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간호사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문간호사 제도는 간호사 면허를 가진 자가 특정 분야에서 전문적인 교육과 실무 경력을 쌓아 취득하는 자격으로, 한국은 13개, 미국은 4개의 주요 전문 분야로 나뉜다. 한국의 전문간호사는 보건, 마취, 정신, 가정, 감염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자격 취득을 위해 관련 분야 임상 경력과 대학원 교육, 자격시험 합격이 요구된다. 미국은 임상 간호 전문가, 등록 마취 간호사, 등록 산파 간호사, 등록 간호사 실무자 등의 분야가 있으며, 간호학 석사, 박사 학위 등을 취득해야 한다. 전문간호사는 의사의 지도 또는 협력 하에 전문적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며, 각 분야별로 역할과 업무 범위가 정해져 있다. 미국에서는 전문간호사의 오피오이드 처방 관련 논란이 있으며, 다양한 직함과 약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문간호사제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분야 | 간호학 |
유형 | 고급 실무 간호사 |
주요 역할 | 직접 환자 관리 교육 상담 연구 관리 |
전문 분야 | |
미국 | 급성기 간호 전문간호사 성인 간호 전문간호사 노인 간호 전문간호사 가족 간호 전문간호사 소아 간호 전문간호사 신생아 간호 전문간호사 정신 건강 간호 전문간호사 여성 건강 간호 전문간호사 마취 간호 전문간호사 |
캐나다 | 성인 간호 전문간호사 소아 간호 전문간호사 급성기 간호 전문간호사 만성 질환 간호 전문간호사 정신 건강 간호 전문간호사 |
교육 및 자격 | |
교육 | 석사 학위 박사 학위 |
자격 | 국가 면허 전문 자격증 |
발전 역사 | |
초기 |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시작 20세기 중반 이후 다른 나라로 확산 |
대한민국 | 2000년 의료법 개정으로 전문간호사 제도 도입 |
역할 및 책임 | |
역할 | 임상 실무 연구 교육 자문 옹호 |
책임 | 환자 중심 치료 제공 의사 결정 환자 안전 보장 의료 서비스 질 향상 |
법적 및 규제적 측면 | |
면허 및 자격 | 국가별 차이 존재 국가 면허 및 전문 자격증 필요 |
진료 범위 | 국가별, 전문 분야별 차이 존재 자율적인 임상 판단 권한 부여 |
전문간호사 제도 (대한민국) | |
근거 법률 | 의료법 제77조 |
전문간호사 자격 |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전문간호사 교육과정 이수 후 자격 취득 |
전문 분야 | 가정전문간호사 감염관리전문간호사 노인전문간호사 마취전문간호사 산업전문간호사 응급전문간호사 중환자전문간호사 호스피스전문간호사 아동전문간호사 정신전문간호사 임상전문간호사 종양전문간호사 |
의료기관에서의 역할 | 의료법 제77조의2에 따른 전문간호사 업무 수행 전문 분야별 심화된 의료 행위 수행 |
2. 전문간호사의 종류
한국의 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령에 따라 다음 13개 분야로 나뉜다.
- 보건전문간호사
- 마취전문간호사
- 가정전문간호사
- 정신전문간호사
- 응급전문간호사
- 산업전문간호사
- 노인전문간호사
- 호스피스전문간호사
- 감염관리전문간호사
- 종양전문간호사
- 중환자전문간호사
- 아동전문간호사
- 임상전문간호사
2. 1. 보건
보건전문간호사는 1973년 10월 17일 의료법에 분만조산 보건의료분야 간호원으로 처음 규정되었다.[1] 1990년대 초까지 유명무실하다가 1990년 12월 31일 보건복지부가 전문간호사 교육과정 및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을 제정하면서 활성화되었다.[1] 2000년 1월 12일 의료법 개정을 통해 간호사 명칭이 '분야별 간호원'에서 '전문간호사'로 변경되었다.[1] 2003년 5월 27일에는 보건복지부가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전문간호사 분야를 10개로 확대하였다.[1] 2006년 10월 20일 의료법 개정을 통해 전문간호사 분야가 13개로 확대되었다.[1]2. 2. 마취
마취전문간호사는 마취 및 통증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간호사이다.2. 3. 가정
가정전문간호사는 가정 간호 분야의 전문 간호사이다.2. 4. 정신
정신건강 분야에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이다.2. 5. 응급
응급전문간호사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한다.2. 6. 산업
산업전문간호사는 산업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담당하는 간호사이다.2. 7. 노인
노인전문간호사는 노인 건강과 관련된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한다.2. 8. 호스피스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와 그 가족을 돌보는 역할을 하는 전문간호사 분야이다.[1]2. 9. 감염관리
현재 문서에서 주어진 소스 내용만으로는 감염관리 전문간호사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기 어렵다. 주어진 소스에는 감염관리 전문간호사라는 항목만 존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없다.2. 10. 종양
종양전문간호사는 종양 환자를 돌보는 전문적인 간호사이다. 이들은 암 환자의 치료와 관리에 특화된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서적 지원을 제공한다.2. 11. 중환자
중환자전문간호사는 중환자 간호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간호사이다.2. 12. 아동
(섹션 제목과 문서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전 출력과 동일합니다.)2. 13. 임상
Clinical Nurse Specialist영어3. 전문간호사의 자격
전문간호사가 되려면 간호사 면허를 가지고 최근 10년 안에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임상 경력을 쌓아야 하며, 대학원 석사 과정(전문간호사 과정)을 마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실시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3. 1. 자격 요건
간호사 면허를 소지하고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 분야의 임상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으로서 대학원 석사 과정(전문간호사 과정)을 수료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실시하는 국가고시인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1]4. 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 범위
전문간호사는 각 분야에서 의사의 지도하에 또는 협력하여 전문적인 간호 업무를 수행한다. 전문간호사의 분야는 보건, 마취, 정신, 가정, 감염관리, 산업, 응급, 노인, 중환자, 호스피스, 종양, 임상, 아동 전문간호사로 나뉜다.[1] 각 전문 분야별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분야 | 역할 및 업무 범위 |
---|---|
보건 | 지역사회 질병 예방, 보건교육, 건강 증진 활동 |
마취 | 마취 준비, 마취 후 회복 관리 |
정신 | 정신질환자 간호, 환자·가족·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 활동 |
가정 | 환자 간호요구 관찰 |
감염관리 | 감염 예방·감시·관리, 감염관리 교육 |
산업 | 근로자 건강관리, 산업재해 예방, 작업환경 개선 |
응급 |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응급환자 처치·관리 |
노인 | 노인 질환 관리 및 건강 증진 활동 |
중환자 | 중환자 상태 변화 감시 |
호스피스 | 호스피스 전환기 환자 관리, 임종 간호, 환자 가족 상담 |
종양 | 종양 환자 증상 관리, 암 생존자 관리 |
임상 | 질환·합병증 등 임상증상 수집, 치료 간호 |
아동 | 아동·가족 건강력 수집, 아동 건강문제 관리 및 건강증진 간호 |
모든 전문간호사 분야는 공통적으로 '처치, 주사 등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 '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해당 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업무를 수행한다.
4. 1. 보건
가. 처치ㆍ주사 등 보건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보건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보건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지역사회 질병 예방, 보건교육, 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 등 보건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2. 마취
가. 처치ㆍ주사 등 마취환자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마취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마취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마취 준비, 마취 후 회복 관리 등 마취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3. 가정
가. 의료법 시행규칙 제24조에 따른 가정간호를 한다.[1]나. 가정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을 한다.[1]
다. 가정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을 향상한다.[1]
라. 그 밖에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등 가정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를 한다.[1]
4. 4. 정신
가. 처치ㆍ주사 등 정신질환자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정신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정신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정신질환자 등에 대한 간호, 환자ㆍ가족ㆍ지역사회 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 등 정신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5. 응급
가. 처치ㆍ주사 등 응급환자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응급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응급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응급환자에 대한 처치ㆍ관리 등 응급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6. 산업
가. 처치ㆍ주사 등 산업보건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산업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산업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근로자 건강관리, 산업재해 예방, 작업환경 개선 등 산업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7. 노인
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처치·주사 등 노인환자 진료에 필요한 업무[8]나. 노인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8]
다. 노인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8]
라. 그 밖에 노인 질환 관리 및 건강 증진에 필요한 활동 등 노인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8]
4. 8. 호스피스
가. 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처치, 주사 등 호스피스 진료에 필요한 업무나. 호스피스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호스피스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호스피스 전환기 환자 관리 및 임종 간호, 환자 가족을 위한 상담 등 호스피스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9. 감염관리
가. 처치ㆍ주사 등 감염관리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감염관리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감염관리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감염 예방ㆍ감시ㆍ관리, 감염관리 교육 등 감염관리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10. 종양
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처치, 주사 등 종양환자 진료에 필요한 업무나. 종양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종양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종양 환자의 증상 관리, 암 생존자 관리 등 종양전문 간호에 필요한 업무
4. 11. 중환자
가. 처치ㆍ주사 등 중환자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중환자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중환자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중환자 상태 변화의 감시 등 중환자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4. 12. 아동
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아동 환자 대상 처치ㆍ주사 등의 업무[1]나. 아동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1]
다. 아동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1]
라. 아동 및 가족의 건강력 수집, 아동의 건강 문제 관리, 건강 증진을 위한 간호 등 아동전문간호 관련 업무[1]
4. 13. 임상
가. 처치ㆍ주사 등 임상 진료에 필요한 업무 중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지도하에 수행하는 업무나. 임상전문간호 제공을 위한 협력과 조정
다. 임상전문간호 분야의 교육, 상담, 관리 및 연구 등 전문성 향상
라. 그 밖에 질환ㆍ합병증 등 임상증상 수집, 치료를 위한 간호 등 임상전문간호에 필요한 업무
5. 전문간호사 교육 및 인증 (미국)
APRN(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 전문간호사)은 이론과 실제 경험을 통합하고, 자율적인 판단과 개입을 통해 환자 치료를 담당하며, 의사의 감독 하에 업무를 수행한다.[6]
5. 1. 교육 과정
APRN(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 전문간호사) 교육은 임상 간호 전문가(CNS), 등록 마취 간호사(CRNA), 등록 산파 간호사(CNM), 등록 간호사 실무자(CNP)의 네 가지 주요 전문 분야의 기초를 형성한다.[6] 각 전문 분야는 특정 분야 또는 환자 집단에 집중할 수 있다.APRN은 이론, 실무, 경험의 효과적인 통합과 자율적 판단 및 개입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대학원 교육은 APRN이 다양한 의사결정 방식을 사용하고, 개인 및 집단의 치료를 관리하며,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환자와 협력하고, 동료를 지원하며, 자원 활용, 윤리적 간호 실무, 권리 보호, 간호 실무 개선, 치료 관계 발전, 직업 요건 충족, 자기 개발, 법률 및 관습법 준수 등을 하도록 설계되었다.[6]
2023년 현재, 미국의 APRN은 간호학 석사(MSN), 간호학 박사(DNP), 또는 마취간호학 박사(DNAP) 학위를 소지할 수 있다.
2004년, 미국간호대학협회(AACN)는 미국주간호사위원회(NCSBN)와 함께 고급 실무 등록 간호사의 입문 학위를 2015년까지 박사 학위 수준으로 올릴 것을 권장했다.[7] 모든 APN 교육 프로그램은 2015년까지 석사 학위를 간호학 박사(DNP) 학위로 전환할 것을 권장했지만(의무는 아님), 미국마취간호사협회는 2025년까지 프로그램 준수를 요구하지 않는다.[4]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DNP 학위를 수여할 것이다.[7] 마취 간호 프로그램의 45%가 연합 보건학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그램은 마취간호학 박사(DNAP) 학위를 수여할 것이다. DNP는 고급 실무 등록 간호사를 위한 최소 학업 요건이 될 것이며, 임상/실무 기반 박사 학위이지만, 간호 직업의 입문 학위가 아니기 때문에 최종 학위이다.
5. 2. 미국의 전문간호사 규제
미국에서 고급 실무 간호의 선호되는 규제 용어는 고급 실무 등록 간호사(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이다. 미국의 간호는 주 단위로 규제된다. NCSBN는 각 주가 시행할 법안 제안에 대한 합의 모델을 작성한다. 2008년 NCSBN의 APRN 합의 모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역할을 제시했다.[8]- 인증 간호 마취 전문 간호사(Certified registered nurse anesthetist)
- 인증 간호사 조산사(Certified nurse-midwife)
- 임상 간호 전문가(Clinical nurse specialist)
- 인증 간호사 실무자(Certified nurse practitioner)
6. 비판 및 논란 (미국)
미국에서는 전문간호사(NP)와 관련하여 환자 결과 등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NP가 의사와 유사한 수준의 진료를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NP 진료의 질이 낮거나 특정 상황에서 의사의 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6. 1. 오피오이드 처방 관련 논란
2020년 ''Pain Medicine''지는 임상 간호사 전문가(CNP)가 독자적으로 진료하는 주에서 의사보다 28배 더 많은 오피오이드를 처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1]7. 이름 뒤 약자 (미국)
고급 실무 간호사가 사용하는 직함, 자격 증명 및 이름 뒤 약자는 국가, 주, 교육 수준에 따라 다양하다.[1]
다음은 이름 뒤에 붙이는 약자 목록이다.(일부)[1]
약자 | 설명 |
---|---|
ACNP | 응급 간호사(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
AGACNP | 성인-노년기 응급 간호사(Adult-Gerontology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 |
ANP | 성인 간호사(Adult Nurse Practitioner) |
APHN | 고급 공중 보건 간호사(Advanced Public Health Nurse) |
APRN | 고급 실무 등록 간호사(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 (고급 전문 분야의 4가지 일반 영역(CRNA, NP, CNM, CNS)을 지칭함) |
APN | 고급 실무 간호사(Advanced Practice Nurse) (고급 실무 등록 간호사와 같지만 법적으로 인정된 직함으로는 권장되지 않음) |
ARNP | 고급 등록 간호사(Advanced Registered Nurse Practitioner) (미국 일부 주의 간호사를 지칭함) |
C 또는 BC (직함 뒤) | 공인 또는 이사회 공인 (예: APRN-BC, WHNP-BC, PNP-BC, FNP-C, GNP-C, ANP-BC) |
CMCN | 공인 관리 간호사(Certified Managed Care Nurse) |
CNM | 공인 간호 조산사(Certified Nurse Midwife) |
CNP | 공인 간호사(Certified Nurse Practitioner) |
CNS | 임상 간호 전문가(Clinical Nurse Specialist) |
CRNP | 공인 등록 간호사(Certified Registered Nurse Practitioner) |
CS | 임상 전문가(Clinical Specialist) |
CRNA | 공인 등록 간호 마취사(Certified Registered Nurse Anesthetist) |
DNP | 간호학 박사(Doctor of Nursing Practice) (APN을 위한 최종 전문 학위) |
FNP | 가족 간호사(Family Nurse Practitioner) |
GNP | 노년 간호사(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
NNP | 신생아 간호사(Neonatal Nurse Practitioner) |
NP | 간호사(Nurse Practitioner) |
ONP | 종양 간호사(Oncology Nurse Practitioner) |
PMHCNS | 정신 건강 임상 간호 전문가(Psychiatric & Mental Health Clinical Nurse Specialist) |
PMHNP | 정신 건강 간호사(Psychiatric &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 |
PNP | 소아과 간호사(Pediatric Nurse Practitioner) |
PNP-AC | 소아과 응급 간호사(Pediatric Nurse Practitioner- Acute Care) |
PsyNP | 정신과 간호사(Psychiatric Nurse Practitioner) |
WHNP | 여성 건강 간호사(Women's Health Nurse Practitioner) |
참조
[1]
논문
Differences in Opioid Prescribing Among Generalist Physicians, Nurse Practitioners, and Physician Assistants
https://academic.oup[...]
[2]
논문
Advanced Practice Nurse Outcomes: 1990-2008: A Systematic Review
https://web.archive.[...]
2011-09-01
[3]
웹사이트
American Nurses Association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AANA - Home
http://www.aana.com
[5]
웹사이트
Nursing Licensure Debate - Nursing
http://www.bellaonli[...]
[6]
웹사이트
AACN - Publications - Position Statements
http://www.aacn.nche[...]
[7]
웹사이트
Aacn - Dnp - Faqs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Consensus Model for APRN Regulation: Licensure, Accreditation, Certification & Education
https://www.ncsbn.or[...]
[9]
웹사이트
A Closing Word: National Licensure for Nurses
http://www.nursing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