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른곰팡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른곰팡이는 붓 모양의 분생자병을 형성하는 곰팡이의 한 속으로, 1809년 처음 학술적으로 기술되었다. 이 속은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분생자병의 형태와 유전적 특징에 따라 여러 아속으로 분류된다. 푸른곰팡이는 토양, 유기물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일부 종은 식품 부패의 원인이 되거나 식물에 질병을 일으킨다. 반면, 치즈 제조, 항생제 페니실린 생산, 생물정화 등 인간에게 유용한 측면도 있다. 하지만, 일부 종은 알레르기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식품 변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눈꽃동충하초강 - 누룩곰팡이
    누룩곰팡이는 전분과 단백질 분해 능력이 뛰어나 조미료, 감미료, 발효주 제조에 사용되며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 다양한 효소와 코지산, 말산 등 대사산물을 생성하고, 특히 아밀라아제는 의약품으로도 활용되는 곰팡이이다.
  • 눈꽃동충하초강 -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는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하며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독성 물질을 생성하거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전통 발효 식품 제조에 활용되면서도 농작물 피해를 일으켜 연구 및 관리 대상이다.
  • 약용 균류 - 표고
    표고는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고목에서 자라는 둥근 갓과 짧은 자루의 버섯으로, 국물 요리에 사용되며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있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건강 효능과 요리 활용도가 높지만, 덜 익혀 먹으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약용 균류 - 영지
    영지는 *Ganoderma lucidum*을 포함한 *Ganoderma* 속 버섯의 통칭으로, 전통 의학에서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유전자 분석 결과 기존 분류와 다른 계통 발생적 관계가 밝혀졌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라벨링 오류에 대한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푸른곰팡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Penicillium sp.
학명Penicillium Link, 1809
동의어Aspergillopsis Sopp (1912)
Carpenteles Langeron (1922)
Chromocleista Yaguchi & Udagawa (1993)
Citromyces Wehmer (1893)
Coremium Link (1809)
Eladia G. Sm. (1961)
Eupenicillium F. Ludw. (1892)
Floccaria Grev. (1827)
Hemicarpenteles A. K. Sarbhoy & Elphick (1968)
Moniliger Letell. (1839)
Pritzeliella Henn. (1903)
Thysanophora W.B. Kendr. (1961)
Toluromyces Delitsch (1943)
Walzia Sorokin (1871)
타입 종Penicillium expansum Link (1809)
종 수300종 이상
발음IPA:
분류
균계
자낭균문
유로티움균강
유로티움목
마유하키타케과
푸른곰팡이속
추가 정보
링크Mycobank

2. 분류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영어)은 1809년 독일의 균학자 요한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링크(Johann Heinrich Friedrich Link)가 그의 저서 《Observationes in ordines plantarum naturales》(자연 식물목에 대한 관찰)에서 처음 기술했다.[3][4] 그는 이 곰팡이의 특징을 "균사체는 잔디 뭉치처럼 생겼고, 격막이 있으며, 단순하거나 또는 가지가 치고, 비옥하며, 직립하고, 끝이 붓 모양이다"라고 묘사했다. 속명 ''Penicillium''은 "화가의 붓"을 의미하는 라틴어 penicilluml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붓이나 빗자루 모양의 분생자병(무성 포자 형성 구조)을 가리킨다.[7] 링크는 처음에 ''Penicillium candidum'', ''Penicillium expansum'', ''Penicillium glaucum'' 세 종을 포함시켰으며, 이들은 모두 붓 모양의 분생자병을 가지고 있었다. 이 중 사과의 흔한 부패균인 ''Penicillium expansum''이 나중에 모식종으로 지정되었다.[5]

1979년 오스트레일리아의 균학자 존 아이 피트(John I. Pitt)는 분생자병의 형태와 가지 패턴을 기준으로 ''Penicillium'' 속을 ''Aspergilloides'', ''Biverticillium'', ''Furcatum'', ''Penicillium''의 네 가지 아속(subgenera)으로 분류했다.[6] 이후 ''Biverticillium'' 아속에 속했던 종들은 유전적 근연관계에 따라 ''Talaromyces'' 속으로 통합되었다.

전통적으로 곰팡이의 분류는 유성 생식을 하는 세대, 즉 완전 세대(teleomorph)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완전 세대가 발견되지 않았거나 유성 생식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종들은 불완전균(Deuteromycota)으로 분류되어 왔으며, 이들의 무성 생식 세대(anamorph)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다시 분류되었다. ''Penicillium'' 속은 이러한 불완전균 중에서 붓 모양의 균사체를 만드는 종들을 모아놓은 분류군이었다. 따라서 과거에는 ''Penicillium'' 속으로 분류되었던 균이라도 나중에 완전 세대가 발견되면, 그 완전 세대의 특징에 맞는 분류군으로 재분류되고 새로운 학명이 부여되기도 했다.

완전 세대가 확인된 ''Penicillium'' 관련 종들은 대부분 자낭균류 유로티움목(Eurotiales)에 속하며, 보통 폐자낭각(cleistothecium)이라는 작고 둥근 자실체를 형성한다. 이들은 ''Eupenicillium'', ''Hamigera'', ''Penicilliopsis'', ''Talaromyces'', ''Trichocoma'' 등 여러 속으로 나뉘어 분류되었다. 일부 종은 버섯으로 취급될 만큼 큰 자실체를 만들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Penicilliopsis'' 속의 카키노미타케와 ''Trichocoma'' 속의 마유하키타케가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리보솜 RNA(rRNA) 염기서열 분석과 같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균류의 유전적 관계를 파악하여 분류 체계를 재정립하고 있다. 유성 생식이 알려지지 않은 많은 ''Penicillium'' 종들도 rRNA 상동성 분석을 통해 자낭균의 계통에 속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One fungus, one name영어" 원칙에 따라, 현재 ''Penicillium'' 속과 ''Talaromyces'' 속에는 무성 생식만 하는 종과 유성 생식이 가능한 종(완전 세대가 발견된 종)이 모두 포함되도록 재정의되었다.

2. 1. 주요 종

페니실리움속과 아스퍼질루스속 등 다양한 곰팡이들의 무균 배양


귤에 핀 페니실리움 곰팡이(아마도 ''Penicillium digitatum''일 것임)


대표적인 페니실리움 종
학명주요 특징 및 용도
페니실리움 알보코레미움 (Penicillium albocoremium)
페니실리움 아우란티오그리세움 (Penicillium aurantiogriseum)곡물 오염균
페니실리움 빌라에 (Penicillium bilaiae)농업용 접종균
페니실리움 카멤베르티 (Penicillium camemberti)까망베르, 브리, 캄보졸라 치즈 생산에 사용
페니실리움 칸디둠 (Penicillium candidum)브리와 까망베르 치즈 제조에 사용. Penicillium camemberti와 동일시됨.
페니실리움 크리소게눔 (Penicillium chrysogenum) (이전에는 페니실리움 노타툼 (Penicillium notatum)으로 알려짐)항생제 페니실린 생산
페니실리움 클라비포르메 (Penicillium claviforme)
페니실리움 코뮤네 (Penicillium commune)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숨 (Penicillium crustosum)
페니실리움 디지타툼 (Penicillium digitatum)감귤류 병원균
페니실리움 에키눌라툼 (Penicillium echinulatum)미코페놀산 생산
페니실리움 익스판숨 (Penicillium expansum)사과 및 기타 과일의 병원균, 파툴린 생산
페니실리움 글라브룸 (Penicillium glabrum)
페니실리움 글라우쿰 (Penicillium glaucum)일부 푸른치즈(예: 블루 드 젝스, 로셰바롱, 일부 블루 도베르뉴, 고르곤졸라 종류) 제조에 사용되는 곰팡이
페니실리움 임라니아눔 (Penicillium imranianum)
페니실리움 이탈리쿰 (Penicillium italicum)감귤류 병원균
페니실리움 라쿠사르미엔테이 (Penicillium lacussarmientei)
페니실리움 루시타눔 (Penicillium lusitanum)해양 서식지에서 분리
페니실리움 푸르푸로게눔 (Penicillium purpurogenum)
페니실리움 로크포르티 (Penicillium roqueforti)로크포르, 덴마크 블루 치즈, 영국 블루 스틸톤 치즈, 고르곤졸라 치즈, 캄보졸라 제조에 사용
페니실리움 스톨로니페룸 (Penicillium stoloniferum)
페니실리움 울라이엔세 (Penicillium ulaiense)아시아의 감귤류 병원균
페니실리움 베루코숨 (Penicillium verrucosum)옥사랄린 A를 생성하는 곡물 오염균
페니실리움 비리디카툼 (Penicillium viridicatum)


3. 형태

락토페놀 코튼 블루 염색을 사용한 명시야 현미경(10 × 100 배율) 하의 ''페니실리움'' sp.


푸른곰팡이의 구조


''페니실리움'' 속의 이름은 "화가의 붓"을 의미하는 라틴어 뿌리 ''penicillum''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분생포자 사슬이 빗자루와 유사한 모양을 이루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7]

균사체는 보통 무색이며, 격막으로 분리된 다핵 균사들이 매우 복잡하게 가지를 치며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각 균사의 끝에는 분생자병이 형성되는데, 이는 녹색의 구형 단위체인 분생포자를 달고 있다. 이 분생포자는 영양체로서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푸른곰팡이의 주요 분산 수단이다.[8]

분생자병은 기질 표면에 짧게 서서 끝에서 여러 개의 짧은 가지로 나뉜다. 각 가지 끝에는 피알라이드(phialide)라고 불리는 방추형의 분생포자 형성 세포가 여러 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피알라이드는 끝에서 출아 방식으로 분생포자를 만든다. 분생포자가 완성되면 피알라이드에서 분리되고, 아래에서 새로 만들어진 분생포자가 이전 포자를 밀어 올리면서 길게 연결된 사슬 형태를 이룬다. 분생자병의 가지들은 서로 작은 각도를 이루며 뻗어 나가고, 각 피알라이드와 여기서 생성된 분생포자 사슬도 같은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붓이나 빗자루 모양을 띤다. 분생포자는 계속 생성되어 사슬이 길어지다가 결국 무너지며, 콜로니 중심부에서는 무너진 포자들이 균사체를 덮게 된다. 분생포자는 구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녹색, 청색, 황색 등 다양한 색깔을 띠어 육안으로 보이는 콜로니의 색깔을 결정한다.

유성 생식은 자낭포자의 생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조정기와 장정기의 융합으로 시작되어 핵을 공유하게 된다. 불규칙하게 분포된 자낭(asci) 안에는 각각 8개의 단세포 자낭포자가 들어 있다. 곰팡이 분류는 유성 생식 세대(완전 세대)를 기준으로 하지만, 완전 세대가 발견되지 않았거나 유성 생식을 하지 않는 종류도 존재한다. 이들은 불완전균으로 분류되며, 무성 생식 세대(불완전 세대)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다시 분류된다. 불완전균 중 붓 모양의 균사체를 만드는 것이 ''Penicillium'' 속에 속한다. 따라서 ''Penicillium'' 속으로 기재된 균이라도 완전 세대가 발견되면 해당 분류군으로 재분류되고 새로운 학명이 부여된다.

완전 세대가 확인된 ''Penicillium'' 속의 대부분은 폐자낭각이라는 작은 구형의 자실체를 형성하지만, 일부는 버섯으로 취급될 만큼 큰 자실체를 만들기도 한다. 이들은 자낭균의 유로티움목에 속하며, ''Eupenicillium'', ''Hamigera'', ''Penicilliopsis'', ''Talaromyces'', ''Trichocoma'' 등 여러 속에 걸쳐 있다. 버섯 형태의 자실체를 만드는 예로는 ''Penicilliopsis'' 속의 카키노미타케와 ''Trichocoma'' 속의 마유하키타케가 알려져 있다. 유성 생식이 알려지지 않은 종들도 리보솜 R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자낭균의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가 많다.

푸른곰팡이는 피알라이드에서 분생포자 사슬을 만든다는 점에서 누룩곰팡이(Aspergillus)와 매우 유사하며, 유전적으로도 가까운 관계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누룩곰팡이나 다른 불완전균류 중에도 푸른빛 포자를 만드는 종류가 있으므로 색깔만으로 푸른곰팡이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육안으로는 털곰팡이(Mucor)와 비슷해 보일 수 있다. 형태적으로 유사한 다른 곰팡이로는 ''Paecilomyces''가 있는데, 푸른곰팡이와 비슷한 분생자병 구조를 가지지만 포자가 무색이어서 콜로니가 흰색으로 보인다. ''Gliocladium'' 역시 비슷한 분생자병을 가지지만, 포자를 사슬이 아닌 점액 덩어리 형태로 만든다는 차이점이 있다.

4. 생태

페니실리움속(Penicillium) 균류는 서늘하고 온화한 기후를 선호하는 흔한 토양 곰팡이로, 유기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존재한다. 부생생활을 하는 ''페니실리움속''과 아스퍼질루스속 균류는 유로티알레스목에서 가장 잘 알려진 대표적인 균류 중 하나이며, 주로 유기성 생분해 물질에서 서식하며 자연계의 물질 순환에 기여한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곰팡이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아속 ''페니실리움''의 종들은 식품 부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9] 많은 종들이 고도로 독성이 강한 마이코톡신을 생성하기도 한다. ''페니실리움속'' 균류는 낮은 습도에서도 번성하고, 종자가 습할 때 공기 중으로 빠르게 퍼져나가기 때문에 종자나 저장 식품에서도 잘 자랄 수 있다.[10] 일부 종은 푸른색을 띠며, 흔히 오래된 빵에서 자라 푸른 솜털 같은 질감을 만든다.

일부 ''페니실리움속'' 균류는 식물에 병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P. expansum''은 사과, , 귤, 고구마 등에 푸른곰팡이병을 일으키고, ''P. digitatum''은 감귤류에 푸른곰팡이병을 일으킨다.[11] 마늘에 영향을 미치는 ''P. allii''도 있다.[12] 옥수수 역시 푸른곰팡이병에 감염될 수 있다. 특히 벼의 경우, 변색미는 수확 후 운송 및 저장 과정에서 ''P. cyclopium'', ''P. islandicum'', ''P. commune'', ''P. citro-viride'', ''P. rugulosum'', ''P. citrinum'', ''P. italicum'' 등의 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31]

페니실리움 속 식물 병원균 예시
균종영향받는 식물질병명
P. expansum사과, , 귤, 고구마푸른곰팡이병
P. digitatum감귤류푸른곰팡이병[11]
P. allii마늘푸른곰팡이병[12]
P. cyclopium, P. islandicum, P. commune, P. citro-viride, P. rugulosum, P. citrinum, P. italicum변색미 (푸른곰팡이병의 일종)[31]



일부 종은 동물에게도 병원성을 나타낼 수 있다. ''P. corylophilum'', ''P. fellutanum'', ''P. implicatum'', ''P. janthinellum'', ''P. viridicatum'', ''P. waksmanii'' 등은 모기의 잠재적 병원균으로 연구되고 있다.[13] 대부분의 푸른곰팡이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비병원성이지만, 이형성(균사형과 효모형 세포의 두 가지 형태를 취하는 성질)을 보이는 ''P. marneffei''와 같은 종은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 환자에게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드물게 손톱, 귀, 폐, 요로 등에서 페니실리움증이라는 감염증을 일으키거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과민성폐렴을 유발하기도 한다.[30] 푸른곰팡이 자체는 대부분 마이코톡신을 생산하지 않아 직접적인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푸른곰팡이가 핀 식품에는 다른 유해한 곰팡이도 함께 증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페니실리움속'' 균류는 가정 및 공공 건물과 같은 실내 환경의 공기와 먼지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외부에서 유입되어 건축 자재나 쌓인 먼지 등을 영양분 삼아 실내에서 성장할 수 있다. 특히 표면에 충분한 수분만 있다면 상대 습도가 낮더라도 성장이 가능하다. 영국의 한 연구에서는 아스퍼질루스속 및 ''페니실리움속'' 포자가 주택 실내 공기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으며, 그 농도가 외부 공기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했다.[14] 심지어 천장 타일과 같은 건축 자재도 상대 습도가 85% 이상이고 타일 자체의 수분 함량이 2.2%를 넘으면 ''페니실리움속'' 균류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된다.[15]

이 외에도 일부 ''페니실리움속'' 균류는 기계 설비나 관련 자재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예를 들어, ''P. chrysogenum'' (이전 ''P. notatum''), ''P. steckii'', ''P. cyclopium'', ''P. nalgiovense'' 등은 연료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P. chrysogenum'', ''P. rubrum'', ''P. verrucosum'' 등은 기름이나 윤활유를 변질시킬 수 있다. 또한, ''P. regulosum''은 광학 렌즈나 보호 유리에 손상을 줄 수 있다.[16]

5. 인간과의 관계

푸른곰팡이는 인간의 삶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유익한 측면과 해로운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푸른곰팡이는 식품 산업, 특히 푸른 치즈와 같은 특정 치즈나 육가공품의 풍미를 더하고 숙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학적으로는 알렉산더 플레밍이 발견한 최초의 항생제페니실린의 원료가 되어 수많은 생명을 구했으며, 그리세오풀빈과 같은 항진균제나 잠재적 항암 물질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산업적으로 유용한 효소유기산을 생산하고, 환경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생물정화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푸른곰팡이는 식품 부패의 흔한 원인이며, 사과, 감귤류, 마늘 등 다양한 농작물에 병을 일으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일부 종은 인체에 해로운 마이코톡신(곰팡이독소)을 생성할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기회감염을 일으키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여 과민성 폐장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건물 내부에 서식하며 건축 자재나 산업 설비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5. 1. 긍정적 측면

그리세오풀빈


''페니실리움'' 속의 여러 종은 식품 산업, 특히 치즈와 다양한 육류 제품 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푸른 치즈 제조에 사용되는데, 고르곤졸라 치즈에는 ''Penicillium glaucum''이, 로크포르 치즈에는 ''페니실리움 로크포르티''가 이용된다.[29] 또한, 까망베르 치즈나 브리 치즈 등에 사용되는 흰곰팡이인 ''페니실리움 카멤베르티'' 역시 생물학적으로 ''페니실리움'' 속에 속한다.[17][18] ''페니실리움 날지오벤세''는 날조비(엘리스차우) 치즈와 같은 부드러운 곰팡이 숙성 치즈뿐만 아니라, 소시지나 햄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다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17][18] 이러한 곰팡이들은 치즈를 발효시키고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독특한 풍미와 향을 부여한다.[29]

의학 분야에서 푸른곰팡이는 최초의 항생제페니실린의 발견으로 매우 중요하다. 1928년[29] 또는 1929년[20], 알렉산더 플레밍은 우연히 ''페니실리움 크리소게눔''(당시 ''P. notatum'') 푸른곰팡이 주변에서 그람양성균이 자라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다.[20] 푸른곰팡이가 생산하는 페니실린은 다른 세균과의 생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알레로케미컬의 일종으로 여겨진다. 페니실린의 항생 효과는 1930년대 후반 하워드 플로리와 어니스트 체인에 의해 확인되고 정제, 농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페니실린은 감염된 상처로 인한 사망자를 크게 줄이는 데 기여했으며, 이 공로로 플레밍, 플로리, 체인은 194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20] 페니실린 외에도 ''페니실리움 그리세오풀붐''에서 발견된 그리세오풀빈은 항진균제로 사용되며, 잠재적인 항암제로서의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21][22] 또한 ''페니실리움 피노필룸'',[23] ''페니실리움 카넨스'',[24] ''페니실리움 글라브룸''[24] 등의 종들도 시험관 내 실험에서 종양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품 및 의약품 외에도 ''페니실리움'' 속 곰팡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페니실리움''과 ''아스퍼질러스'' 종은 글루콘산, 구연산, 주석산과 같은 유기산뿐만 아니라 펙티나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프로테아제 등 다양한 효소를 생명공학적으로 생산하는 데 이용된다. 일부 ''페니실리움'' 종은 특정 환경오염 물질(이종생물 화합물)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어, 생물정화, 특히 균류정화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19]

5. 2. 부정적 측면

페니실리움속(푸른곰팡이)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인간에게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식품 부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9] 서늘하고 온화한 환경을 선호하며, 낮은 습도에서도 잘 번식하고 공기 중 포자를 통해 빠르게 퍼져나가기 때문에 종자나 저장 식품을 쉽게 오염시킨다.[10] 오래된 빵 표면에 푸른색 솜털처럼 자라는 모습이 대표적인 예이다.

다양한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도 한다. P. expansum은 사과와 배에, P. digitatum은 귤과 같은 감귤류에[11], P. allii는 마늘[12] 푸른곰팡이병을 일으킨다.[31] 고구마나 옥수수 등 다른 작물도 푸른곰팡이병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31]

의 경우, 수확 후 운송이나 저장 과정에서 페니실리움속 균들(P. cyclopium, P. islandicum, P. commune, P. citro-viride, P. rugulosum, P. citrinum, P. italicum 등)에 감염되어 쌀알이 변색되는 변색미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부 페니실리움 종은 인체에 유해한 마이코톡신(곰팡이독소)을 생성할 수 있다.[9] 푸른곰팡이 자체가 직접 심각한 식중독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지만, 푸른곰팡이가 발생한 식품에는 다른 유해 곰팡이도 함께 증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푸른곰팡이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비병원성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30] 그러나 일부 종, 특히 균사 형태와 효모 형태를 모두 나타내는 이형성 푸른곰팡이(예: P. marneffei)는 비교적 독성이 강하며, 면역 체계가 약화된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 환자 등에게 기회감염을 일으켜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30]

드물게는 페니실리움증이라고 불리는 감염증을 일으켜 손톱, 귀, 폐, 요로 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30] 또한, 푸른곰팡이 포자를 흡입할 경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과민성 폐장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30]

사람 외에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 corylophilum, P. fellutanum, P. implicatum, P. janthinellum, P. viridicatum, P. waksmanii 등은 모기에게 병을 일으키는 잠재적 병원균으로 보고되었다.[13]

푸른곰팡이는 실외 환경뿐만 아니라 가정, 사무실 등 건물 내부의 공기나 먼지 속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창문이나 환풍구 등을 통해 외부에서 쉽게 유입되며, 벽, 천장 등 건축 자재나 실내에 쌓인 먼지 등을 영양분 삼아 증식할 수 있다.

표면에 충분한 수분만 공급되면 상대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다. 영국의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택 실내 공기에서 아스퍼질루스속 및 페니실리움속 포자가 외부 공기보다 더 높은 농도로 검출되기도 했다.[14] 심지어 천장 타일과 같은 건축 자재도 특정 조건(상대 습도 85% 이상, 타일 자체 수분 함량 2.2% 초과)에서는 푸른곰팡이의 서식지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15]

건축물 외에도 기계 설비나 산업용품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16]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피해 사례가 보고되었다.

  • 연료 손상: P. chrysogenum, P. steckii, P. cyclopium, P. nalgiovense 등
  • 기름 및 윤활유 손상: P. chrysogenum, P. rubrum, P. verrucosum 등
  • 광학 및 보호 유리 손상: P. regulosum 등

참조

[1] 웹사이트 Mycobank https://www.mycobank[...] Westerdijk Fungal Biodiversity Institute 2023-09-20
[2] 서적 Ainsworth & Bisby's Dictionary of the Fungi https://books.google[...] CABI 2008
[3] 학술지 Ident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the genus Penicillium 2014-06-00
[4] 서적 Der Gesellschaft Naturforschender Freunde zu Berlin Magazin für die neuesten Entdeckungen in der gesammten Naturkunde https://gdz.sub.uni-[...] Realschulbuchhandlung 1809
[5] 학회 Advances in penicillium and aspergillus systematics http://archive.org/d[...] Plenum Press 1985-07-00
[6] 서적 The Genus Penicillium and Its Teleomorphic States Eupenicillium and Talaromyc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79
[7] 서적 Medical Meanings: A Glossary of Word Origins https://books.google[...] ACP Press 2003
[8] 학술지 A laboratory guide to common Penicillium species 1985
[9] 학술지 Phylogenetic analysis of Penicillium subgenus Penicillium using partial β-tubulin sequences https://www.studiesi[...] 2004
[10] 학술지 Mycotoxins and toxigenic fungi 2000
[11] 서적 Taints and Off-Flavours in Foods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03-04-02
[12] 학술지 First report of Penicillium allii as a field pathogen of garlic ( Allium sativum ) 2006
[13] 학술지 Pathogenic action of Penicillium species on mosquito vectors of human tropical diseases 1998
[14] 학술지 Guidelines on ambient intramural airborne fungal spores 2010
[15] 학술지 Growth evaluation of fungi ( Penicillium and Aspergillus spp.) on ceiling tiles https://ui.adsabs.ha[...] 1995-01-01
[16] 서적 Biodegradation and Durability of Materials Under the Effect of Microorganisms https://books.google[...] VSP 2003-09-24
[17] 학술지 Effects of different strains Penicillium nalgiovense in the Nalžovy cheese during ripening 2016-05-00
[18] 서적 The Art of Making Fermented Sausages https://books.google[...] Bookmagic LLC 2009
[19] 학술지 Potential of Penicillium species in the bioremediation field 2009-04-00
[20] 서적 The Nobel Prize Winning Discoveries in Infectious Disease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5-05-20
[21] 학술지 Microtubule assembly dynamics: an attractive target for anticancer drugs 2008-06-00
[22] 학술지 Griseofulvin 1988-03-00
[23] 학술지 Occurence and bioactivities of funicone-related compounds 2009-03-00
[24] 학술지 Bioprospecting for antagonistic Penicillium strains as a resource of new antitumor compounds 2008-02-01
[25] 학술지 Sex in cheese: evidence for sexuality in the fungus Penicillium roqueforti
[26] 학술지 Sexual reproduction and mating-type-mediated strain development in the penicillin-producing fungus Penicillium chrysogenum 2013-01-00
[27] 학술지 An expanded inventory of conserved meiotic genes provides evidence for sex in Trichomonas vaginalis 2007-08-00
[28] Kotobank 2024-05-28
[29] 간행물 スペインチーズの特徴と現状 名古屋外国語大学 2016
[30] 학술지 P282 Penicillium digitatum(いわゆる緑カビ)が原因と考えられた慢性過敏性肺炎の1例(好酸球性肺炎・過敏性肺炎1, 第19回日本アレルギー学会春季臨床大会) 日本アレルギー学会 2007
[31] 웹사이트 農業生物資源ジーンバンク - 日本植物病名データベース https://www.gene.aff[...] 2020-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