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JR총련)는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 당시 결성된 일본의 철도 관련 노동조합 연합체이다. 국철노동조합 등 민영화에 반대하는 노조에서 이탈한 세력과 민영화에 굴복한 노조들이 결성한 국철개혁노동조합협의회를 모체로, 각 JR 기업별 노동조합의 연합체로 출범했다. JR총련은 민영화 반대 노조원 고용 배제, 혁명적 마르크스주의파 연루 의혹, 민주당 등 특정 정당 지지 등의 논란에 휩싸였다. 현재 JR홋카이도, JR동일본, JR도카이, JR서일본 등 산하 노조를 두고 있으며, 과거에는 소프트뱅크 노조도 가맹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철도 노동조합 -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JR연합)는 일본국유철도 민영화 이후 JR 그룹 노동조합들의 연합체로, 철도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하며, 국철 분할 민영화 찬성파 노조들이 모여 결성되었으나 이후 노선 차이로 다른 노조들과 분리되기도 했다. -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 일본교직원조합
일본교직원조합은 2차 세계 대전 후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일본 공산당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교원 노동조합으로, 교육 부흥을 위한 활동, 보수 정부와의 대립, 내부 분열 등을 거쳐 현재는 교육 정책 및 교원의 권익 옹호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JR연합)는 일본국유철도 민영화 이후 JR 그룹 노동조합들의 연합체로, 철도 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하며, 국철 분할 민영화 찬성파 노조들이 모여 결성되었으나 이후 노선 차이로 다른 노조들과 분리되기도 했다. - 혁마르파 - 국철동력차노동조합
국철동력차노동조합은 1951년 결성된 일본의 노동조합으로, 기관차 승무원 중심에서 동력차 조종사 전체로 확대되었으며, 국철 민영화 과정에서 분열과 합병을 겪었다. - 혁마르파 - 반제국주의 반스탈린주의
반제국주의 반스탈린주의는 구로다 간이치가 주창한 사상으로 스탈린주의와 제국주의의 동시 타도를 주장하며, 소련을 적색 제국주의로 규정하고 기존 공산당을 혁명의 저해 물질로 보는 급진적인 입장을 취한다.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 | |
---|---|
기본 정보 | |
명칭 | 일본 철도 노동조합 총연합회 |
원어 명칭 | 全日本鉄道労働組合総連合会 (Zen-nihon Tetsudō-rōdō-kumiai) |
약칭 | JR총련 (JR-Sōren) |
영어 명칭 | Japan Confederation of Railway Workers' Unions (JRU) |
설립일 | 1987년 2월 2일 |
회원수 | 16,000명 (2022년 7월 기준) |
소재 국가 | 일본 |
본부 위치 | 도쿄도 시나가와구 니시고탄다 3丁目2-13 |
조직 | |
조직 형태 | 직종별 노동조합 |
가맹 단체 |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전일본교통운수산업노동조합협의회 국제운수노동자연맹 |
정치 | |
지지 정당 | 입헌민주당 |
기타 | |
웹사이트 | JR총련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 당시, 민영화에 찬성한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철도노동조합(철노)・전국철도시설노동조합(전시노)・차량노동조합(차노)・철륜회・사원노동조합과 민영화에 반대한 국노에서 이탈한 진짜국철노동조합(진국노) 등이 2월 2일 '''국철개혁노동조합협의회'''를 결성했다. 초대 회장은 철노 출신의 시마 요시타츠였다. 분할민영화 후 각 JR 기업별 노동조합의 연합체로서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약칭 철도노련)를 발족하고, 4월 1일 전민노협에 가맹했다. 약칭은 후에 JR총련으로 변경되었다.
혼슈에서는 예상보다 많은 퇴직자가 발생하여 정원 부족이 예상되었다. 이에 2월 2일 철도노련 결성 대회에서는 "우리 동료들이 민영화 성공을 위해 파견, 광역이동, 일시휴직에 응한 반면, (민영화에) 반대하며 방해하고 땀과 눈물도 흘리지 않은 직원이 현지에서 채용되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신회사의 채용・배속에 관한 특별결의』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설령 정원이 부족하더라도 민영화에 끝까지 반대한 국노・전동노 등의 조합원들을 고용승계하지 말 것을 사측에 요구했다. 인력이 부족했던 혼슈・시코쿠에서는 국노・전동노 조합원도 대부분 JR로 고용승계되었지만, 정원이 초과된 홋카이도・큐슈에서는 국노・전동노의 방침에 따라 채용조사에서 “현지현직”이라고 기입하거나 백지를 제출하여 채용되지 않은 조합원들도 있었다.
철도노련 불채용자는 전국 29명(홋카이도 22, 동일본 1, 서일본 2, 큐슈 4, 동해・시코쿠는 전원 채용)으로, 고용승계율은 99%를 넘었다. 반면 국노의 불채용자는 전국 5,049명(홋카이도 3,400, 혼슈 3사 57, 시코쿠 2, 큐슈 1,550)이었으며, 혼슈와 시코쿠의 고용승계율은 99%를 넘었지만 홋카이도와 큐슈에서는 각각 48%, 43%에 불과했다. 전동노의 경우 홋카이도와 큐슈 고용승계율은 각각 28%, 32%였다. 구 철노 출신 시마 회장은 민영화에 반대했던 사람들은 “절대 본무를 맡기지 마라. 본무를 맡아서 드라이버나 차장을 하면 언제 파업을 할지 모른다”고 요청하기까지 했다. 이에 따라 JR동일본에서는 철도 본무 근무는 대부분 철도노련 조합원이 차지했다.
이후 구 철노계와 구 동노계 사이에 대립이 심화되어, 철노 색이 강한 JR 도카이 노조・JR 서일본 노조・JR 시코쿠 노조・JR 큐슈 노조 4조직이 JR총련을 이탈했다. 이들 회사에서 JR총련을 지지하는 조합원들이 반발하여 각기 새 노조(JR 도카이 勞, JR 서노, JR 큐슈 勞)를 결성하고 JR총련에 재가맹했지만, 이들 4개사에서 JR총련계 노조는 소수파로 전락했다. 1992년 5월 18일, JR총련을 이탈한 4개 노조에 일본철도산업노동조합총연합(구철산총련)이 합류해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JR연합)를 발족시켰다.[2] 이후 JR큐슈 노조를 해산하고 일부 조합원들이 JR큐슈유니온으로 이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조직 문제로 2006년 7월 JR큐슈유니온이 JR총련으로부터 탈퇴를 표명했다가 제명당했다. 2006년 8월 이후 JR시코쿠와 JR큐슈에는 JR총련 가맹노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JR총련에는 옛 일본텔레콤의 계열사인 소프트뱅크 노조도 가맹하고 있었지만, 2019년 제35회 정기대회에서 JR총련으로부터 “졸업”을 승인받고 정보산업노동조합연합회(정보노련)으로 이적했다.
1996년에는 조합원 수가 70,710명이었지만,[3] 2020년에는 22,561명으로 감소했다.[4]
2. 1. 국철 민영화와 JR총련의 탄생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 당시, 민영화에 굴복한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철도노동조합(철노)・전국철도시설노동조합(전시노)・차량노동조합(차노)・철륜회・사원노동조합, 그리고 민영화에 끝까지 반대한 국철노동조합(국노)에서 이탈한 진짜국철노동조합(진국노) 등이 2월 2일 '''국철개혁노동조합협의회'''를 결성했다.[1] 초대 회장은 철노 출신의 시마 요시타츠(志摩好達)였다. 분할민영화가 완료된 이후에는 각 JR 기업별 노동조합들의 연합체로서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를 발족하고 4월 1일 전일본민간노동조합협의회(전민노협)에 가맹했다. 약칭은 "철도노련"이었으나 후에 "JR총련"으로 바꾸었다.혼슈에서는 예상보다 많은 퇴직자가 발생하여 정원 미달이 예상되었다. 이에 2월 2일 철도노련 결성 대회에서는 “우리 동료들이 민영화 성공을 위해 파견, 광역이동, 일시휴직에 응한 반면, (민영화에) 반대하며 방해하고 땀과 눈물도 흘리지 않은 직원이 현지에서 채용되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신회사의 채용・배속에 관한 특별결의』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설령 정원이 미달하더라도 민영화에 끝까지 반대한 국노・전동노 등의 조합원들을 고용승계하지 말 것을 사측에 요구했다. 인력이 부족했던 혼슈・시코쿠에서는 국노・전동노 조합원도 대부분 JR로 고용승계되었지만, 정원이 초과된 홋카이도・큐슈에서는 국노・전동노의 방침에 따라 채용조사에서 “현지현직”이라고 기입하거나 백지를 제출하여 채용되지 않은 조합원들도 있었다.
철도노련 불채용자는 전국 29명(홋카이도 22, 동일본 1, 서일본 2, 큐슈 4, 동해・시코쿠는 전원 채용)으로, 고용승계율은 99%를 넘었다. 반면 국노의 불채용자는 전국 5,049명(홋카이도 3,400, 혼슈 3사 57, 시코쿠 2, 큐슈 1,550)이었으며, 혼슈와 시코쿠의 고용승계율은 99%를 넘었지만 홋카이도와 큐슈에서는 각각 48%, 43%에 불과했다. 전동노의 경우 홋카이도와 큐슈 고용승계율은 각각 28%, 32%였다. 노사협조파였던 철노 출신 시마 회장은 민영화에 반대했던 사람들은 “절대 본무를 맡기지 마라. 본무를 맡아서 운전사나 차장을 하면 언제 파업을 할지 모른다”고 요청하기까지 했다. 이에 따라 JR동일본에서는 철도 본무 근무는 대부분 철도노련 조합원이 차지했다.
이후 구 철노계와 구 동노계 사이에 대립이 심화되어, 철노 색이 강한 JR 도카이 노조・JR 서일본 노조・JR시코쿠 노조・JR큐슈 노조 4조직이 JR총련을 이탈했다. 이들 회사에서 JR총련을 지지하는 조합원들이 반발하여 각기 새 노조를 결성하고 JR총련에 재가맹했지만, 이들 4개사에서 JR총련계 노조는 소수파로 전락했다. 1992년 5월 18일, JR총련을 이탈한 4개 노조에 구 일본철도산업노동조합총연합(구철산총련)이 합류해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JR연합)을 발족시켰다.[2] 이후 JR큐슈 노조를 해산하고 일부 조합원들이 JR큐슈유니온으로 이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조직 문제로 인해 2006년 7월 JR큐슈유니온이 JR총련으로부터 탈퇴를 표명했다가 제명당했다. 2006년 8월 이후 JR시코쿠와 JR큐슈에는 JR총련 가맹 노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JR 총련에는 구 일본텔레콤의 계열사인 소프트뱅크 노조도 가맹하고 있었지만, 2019년 제35회 정기대회에서 JR총련으로부터 “졸업”을 승인받고 정보산업노동조합연합회(정보노련)으로 이적했다.
2. 2. 민영화 반대 노조 배제 논란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 당시, 민영화에 찬성한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 철도노동조합(철노) 등과 민영화에 반대한 국노에서 이탈한 일부 조합원들이 '국철개혁노동조합협의회'를 결성했다. 분할민영화 이후에는 각 JR 기업별 노동조합들의 연합체로서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JR총련)를 발족했다.혼슈에서는 예상보다 많은 퇴직자로 인력 부족이 예상되었다. 이에 철도노련은 '신회사의 채용・배속에 관한 특별결의'를 채택하여, 정원이 부족하더라도 민영화에 반대한 국노, 전동노 등의 조합원들을 고용승계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혼슈와 시코쿠에서는 국노・전동노 조합원도 대부분 JR에 고용되었지만, 홋카이도와 큐슈에서는 일부 조합원들이 채용되지 않았다.
철도노련 불채용자는 전국 29명이었던 반면, 국노 불채용자는 5,049명이었다. 특히 홋카이도와 큐슈에서 국노와 전동노의 고용승계율은 매우 낮았다. 또한, 철노 출신의 시마 요시타츠 회장은 민영화 반대 조합원들을 "절대 본무(철도 관련 주요 업무)를 맡기지 마라. 본무를 맡아서 운전사나 차장을 하면 언제 파업을 할지 모른다"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후 구 철노계와 구 동노계 사이에 대립이 발생하여, JR동해 노조, JR서일본 노조, JR시코쿠 노조, JR큐슈 노조 4조직이 JR총련을 이탈했다. 이들 회사에서 JR총련 옹호파 조합원들이 새 노조를 결성하고 JR총련에 재가맹했지만, 소수파로 전락했다. 1992년, JR총련을 이탈한 4개 노조는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JR연합)을 발족시켰다.
2. 3. JR연합과의 분리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 당시, 민영화에 굴복한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철도노동조합(철노) 등과 민영화에 반대한 국노에서 이탈한 조합원들이 '''국철개혁노동조합협의회'''를 결성했다. 이후 각 JR 기업별 노동조합들의 연합체로서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JR총련)가 발족했다.혼슈에서는 예상보다 많은 퇴직자로 정원 미달이 될 상황이 되자, JR총련은 “민영화에 반대한 […] 직원이 현지에서 채용되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특별결의를 채택하여 민영화 반대 조합원들을 고용승계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이후 구 철노계와 구 동노계 사이에 대립이 크게 생겨, 철노 색이 강한 JR동해 노조, JR서일본 노조, JR시코쿠 노조, JR큐슈 노조 4조직이 JR총련을 이탈했다. 이들 회사에서 JR총련을 지지하는 조합원들이 반발하여 각각 새 노조를 결성하고 JR총련에 다시 가맹했지만, 이들 4개사에서 JR총련계 노조는 소수파로 전락했다. 1992년 5월 18일, JR총련을 이탈한 4개 노조에 구 일본철도산업노동조합총연합(구 철산총련)이 합류해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JR연합)을 발족시켰다.[2]
2. 4. 조직 변화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 당시, 민영화에 굴복한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 철도노동조합(철노), 전국철도시설노동조합(전시노), 차량노동조합(차노), 철륜회, 사원노동조합, 그리고 민영화에 끝까지 반대한 국노에서 이탈한 진짜국철노동조합(진국노) 등이 2월 2일 '''국철개혁노동조합협의회'''를 결성했다.[1] 초대 회장은 철노 출신의 시마 요시타츠였다. 분할민영화가 완료된 이후에는 각 JR 기업별 노동조합들의 연합체로서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약칭 철도노련)를 발족하고, 4월 1일 전일본민간노동조합협의회(전민노협)에 가맹했다. 약칭은 후에 "JR총련"으로 바뀌었다.혼슈에서는 예상보다 많은 퇴직자가 발생하여 정원 미달이 될 상황이었다. 2월 2일 철도노련 결성대회에서는 “우리 동료들이 민영화의 성공을 위해 파견이나 광역이동, 일시귀휴에 응한 것을 반대하고 방해한, 땀도 눈물도 흘리지 않은 직원이 현지에서 채용되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신회사의 채용・배속에 관한 특별결의』를 채택하여, 설령 정원이 미달하더라도 민영화에 끝까지 반대한 국노, 전동노 등의 조합원들을 고용승계하지 말 것을 사측에 요구했다. 일손이 부족했던 혼슈・시코쿠에서는 국노・전동노 조합원도 대부분 JR로 고용승계되었지만, 정원이 초과된 홋카이도・큐슈에서는 국노・전동노의 방침에 따라 채용조사에서 “현지현직”이라고 기입하거나 백지를 제출해서 채용되지 않은 조합원들도 있었다.
철도노련 불채용자는 전국에서 29명(홋카이도 22, 동일본 1, 서일본 2, 큐슈 4, 동해・시코쿠는 전원 채용)으로, 고용승계율이 99%를 넘었다. 반면 국노의 불채용자는 전국에서 5,049명(홋카이도 3,400, 혼슈 3사 57, 시코쿠 2, 큐슈 1,550)이었으며, 혼슈와 시코쿠의 고용승계율은 99%를 넘었지만 홋카이도와 큐슈에서는 각각 48%, 43%에 불과했다. 전동노의 경우 홋카이도와 큐슈 고용승계율은 각각 28%, 32%였다. 시마 회장은 민영화에 반대했던 사람들은 “절대 본무를 맡기지 마라. 본무를 맡아서 드라이버나 차장을 하면 언제 파업을 할지 모른다”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JR 동일본에서는 철도의 본무근무는 대부분 철도노련 조합원이 차지했다.
이후 구 철노계와 구 동노계 사이에 대립이 커져, 철노색이 강한 JR 도카이 노조, JR 서일본 노조, JR 시코쿠 노조, JR 큐슈 노조 4조직이 JR총련을 이탈했다. 이들 회사에서 JR총련 지지파 조합원들이 반발하여 각기 새 노조를 결성하고 JR총련에 재가맹했지만, 이들 4개사에서 총련계 노조는 소수파로 전락했다. 1992년 5월 18일, JR총련을 이탈한 4개 노조에 일본철도산업노동조합총연합(구철산총련)이 합류해 일본철도노동조합연합회(JR연합)를 발족시켰다.[2] 이후 JR큐슈 노조를 해산하고 일부 조합원들이 JR큐슈유니온으로 이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조직문제로 2006년 7월 JR큐슈유니온이 JR총련으로부터 탈퇴를 표명했다가 제명당했다. 2006년 8월 이후 JR시코쿠와 JR큐슈에는 JR총련 가맹노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JR총련에는 옛 일본텔레콤의 흐름을 이어 소프트뱅크 노조도 가맹하고 있었지만, 2019년 제35회 정기대회에서 JR총련으로부터 “졸업”을 승인받고 정보산업노동조합연합회(정보노련)으로 이적했다.
1992년에는 노조가 파업 가능성을 고려한 것에 항의하며 많은 전 테츠로 회원들이 분리되어 경쟁 단체인 일본 철도 노동조합 연합을 결성했다.[2] 1996년에는 조합원 수가 70,710명이었지만,[3] 2020년에는 22,561명으로 감소했다.[4]
3. 혁명적 마르크스주의파(혁마르파)와의 관계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 본조)은 혁마르파의 영향 아래에 있다고 공공연히 말해져 왔으며, 현재의 JR총련도 여전히 혁마르파의 영향 아래에 있다는 견해가 있다. 일본 정부나 경찰청은 JR총련을 “혁마르파가 침투해 있는 조직”으로 인식하고 있다.[25][26][27]
중핵파나 혁노협파는 JR총련을 “JR총련카쿠마루”라는 멸칭으로 부르면서, JR총련이 혁마르파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당연시하고 있다. 다만 중핵파는 혁마르파가 2000년 “카쿠마루 중앙(쿠로다파)”과 “JR총련 카쿠마루(마츠자키파)”로 분열했다고 보는 반면, 혁노협파는 그 분리는 위장일 뿐 양자는 지금도 일체라고 보고 있다.
JR총련과 혁마르파의 관계는 일본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주시하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한국철도공사 노동조합은 JR총련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데, 한국의 치안 기관은 일본의 과격파가 JR총련을 통해 한국에 침투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10]
한편, JR총련 및 JR동노가 주간현대의 연재 기사 "테러리스트에게 점령당한 JR동일본의 진실"로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고단샤 등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재판에서, 최고재판소는 상고를 기각하고 명예훼손을 인정, 고단샤 등에 770만 엔 배상을 명한 판결이 확정되었다.[11]
3. 1. 혁마르파 연루 의혹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 본조)은 혁마르파의 영향 하에 있다고 공공연히 말해져 왔으며, 현재의 JR총련도 여전히 혁마르파의 영향 하에 있다는 견해가 있다. 일본 정부나 경찰청은 JR총련을 “혁마르파가 침투해 있는 조직”으로 인식하고 있다.[25][26][27]혁마르파와 JR총련의 관계는 예전부터 『주간문춘』, 『주간현대』 같은 주간황색지들에서 다루었던 바 있다. 2010년 2월 경찰청은 공식 홍보지에서 “노동운동 등에 대한 개입을 강화하는 과격파”의 동향에 경종을 울리면서 JR총련이나 JR동노에 혁마르파가 침투하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내 보였다.[25] 사토 츠토무 중의원의원이 제174회 국회 질문답변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에게 따져묻자, 하토야마 총리는 “JR총련 및 JR동노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입장에 혁마르파 활동가들이 상당히 침투해 있다”는 답변서를 송부했다.[25] 8월 3일 개최된 제175회 국회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는 히라사와 카츠에이 의원이 “JR총련 및 JR동노의 정책조사부장이라는 간부가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전국비례구로 출마해 당선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하여 국가공안위원장 나카노 히로나리는 “혁마르파가 상당히 침투해 있다는 인식은 사실이다”, “후보자가 민주당에서 출마하고 싶다고 희망해서, 당시의 민주당 지도부의 판단으로 공천했다”는 취지로 답변했다.[28]
혁마르파와 대립관계에 있는 중핵파나 혁노협파는 JR총련을 “JR총련카쿠마루”라는 멸칭으로 부르면서, JR총련이 혁마르파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당연시하고 있다. 다만 중핵파는 혁마르파가 2000년 “카쿠마루 중앙(쿠로다파)”과 “JR총련 카쿠마루(마츠자키파)”로 분열했다고 보는 반면, 혁노협파는 그 분리는 위장일 뿐 양자는 지금도 일체라고 보고 있는 점이 미묘하게 다르다.
JR총련 측은 이런 연루설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3. 2. 민주당과의 관계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 본조)을 실질적인 전신으로 하는 JR총련은 혁마르파의 영향 하에 있다는 견해가 있으며, 일본 정부와 경찰청은 JR총련을 “혁마르파가 침투해 있는 조직”으로 인식하고 있다.[25][26][27]2010년 2월, 경찰청은 공식 홍보지를 통해 “노동운동 등에 대한 개입을 강화하는 과격파”의 동향에 경종을 울리면서 JR총련이나 JR동일본에 혁마르파가 침투하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냈다.[25] 사토 츠토무 중의원의원이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에게 이 문제를 따져 묻자, 하토야마 총리는 “JR총련 및 JR동노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입장에 혁마르파 활동가들이 상당히 침투해 있다”고 답변했다.[25]
2010년 8월 3일, 히라사와 카츠에이 중의원의원은 “JR총련 및 JR동노의 정책조사부장이라는 간부가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전국비례구로 출마해 당선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나카노 히로나리 국가공안위원장은 “혁마르파가 상당히 침투해 있다는 인식은 사실이다”, “후보자가 민주당에서 출마하고 싶다고 희망해서, 당시의 민주당 지도부의 판단으로 공천했다”는 취지로 답변했다.[28]
JR총련은 이러한 연루설을 부인하고 있다. 2022년 현재 선거에서는 주로 입헌민주당을 지원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민주당과 생활의 당을 지원했다. 2010년 제22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에서는 조직 내 후보인 타시로 이쿠가 비례구에서 민주당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다.
자민당 의원은 민주당 소속 의원인 에다노 유키오 등이 JR총련으로부터 헌금을 받고 있다는 것을 추궁했지만,[12] 에다노 유키오(당시 내각관방장관)는 "정치자금규정법에 의거 적절하게 수령하고 있다"며 반환할 필요는 없다는 인식을 밝혔다.[15][16] 칸 나오토 내각총리대신 (당시) 또한 JR총련으로부터 헌금을 받았다는 지적이 있었다.[17][18]
오자와 이치로가 리버럴, 중도좌파적인 사상으로 변화하면서 오자와 그룹 의원들과도 친하게 지내게 되었으며, 야마오카 켄지가 타시로의 공천을 지원했다. 오자와가 민주당을 탈당했음에도 협력 관계는 이어져 제23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에서는 비례구에서 생활의 당의 야마오카를 추천했다.[19] 그러나 생활의 당은 1석도 얻지 못했고, 야마오카는 낙선했다.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에서 타시로는 재선을 목표로 했으나, 민진당 후보로서 차점으로 낙선했다. 2017년 6월 JR총련 정기 대회에 참석한 곤도 요스케 민진당 선거대책위원장 대리는 타시로 이쿠의 낙선에 대해 사죄했다.[20]
3. 3. JR총련의 입장
국철동력차노동조합(동노 본조)은 혁마르파의 영향 하에 있다고 공공연히 말해져 왔으며, 현재의 JR총련도 여전히 혁마르파의 영향 하에 있다는 견해가 있다. 일본 정부나 경찰청은 JR총련을 “혁마르파가 침투해 있는 조직”으로 인식하고 있다.[25][26][27]혁마르파와 JR총련의 관계는 이전부터 『주간문춘』, 『주간현대』 같은 주간황색지들에서 다루었으나, 2010년 2월 경찰청이 공식 홍보지에서 “노동운동 등에 대한 개입을 강화하는 과격파”의 동향에 경종을 울리면서 JR총련이나 JR동노에 혁마르파가 침투하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내 보였다.[25] 이에 대해 사토 츠토무 중의원의원이 제174회 국회 질문답변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에게 따져묻자, 하토야마 총리는 “JR총련 및 JR동노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입장에 혁마르파 활동가들이 상당히 침투해 있다”는 답변서를 송부했다.[25] 8월 3일 개최된 제175회 국회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는 중의원의원 히라사와 카츠에이가 “JR총련 및 JR동노의 정책조사부장이라는 간부가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전국비례구로 출마해 당선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하여 국가공안위원장 나카노 히로나리는 “혁마르파가 상당히 침투해 있다는 인식은 사실이다”, “후보자가 민주당에서 출마하고 싶다고 희망해서, 당시의 민주당 지도부의 판단으로 공천했다”는 취지로 답변했다.[28]
혁마르파와 대립관계에 있는 중핵파나 혁노협파는 JR총련을 “JR총련카쿠마루”라는 멸칭으로 부르면서, JR총련이 혁마르파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당연시하고 있다. 다만 중핵파는 혁마르파가 2000년 “카쿠마루 중앙(쿠로다파)”과 “JR총련 카쿠마루(마츠자키파)”로 분열했다고 보는 반면, 혁노협파는 그 분리는 위장일 뿐 양자는 지금도 일체라고 보고 있는 점이 미묘하게 다르다.
JR총련 측은 이런 연루설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4. 산하 노조
JR-소렌은 11개의 노동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합원 수는 62,300명이다.[5]
- 홋카이도여객철도노동조합(JR북해도노조)[29]
- 동일본여객철도노동조합(JR동노조)
- JR동해 노동조합(JR동해노)
- JR서일본 노동조합(JR서노)
- 일본화물철도 노동조합(JR화물노조)
- 철도종합기술연구소 노동조합(철연노)[30]
- 철도정보시스템 노동조합(시스템노)[30]
- 호텔 쥬라쿠 노동조합(호텔쥬라쿠노조)[30]
- JR 센트럴 노동조합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in which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development - Report No 323, November 2000
https://www.ilo.org/[...]
2021-12-22
[2]
간행물
Restructuring of the Japan National Railways
1994
[3]
웹사이트
List of RENGO affiliated union members
http://www.crosscurr[...]
2021-11-18
[4]
웹사이트
RENGO 2020-2021
http://www.jtuc-reng[...]
2021-11-18
[5]
웹사이트
What is JRU?
http://www.jru7.net/[...]
JR Soren website
2012-08-11
[6]
웹사이트
連合構成組織一覧
https://www.jtuc-ren[...]
連合
2018-04-20
[7]
서적
トラジャ JR「革マル」三〇年の呪縛、労組の終焉
東洋経済新報社
2019
[8]
서적
マングローブ
週刊現代
[9]
학술대회
予算委員会
https://www.shugiin.[...]
2010-08-03
[10]
뉴스
【追跡~ソウル発】朴槿恵大統領に「体でも売れ」 韓国鉄道公社のスト闘争 JR総連が共闘
http://sankei.jp.msn[...]
2013-12-31
[11]
뉴스
JR東労組巡る名誉毀損、週刊現代側の敗訴確定
http://www.yomiuri.c[...]
2012-03-28
[12]
웹사이트
現在の社会経済情勢を好機ととらえ、労働運動等への介入を強めた過激派
https://www.npa.go.j[...]
警察庁
2013-09-28
[13]
뉴스
首相、予算早期成立求める 政権維持へ意欲表明
http://www.iwate-np.[...]
2011-02-21
[14]
웹사이트
衆議院議員佐藤勉君提出革マル派によるJR総連及びJR東労組への浸透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1-02-21
[15]
학술대회
予算委員会
http://www.shugiin.g[...]
2013-09-28
[16]
뉴스
枝野氏、JR総連の献金「適正に受領」返還しない意向
http://sankei.jp.msn[...]
2011-02-21
[17]
학술대회
予算委員会
http://www.shugiin.g[...]
2013-09-28
[18]
뉴스
首相にJR総連が献金 自民・棚橋氏が指摘
http://sankei.jp.msn[...]
2011-02-21
[19]
간행물
JR総連 2013年2月15日号
http://jr-souren.com[...]
全日本鉄道労働組合連合会(機関紙)
[20]
웹사이트
JR総連定期大会に近藤洋介選挙対策委員長代理が来賓として出席
https://www.minshin.[...]
民進党
2017-06-06
[21]
웹사이트
北海道旅客鉄道労働組合 - 北海道生産性本部
http://www2.snowman.[...]
[22]
웹사이트
連合加盟労働組合リスト
http://www.jtuc-reng[...]
[23]
웹사이트
JR総連 第 41 回 臨時 大会開催!
http://jr-souren.com[...]
全日本鉄道労働組合総連合会(JR総連)
2024-09-18
[24]
웹사이트
連合構成組織一覧
https://www.jtuc-ren[...]
連合
2018-04-20
[25]
웹인용
現在の社会経済情勢を好機ととらえ、労働運動等への介入を強めた過激派
https://www.npa.go.j[...]
警察庁
2013-09-28
[26]
뉴스
首相、予算早期成立求める 政権維持へ意欲表明
http://www.iwate-np.[...]
2011-02-21
[27]
웹인용
衆議院議員佐藤勉君提出革マル派によるJR総連及びJR東労組への浸透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1-02-21
[28]
학술대회
予算委員会
https://www.shugiin.[...]
2011-02-21
[29]
웹인용
北海道旅客鉄道労働組合 - 北海道生産性本部
http://www2.snowman.[...]
2022-12-04
[30]
웹사이트
連合加盟労働組合リスト
http://www.jtuc-re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