사람들은 의술에 대한 지식과 효용이 스승을 뛰어넘었다고 말했다"라고 하였다. '관직이 장사태수에 올랐다'는 기록은 여러 역사서에 등장하며, 장사태수 기록이 몇 년간 비어있는 시기가 있는데, 아마도 그때 장중경이 장사태수를 역임했을 것이라 추측하는 사람도 있다.

그의 시대에는 군벌들이 영토 다툼을 벌여 많은 사람들이 전염병으로 희생되었는데, 장중경의 가족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는 동향이자 스승이었던 장백조로부터 의학을 배웠고,[5] ''황제내경''과 같은 이전의 의학 문헌에서 지식을 얻고, 여러 곳에서 처방을 수집하여 ''상한잡병론''[6]을 저술했다. 이 책은 출판 직후 삼국 시대의 전쟁으로 인해 분실되었다. 장중경은 전통 중국 의학에 크게 기여하여 중국 의학의 성인으로 불린다.

장중경의 걸작 ''상한잡병론''은 후대 의사들에 의해 수집, 정리되었는데, 특히 진나라 시대의 왕숙화와 송나라 시대의 여러 궁정 의사들이 이 책을 두 권으로 나누어 편집했다. 전자는 주로 열병 치료법에 대한 ''상한론''이었고, 후자는 다양한 임상 경험을 모아 내과 질환에 대한 주요 논문으로 여겨진 ''금궤요략''이었다.[7] 이 두 텍스트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재구성되었다.[8]

장기는 효성이 지극하고 청렴하여 효렴으로 추천되어 건안 연간(196년 - 220년) 초기에 장사 태수를 지냈다고 한다. 191년까지는 손견이 장사 태수를 역임했고, 198년에는 장사 태수 장선이 유표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청년 시절, 장중경은 동향 사람 장백조에게 의술을 배웠다. 후한 말의 혼란과 역병(200명이었던 친족 중 3분의 2가 10년 동안 역병으로 사망했고, 그중 7할이 "상한병"이었다고 한다)에 마음 아파하며 관직을 물러나 의학을 연마하는 데 힘썼다.

장기의 의학은 의술에 정통하면서도 근엄함과 융통성, 강한 책임감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선인의 지식을 존중하면서도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독창적인 치료를 시도했다고 전해진다.

고대부터 전해지는 의학 지식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한잡병론'''[15]』(후에 『상한론』과 『금궤요략』으로 분할되었다)을 저술하여, 후세까지 한의학의 가장 중요한 문헌이 되었다.

허난성난양시완청구순치 13년의 묘비가 있으며, "동한장사태수의성장중경선생지묘(東漢長沙太守醫聖張仲景先生之墓)"라고 크게 쓰여 있고, 사당도 세워져 있다.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全国重点文物保护単位).

3. 저서

장중경은 과거와 현재의 경험을 종합하고 자신의 실전 의료 경험까지 망라하여 총 16권의 상한잡병론을 저술하였다. 이는 동한, 서한시대 이전의 의학을 집대성한 저서로 평가받으며,[6] 후대 임상의학의 본보기가 되었다. 현재에도 일부 의사들이 이 저서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처방을 내리고 있다.

진나라 시대의 왕숙화와 송나라 시대의 여러 궁정 의사들이 장중경의 걸작인 ''상한잡병론''을 상한론금궤요략 두 권으로 나누어 편집하여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장중경은 저서에서 진맥과 임상경험을 종합하여 총 20여 종의 병과 관련된 맥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사용하는 방법과도 큰 차이가 없다.

그는 《상한잡병론》을 저술하여 중의학의 상한 또는 "상한병"[9] 학파를 창시한 것으로 여겨지며, 오늘날까지 널리 인정받는 권위자로 간주된다.

고대부터 전해지는 의학 지식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한 『'''상한잡병론'''[15]』은 후에 『상한론』과 『금궤요략』으로 분할되었고, 후세까지 한의학의 가장 중요한 문헌이 되었다.

3. 1. 상한론(傷寒論)

상한론(傷寒論)은 한나라 말기인 220년 전 즈음에 장중경이 편찬한 책으로, 찬 기운에 상했을 때 몸의 반응, 증상, 치료법을 담고 있으며 중의학을 집대성한 책이다. 장중경은 과거와 현재의 경험을 종합하고 자신의 실전 의료 경험까지 망라하여 총 16권으로 저술하였다. 이는 동한, 서한시대 이전의 의학을 집대성한 저서로 평가받는다.[6] 후대 임상의학의 본보기가 되었으며, 현재에도 일부 의사들이 이 저서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처방을 내리고 있다.

상한론은 차가운 기운에 의한 발열성 질병을 논하고 있으며, 발열성 전염병의 치료 방법을 변증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113개의 처방전이 기록되어 있으며, 사용된 약재는 170여 종에 이른다.

장중경의 상한론은 당시 감염병에 대한 매우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치료법을 제시한 한의학 고전으로, 전염병의 발전 단계에 따른 진단과 치료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도교불교의 신성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의학적 접근을 통해 병의 상태와 증상에 맞춘 치료법을 발전시켰다. 특히 "육경변증(六經辨證)"이라는 체계는 인체의 생리와 병리, 치료 방법을 상세히 구분해 오늘날 한의학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상한론은 병을 치료할 때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약물의 사용을 강조했는데, 이는 약물을 통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환자가 자연적으로 병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이는 현대 면역학적 이해와도 연관이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진나라 시대의 왕숙화(王叔和)와 송나라 시대의 여러 궁정 의사들이 장중경의 걸작인 ''상한잡병론''을 두 권으로 나누어 편집했다. 전자는 주로 그의 시대에 유행했던 열을 동반하는 전염병 치료법에 대한 논의를 담은 ''상한론''(, 문자 그대로 "''상한에 관하여''")이었고, 후자는 ''금궤요략''(, 문자 그대로 "''금궤에서 얻은 요약된 처방''")이었다.[7]

3. 2. 금궤요략(金匱要略)

금궤요략은 내과의 각종 병과 외과, 부인병 등에 대해 논하고 있다. 총 262개의 처방전이 기록되어 있으며 사용된 약재는 214종이다.[7]

장중경의 걸작인 ''상한잡병론''은 후대에 의사들에 의해 수집되고 정리되었는데, 특히 진나라 시대의 왕숙화(王叔和중국어)와 송나라 시대의 여러 궁정 의사들이 이 책을 두 권으로 나누어 편집했다. 그 중 하나가 ''금궤요략''(金櫃要略중국어, 문자 그대로 "''금궤에서 얻은 요약된 처방''")이었으며, 이 책은 다양한 임상 경험을 모아 내과 질환에 대한 주요 논문으로 여겨졌다. ''금궤요략''과 ''상한론'' 두 텍스트는 현대 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재구성되었다.[8]

4. 의학 철학

장중경의 의학 철학은 병의 근원을 파악하고, 인체의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는 치료에 있어서 약물의 남용을 경계하고, 몸의 균형을 맞추는 섭생을 중요시했다. 이는 서양의 히포크라테스 의학 철학과도 유사하게, 최소한의 약물 사용과 자연 치유의 원칙을 강조하는 접근법을 취했다.[16][17] 특히 장중경의 처방에서 중요한 점은 개별 환자의 증상에 맞춰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방식은 현대의 개인 맞춤형 의료와도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지탕 같은 처방은 단순히 약물의 투입보다는 체질과 병증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방되었고, 당시와 현대의 한약재 차이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16][17]

장중경의 상한론은 당시 감염병에 대한 매우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치료법을 제시한 한의학 고전으로, 전염병의 발전 단계에 따른 진단과 치료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도교불교의 신성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의학적 접근을 통해 병의 상태와 증상에 맞춘 치료법을 발전시켰다. 특히 "육경변증(六經辨證)"이라는 체계는 인체의 생리와 병리, 치료 방법을 상세히 구분해 오늘날 한의학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상한론은 병을 치료할 때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약물의 사용을 강조했다. 이는 약물을 통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환자가 자연적으로 병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이는 현대 면역학적 이해와도 연관이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장중경은 육미지황환을 남겼다.[10] 그의 처방의 핵심은 정확하고 간결하며, 병의 상태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이었다.[12]

5. 영향 및 평가

장중경은 현대 중의학에서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역사상 최고의 중국 의사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 그의 저서 ''상한잡병론''은 삼국 시대의 전쟁으로 분실되었다가 후대 의사들에 의해 수집, 정리되었다. 특히 진나라의 왕숙화(王叔和중국어)와 송나라 궁정 의사들이 이 책을 ''상한론''(傷寒論중국어)과 ''금궤요략''(金櫃要略중국어) 두 권으로 나누어 편집했다.[7] 이 두 텍스트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재구성되었다.[8]

장중경은 중의학의 상한 또는 "상한병"[9] 학파를 창시한 것으로 여겨지며, 오늘날까지 널리 인정받는 권위자로 간주된다. 그는 육미지황환을 남겼으며,[10] 난양에는 그를 기리는 의성사(医圣祠)가 있다.[11]

장중경의 치료법은 정확하고 간결하며, 병의 상태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특징이다.[12] 이는 서양 의학의 사고방식과는 다르며,[13] 후대 중의학 학습자들에게 모범이 되고 있다.[14]

상한론은 한기(찬 기운)에 상했을 때 몸의 반응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쓴 책으로, 중의학을 집대성한 책이다. 장중경은 이 책에서 당시 감염병에 대한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치료법을 제시했다. 특히 "육경변증(六經辨證)" 체계는 인체의 생리와 병리, 치료 방법을 상세히 구분하여 오늘날 한의학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한론은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약물 사용을 강조했는데, 이는 현대 면역학적 이해와도 연관이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生逢乱世,他弃官从医,终成中华医圣——张仲景生平 _ 经济参考网 _ 新华社《经济参考报》官方网站 http://www.jjckb.cn/[...] 2023-10-15
[2] 논문
[3] 논문
[4] 웹사이트 Delightful, Delicious Dumplings https://www.history.[...] 2020-12-27
[5] 웹사이트 周王朱橚对中医药的贡献 http://www.dadaojiay[...] 2023-10-15
[6] 웹사이트 中医发展的缩影--从张仲景到李时珍 --- 浙江中医药大学中医师承高级学习班 http://www.zjzysc.co[...] 2023-10-15
[7] 웹사이트 张仲景生平 医圣祠-张仲景博物院门户网站 http://yishengci.cn/[...] 2023-10-15
[8] 논문
[9] 웹사이트 伤寒学派始于_伤寒学派张仲景_伤寒学派人物_趣历史 http://www.qulishi.c[...] 2023-10-15
[10] 웹사이트 三分钟讲透经典①|仲景经典方"六味地黄丸"_功效_状态_作用 https://www.sohu.com[...] 2023-10-15
[11] 웹사이트 【行走河南·读懂中国】南阳医圣祠仲景文化耀古今 - 河南省文化和旅游厅 https://hct.henan.go[...] 2023-10-15
[12] 웹사이트 科学开展方药量效研究 - 中国食品药品网 http://m.cnpharm.com[...] 2023-10-15
[13] 서적 盛世中国:秦汉卷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08-12-01
[14] 웹사이트 医圣太守张仲景_中国品牌_人民论坛网 http://www.rmlt.com.[...] 2023-10-15
[15] Wikisource 傷寒雜病論
[16] 웹인용 "[최자영의 금요칼럼]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그 의학 철학을 거꾸로 실천하는 한국 의사들 - 함익병피부과 ‘의대정원 1,000명 증원 잘못된 정책’에 부쳐" https://www.hanion.c[...] 2024-03-16
[17] 웹인용 http://se-cu.com/nds[...] 2024-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