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코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코트는 관중에게 즐거움과 흥미를 제공하기 위해 스포츠 단체 등에서 사용하는 상징물이다. 초기에는 동물 형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20세기 중반 인형극의 발달과 함께 3차원 마스코트로 진화했다. 마스코트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mascotte'에서 유래되었으며, 부적을 의미한다. 스포츠 외에도 기업, 공공기관, 군대, 국제 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올림픽의 경우 개최국의 상징적인 인물이나 동물을 마스코트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밴드, 웹사이트 등에서도 마스코트가 사용되며, 민족 모티프의 마스코트나 특정 제품의 마스코트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스코트 - 심심이
심심이는 사용자와 자유롭게 대화하며 사용자가 직접 가르치거나 신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81개 언어를 지원하는 글로벌 인공지능 채팅 서비스이다. - 마스코트 - 커널 샌더스
커널 샌더스(Harland David Sanders)는 닭고기 요리법을 개발하여 KFC 프랜차이즈를 설립하고, 1980년 사망할 때까지 홍보 대사로 활동했다. - 운 - 13일의 금요일
13일의 금요일은 13을 불길한 숫자로 여기는 것과 금요일을 불길하게 여기는 미신이 결합된 것으로, 공포증 유발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며, 1년에 최대 3번까지 발생할 수 있다. - 운 - 마네키네코
마네키네코는 한쪽 발을 들고 손짓하는 고양이 모양의 일본의 행운을 상징하는 조형물이며, 상업 번창, 행운, 건강 등을 상징하며 손의 방향, 색상, 재료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브랜드 경영 - 저작권
저작권은 창작자의 권익 보호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문학, 예술, 음악 등 인간의 창작물에 대해 창작자에게 부여되는 법적 권리로서,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으로 구성되며, 국제 조약 및 각국 국내법을 통해 보호되지만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보호와 이용 간 균형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브랜드 경영 - 사치품
사치품은 필수재가 아닌 소득탄력성이 1보다 큰 재화 또는 서비스로, 미술사적으로는 화려한 장식과 고가 재료를 사용한 물건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접근 가능한 고급"이라는 새로운 범주가 등장하여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마스코트 | |
---|---|
개요 | |
![]() | |
![]() | |
![]() | |
정의 | |
설명 | 인간, 동물 또는 공공 정체성의 후원을 촉진하기 위한 물건의 표현 |
2. 역사
마스코트는 스포츠 조직에서 관중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동물을 활용하면서 시작되었다.[2] 초기에는 주로 동물을 사용하여 경기에 색다른 느낌을 주고 상대 팀에게 두려움을 주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마스코트는 육식 동물에서 2차원, 3차원 형태로 진화했다. 짐 헨슨과 시드 앤 마티 크로프트의 인형극 스타일은 스포츠 마스코트에 적용되어, 사람들은 시각적 즐거움과 함께 마스코트와 물리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마케터들은 3차원 마스코트의 가능성을 보고 의상 인형 아이디어를 채택했고, 이는 여러 회사들이 자체 마스코트를 만들게 하여 스포츠뿐 아니라 다양한 조직에서 마스코트가 필수적이 되도록 이끌었다.[4][3]
2. 1. 마스코트의 기원과 어원
관중들에게 즐거움과 즐거움을 선사하기 위해 동물을 마스코트의 한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처음으로 생각한 것은 스포츠 조직이었다.[2] 마스코트가 가상의 아이콘이나 옷을 입은 사람이 되기 전에는, 주로 동물을 사용하여 경기에 다소 다른 느낌을 주고 경쟁 팀에게 두려움을 주려고 했다.시간이 지나면서 마스코트는 포식 동물에서 2차원 판타지 마스코트로, 마침내 오늘날 우리가 아는 3차원 마스코트로 진화했다. 짐 헨슨과 시드 앤 마티 크로프트의 작품을 포함한 20세기 중반 미국 인형극의 양식 변화는 곧 스포츠 마스코트에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코트와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케터들은 3차원 마스코트의 큰 잠재력을 재빨리 깨닫고 의상 인형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회사들이 자체 마스코트를 만들기 시작하도록 장려했으며, 그 결과 마스코트는 스포츠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조직 사이에서도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4][3]
'마스코트'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mascotte'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부적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한 가구에 행운을 가져다주는 모든 것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1867년에 처음 기록되었고, 1880년 12월에 공연된 오페라 ''라 마스코트''를 쓴 프랑스 작곡가 에드몽 오드랑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이 단어는 1881년, 특정 살아있는 개체가 인간 조직과 관련된 상징 또는 살아있는 로고라는 의미로 영어에 들어왔다. 그러나 이전에 이 용어는 도박꾼들이 사용하는 속어로 프랑스 사람들에게 친숙했다. 이 용어는 마녀 또는 마법사를 의미하는 'masco'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19세기 이전에는 '마스코트'라는 단어는 머리카락 한 묶음이나 항해하는 배의 선수상과 같이 흔히 볼 수 있는 무생물체와 관련되었다. 그 이후 20세기까지 이 용어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동물, 물건 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스포츠 팀의 로고로 만들어진 인간 캐리커처와 가상의 생물체를 포함한다.
영어 "mascot"이라는 단어의 어원에 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으며, 또한 이 단어가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게 된 것은 19세기의 오페레타 작품에 의해서이므로, 우선 19세기의 용법부터 설명하고, 거기에서부터 차례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형태로 기원을 찾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이 단어가 널리 퍼지게 된 것은, 1880년에 프랑스의 작곡가 Edmond Audran|에드몽 오드랑프랑스어이 제작한 『마스코트(La Mascotte)』라는 제목의 희극 오페레타에 의해서이다. 이것은, 어떤 집에 깃든 요정이 그 집에 사는 이탈리아인 농부에게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이야기이다.[26] 이 오페레타는 이듬해 1881년에는 영어로 번역되어 영어권에서 상연되었고, 이러한 의미·용법이 사람들 사이에 널리 퍼졌다. 오드랑이 작품명에 mascotte라는 단어를 사용한 19세기, 프랑스 방언에는 "mascotte"라는 단어가 있었고, 마법사의 마술, 친절한 요정, 행운을 가져다주는 것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26]
이 프랑스어 방언의 "mascotte"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아마도 프로방스어의 "mascoto"(「마법사」나 「부적」)이다. 나르본의 1233년의 사본에서는, "mascoto"는 여자로부터의 유혹, 도박에서의 마법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26] 이 mascoto의 어원은, masco(「마법사」)이며, 그 기원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 프로방스어의 "masca"이며, 그 masca의 기원이 되는 것은 확실한 것은 알 수 없지만, 중세 라틴어의 masca(「얼굴을 가리는 것」「유령」이 되지 않았을까 하고 여겨지고 있다.
2. 2. 초기 마스코트의 형태
스포츠 단체가 관람객에게 오락과 흥미를 제공하기 위해 동물을 마스코트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처음으로 생각했다.[2] 마스코트가 허구의 아이콘이나 옷을 입은 사람이 되기 전에는, 주로 동물을 사용하여 경기에 다소 다른 느낌을 주고 경쟁 팀에게 두려움을 주려고 했다.시간이 지나면서 마스코트는 포식 동물에서 2차원 판타지 마스코트로, 마침내 오늘날 우리가 아는 3차원 마스코트로 진화했다. 짐 헨슨과 시드 앤 마티 크로프트의 작품을 포함한 20세기 중반 미국 인형극의 양식 변화는 곧 스포츠 마스코트에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코트와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케터들은 3차원 마스코트의 큰 잠재력을 재빨리 깨닫고 의상 인형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회사들이 자체 마스코트를 만들기 시작하도록 장려했으며, 그 결과 마스코트는 스포츠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조직 사이에서도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4][3]
2. 3. 마스코트의 발전
스포츠 단체가 관람객에게 오락과 흥미를 제공하기 위해 동물을 마스코트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처음으로 생각했다.[2] 마스코트가 허구의 아이콘이나 옷을 입은 사람이 되기 전에는, 주로 동물을 사용하여 경기에 다소 다른 느낌을 주고 경쟁 팀에게 두려움을 주려고 했다.시간이 지나면서 마스코트는 포식 동물에서 2차원 판타지 마스코트로, 마침내 오늘날 우리가 아는 3차원 마스코트로 진화했다. 짐 헨슨과 시드 앤 마티 크로프트의 작품을 포함한 20세기 중반 미국 인형극의 양식 변화는 곧 스포츠 마스코트에 적용되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코트와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케터들은 3차원 마스코트의 큰 잠재력을 재빨리 깨닫고 의상 인형 아이디어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회사들이 자체 마스코트를 만들기 시작하도록 장려했으며, 그 결과 마스코트는 스포츠 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조직 사이에서도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4][3]
3. 스포츠 마스코트
스포츠 단체들은 관람객에게 즐거움과 흥미를 제공하기 위해 동물을 마스코트 형태로 활용하기 시작했다.[2] 초기에는 주로 동물을 이용하여 경기에 색다른 느낌을 주고 상대 팀에게 두려움을 주려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마스코트는 포식 동물에서 2차원, 3차원 형태로 진화했다. 20세기 중반 짐 헨슨과 시드 앤 마티 크로프트의 인형극 양식 변화는 스포츠 마스코트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시각적 즐거움뿐만 아니라 마스코트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마케터들은 3차원 마스코트의 잠재력을 빠르게 인지하고 의상 인형 아이디어를 채택했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회사들도 자체 마스코트를 만들도록 이끌었고, 결과적으로 마스코트는 스포츠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직에서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4][3]
미국의 많은 스포츠 팀들은 공식 마스코트를 가지고 있으며, 의상을 입은 사람이나 살아있는 동물이 마스코트 역할을 하기도 한다. 1908년 시카고 컵스는 박제된 동물을 마스코트로 이용하였으며, 1916년에는 살아있는 동물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개념은 곧 포기되었고, 2014년 의상을 입은 사람 형태의 마스코트를 선보이기 전까지 공식적인 "어린 곰"은 없었다.[11]
영국에서는 일부 팀들이 어린 팬들을 "마스코트"로 삼는데, 이들은 의료 문제와 관련된 소원을 이루어주는 역할,[12] 콘테스트 우승,[13] 기타 사유로 선정된다. 미스터 잉글랜드와 같이 나이든 사람들도 국가 스포츠 협회에 의해 대표팀 마스코트로 초청받기도 한다.[14] 켄 베일리는 존 불에서 영감을 얻은 모습으로 1963년[15]부터 1990년[16]까지 잉글랜드 경기에서 정기적으로 등장한 초기 마스코트 중 하나였다.
미국의 고등학교, 대학교, 중학교, 초등학교도 일반적으로 마스코트를 가지고 있다. 많은 대학의 마스코트는 스포츠 행사에 참석하는 불독이나 곰과 같은 살아있는 동물에서 시작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주로 스포츠 행사, 동문회, 기타 캠퍼스 행사에 참석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캠퍼스 조각상, 의상을 입은 학생으로 표현된다.
3. 1. 논란
마스코트는 그 대상이 추구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전사나 포식 동물처럼 경쟁적인 "투지"를 의인화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지역 특성을 상징하기도 하는데, 네브래스카 콘허스커스의 마스코트 허비 허스커는 해당 지역의 농업 전통을 반영한 농부의 모습이다. 피츠버그 주립 대학교의 마스코트 거스 더 고릴라는 캔자스 남동부 지역 석탄 광부들을 부르는 옛 용어 "고릴라"에서 유래했다.[6]미국에서는 관련 논란[7]이 특히 사람 모습을 사용하는 마스코트 선택을 둘러싸고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기반 마스코트는 논란의 여지가 큰데, 억압받는 문화에 대한 착취라는 주장이 있기 때문이다.[8] 그러나 유타 유츠, 센트럴 미시간 치페와스처럼 지역 부족의 승인을 받거나, 플로리다 주립 세미놀스와 같이 오세올라와 레니게이드를 플로리다 세미놀 부족이 지지하는 등 이름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FSU는 불쾌한 뉘앙스 때문에 마스코트로 지칭하지 않기로 했지만,[9] 2014년 로즈 볼에서처럼 팬들이 평원 인디언 복장을 하고 "스칼프 엠(두피를 벗겨라)" 배너를 드는 "레드페이스" 행위를 막지는 못했다.[10]
뉴욕 양키스 팬 프레디 세즈나 전 토론토 블루제이스 마스코트 BJ 버디처럼 팀과 동일시되는 "비공식" 마스코트도 있다. BJ 버디는 팬이 만든 캐릭터였으나, 팀에 고용되어 홈경기 공연을 하기도 했다. USC 트로잔스 마스코트는 공식 마스코트인 트래블러를 타는 토미 트로잔이다.
1989년 10월 28일, 마이애미 대학교 마스코트 세바스찬 더 아이비스는 추장 오세올라의 불타는 창을 끄려다 마이애미와 라이벌 플로리다 주립의 도크 캠벨 스타디움 경기 전 경찰에 태클당했다. 소방관 헬멧과 레인코트를 입고 소화기를 든 세바스찬은 경찰관에게 소화기를 분사했고, 수갑이 채워졌지만 풀려났다.
지노 토레타는 ESPN에 "우리가 악동이 아니었더라도, '마스코트까지 체포되네'라는 신비감을 더했다"고 말했다.
민족 모티프 마스코트는 종종 논쟁 대상이 된다. 일리노이 대학교의 "Fighting Illinois(싸우는 일리노이족)" 마스코트는 인종・정치적 올바름 문제로, 알프레드 대학교의 색슨족 기사 마스코트는 색슨족 우월성 문제로 항의받았다.
일본에서는 담배, 술 등에 마스코트 사용을 자제하며, 미성년자에게 미치는 영향 때문에 일본 알코올 문제 연락 협의회 등과 문제가 되기도 한다. 삿포로 맥주의 돈 시보리오네(『삿포로 생 짜내기』 광고의 개 인형) 등이 그 예이다.
4. 기업 및 단체 마스코트
기업 및 단체들은 고객에게 친근함을 주고 팬을 확보하기 위해 마스코트를 활용한다. 기업 마스코트, 유루캬라 등이 그 예시이다.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공공 단체의 마스코트가 크게 늘었다. 평론가 아즈마 히로키는 이러한 현상이 정부와 사회의 존재감이 약해지는 포스트모던화의 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구마모토현의 구마몬은 이러한 성공 사례 중 하나이다.
4. 1. 기업 마스코트
기업 마스코트 또는 광고 캐릭터는 기업 세계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잘 알려진 마스코트로는 체스터 치타, 키블러 엘프, 프루트 오브 더 룸 가이즈, 미키 마우스, 리틀 시저스의 피자 피자 가이, 로키 더 엘프, 펩시맨과 NBC 공작새 등이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회사나 브랜드를 언급하지 않아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11] 이것은 기업 브랜딩의 한 예이며, 회사를 소프트 셀하는 것이다. 마스코트는 광고가 허용되지 않는 곳에서 브랜드 홍보대사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기업 마스코트는 비영리 행사에 참석하거나 스포츠 행사에 참여하여 군중을 즐겁게 하는 동시에 자사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다. 일부 마스코트는 단순히 만화 캐릭터나 가상 마스코트이고, 다른 마스코트는 광고에 등장하는 캐릭터이며, 또 다른 마스코트는 실제로 의상으로 제작되어 무역 박람회나 행사에서 대중 앞에 직접 나타나기도 한다.기업의 브랜드와 관련된 기업 마스코트나 지방 자치 단체 등의 유루캬라 등이 있다. 마스코트를 설정함으로써 고객에게 친근함을 주고 팬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4. 2. 공공기관 및 지자체 마스코트
일본에서는 많은 지방 자치 단체가 마스코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유루캬라(일본어: ゆるキャラゆるキャラ|유루캬라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유루캬라는 제품 홍보를 위해 기업에서 만든 마스코트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0] 기업의 브랜드와 관련된 기업 마스코트나 지방 자치 단체 등의 유루캬라가 있으며, 마스코트를 설정함으로써 고객에게 친근함을 주고 팬을 확보하기 쉬워진다.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공공 단체의 마스코트가 급격히 증가했다. 평론가 아즈마 히로키는 2000년에 "정부나 사회, 이른바 대문자적인 제도의 존재감이 점점 쇠퇴하는 것은 포스트모던화의 필연적인 과정인데, 90년대 일본의 캐릭터 문화 배경에는 그런 사회적 요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각 부처의 마스코트 캐릭터가 잇따라 나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웃음)"이라고 예상했다. 구마모토현의 구마몬은 그 최대의 성공 사례이다.
카밀라 코로라 SDO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태양 역학 관측소(SDO)의 임무 마스코트이며 교육 및 대중 홍보(EPO) 활동을 지원한다.[21]
5. 군사 마스코트
미국 해병대는 잉글리시 불독을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미국 육군은 노새를, 미국 해군은 염소를, 미국 공군은 매를 사용한다.
로열 웨일스 연대의 염소는 공식적으로 마스코트가 아니라 계급이 있는 군인이다. 윌리엄 윈저 하사가 2009년 5월 20일에 은퇴했고, 그의 후임 "윌리엄 윈저 II"는 같은 해 6월 15일에 포획되어 정식으로 입대했다.[22][23] 영국 육군의 여러 연대는 퍼레이드에 등장하는 살아있는 동물 마스코트를 가지고 있다. 공수 연대와 아가일 앤드 서덜랜드 하이랜더는 셰틀랜드 조랑말을, 머시안 연대는 양을, 아이리시 근위대와 로열 아이리시 연대는 아이리시 울프하운드를, 퀸즈 로열 후사르와 로열 스코츠 드라군 가드는 드럼 말을, 로열 퓨질리어 연대는 영양을, 로열 웨일스 연대는 염소를 마스코트로 사용한다. 다른 영국 군사 마스코트로는 스태퍼드셔 불 테리어와 한 쌍의 족제비가 있다.
노르웨이 왕립 근위대는 연대 밴드가 에든버러를 방문했을 때 킹 펭귄인 닐스 올라프를 마스코트로 채택했다. 펭귄은 에든버러 동물원에 거주하며, 근위대 밴드 또는 기타 분대가 영국을 방문할 때마다 공식적으로 한 계급 승진했다. 2005년 의식에서 올라프 상사는 노르웨이 육군의 장기 복무 및 모범 표창 메달을 받았다.
스페인 외인 부대의 각 부대도 염소를 마스코트로 삼아 퍼레이드나 의식에 동반한다.
6. 국제 행사 마스코트
하계 및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는 보통 해당 올림픽 개최국의 인물이나 동물을 형상화한 캐릭터이다. 마스코트는 관객 유치와 올림픽 축제의 흥미를 더하는 데 사용된다.
1984년 이후 많은 세계 박람회에서도 개최 도시를 나타내는 마스코트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1984년 루이지애나 세계 박람회의 마스코트 세이모어 D. 페어가 그 시작이었다.
6. 1. 올림픽 마스코트
하계 및 동계 올림픽에 사용되는 마스코트는 해당 연도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의 인물 또는 동물을 나타내는 허구의 인물이다. 마스코트는 관객을 유치하고 올림픽 축제에 즐거움과 흥미를 더하는 데 사용된다. 1968년 이후, 하계 또는 동계 올림픽을 개최한 거의 모든 도시에서 해당 연도 게임의 전반적인 "브랜드"와 개최국의 문화와 관련된 마스코트를 디자인하고 홍보했다. 최근 동계/하계 올림픽 마스코트로는 미가, 쿼치, 수미와 묵묵(밴쿠버, 2010년), 웬록과 맨데빌(런던, 2012년), 벨리 미쉬카, 스노우 레오파드, 자이카(소치, 2014년), 비니시우스와 톰(리우데자네이루, 2016년)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각국에서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다.[19] 2010년 이후, 올림픽과 패럴림픽 게임이 각각 자체 마스코트를 갖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이들은 함께 제시된다. 예를 들어, 2020년 하계 올림픽은 미라이토와로 대표되며, 2020년 하계 패럴림픽은 소메이티로 대표되며, 이 둘은 종종 홍보 자료에 함께 등장한다.
7. 기타 마스코트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대학교, 고등학교는 물론 중학교에도 "스쿨 마스코트"가 정해져 있는 학교가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칼리지 중 하나인 시드니 서섹스 칼리지의 마스코트는 파란색과 금색 호저이다.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그릴 위나 보닛 끝에 붙어 있는 것은 "후드 마스코트"라고도 불린다.
최근에는 개인 웹사이트에서도 마스코트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가방 등에 부착하는 미니 사이즈 봉제인형(마스코트 인형)도 마스코트라고 불린다.
8. 논쟁
민족 모티프의 마스코트는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의 "Fighting Illinois(싸우는 일리노이족: 일리노이 주의 어원이 된 아메리카 원주민)" 마스코트는 인종・정치적 올바름 문제의 관점에서 문제시되었다.[1] 일리노이 대학교 외에도 알프레드 대학교(학생 수 2000명 정도)의 색슨족 기사를 본뜬 마스코트는 색슨족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항의를 받았다.[1]
일본에서는 담배나 술 등에 마스코트나 캐릭터를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고 있으며, 미성년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따라 종종 판매자 측과 일본 알코올 문제 연락 협의회 등 사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1] 최근 예로 삿포로 맥주의 돈 시보리오네(『삿포로 생 짜내기』 광고에 나오는 개 모양 인형) 등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Marc's Collection of Mascots: Introduction
http://www.halcyon.c[...]
2017-03-01
[2]
뉴스
Here's why college football teams use live animals as mascots
https://edition.cnn.[...]
[3]
웹사이트
What is a Mascot? {{!}} National Bobblehead Hall of Fame and Museum
https://www.bobblehe[...]
[4]
웹사이트
Mascots
http://www.fisu.net/[...]
2016-05-17
[5]
웹사이트
Where Are You From? – Credo Reference
http://search.credor[...]
2017-03-01
[6]
웹사이트
Pittsburg State University: Home of the Nation's Only Gorillas
http://www.pittstate[...]
2012-04-23
[7]
웹사이트
NCAA mascot, nickname ban is confusing
https://www.espn.com[...]
[8]
간행물
Native American Mascots: Racial Slur or Cherished Tradition?
https://www.njsbf.or[...]
2017-03-15
[9]
웹사이트
Uni Watch: Time to rethink Native American imagery in sports
https://www.espn.com[...]
2012-09-26
[10]
웹사이트
Photographic image for 'Education Fail'
http://2.bp.blogspot[...]
2017-03-01
[11]
뉴스
Photo: 1908 Cubs protect their mascot's back
https://ca.sports.ya[...]
2012-01-30
[12]
뉴스
Wimboldsley couple celebrate after grandson walks tall with England heroes
http://www.crewechro[...]
2011-07-14
[13]
웹사이트
Brazil Mascot Competition
http://www.scottishf[...]
The Scottish Football Association Ltd
2011-07-14
[14]
뉴스
Six Nations: Scrum V meets England's biggest fan – their mascot
https://www.bbc.co.u[...]
2017-03-01
[15]
저널
Sheepskin poodle for French footballers
1963-04-12
[16]
저널
Rag-waving Bull makes Irish see red
1990-11-17
[17]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Sebastian the Ibis, a fire extinguisher and a near arrest
https://www.espn.com[...]
2019-10-30
[18]
웹사이트
All-time Best Corporate Character Mascots
http://www.ipwatchdo[...]
2013-02-11
[19]
웹사이트
History of Olympic Mascots 1968-2014 – Photos & Origins
http://www.olympic.o[...]
2016-05-17
[20]
뉴스
Japanese cuteness overload could result in mascot cull
https://edition.cnn.[...]
2014-05-12
[21]
뉴스
Nasa mascot Camilla hits the stratosphere
https://www.theguard[...]
2016-05-17
[22]
뉴스
Retiring army goat's new zoo home
http://news.bbc.co.u[...]
2010-01-05
[23]
웹사이트
Royal Welsh tackle Great Orme to find regimental goat
https://www.dailypos[...]
2021-04-07
[24]
문서
広辞苑
[25]
문서
シンボルにふさわしい動物を選ぶと、結果として、[[아이덴티티]]を表現したもの、となることも多い
[26]
웹사이트
ethymonline.com
http://www.etymonlin[...]
2009-11-17
[27]
뉴스
Photo: 1908 Cubs protect their mascot’s back
http://offthebench.n[...]
2012-01-27
[28]
문서
東浩紀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mascot - Definitions from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SBS선거방송③] 선거 그래픽의 '전설' SBS가 돌아왔다…명성 이을 '킥'은? / 2025 국민의 선택
마스코트들의 달리기 대결…'슈퍼 오이' 우승 차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