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화림은 1905년 평양에서 태어나 3·1 운동에 참여하고 조선공산당에 가입하는 등 항일 운동에 투신했다.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김구의 비서로 활동하며 한인애국단에서 이봉창, 윤봉길 등과 함께 활동했고, 자금 지원을 위해 노력했다. 훙커우 공원 사건 이후 김구와 결별한 후, 중국으로 건너가 중산대학에서 공부하고 조선민족혁명당, 조선의용군에서 활동하며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후 중국에서 의사, 학교 부교장 등을 지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에 고초를 겪었다. 1999년 사망했으며, 연변작가협회는 그를 기리는 화림문학상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 사람 - 거핑
- 중화인민공화국 사람 - 진위푸
진위푸는 랴오닝성 출신의 중국 학자로서, 장쭤린 휘하 관료로 활동하며 『요동 문헌징략』 간행 후 동북부 학술계 리더로 부상, 류탸오후 사건 이후 『발해국지』를 저술하고 만주국 정부의 요직 제안을 거절하며 학문 활동을 이어가다 일본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저서 『발해국지장편』은 발해사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의학자 - 화타
화타는 중국 후한 말의 명의로, 약물 처방, 침술, 마취 수술 등 뛰어난 의술을 펼쳤으며, 조조의 치료를 거부하여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중국의 의학자 - 송자
송자는 남송 시대의 관리이자 법의학자로, 억울한 백성을 구제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검시 지침서인 《세원집록》을 저술하여 후대 법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 조선의용대 - 김학철 (1916년)
김학철은 1916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이며, 중국과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중국으로 망명하여 문학 활동을 펼쳤다. - 조선의용대 - 김두봉
김두봉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 언어학자, 정치인으로, 주시경의 제자로서 한글 연구와 교육에 힘썼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조선독립동맹 결성,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숙청되었다.
| 이화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이화림 |
| 출생일 | 1905년 |
| 사망일 | 1999년 2월 10일(95세) |
| 사망지 | 다롄시 |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 직업 | 항일운동가 군인 의사 |
| 학력 | |
| 학교 | 옌안의과대학 |
| 경력 | |
| 소속 |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인애국단 조선민족혁명당 중국공산당 조선의용군 팔로군 조선인민군 |
| 관련 활동 | 독립운동 한국전쟁 |
2. 성장기
1905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이춘실(李春實)로 숭현소학교에서 유아 교육을 공부하였고, 1919년 14세의 나이로 3·1 운동에 참여하였다.[1] 항일운동에 열심이었던 오빠들이 지하실에서 비밀리에 전단을 만드는 것을 도왔다고 한다.[2] 평양의 학생 조직인 역사문학연구회에 참가하여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게 되었다. 1927년 청진의 유아원에 근무하면서 조선공산당에 가입하였다.[1] 오빠들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으로 무장 항일 투쟁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식을 알 수 없다.[2] 이화림도 1930년 25살이던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참여할 길을 찾았다.[11]
1930년 김두봉의 소개로[11]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하여 한인애국단에서 이봉창, 윤봉길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김구의 비서 역할을 하면서[3] 일제 밀정을 색출하는 일에도 관여하였으며,[4] "동해"라는 가명으로 불렸다.[4]
3.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임시정부의 자금난 속에서 이화림은 나물장사, 빨래, 수놓기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경비를 지원했다.[5] 이봉창이 일본으로 폭탄을 가져갈 때 바지단 안쪽에 주머니를 만들어 숨겼고,[2] 윤봉길이 훙커우 공원 사건에서 폭탄을 던질 때는 부부로 위장하여 함께 활동하였다.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사전 답사를 했지만, 이화림의 일본어 실력이 부족하여 발각될 우려가 있어 당일에는 윤봉길만 식장에 들어갔다.[6]
3. 1. 김구와의 결별
훙커우 공원 사건 이후 이화림은 테러리즘만으로는 독립을 이룰 수 없다고 판단하여 김구와 결별하였다. 김구는 《백범일지》에 이화림에 관한 아무런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3]
1938년 봄, 이화림은 백범을 만났다. "동해(이화림의 가명)야! 너 아직도 공산주의자냐? 공산주의를 믿느냐?" "네, 저는 공산주의를 믿습니다. 저는 공산주의자입니다." "그럼, 우리 앞으로 다시는 만나지 말자구나." 백범은 이화림이 공산주의자라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단호히 연을 끊었다. 이후 두 사람은 충칭에 머무는 동안 다시는 만나지 않았다.
4. 조선의용군 활동
1932년 이화림은 "혁명의 기지"로 불리던[5] 광저우로 가서[7] 중산대학에 입학하였다. 처음에는 법학과에서 2학기를 공부하였으나 이후 간호과로 옮겼다.[5] 이 시기 유학생 김창국과 결혼하여 아들 김우성을 낳았다.[11]
1935년 늦가을, 의열단원 윤세주가 광저우에서 무장 투쟁 참여를 독려하는 연설을 하였고,[11] 이 연설에 크게 감화된 이화림은 조선민족혁명당이 있는 난징으로 가서 1936년 1월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 부녀국의 의료를 담당하였으며, 7월에는 난징조선부녀회를 조직하였다.[8]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충칭으로 이동하여 조선의용대에 합류하였다.[9] 이 과정에서 15살 연상의 이집중(이종희) 조선의용대 총무부장과 재혼했으나, 1939년 구이린에서 만난 김학철의 회상에 따르면 이때 이미 남편과 사이가 멀어졌던 것으로 보아 이혼한 것으로 추정된다.[10]
1939년 구이린에서 조선의용대 여자복무단 부대장이 되었고, 1941년에는 뤄양의 선견대로 파견되었으며, 이후 황하를 건너 타이항산의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에 합류하였다. 1942년 화북조선인민간부훈련반에서 교육을 받고 졸업 후 부녀대장으로 활동하였다.[8] 조선의용군 활동 지역은 산악 지대라 식량이 부족하였는데, 이화림은 돌미나리를 뜯으며 도라지 타령의 가사를 바꾸어 불렀고, 사람들은 그 노래를 좋아하였다고 한다.[5]
: 미날,미날,돌미나리|미날, 미날, 돌미나리중국어
: 태항산 골짜기의 돌미나리|타이항산 골짜기의 돌미나리중국어
: 한 두 뿌리만 뜯어도|한두 뿌리만 뜯어도중국어
: 대바구니가 찰찰 넘치누나|대바구니가 찰찰 넘치누나중국어
: 에헤야 데헤야 좋구나|에헤야 데헤야 좋구나중국어
: 어여라 뜯어라 지화자자 캐어라|어여라 뜯어라 지화자자 캐어라중국어
: 이 것도 우리의 혁명이란다|이것도 우리의 혁명이란다중국어
1942년 팔로군과 조선의용군의 타이항산 근거지는 일본군의 포위 공격을 받았다. 퇴각 중 많은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이화림은 광저우 간호학교 시절 배운 의학 지식을 활용하여 부상자를 돌봤다.[2] 1943년부터 조선의용군 병원에서 일하였으며,[9] 1944년 조선의용군이 옌안으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여 그곳에서 해방을 맞았다.[8]
5. 중국 공산당 활동
1945년 1월 이화림은 김무정의 권유로 옌안의과대학에 입학하였고,[7] 1946년 11월 21일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5] 졸업 후에는 하얼빈에서 의사로 활동하였고,[2]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인민군 제6군단 위생소 소장으로 참전하였다.
옌안에서 의대 공부를 마치고 의사로 활동하던 중, 조국에 전쟁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인민군 위생소장으로 합류하였다. 전쟁 도중 미군의 폭격에 의해 다리에 파편을 맞아 부상으로 선양에 돌아온 후, 이화림은 죽을 때까지 다시는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참고로 이 때의 ‘인민군’ 전력이 독립운동가 이화림이 대한민국 정부에서 서훈을 받지 못하는 이유이다.[11]
1955년 중국으로 돌아가 선양의사학교 부교장, 중국 교통부 위생기술과 간부를 지냈다.[7] 1960년대 후반 문화대혁명 당시 반혁명분자로 낙인 찍혀 고초를 겪었다.
1984년 은퇴하였고 1987년 다롄시 조선족 노인 협회의 명예 회장을 지냈다.[12]
1999년 2월 10일 95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5] 유언에 따라 전 재산을 다롄시 조선족 학교에 기부하였다.[12]
6. 기념
연변작가협회는 이화림을 기념하여 화림문학상을 수여하고 있다.[13] 대한민국에서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다가 1995년 8월 요녕민족출판사가 출간한 이화림의 구술 회고록 《정도》가 베이징대학 유학생 박경철에 의해 발굴되어 번역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2] 한국 전쟁 참전 경력이 문제가 되어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지 못하고 있다.[2] 2017년 항일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는 이화림을 비롯한 여성 독립운동가의 서훈을 추진한 바 있다.[14]
참조
[1]
뉴스
한국여성인물사전 223. 이화림(李華林)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7-10-30
[2]
뉴스
잊혀진 독립운동가 이화림 지사의 삶을 복원하여 알리고 있는 박경철 회원
https://www.minjok.o[...]
민족문제연구소
2019-01-24
[3]
뉴스
김구 선생이 감춘 '여성투사 이화림'을 아십니까?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5-03-30
[4]
뉴스
독립투사 이화림 녀사와 로인회장님들
http://www.jlcxwb.co[...]
길림신문
2012-11-28
[5]
뉴스
김혁의 廳雨齋 - 여걸 이화림
http://www.dbanews.c[...]
동북아신문
2015-03-16
[6]
뉴스
"일본 수뇌부 쑥밭…꽃이 휘날리듯 아름다워"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14-05-28
[7]
뉴스
중국대륙을 누빈 불멸의 여성독립운동가 이화림 선생
http://www.smnews.co[...]
세명일보
2019-01-06
[8]
서적
이화림
http://www.laborsboo[...]
노동자의 책
[9]
간행물
이화림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저널
백범 김구가 가장 신임했던 비서는 왜 사라졌나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9-02-20
[11]
뉴스
3·1운동 백년과 여성 ②이화림은 누구…독립운동 위해 이혼도 불사한 투사
http://www.newsis.co[...]
노컷뉴스
2019-02-27
[12]
문서
이화림
http://m.okpedia.kr/[...]
세계한민족문화대전
[13]
뉴스
연변작가협회 “화림신인문학상” 시상
http://www.iybrb.com[...]
연변일보
2016-01-25
[14]
뉴스
남자현, 윤희순, 오광심…여성독립운동가를 아시나요
http://www.sisajourn[...]
시사저널
2017-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